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66527B1 -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27B1
KR102666527B1 KR1020220057455A KR20220057455A KR102666527B1 KR 102666527 B1 KR102666527 B1 KR 102666527B1 KR 1020220057455 A KR1020220057455 A KR 1020220057455A KR 20220057455 A KR20220057455 A KR 20220057455A KR 102666527 B1 KR102666527 B1 KR 10266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vehicle
crossbar
lower pl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7804A (ko
Inventor
민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22005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Carriers characterised by wind defl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는 한 쌍의 루프레일; 상기 루프레일에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얹혀지는 루프박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대면 지지 가능한 고정 브래킷; 및 크로스바가 이루는 평면 위에 장착되며, 루프박스의 상면과 함께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ROOF RACK ASSEMBLY FOR MOUNTING ROOF BOX OF ROOF PANEL CONTAC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및 루프레일에 손상 없이 크로스바를 설치할 수 있고, 루프박스의 앞쪽 및 뒤쪽 바닥과 루프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폐쇄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시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하여 트렁크와 같은 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재공간은 한정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패널에 루프박스나 루프 캐리어와 같은 외부 적재공간을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근래에는 레저 및 캠핑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장비나 물품 등을 운반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패널에 외부 적재공간을 장착하는 차량들이 많아지고 있다.
외부 적제공간으로서 캐리어는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켜 적재하므로 차량의 운행 중 물품이 훼손될 수 있고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 등의 단점이 있어 물품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루프박스를 많이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제작할 때 차량의 루프패널 양쪽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루프레일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을 출고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루프레일을 이용하여 루프박스를 장착할 수 있는데, 루프박스의 장착을 위하여 루프레일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2개의 크로스바를 고정 설치하고, 이 크로스바의 상부에 루프박스를 장착하게 된다.
루프레일에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에 홈을 형성하거나 구멍을 뚫고, 여기에 브래킷이나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크로스바를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루프레일의 손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또한 루프박스를 다른 루프박스로 바꿔 장착하려면 설치된 크로스바의 위치를 다른 위치로 변경해야 하고, 그러면 루프레일에 또 다른 홈이나 구멍을 뚫어야 한다.
이렇게 루프레일에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면 루프레일의 구조적인 강도가 그만큼 저하되고, 홈이나 구멍으로 인하여 차량이 주행할 때 소음유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루프레일은 루프패널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루프레일에 고정되는 크로스바는 루프패널의 앞쪽 및 뒤쪽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띄우고 설치되므로 루프박스의 앞쪽 및 뒤쪽은 크로스바에 고정되지 못하고 루프패널에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루프박스의 앞쪽과 뒤쪽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차량이 주행할 때 공간으로 공기로 유입되면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차량 주행 중 공기저항이 커져 안전운행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공기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의 연료 소비도 증가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3330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및 루프레일에 손상 없이 크로스바를 설치할 수 있고, 크로스바 설치를 위한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외관이 수려하며, 크로스바 및 이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지지부를 매개로 루프박스의 앞쪽 및 뒤쪽 바닥과 루프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루프박스의 하부 및 측면 공간을 폐쇄시킨 상태로 고정 지지시켜 차량 주행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바 위에 장착되는 하판의 상부 및 하부에 효율적인 공기 유동 구조를 두고, 크로스바와의 결합이 편리한 단차부를 가지는 하판을 포함하는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는 한 쌍의 루프레일; 상기 루프레일에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얹혀지는 루프박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대면 지지 가능한 고정 브래킷; 및 크로스바가 이루는 평면 위에 장착되며, 루프박스의 상면과 함께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하판은 루프박스와 대향하며 물품이 적재되는 상부면과, 차량의 루프패널과 대향하며 크로스바와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부면의 주위를 둘러서는 소정 높이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차량의 후방 쪽의 테두리의 상부에 상부 슬롯을 복수 형성하여 하판과 루프박스의 결합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상부 슬롯이 있는 차량의 후방으로 흘러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 루프 렉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은, 차량 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채널, 전방채널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중앙채널, 전방채널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측면채널, 및 차량 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양단이 측면채널과 연결된 후방채널을 포함한다.
