[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66560B1 - 압력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60B1
KR102666560B1 KR1020220066312A KR20220066312A KR102666560B1 KR 102666560 B1 KR102666560 B1 KR 102666560B1 KR 1020220066312 A KR1020220066312 A KR 1020220066312A KR 20220066312 A KR20220066312 A KR 20220066312A KR 102666560 B1 KR102666560 B1 KR 10266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hin film
film sensor
detection device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207A (ko
Inventor
최규남
Original Assignee
(주)나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나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06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5Measuring circuits therefor
    • G01L1/2262Measuring circuits therefor involving simple electrical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박막 센서, 상기 박막 센서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 센서의 표면이 절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절연패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절연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하는 압박부재, 및 상기 박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박막 센서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검출 장치{PRESSURE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력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force) 또는 하중(Pressure)을 측정하기 위해 감압센서(Force Sensitive Resistor)나 로드 셀(Load Cell), 용량형 압력센서(Capacitive Load Cell) 등이 사용되고 있다.
감압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부와, 감압부를 둘러싸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이때 외부에서 압력이 인가되면 감압부의 저항 값이 변화되어 이를 감지하여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의 감압센서는 압력을 측정하는 감도는 좋으나, 비교적 낮은 압력만을 측정할 수 있어 고중량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로드 셀(Load Cell)은 힘(force) 또는 하중(Pressure) 등의 외력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하는 탄성체, 스트레인을 감지하는 포일(foil) 형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포일 형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변화를 측정하는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회로, 및 미세한 출력전압을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기 출력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드 셀은 포일 형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는 방식에 따라 외력을 측정하는 감도가 달라지며, 고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감압용 탄성체를 사용해야 하므로 부피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또한, 용량형 로드 셀(Capacitive Load Cell)은 고정지지대에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고정된 압력을 이동거리로 변환시키는 탄성체 및 스프링과 결합된 상부전극부와, 이를 정전용량으로 변환시키는 하부전극부로 구성되며, 외부에서 압력이 인가되면 상부전극부와 하부전극부 사이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고, 변화된 정전용량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하지만, 용량형 로드 셀은 고중량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부피가 큰 감압용 탄성체 및 스프링을 사용해야 하므로 부피가 크고, 부품 비용이 많이 들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분자구조를 갖는 연자성체 합금에 외부 압력이 인가될 때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효과를 이용하는 박막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가 큰 고가의 감압용 탄성체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얇고 단순한 구조로 구현된 압력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이나 지중 앵커와 같이 고중량의 토목용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유류탱크나 대형 화물차 등의 중량을 계측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는 압력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박막 센서, 상기 박막 센서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 센서의 표면이 절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절연패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절연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하는 압박부재, 및 상기 박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박막 센서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센서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 구조로 형성된 패턴부, 및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턴부의 임피던스 변화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회로부로 출력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센서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패드는,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1 절연패드, 및 상기 박막 센서의 전극부 및 패턴부의 하부 표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2 절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패드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와 상기 제1 절연패드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상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기 하부 패널의 중심부와 상기 제2 절연패드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하부를 압박하는 제2 압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기 상부 패널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중심부로 집중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하부 패널의 소정 영역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 센서로부터 외부 압력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량이 인가되면, 상기 임피던스 변화량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차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부는,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 사이에 형성된 박막 센서, 절연패드 및 압박부재 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몸체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 시, 머리 부분이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은, 내측면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삽입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하부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부에 상기 제1 삽입부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몸체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 시, 머리 부분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은, 내측면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삽입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을 모두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 면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 패널에 형성된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분자구조를 갖는 연자성체 합금에 외부 압력이 인가될 때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효과를 이용하는 박막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가 큰 고가의 감압용 탄성체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얇고 단순한 구조로 압력 검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검출 장치를 얇고 단순한 구조로 구현함에 따라 교량이나 지중 앵커와 같이 고중량의 토목용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유류탱크나 대형 화물차 등의 중량을 계측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센서와 절연패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센서와 절연패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부 패널(10), 하부 패널(20), 박막 센서(30), 절연패드, 압박부재, 압력조절부재 및 