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488B1 -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2488B1 KR102652488B1 KR1020210113908A KR20210113908A KR102652488B1 KR 102652488 B1 KR102652488 B1 KR 102652488B1 KR 1020210113908 A KR1020210113908 A KR 1020210113908A KR 20210113908 A KR20210113908 A KR 20210113908A KR 102652488 B1 KR102652488 B1 KR 102652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tirrup
- bent
- plates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96 welding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 및 기둥 시공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정 모양을 가지는 3가지 데크판체 즉,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일체형 보 및 기둥 시공 모두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보나 기둥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사이즈로 시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고정수단에 의해서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조립이 가능토록 하여 저탄소 배출 데크 공법으로 개발하여 탄소 발생을 억제함으로 친환경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 시공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위부재들 간의 결합을 통하여 보 시공용 거푸집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천장에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천장 아래쪽으로 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한다.
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공법이 많이 발전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보 시공에 따른 거푸집은 현장에 납품하기 위한 기본형태의 거푸집이 있으며, 기본형태의 거푸집이 현장에 설치되면 추가적인 철근의 배근이 이루어짐에 따라 거푸집이 완성되고 그 후 궁극적으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기본형태의 거푸집(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10)의 양측에 측판(120)이 직립하여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U자형의 스트럽(130)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다.
여기서 U자형의 스트럽(130)을 결합하기 위해서 용접을 해야 하므로 별도의 전기공급과 용접기가 필수적으로 요하게 되며, 용접작업에 있어 U자형의 스트럽(130) 간격과 수직/수평을 맞추기 위한 마킹을 별도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용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고 주위에 다른 작업자가 없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더욱이 용접부분이 제대로 용접되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용접이 약한 부위가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이탈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 거푸집의 아래와 옆면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고 심하면 콘크리트가 쏟아지는 등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
더욱이 용접부분은 열변형에 의해 철판(거푸집)이 뒤틀리게 되어 직진도가 떨어지고 작업성도 현저하게 낮아지며, 용접에 의해 구멍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있고, 용접작업으로 인한 탄소 발생과 용접흄(fume)에 포함된 미세먼지, 유해가스, 유해광선, 소음 등으로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그리고 현행제품의 보 데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의 크기에 맞추어 하나의 하부판(110)을 구성하고, 그 하부판(1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측판(12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규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포밍기계를 갖추거나 두 개 이상의 바닥판 또는 측판을 절단하고 이어 붙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형태의 거푸집을 용접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거푸집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고, 무용접으로 탄소 발생과 용접흄(fume)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무엇보다 바닥판과 측판을 점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거푸집을 용이하게 구축하여 보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보 시공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정 모양을 가지는 3가지 데크판체 즉,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거푸집 일체형 보 및 기둥 모두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보나 기둥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사이즈로 시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고정수단에 의해서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조립이 가능토록 하여 탄소 발생을 억제함으로 친환경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와 기둥 시공시 선택적으로 거푸집을 구축할 수 있고 별도의 용접 없이 조립에 의해 견고하게 완성할 수 있으며, 보나 기둥의 크기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단위연장판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그에 맞는 보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 시공용 거푸집 구축시 측판의 단계별 적층 결합을 가능케 함으로써 거푸집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2)의 구성도,
도 3은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도 4a 내지 도 4b)는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연결매체관(20)과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진도면,
도 5(도 5a 내지 도 5b)는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도 6a 내지 도 6b)은 측판(S.P)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연접고리(16)(26)(36) 간에 대응하여 측압결속구(70)를 통하여 가로연결대(60)를 결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 내에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이용한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보 거푸집 내에 작용하는 측압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사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2)의 구성도,
도 3은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도 4a 내지 도 4b)는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연결매체관(20)과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진도면,
도 5(도 5a 내지 도 5b)는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도 6a 내지 도 6b)은 측판(S.P)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연접고리(16)(26)(36) 간에 대응하여 측압결속구(70)를 통하여 가로연결대(60)를 결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 내에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이용한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보 거푸집 내에 작용하는 측압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사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정 모양을 가지는 3가지 형상의 데크판체(단위부재) 즉,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의 단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접작업 없이 단위부재 간의 점진적인 결합에 의해 보 시공이 보다 원활하도록 하며 원하는 보의 크기에 맞춰 사이즈의 변경 시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세 가지의 단위부재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너판(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ㄱ자로 절곡된 직교형상의 벽체(12)의 양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직교 연장되는 비드(14)가 형성되며 양측 비드(14) 양단부에는 비드(14)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연접고리(16)가 연장형성되어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ㄱ자 형상의 벽체(12)의 모서리 부분에는 라운드 또는 면취부(12a)를 형성할 수도 있다.