하부면의 좌우 측면에는 개방된 측면 배출구가 형성되고, 측면 배출구 크로스바를 수용하는 크로스바 수용부와 바로 연통하도록 동일한 라인에 설치된다.
차량의 후방 쪽의 테두리에서 차량의 루프 패널과 대향하는 쪽에 후방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을 통하여 흐른 공기가 후방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볼트에 나사 조임되어 하판을 가압하여 크로스바의 외면과 맞닿아 결합하는 노브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 핸들이 장착되는 하판 부분에 소정 높이의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크로스바를 수용하도록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크로스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에 연결된 각각의 보강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지지부는, 차량 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채널, 전방채널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중앙채널, 전방채널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측면채널, 및 차량 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양단이 측면채널과 연결된 후방채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채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에 연결된 보강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는 루프레일에 구멍을 뚫지 않고 고정 브래킷을 이용하여 크로스바를 장착하여 루프레일의 구조적인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크로스바가 루프패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단부에는 고정판이 고정되어 크로스바를 루프패널에 접촉하거나 근접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루프박스를 루프패널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바가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루프패널의 전방 및 후방 쪽에 설치되는 크로스바에는 루프패널의 전방 및 후방 쪽으로 연장되는 보강지지부가 형성되어 루프박스의 앞쪽이나 뒤쪽을 보강지지부에 지지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루프박스를 튼튼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루프박스의 앞쪽과 뒤쪽 부분이 보강지지부에 밀착되어 루프패널과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폐쇄된 구조를 형성하여 차량의 주행 시 소음의 유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박스의 하부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서 고정 브래킷과 고정판의 결합이 가려져 외부에 고정부재 등이 노출되지 않아서 외관이 수려하며, 루프박스의 하부가 고정 브래킷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의 주행 중 루프박스의 하부 및 하부 측면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음 유발요인을 없앨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판의 상부에서는 루프박스와의 경계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고, 하부에서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의 사이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택하고 있으므로, 공기 유동 구조의 조합에 의한 풍절음 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판의 단차부를 이용하여 노브핸들과 크로스바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서 루프박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과 크로스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프론트 크로스바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센터 크로스바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리어 크로스바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가 사이드레일에 조립된 상태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 루프박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판을 차량 루프의 위쪽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판의 하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반대의 높이 방향에서 도시한 후방 확대도로, 차량 루프에 최대로 가깝게 형성된 후방 배출구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판에서 노브핸들이 장착된 것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노브핸들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크로스바와 보강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을 본 발명의 하판의 하부면에 장착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 루프박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과 크로스바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프론트 크로스바, 센터 크로스바, 리어 크로스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가 사이드레일에 조립된 상태 및 루프 랙 어셈블리에 루프박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는 차량 루프패널(2)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레일(4)과, 상기 루프레일(4)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루프박스(100)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10)(12)(14)와, 상기 크로스바(10)(12)(14)를 루프레일(4)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8)을 포함한다.
상기 루프패널(2)은 소정의 곡률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고정되는 루프레일(4)도 루프패널(2)의 측면 길이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로 이루어져 루프패널(2)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루프레일(4)은 차량 제조사에서 차량을 제작할 때 일체로 장착된 상태로 출고된다.
상기 크로스바(10)(12)(14)는 차량의 루프레일(4)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앞부분과 중간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독립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제공된 크로스바는 루프레일(4)의 선단부쪽에 고정되는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루프레일(4)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센터 크로스바(12)와, 루프레일(4) 후단부쪽에 고정되는 리어 크로스바(14)를 포함한다.
이렇게 크로스바(10)(12)(14)를 루프레일(4)의 선단부, 중간부, 후단부에 고정 설치하면 루프박스(100)의 앞부분과 중간부분 및 뒷부분을 각각 고정시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루프박스(100)의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루프레일의 전후 방향으로 2개의 크로스바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루프박스의 앞부분과 뒷부분만 고정시켰지만, 본 발명에서는 센터 크로스바가 더욱 제공되어 루프박스의 중간 부분을 더 고정시켜 루프박스를 더욱 튼튼하게 장착할 수 있다.