회로부(70)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각각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 패널(10)의 하부 면과 하부 패널(20)의 상부 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외부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고압력에도 휘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10)의 중심부에는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중심 위치로 집중될 수 있도록 돌출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돌출부(19)는 상부 패널(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센서(30)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박막 센서(30)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 센서(30)는 외부 압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외부 압력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감지 방식의 센서로서, 전극부(31) 및 패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턴부(35)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증폭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센서(30)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효과를 갖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박막 센서(30)는 Co, Ni, Si, Mo, B, Fe를 성분으로 하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압력에 대하여 부피의 변화가 극히 적으면서도 변화되는 임피던스가 커서 감압용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얇으면서도 고중량을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박막 센서(3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는 각각 절연패드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센서(30)의 상부 면에는 제1 절연패드(41)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박막 센서(30)의 하부 면에는 제2 절연패드(45)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절연패드(45) 위에 박막 센서(30)를 부착하고, 박막 센서(30) 위를 제1 절연패드(41)로 덮어 박막 센서(30)가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 사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는 높은 압력에 대하여 내열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패드(41)는 제2 절연패드(4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 센서(30)의 전극부(31)를 제외한 패턴부(35)만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패드(45)는 박막 센서(30)의 전극부(31) 및 패턴부(35)의 전체 표면을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는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에 의해 절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극부(31)는 외부로 노출되며, 연결선(71)을 통해 회로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재는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의 상부 및 하부를 압박할 수 있으며, 압박부재는 박막 센서(30)의 상부를 압박하는 제1 압박부재(51) 및 박막 센서(30)의 하부를 압박하는 제2 압박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박부재(51)는 박막 센서(30)의 상부 표면에 밀착 형성된 제1 절연패드(41)와 상부 패널(10) 사이에서 박막 센서(30)를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박부재(51)는 상부 면이 상부 패널(10)과 밀착되고, 하부 면이 제1 절연패드(41)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압박부재(51)는 상부 패널(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압박부재(51)는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로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절연패드(41)에 밀착된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를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압박부재(55)는 박막 센서(30)의 하부 표면에 밀착 형성된 제2 절연패드(45)와 하부 패널(20) 사이에는 박막 센서(30)를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박부재(55)는 상부 면이 제2 절연패드(45)와 밀착되고, 하부 면이 하부 패널(20)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압박부재(55)는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압박부재(55)는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로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절연패드(45)에 밀착된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를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압박부재(51) 및 제2 압박부재(55)는 표면에 절연 물질이 도포된 금속판 또는 산화피막을 갖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박부재(51), 제1 절연패드(41), 박막 센서(30), 제2 절연패드(45) 및 제2 압박부재(55)로 형성된 구조체는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에 잘 전달하기 위하여,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중심 위치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압력조절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간격에 따라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에 위치한 구조체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조절부재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 패널(10)의 일 측의 제1 영역 및 타 측의 제2 영역에는 압력조절부재의 몸체(63, 67)가 삽입되는 삽입홀(11, 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홀(11, 15)의 직경은 압력조절부재의 몸체(63, 67)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압력조절부재의 머리(62, 66) 부분의 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패널(10)의 일 측에 대응되는 하부 패널(20)의 일 측의 제3 영역 및 타 측의 제4 영역에는 압력조절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21, 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홈(21, 25)의 직경은 압력조절부재의 몸체(63, 67)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조절부재가 볼트인 경우, 체결홈(21, 25)의 내측면에는 볼트의 나사 부분이 삽입 및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조절부재(61)는 몸체(63) 부분이 상부 패널(10)의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홀(11)을 관통하여 하부 패널(20)의 제3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홈(2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몸체(63) 부분이 하부 패널(20)의 제3 영역에 형성된 체결홈(2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62) 부분은 상부 패널(10)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제1 압력조절부재(61)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압력조절부재(65)는 몸체(67) 부분이 상부 패널(10)의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홀(15)을 관통하여 하부 패널(20)의 제4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홈(2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압력조절부재(65)의 회전 이동에 의해 몸체(67) 부분이 하부 패널(20)의 제4 영역에 형성된 체결홈(25)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압력조절부재(65)의 머리(66) 부분은 상부 패널(10)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제2 압력조절부재(65)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압력조절부재(61) 및 제2 압력조절부재(65)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일 측과 타 측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구조체의 각 구조물들 간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구조체의 각 구조물 간에는 공극 없이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패널(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패널(1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삽입홀(11, 15)의 직경이 압력조절부재(61, 65)의 몸체(63, 67)의 직경 보다 크면, 상부 패널(10)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조절부재(61, 65)의 몸체(63, 67)에 간섭을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패널(10)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패널(10)에 가해진 압력은 돌출부(19)에 의해 중심 위치로 집중되어 압박부재(51, 55) 등을 통해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박막 센서(30)는 패턴부(35)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하게 된다.