둘째, 연결매체판(20)은 연결매체판(2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벽체(2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직교로 연장되는 비드(24)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각 비드(24)의 단부에는 서로 간의 내측 방향으로 비드(24)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연접고리(26)가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다.
셋째, 단위연장판(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벽체(3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직교로 연장되는 비드(34)가 형성되며 양측 각 비드(34)에는 비드(34)와 예각을 이루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연접고리(36)가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단위부재에는 엠보싱(M)을 형성하면 강성이 부여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 시공용 거푸집(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두 개의 코너판(10)이 보의 너비(w)에 준하여 이격되게 배열되고, 이격된 코너판(10) 간에는 하나의 연결매체판(20)과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을 서로 연결되게 결합한다. 이때 연결매체판(20)은 좌우 이격된 코너판(10) 중 어느 하나와 연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서로 연접하게 되는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부분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예각을 이루는 연접고리(16)(26)(36)의 경사면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경사면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찾아 들어가면서 연접고리(16)(26)(36)를 비롯하여 절곡부(18)(28)(38) 및 직립비드(14)(24)(34)가 서로 자연스러운 밀착결합이 되어 가결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서 보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요소인 하부판(D.P)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D.P)을 구성하는 좌우 양측 코너판(10)에는 각각 보의 높이(h)에 준하여 하나의 연결매체판(20)과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을 차례로 적층되게 결합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서로 연접하게 되는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에는 각각 예각으로 형성되는 연접고리(16)(26)(36)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찾아 들어가면서 연접고리(16)(26)(36)를 비롯하여 절곡부(18)(28)(38) 및 직립비드(14)(24)(34)가 서로 자연스러운 밀착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로써 측판(S.P)이 구성된다. 여기서 좌우의 각 코너판(10) 상부에는 단위연장판(30)이 먼저 적층이 이루어지고 마지막의 상단부에 연결매체판(20)이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판(D.P)의 양측에 측판(S.P)의 결합되면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타설 공간부(8)가 마련되어 보 시공이 가능한 거푸집이 형성된다.
상기 타설 공간부(8) 내에는 U스트럽(40)이 내재되는데 U스트럽(40)의 본체봉이 연접고리(16)(26)(36)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고정클립(50)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하여 본체봉이 연접고리(16)(26)(36)에 접촉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에도 U스트럽(40)과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보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거푸집(2)이 구축된다.
참고로, 도 2의 우측 하단에 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만으로 기본형태의 거푸집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를 기본으로 필요한 보의 크기에 따라 바닥판(D.P)과 측판(S.P)에 단위연장판(30)을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필요한 보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 내에 U스트럽(40)을 직립 고정함에 있어서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4(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고정수단으로서 철선을 여러 번 절곡하여 구성되는 고정클립(50)으로 U스트럽(40)의 가로봉체(40a) 및 세로봉체(40b)가 절곡부(18)(28)(88)에 접촉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및 U스트럽(40)이 고정클립(50)과 연합하여 전체적으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고정클립(50)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별히 개발된 것으로서, 양단부의 결착고리부(52) 내측으로 연결부(54)를 매개로 바인드부(5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결착고리부(52)의 결착단부(52a)는 결합완료 상태에서 절곡부(18)(28)(38) 내측에 근접하는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바인드부(56)는 상기 절곡부(18)(28)(38)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결합라인(U-L)에 근접하는 위치가 되게 한다.