크로스바(10)(12)(14)는 루프패널(2) 상부면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크로스바(10)(12)(14)는 차량의 루프패널(2)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크로스바(10)(12)(14)를 루프패널(2)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으면 차량이 주행할 때 루프패널(2)과 크로스바(10)(12)(1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공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 소음 유발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10)(12)(14)는 루프레일(4)에 고정하기 위하여 양쪽 끝단부에는 고정 브래킷(8)의 일측면과 면접촉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16)이 연결된다.
이 고정판(16)은 크로스바(10)(12)(14)의 단면 크기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홀(18)이 형성되어 이 홀(18)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30)를 끼워 크로스바(10)(12)(14)들을 고정 브래킷(8)에 고정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고정판(16)의 상단부는 고정 브래킷(8)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의 걸림턱(20)으로 이루어진다. 이 걸림턱(20)은 크로스바(10)(12)(14)를 고정 브래킷(8)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판(16)의 하단부쪽으로 크로스바(10)(12)(14)가 고정되어 크로스바(10)(12)(14)는 바닥면이 루프패널(2)의 상부 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10)(12)(14)에 루프박스(100)가 장착되는데, 이때 루프박스(100)의 전방 쪽과 후방 쪽은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리어 크로스바(14)에서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지지되지 못한 상태로 위치한다.
이에 따라 루프박스(100)의 전방 쪽과 후방 쪽 바닥은 루프패널(2)에서 간격을 유지하며 들떠있는 상태이므로 차량이 주행할 때 들떠있는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고, 차량의 출발 및 제동 시 루프박스의 뒤쪽과 앞쪽이 상하 방향으로 약간씩 유동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리어 크로스바(14)에는 보강지지부(22)(24)가 각각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프론트 크로스바(10)에 형성된 보강지지부(22)는 프론트 크로스바(10)에서 간격을 유지하며 루프패널(2)의 전방 쪽으로 연장되어 루프박스(100)의 앞쪽 사이드부분을 지지하는 2개의 사이드지지부재(22a)와, 이들 사이드지지부재(22a)와 연결되면서 루프박스(100)의 앞쪽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센터지지부재(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지지부재(22b)에는 보충부재(22c)가 더 제공되어 지지력이 더욱 보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보충부재(22c)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센터지지부재(22b)와 센터 크로스바(10) 사이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센터지지부재(22b)에서 센터 크로스바(10) 쪽으로 일정길이가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충부재(22c)는 본 실시 예에서는 센터지지부재(22b)와 센터 크로스바(10) 중간부분에 연결되는 형태로 하나만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2개 이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 크로스바(12)는 도 4에서와 같이 루프패널(2)의 중앙부 가로방향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로 형성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리어 크로스바(14)에 형성된 보강지지부(24)는 리어 크로스바(14)에서 간격을 유지하며 루프패널(2)의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루프박스(100)의 뒤쪽 사이드부분을 지지하는 2개의 사이드지지부재(24a)와, 이들 사이드지지부재(24a)와 연결되면서 루프박스(100)의 뒤쪽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센터지지부재(24b)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리어 크로스바(14)의 전방 및 후방 쪽에 보강지지부(22)(24)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루프박스(100)의 앞쪽 및 뒤쪽을 보강지지부(22)(24)에 더 지지시켜 루프박스(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보강지지부(22)(24)로 인하여 루프박스(100)의 앞쪽 및 뒤쪽 바닥면과 루프패널(2)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므로 차량의 주행 중 이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소음 유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의 상부 면에는 루프박스(100)를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정부(26)가 연결된다.