회로부(70)는 하부 패널(2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부(70)는 하부 패널(20)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제3 영역 또는 제4 영역 보다 중심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로부(70)는 하부의 소정 영역이 하부 패널(20)에 삽입되고, 상부의 소정 영역이 하부 패널(20)의 위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로부(70)는 상부 표면을 제외한 영역이 하부 패널(20)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회로부(70)의 하부 표면만 하부 패널(20)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부(70)는 박막 센서(30)의 전극부(31)와 연결선(7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량이 연결선(71)을 통해 회로부(70)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로부(70)는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는 박막 센서(30)로부터 인가된 임피던스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출력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휘트스톤 브리지는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회로로서, 서로 연결된 네 개의 노드를 사이에 두고 세 개의 고정저항(R1, R2, R3)과 한 개의 가변저항(RP)이 각각 배치된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로 대각선 위치에 있는 저항끼리 한 쌍을 이룬다. 예를 들어, R1과 RP가 한 쌍을 이루고, R2와 R3이 한 쌍을 이룬다. 이때, 한 쌍의 저항의 곱이 다른 쌍의 저항의 곱과 같으면 노드 P1과 P2 간 전압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노드 P1과 P2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이 바뀌면 두 쌍 간의 저항의 곱이 달라지게 되므로, 노드 P1과 P2 간에 불균형 전압이 발생하면서 노드 P1과 P2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박막 센서(30)에 압력이 가해지면 임피던스 변화량에 의해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이 변하게 되고, 저항 값 변화에 의해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에 불균형 전압이 발생한다. 이때,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의 입력전압을 일정하게 하면 출력전압은 가해진 압력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회로부(70)는 노드 P1과 P2 사이의 전압 차이를 측정하여 압력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는 차동 출력이 0 볼트에 근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십 톤의 외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검출 장치를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회로부(70)는 검출된 압력 값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출력선(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상부 패널(10'), 하부 패널(20'), 박막 센서(30), 절연패드, 압박부재, 압력조절부재 및 회로부(70)를 포함하며, 덮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각각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 패널(10')의 하부 면과 하부 패널(20')의 상부 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서, 상부 패널(10')은 하부 패널(2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외부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고압력에도 휘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10')의 중심부에는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중심 위치로 집중될 수 있도록 돌출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돌출부(19)는 상부 패널(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9)의 크기 및 모양 등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박막 센서(30)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박막 센서(30)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 센서(30)는 외부 압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외부 압력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감지 방식의 센서로서, 전극부(31) 및 패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턴부(35)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증폭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센서(30)는 스트레스 임피던스 효과를 갖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박막 센서(30)는 Co, Ni, Si, Mo, B, Fe를 성분으로 하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압력에 대하여 부피의 변화가 극히 적으면서도 변화되는 임피던스가 커서 감압용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얇으면서도 고중량을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박막 센서(3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는 각각 절연패드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박막 센서(30)의 상부 면에는 제1 절연패드(41)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박막 센서(30)의 하부 면에는 제2 절연패드(45)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는 높은 압력에 대하여 내열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절연패드(41) 및 제2 절연패드(45)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패드(41), 박막 센서(30) 및 제2 절연패드(45)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동일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압박부재는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다. 압박부재는 도 1의 제1 압박부재(5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동일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센서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박부재(55)가 생략된다.