이는 고정클립(5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50)이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및 U스트럽(40)에 대하여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게 하면서도 견고한 상태도 유지되게 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 1>과 같이 서로 인접하는 코너판(10)과 연결매체판(20) 서로 간의 결합부분은 고정클립(50)의 결합에 의해 당겨져 예각(경사면)을 따라 좌→우(도면상으로 볼 때)로 밀착이 되며, 코너판(10)과 연결매체판(20)과 U스트럽(40) 간에는 상하로 서로 당겨지면서 밀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a부분인 연접고리(16)(26) 간에는 면접촉이 이루어지고, b부분인 절곡부(18)(28)들은 서로 긴밀하고 강력한 선접촉을 이룸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누수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c부분인 직립비드(14)(24) 간에는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즉 코너판(10)과 연결매체판(20)의 형상과 더불어 고정클립(50)에 의한 결합에 따라 면접촉 2군데(a부분, c부분)와 선접촉 1군데(b부분) 총 3부분에 대한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코너판(10)과 연결매체판(20) 서로 간의 결합부분은 고정클립(50)과 U스트럽(40) 간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밀착결합이 된다. 아울러 코너판(10)과 연결매체판(20) 서로 간의 결합부분이 아닌 절곡부(18)(2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고정클립(50)에 의하여 U스트럽(40) 간의 유기적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하부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에 결합되는 부분의 형상을 예각이 아닌 “”와 같은 형상으로도 할 수는 있으나, 가결합시 자연스런 밀착접촉이나 수밀성 등에 있어서 약하며, 고정클립(50)과 U스트럽(40) 간의 유기적인 결합에 있어서도 약한 단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부터 상기 하부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과 U스트럽(40) 및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보 시공용 거푸집(2)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어려운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5(도 5a 내지 도 5b)는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우선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 두 개의 코너판(10)을 보의 너비(w)에 준하여 이격되게 배열하고, 그 이격된 코너판(10) 간에는 하나의 연결매체판(20)과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을 서로 연결되게 결합하여 하부판(D.P)이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하부판(D.P)이 구성된 상태에서 하부판(D.P)의 상부에 U스트럽(40)의 가로봉체(40a)가 절곡부(18)(28)(38)에 접촉된 상태로 하여 고정클립(5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U스트럽(40)이 직립된 상태로 전후로 배열되게 되도록 한다. 이때 U스트럽(40)을 전후로 배열시 그 순서는 전방에서 후방 차례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전방과 후방 부분에 먼저 결합하고 그 다음 가운데를 결합후 나머지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U스트럽(40)의 결합 순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과 같이 U스트럽(40)의 결합 후에는 ②→③→④와 같이 좌우 양측 코너판(10)에는 보의 높이(h)에 준하여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과 하나의 연결매체판(20)을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한다. 이로써 측판(S.P)이 구성되는바, 하부판(D.P)과 측판(S.P)의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가 마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부재(10)(20)(30)를 이용하여 보 시공용 거푸집(2) 구축시 측판(S.P)은 상부로 단계별로 적층결합이 용이한바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하부판(D.P)의 좌우 길이는 보의 너비(w)에 준하여 해당하는 것으로서 하부판(D.P)의 좌우 단부에는 측판(S.P) 먼저 구축이 되어버리면, 그에 따라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는 작업자가 들어가서 다른 작업을 하기에는 너무나 협소한 공간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그 협소한 곳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U스트럽(40)의 세로봉체(40b)를 측판(S.P)에 결합하는 작업을 비롯하여 어떠한 작업을 하기에는 너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판(D.P)을 구성하는 좌우 양측 코너판(10)에는 보의 높이(h)에 준하여 측판(S.P) 구축시 단위연장판(30)과 연결매체판(20)을 단계적으로 상부로 적층해 나가면서 즉각적으로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결합해 나가게 된다. 그러면 측판(S.P)에 대한 적층결합이 완료되면 좁은 공간인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 내부로 들어가서 U스트럽(40)의 고정과 같은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6(도 6a 내지 도 6b)은 측판(S.P)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연접고리(16)(26)(36) 간에 대응하여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가로연결대(60)를 결합한 구성을 도시한 면이다.