그리고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의 하부 면에는 이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후, 루프패널(2)이 긁히거나 마찰로 인한 루프패널(2)의 손상 및 접촉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패드(28)가 제공된다. 이 보호패드(28)는 크로스바(10)(12)(14)를 차량에 설치할 때 루프패널(2)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 차량의 주행 중 루프패널(2)과 접촉하면서 마찰로 인한 루프패널(2)의 손상방지 및 접촉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패드(28)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보호패드(28)는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의 하부면 전체에 제공되거나, 또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소정의 길이도 절단하여 여러 군데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10)(12)(14)는 고정 브래킷(8)을 통하여 루프레일(4)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 브래킷(8)은 그 위에 얹혀지는 상기 루프박스의 하부 가장자리(110a)를 대면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8)은 상기 루프레일(4)의 외측에 걸려 지지되는 제1브래킷(8a)과, 루프레일(4)의 내측에 걸려 지지되면서 상기 제1브래킷(8a)과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32)로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브래킷(8b)을 포함한다.
상기 제1,2브래킷(8a)(8b)의 내측 면은 루프레일(4)의 둘레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루프레일(4) 외측을 감싼 상태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루프레일(4)을 손상시킴 없이 상기 크로스바(10)(12)(14)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브래킷(8b)의 일측면은 크로스바(10)(12)(14)의 끝단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16)이 면접촉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제1,2브래킷(8a)(8b)을 루프레일(4)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1브래킷(8a)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32)가 나사 체결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래킷(8b)에는 고정부재(32)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1,2브래킷(8a)(8b)은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루프레일(4)의 폭에 따라서 간격 조절하여 서로 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은 서로 대응되는 홈부(34a)와 돌기부(34b)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34a)와 돌기부(34b)로 인하여 제1,2브래킷(8a)(8b)의 조립된 상태를 더욱 튼튼하게 유지 할 수 있고, 루프레일(4)의 폭에 따라서 제1,2브래킷(8a)(8b)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를 차량에 장착하려면, 먼저 제1,2브래킷(8a)(8b)을 분리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루프레일(4) 외측면에 위치시켜 홈부(34a)와 돌기부(34b)를 끼우면서 루프레일(4) 표면에 면접시킨 상태로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32)를 이용하여 제1,2브래킷(8a)(8b)을 체결한다.
그러면 제1,2브래킷(8a)(8b)의 내측면이 루프레일(4)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고정되고, 이와 함께 제1,2브래킷(8a)(8b)의 마주하는 면의 홈부(34a)와 돌기부(34b)도 서로 끼워져 지지된다.
이렇게 한쪽의 루프레일(4)에 제1,2브래킷(8a)(8b)이 장착되면, 다른 쪽 루프레일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또 다른 고정 브래킷(8)을 장착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크로스바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루프레일(4)에 고정 브래킷(8)들을 고정 설치하면 되는데, 이때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에 형성된 고정부(26)가 루프박스(100)에 형성된 고정구멍(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렇게 양쪽 루프레일(4)에 고정 브래킷(8)이 각각 고정 설치되면, 크로스바(10)(12)(14)의 양단부에 연결된 각 고정판(16)의 걸림턱(20)을 제2브래킷(8b)의 상단부에 걸어 지지시키면서 고정판(16)을 제2브래킷(8b)의 일측면에 밀착시킨다.
그 다음 양쪽 고정판(16)에 형성된 홀(18)에 고정부재(30)를 끼우고 양쪽 제2브래킷(8b)에 형성된 나사홈에 각각 체결하면 하나의 크로스바가 설치되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두 개의 크로스바를 각각 설치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루프 랙 어셈블리는 고정 브래킷(8)을 루프레일(4)에 홈을 뚫거나 구멍을 뚫지 않고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루프레일이 손상되지 않아 루프레일의 구조적인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 랙 어셈블리가 루프레일(4)에 고정되면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에 형성된 고정부(26)에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끼우면서 루프박스(10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양쪽 고정판(16)에 형성된 홀(18)에 고정부재(30)를 끼우고 양쪽 제2브래킷(8b)에 형성된 나사홈에 각각 체결한 것이 상기 루프박스(100)의 하부 가장자리(110a)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형성된 절곡부(110b)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보기에 더 견고해 보이며, 