제1 압박부재(51), 제1 절연패드(41), 박막 센서(30), 제2 절연패드(45)로 형성된 구조체는 상부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박막 센서(30)에 잘 전달하기 위하여,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중심 위치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은 압력조절부재에 의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간격에 따라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에 위치한 구조체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조절부재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패널(10')의 일 측의 제1 영역에는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몸체가 체결되는 체결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홈(11')의 직경은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몸체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압력조절부재(61)가 볼트인 경우, 체결홈(11')의 내측면에는 볼트의 나사 부분이 삽입 및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패널(10')의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타 측의 제2 영역에도 제2 압력조절부재(65)의 몸체를 체결하기 위한 동일한 구조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패널(10')의 일 측에 대응되는 하부 패널(20')의 일 측의 제3 영역에는 제1 압력조절부재(61)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홀은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의 직경 보다 작고 몸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1 삽입부(22)와, 제1 삽입부(22)의 하부에 제1 삽입부(22)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삽입부(23)는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몸체가 제1 삽입부(22)에 삽입 시,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가 하부 패널(20')의 하부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삽입되면서 직경이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패널(10')의 제3 영역에 대응되는 타 측의 제4 영역에도 제2 압력조절부재(65)가 삽입되기 위한 동일한 구조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패널(20')은 제1 압력조절부재(61) 및 제2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 패널(10') 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조절부재(61)는 몸체 부분이 하부 패널(20')의 제3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홀(22, 23)을 관통하여 상부 패널(10')의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체결홈(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몸체 부분이 상부 패널(10')의 제1 영역에 형성된 체결홈(1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조절부재(61)의 머리 부분은 하부 패널(20')의 제1 삽입부(22)에 밀착되며, 제1 압력조절부재(61)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압력조절부재(65)도 도 7에 도시된 제1 압력조절부재(61)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압력조절부재(61) 및 제2 압력조절부재(65)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의 일 측과 타 측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구조체의 각 구조물들 간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구조체의 각 구조물 간에는 공극 없이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패널(1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패널(1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패널(10')의 체결홈에 고정된 압력조절부재 역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 패널(20')에 형성된 삽입홀의 직경이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직경 보다 크면, 상부 패널(1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압력조절부재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하부 패널(20')에 간섭을 받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패널(10')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 패널(10')에 가해진 압력은 돌출부(19)가 형성된 중심 위치로 집중되어 제1 압박부재(51) 등을 통해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박막 센서(30)는 패턴부(35)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하게 된다.
회로부(70)는 하부 패널(2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부(70)는 하부 패널(20')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제3 영역 또는 제4 영역 보다 중심 위치에서 먼 위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로부(70)는 하부의 소정 영역이 하부 패널(20')에 삽입되고, 상부의 소정 영역이 하부 패널(20')의 위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로부(70)는 상부 표면을 제외한 영역이 하부 패널(20')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회로부(70)의 하부 표면만 하부 패널(20')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부(70)는 박막 센서(30)의 전극부(31)와 연결선(7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박막 센서(30)의 패턴부(35)에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량이 연결선(71)을 통해 회로부(70)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로부(70)는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는 박막 센서(30)로부터 인가된 임피던스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출력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와 동일하다. 이에, 동일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로부(70)는 박막 센서(30)의 임피던스 변화량에 따라 검출된 압력 값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출력선(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및 회로부 등에 외부의 먼지 및 습기의 침투를 막기 위한 덮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덮개(80)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을 모두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패널(20')의 상부 면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덮개(80)의 중심부에는 돌출부(19)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높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가 큰 고가의 감압용 탄성체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박막 센서(30)를 이용하여 얇고 단순한 구조의 압력 검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검출 장치는 얇고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교량이나 지중 앵커와 같이 고중량의 토목용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유류탱크나 대형 화물차 등의 중량을 계측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상부 패널 11, 15, 22, 23, 26, 27: 삽입홀
11', 21, 25: 체결홈 19: 돌출부
20, 20': 하부 패널 30: 박막 센서
41: 제1 절연패드 45: 제2 절연패드
51: 제1 압박부재 55: 제2 압박부재
61: 제1 압력조절부재 65: 제2 압력조절부재