U스트럽(40)은 양쪽 세로봉체(40b)를 상부로 절곡시 그 절곡 변형 양에 따라 공간부(8) 내에 U스트럽(40)를 위치시켰을 때 측판(S.P)의 내측면 간의 간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연결대(60)는 좌우 측판(S.P) 간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서로 벌어지지도 오므라들지도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압력에도 잘 견디게 하며, 측판(S.P)의 상단부가 벌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측판(S.P)의 하단부와 상단부 간의 너비도 동일하게 유지시켜준다.
한편 기존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연결대(140)를 결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가로연결대(140)의 양단부를 용접이나 나사(피스) 또는 철선 등으로 결합하였는데 작업성(생산성)이 낮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로지지대(6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측압결속구(70)를 통하여 작업을 높이게 된다. 측압결속구(70)는 본체부(71) 하부에 상기 연접고리(16)(26)(36)의 예각에 준하여 내측에서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는 슬릿 끼움홈(72)을 형성함으로써, 슬릿 끼움홈(72)이 연접고리(16)(26)(36)에 맞춤끼움 됨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슬릿 끼움홈(72)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74)을 형성하여 좌우 측판(S.P)에 결합되는 측압결속구(70) 간에는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가 끼움되게 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A”부분과 같이 관통공(74)의 하단부와 상기 슬릿 끼움홈(72)의 하단부 간의 근접부분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 그 이유는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가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끼워지면 양단 절곡부(62)가 절곡부(18)(38)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 측압결속구(70)가 연접고리(16)(36)를 “↗” 또는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제한토록 하여 측압결속구(70)와 서로 연합하여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게 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A”부분과 같이 관통공(74)의 하단부와 상기 슬릿 끼움홈(72)의 하단부 간의 근접부분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 그 이유는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가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끼워지면 양단 절곡부(62)가 절곡부(18)(38)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 측압결속구(70)가 연접고리(16)(36)를 “↗” 또는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제한토록 하여 측압결속구(70)와 서로 연합하여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게 한다.
도 6b를 참고하면,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는 상하로 길게 형성하면 하부에 위치하는 절곡부(18)(28)(38)에 접촉된 상태로 하여 고정클립(50)이나 또 다른 측압결속구(70)을 통하여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보 시공용 거푸집(2)의 견고함을 더해 준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D.P)의 양단 상부에 단위연장판(30)과 연결매체판(20)를 단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에 맞춰 측압결속구(70)를 매개로 가로연결대(60)를 결합하는 작업을 동시에 같이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압결속구(70)를 매개로 하여 가로연결대(60)가 결합되면 좌우 측판(S.P) 간의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측압(벌어짐)과 안쪽으로 작용하는 측압(오므라듦) 모두 지지가 가능하며, 측압결속구(70)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가로연결대(60)가 결합되면 서로 결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도 6a의 확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압결속구(70)의 슬릿 끼움홈(72)은 내측에서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접고리에 끼워질 때는 “↙” 또는 “↘”방향으로 끼워지고, 반대로 연접고리(16)(36)에 끼워진 상태에서 빼내고자 할 때는 “↗” 또는 “↖”방향으로 빼내야 한다. 그리고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60)는 끼우고 빼는 방향이 상하방향(↓,↑)이다.