수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은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가 안착되는 부분은 홈 형태로 이루어져 루프박스(100)를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 상부에 안착시키면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이 루프패널(2)에 접촉되어 루프패널(2)과 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루프박스(100)의 덮개(120)를 열고서 루프박스(100)의 하판(110)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6)에 노브핸들(130)을 나사 체결하면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이 고정되면서 루프박스(100)는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루프박스(100)는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리어 크로스바(14) 및 센터 크로스바(12)에 루프박스(100)의 앞부분과 뒷부분 및 중간부분이 각각 고정되어 루프박스(100)의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프론트 크로스바(10)와 리어 크로스바(14)의 전방 및 후방 쪽에 제공된 보강지지부(22)(24)에 루프박스(100)의 앞쪽 및 뒤쪽이 더 지지됨으로 루프박스(100)가 장착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렇게 설치된 루프박스(100)는 앞쪽 및 뒤쪽 바닥면이 루프패널(2)에서 들떠있지 않고 보강지지부(22)(24)로 막혀있는 상태이고, 또한 루프박스(100)의 하판(110) 측면이 고정 브래킷(8)과 인접하고,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이 고정 브래킷(8)의 상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주행 중 루프박스(100)의 하부 및 하부 측면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소음 유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바(10)(12)(14)와 보강지지부(22)(24)의 하부면에 제공된 보호패드(28)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루프패널(2)이 긁히거나 마찰로 인한 루프패널(2)의 손상 및 접촉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판(110)의 구조>
본 발명에서 루프박스(100)의 하판(110)은 루프박스(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하판(110)은 크로스바(10)(12)(14)가 이루는 평면 위에 장착되며, 루프박스(100)가 닫힐 때 루프박스(100)의 상면과 함께 물품이 적재되는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적재물은 바로 크로스바(10)(12)(14)와 접촉할 수 없으며 하판(110)위에 장착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판(110)을 차량 루프의 위쪽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x축은 차량의 전방을, y축은 차량의 위쪽, 즉 루프박스(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하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단일 패널로 일체 제작되며, 단일 패널 중 물품이 적재되는 상면이 상부면(152)이고, 반대쪽 즉 크로스바(10)(12)(14)를 향하는 쪽이 하부면(140; 도 9 참조)이다.
하판(110)의 상부면(152)은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형의 형상을 이룬다. 상부면(152)의 주위를 둘러서는 소정 높이의 테두리(1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방의 테두리(150)의 좌우 측면에 대략 반원 형상의 상부슬롯(134)을 복수 형성하고 있다. 상부슬롯(134)의 형상, 설치 숫자 및 형성 위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판(110)은 루프박스(100)와 결합하지만, 기밀하게 밀봉 결합되는 것은 아니므로, 특히 차량의 주행 시 두 부재 결합부 사이의 빈틈이나 간극을 통하여 고속의 공기가 유입되어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부슬롯(134)을 형성하여 공기의 출구를 제공하므로, 결국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는 셈이 된다. 따라서 고속 유입된 공기가 일관되게 전후 방향을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의 고속 주행에 불구하고 공기의 마찰음 또는 파열음 및 풍절음(風折音)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상부슬롯(134)은 테두리(150)의 윗부분에 형성되어 상부면(152)에 재치될 물품과 간섭되지 않는 공기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되는 공기의 대부분은 테두리(150)의 상면과 루프박스(100) 패널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판(110)의 하부면(140)에도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9는 하판(110)의 하부면(140)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면의 위쪽이 차량의 루프패널(2)이 위치하는 방향이다. 하부면(140)의 공기 유동 경로는 당연하지만 차량의 루프 패널(2)과 본 발명의 루프 렉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제공된다.
하부면(14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크로스바(10)(12)(14)를 수용하도록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크로스바 수용부(10s)(12s)(14s)가 형성된다. 크로스바 수용부(10s)(12s)(14s)는 크로스바(10)(12)(14)의 형상과 숫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면(140)은 다음의 경로로 이루어지는 공기 유동 채널을 제공한다; 즉, 차량 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채널(160), 전방채널(160)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중앙채널(162), 전방채널(166)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측면채널(164), 및 차량 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양단이 측면채널(164)과 연결된 후방채널(166)이다.