70: 회로부 71: 연결선
75: 신호출력선 80: 덮개

Claims (21)

  1.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박막 센서;
    상기 박막 센서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 센서의 표면이 절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절연패드;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절연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하는 압박부재;
    상기 박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박막 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박막 센서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부; 및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 사이에 형성된 상기 박막 센서, 상기 절연패드 및 상기 압박부재 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압력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막 센서는,
    외부 압력에 따라 변화되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 구조로 형성된 패턴부; 및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턴부의 임피던스 변화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회로부로 출력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막 센서는,
    연자성체 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드는,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1 절연패드; 및
    상기 박막 센서의 전극부 및 패턴부의 하부 표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2 절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드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와 상기 제1 절연패드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상부를 압박하는 제1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의 중심부와 상기 제2 절연패드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박막 센서의 패턴부의 하부를 압박하는 제2 압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중심부로 집중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하부 패널의 소정 영역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 센서로부터 외부 압력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량이 인가되면, 상기 임피던스 변화량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차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상부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몸체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 시, 머리 부분이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내측면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삽입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하부 패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부에 상기 제1 삽입부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몸체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 시, 머리 부분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부 면에 밀착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머리 부분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내측면에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몸체의 삽입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을 모두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 면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 패널에 형성된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장치.
KR1020220066312A 2022-05-30 2022-05-30 압력 검출 장치 KR10266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12A KR102666560B1 (ko) 2022-05-30 2022-05-30 압력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12A KR102666560B1 (ko) 2022-05-30 2022-05-30 압력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07A KR20230167207A (ko) 2023-12-08
KR102666560B1 true KR102666560B1 (ko) 2024-05-20

Family

ID=8916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12A KR102666560B1 (ko) 2022-05-30 2022-05-30 압력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0106A (ja) * 2015-06-17 2017-01-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表示一体型入力装置
US20170115792A1 (en) * 2014-06-20 2017-04-27 Sony Corporation Sensor panel, input unit, and display unit
CN215605659U (zh) * 2020-11-24 2022-01-25 北京石墨烯技术研究院有限公司 睡眠监测用石墨烯金属薄膜传感器及具有其的床垫、褥子或床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5792A1 (en) * 2014-06-20 2017-04-27 Sony Corporation Sensor panel, input unit, and display unit
JP2017010106A (ja) * 2015-06-17 2017-01-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表示一体型入力装置
CN215605659U (zh) * 2020-11-24 2022-01-25 北京石墨烯技术研究院有限公司 睡眠监测用石墨烯金属薄膜传感器及具有其的床垫、褥子或床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07A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323A (en) Pressure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system
US7775333B2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and use thereof
CN100334420C (zh) 包含弹性材料的位置传感器
US4738325A (en) Hall effect weight transducer
EP0543901A1 (en) MONOLITHIC ACCELERATOR.
US20050061082A1 (en) Capacitive force sensing device
Fiorillo A piezoresistive tactile sensor
KR102666560B1 (ko) 압력 검출 장치
US6225576B1 (en) Shear beam load cell
Filanc-Bowen et al. Novel sensor technology for shear and normal strain detection with generalized electrostriction
US7305881B2 (en) Method and circuitry for thermal accelerometer signal conditioning
CA1040883A (en) Open-loop differential-pressure transmitter
JPS6355012B2 (ko)
JPH03293565A (ja) Pwm静電サーボ式加速度計
JPH085482A (ja) 静電容量式触覚センサ
WO2021116276A1 (en) Sensor
JPS62130321A (ja) 圧力検知器
JPH0460210B2 (ko)
US8578792B2 (en) Displacement sensor formed on planar flexible base
JPS6355013B2 (ko)
JPH03249530A (ja) 分布型触覚センサ
KR102498987B1 (ko) 하중 검출 장치
Katageri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Diaphragm for the Design of High Sensitiv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RU2028000C1 (ru) Компенсационный акселерометр
JP2009150737A (ja) センサおよび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