여기서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가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끼워지면 양단 절곡부(62)는 절곡부(18)(38)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측압결속구(70)가 연접고리(16)(36)를 “↗” 또는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가로연결대(60)를 작업자가 상부로 빼내지 않는 이상 측압결속구(70)와 서로 연합하여 견고한 결합이 유지된다.
도 7은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 내에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이용한 보 시공용 거푸집(2)의 단계별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U스트럽 결속유닛(42)은 전후로 배열되는 U스트럽(40)을 전후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결속철근(43)으로 일체화시킨 구조물이다. U스트럽 결속유닛(42)은 하부판(D.P) 상부에 일일이 U스트럽(40)을 전후로 배열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판(D.P)의 상부에는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올려놓은 후에는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구성하는 각 U스트럽(40)의 가로봉체(40a)가 절곡부(18)(28)(38)에 접촉된 상태로 하여 고정클립(50)으로 고정되게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 후 좌우 양측 코너판(10)에는 보의 높이(h)에 준하여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과 하나의 연결매체판(20)을 고정클립(50)으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보 시공용 거푸집 (8)--콘크리트 타설 공간부
(D.P)--하부판 (S.P)--측판
(10)--코너판 (12)--ㄱ자형 벽체
(14)--비드 (16)--연접고리
(18)--절곡부
(20)--연결매체판 (22)--벽체
(24)--비드 (26)--연접고리
(28)--절곡부
(30)--단위연장판 (32)--벽체
(34)--비드 (36)--연접고리
(38)--절곡부
(40)--U스트럽
(40a)--가로봉체 (40b)--세로봉체
(42)--U스트럽 결속유닛 (43)--결속철근
(50)--고정클립 (52)--결착고리부
(52a)--결착단부 (54)--연결부
(56)--바인드부
(60)--가로연결대 (62)--양단 절곡부
(70)--측압 결속구 (71)--본체부
(72)--슬릿 끼움홈 (74)--관통공
(D.P)--하부판 (S.P)--측판
(10)--코너판 (12)--ㄱ자형 벽체
(14)--비드 (16)--연접고리
(18)--절곡부
(20)--연결매체판 (22)--벽체
(24)--비드 (26)--연접고리
(28)--절곡부
(30)--단위연장판 (32)--벽체
(34)--비드 (36)--연접고리
(38)--절곡부
(40)--U스트럽
(40a)--가로봉체 (40b)--세로봉체
(42)--U스트럽 결속유닛 (43)--결속철근
(50)--고정클립 (52)--결착고리부
(52a)--결착단부 (54)--연결부
(56)--바인드부
(60)--가로연결대 (62)--양단 절곡부
(70)--측압 결속구 (71)--본체부
(72)--슬릿 끼움홈 (74)--관통공
Claims (3)
-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ㄱ자 형상을 갖는 벽체(1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직교 연장되는 비드(14)가 형성되며 양측 각 비드(14)의 단부에는 비드(14)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연접고리(16)가 연장형성되어 구성되는 코너판(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판형상을 갖는 벽체(2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직교로 연장되는 비드(24)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양측 각 비드(24)의 단부에는 서로 간의 내측 방향으로 비드(24)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연접고리(26)가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 연결매체판(2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판형상을 갖는 벽체(3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직교로 연장되는 비드(34)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양측 각 비드(34)의 단부에는 비드(34)와 예각을 이루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연접고리(36)가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 단위연장판(30);으로 구성되는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코너판(10)을 보의 너비(w)에 준하여 이격되게 배열하고, 그 이격된 코너판(10) 간에는 하나의 연결매체판(20)과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을 서로 연결되게 결합하되 서로 연접하게 되는 코너판(10), 연결매체판(20), 단위연장판(30) 간의 결합부분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예각을 이루는 연접고리(16)(26)(36)의 경사면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경사면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찾아 