하부면(140)에는 대략 사각형의 볼록한 지지부(142)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지지부(142)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오목한 평면(142a)이 있으므로, 지지부(142)와 평면(142a)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 공간을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채널을 제공하도록 활용하고 배열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부면(140)의 좌우 측면에는 개방된 측면 배출구(170)가 형성된다. 측면 배출구(170)는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 수용부(10s)(12s)(14s)와 바로 연통하도록 동일한 라인에 설치된다. 따라서, 측면베출구(170)는 특히 크로스바(10)(12)(14)와 차량의 루프패널(2)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데 적합하다. 측면 배출구(170)는 크로스바(10)(12)(14)가 장착되는 좌우 측면에 한 쌍 씩, 복수 개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하부면(140)에서 보아 테두리(150)의 중앙 상부에는 후방 배출구(172)가 형성된다. 후방 배출구(172)는 되도록 테두리(150)의 상부(실제로는 차량의 루프패널(2)에 가까운 쪽임)에 형성되어 차량의 루프패널(2)과 루프 랙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9를 반대의 높이 방향에서 도시한 후방 확대도로, 차량 루프에 최대로 가깝게 형성된 후방 배출구(172)의 예를 잘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하부면(140)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고속 주행 중, 차량의 루프 패널(2)과 루프 렉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고속의 공기가 유입되어도, 전방채널(160), 중앙채널(162), 측면채널(164), 후방채널(166)이 형성하는 채널을 통과하여 일정 방향으로 흘러 측면 배출구(170)와 후방 배출구(172)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면 차량의 고속 주행에 불구하고 공기의 마찰음 과 풍절음(風折音)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8 내지 도 10을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하판(110)은, 상부에서는 주로 루프박스(100)와의 경계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고, 하부에서는 주로 차량의 루프 패널(2)과의 사이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택하고 있으므로, 공기 유동 구조의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판(110)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크로스바와 보강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을 하판(110)에 장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크로스바는 전방의 크로스바(10a)와 후방의 크로스바(10b)로 이루어지며, 전방의 크로스바(10a)에는 보강지지부(22)가, 후방의 크로스바(10b)에는 보강지지부(24)가 연결된다. 측면 배출구(170)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의 크로스바 수용홈(12s)에는 크로스바가 장착되지 않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보강지지부(22, 24)는 도시한 것 외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크로스바(10a, 10b)와 보강지지부(22, 24)는 앞서의 분리형과 달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트(8)도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프레임은 제작이 간편하며, 하판(110)의 형상과 차량루프의 스펙이 결정된 이후에는 장착과 조립 공정도 더 손쉬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바(10a, 10b)와 보강지지부(22, 24)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프레임은 하판의 하부면(140)에 형성된 크로스바 수용부 및 공기 유동 채널에 장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의 하면이 전술한 “루프 렉 어셈블리”의 하면을 이루는 셈이 된다. 하판의 하부면(140) 구조는 프레임을 수용함과 동시에 공기 유동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노브핸들(130)의 결합 구조>
다음, 본 발명에서 하판(110)을 크로스바(10)(12)(14)에 결합하는 노브핸들(130)과 주변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하판(110)에서 노브핸들(130)이 장착된 것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노브핸들(130)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노브핸들(130)은 볼트(26)에 나사 조임되어 하판(110)을 가압하여 크로스바(10)(12)(14)의 외면과 맞닿아 결합하는 다이얼식 구조이다.
본 발명은, 노브핸들(130)이 장착되는 하판(110) 부위에 평면에서 밑으로 약간 들어간 단차부(200)를 형성하고 있다. 단차부(200)의 높이는 대략 4mm ~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 단차부(200)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면을 유지한 하판(110)의 가상선(점선)과 비교하면, 단차부(200)의 높이만큼 노브핸들(130)을 더 돌려 조일 수 있으므로 크로스바(10)(12)(14)와의 체결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 차량마다 루프 패널(2)의 형상과 곡률이 상이하여 크로스바(10)(12)(14)의 장착 높이가 가변적인 경우에도 단차부(200)의 여유를 이용하여 높이 변수를 상쇄시킴으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노브핸들(130)의 고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판(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차부(200)를 이용하여 노브핸들(130)을 강하게 조이면 하판(110)의 탄성변형으로 노브핸들(130)이 더욱 크로스바(10)(12)(14)와 밀접하여 체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차량의 루프패널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는 한 쌍의 루프레일;
    상기 루프레일에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루프레일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얹혀지는 루프박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대면 지지 가능한 고정 브래킷; 및
    크로스바가 이루는 평면 위에 장착되며, 루프박스의 상면과 함께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루프박스와 대향하며 물품이 적재되는 상부면과, 차량의 루프패널과 대향하며 크로스바와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부면의 주위를 둘러서는 소정 높이의 테두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 루프 렉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은, 차량 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채널, 전방채널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중앙채널, 전방채널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측면채널, 및 차량 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양단이 측면채널과 연결된 후방채널을 포함하며,
    하부면의 좌우 측면에는 개방된 측면 배출구가 형성되고, 측면 배출구는 크로스바를 수용하는 크로스바 수용부와 바로 연통하도록 동일한 라인에 설치되고,
    차량의 후방 쪽의 테두리에서 차량의 루프 패널과 대향하는 쪽에 후방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을 통하여 흐른 공기가 후방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루프 랙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볼트에 나사 조임되어 하판을 가압하여 크로스바의 외면과 맞닿아 결합하는 노브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 핸들이 장착되는 하판 부분에 소정 높이의 단차부를 형성한,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크로스바를 수용하도록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크로스바 수용부가 형성된, 루프 랙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와, 전방 및 후방의 크로스바에 연결된 각각의 보강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제작된,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는, 차량 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채널, 전방채널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중앙채널, 전방채널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측면채널, 및 차량 후방쪽에서 좌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양단이 측면채널과 연결된 후방채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채널에 장착되는, 루프 랙 어셈블리.
KR1020220057455A 2022-05-10 2022-05-10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KR10266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55A KR102666527B1 (ko) 2022-05-10 2022-05-10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55A KR102666527B1 (ko) 2022-05-10 2022-05-10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804A KR20230157804A (ko) 2023-11-17
KR102666527B1 true KR102666527B1 (ko) 2024-05-16

Family

ID=8896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55A KR102666527B1 (ko) 2022-05-10 2022-05-10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48B1 (ko) * 2015-08-12 2016-09-2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CN208789604U (zh) * 2018-07-20 2019-04-26 厦门高门科曼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车顶箱体以及车顶箱装置
US20210170954A1 (en) * 2019-12-04 2021-06-10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341Y1 (ko) * 1999-05-31 2002-04-15 민길홍 자동차용 루프박스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48B1 (ko) * 2015-08-12 2016-09-2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CN208789604U (zh) * 2018-07-20 2019-04-26 厦门高门科曼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车顶箱体以及车顶箱装置
US20210170954A1 (en) * 2019-12-04 2021-06-10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804A (ko)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348B1 (ko)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US6095594A (en) Exterior body side cladding attachment for a motor vehicle and related method
US732263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CA1108570A (en) Vehicle article carrier
KR102666527B1 (ko)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US6786520B2 (en) Motor vehicle bumper and motor vehicle
JP2001191794A (ja) 自動車のドア用トリム部材
JP3692280B2 (ja) 車両ルーフ溝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
KR102253080B1 (ko) 차량 루프박스 설치 구조
KR102339963B1 (ko) 차량용 루프박스의 밀착 구조
KR100373128B1 (ko)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JP3238606B2 (ja)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CN218154382U (zh) 装线板结构及具有其的吸油烟机
KR100197266B1 (ko) 자동차 범퍼 조립구조
JPH11321466A (ja) 自動車用サイドポケットの組立構造
KR0148467B1 (ko) 철도차량용 선반
KR10127390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20230001379U (ko) 차량의 루프박스 장착구조
KR100201115B1 (ko) 버스의 바디 사이드 구조
KR200152699Y1 (ko) 화물차용 적재함 보강대
KR101471363B1 (ko) 캐리어의 후드래치 장착구조
KR0119263Y1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와 잭 고정구조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KR0114619Y1 (ko) 자동차의 고정유리 설치구조
KR200312213Y1 (ko) 사무실용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