들어가면서 연접고리(16)(26)(36)를 비롯하여 절곡부(18)(28)(38) 및 직립비드(14)(24)(34)가 서로 자연스러운 밀착결합으로 하부판(D.P)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하부판(D.P)이 구성된 상태에서 하부판(D.P)의 상부에 U스트럽(40)의 가로봉체(40a)가 절곡부(18)(28)(38)에 접촉된 상태로 하여 고정클립(5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U스트럽(40)이 직립된 상태로 전후로 배열되게 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판(D.P)의 상부에는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올려 U스트럽 결속유닛(42)을 구성하는 각 U스트럽(40)의 가로봉체(40a)가 절곡부(18)(28)(38)에 접촉된 상태로 하여 고정클립(50)으로 고정되게 하며,
상기 상태에서 좌우 양측 코너판(10)에는 보의 높이(h)에 준하여 하나 이상의 단위연장판(30)과 하나의 연결매체판(20)을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하여 측판(S.P)을 구축하여 하부판(D.P)과 측판(S.P)의 내측으로 콘크리트 타설 공간부(8)가 마련되도록 하되, 측판(S.P) 구축시 단위연장판(30)과 연결매체판(20)을 상부로 단계적 결합에 맞춰 고정클립(50)을 이용하여 U스트럽(40)의 세로봉체(40b)와 측판(S.P) 간을 결합하고,
좌우 측판(S.P)의 내측으로 마주하는 연접고리(16)(26)(36) 간에는 대응하여 측압결속구(70)를 끼움결합하되 상기 측압결속구(70)는 본체부(71)의 하부에는 상기 연접고리(16)(26)(36)의 예각에 준하여 내측에서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릿 끼움홈(72)을 통하여 맞춤끼움되게 하고, 상기 슬릿 끼움홈(72)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74)을 형성하되 관통공(74)의 하단부와 상기 슬릿 끼움홈(72)의 하단부 간의 근접부분이 서로 연결되게 하여 가로연결대(60)의 양단 절곡부(62)가 측압결속구(70)의 관통공(74)에 끼워지면 양단 절곡부(62)가 절곡부(18)(38)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 측압결속구(70)가 연접고리(16)(36)를 “↗” 또는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제한토록 하여 측압결속구(70)와 서로 연합하여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게 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도 저항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908A KR102652488B1 (ko) | 2021-08-27 | 2021-08-27 |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908A KR102652488B1 (ko) | 2021-08-27 | 2021-08-27 |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1544A KR20230031544A (ko) | 2023-03-07 |
KR102652488B1 true KR102652488B1 (ko) | 2024-03-27 |
Family
ID=8551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3908A KR102652488B1 (ko) | 2021-08-27 | 2021-08-27 |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24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4294B1 (ko) * | 2024-01-05 | 2024-04-04 |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
KR102691814B1 (ko) * | 2024-02-27 | 2024-08-05 | (주)윈하이텍 | 타설 콘트리트 수직하중을 변형이나 편심 없이 안전하게 하부 동바리에 전달하는 강판 보 거푸집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102B1 (ko) * | 2010-03-09 | 2011-04-13 |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
KR102178069B1 (ko) * | 2019-10-31 | 2020-11-12 | 노경택 |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
KR102179516B1 (ko) * | 2019-09-27 | 2020-11-1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
KR102197816B1 (ko) * | 2020-05-12 | 2021-01-04 | (주)한빛하이브 | 늑근고정브라켓을 구비한 보 거푸집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753B1 (ko) | 2010-07-21 | 2011-01-19 | (주)동하이엔지 | 보 구조용 거푸집 |
-
2021
- 2021-08-27 KR KR1020210113908A patent/KR1026524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102B1 (ko) * | 2010-03-09 | 2011-04-13 |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
KR102179516B1 (ko) * | 2019-09-27 | 2020-11-1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
KR102178069B1 (ko) * | 2019-10-31 | 2020-11-12 | 노경택 |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
KR102197816B1 (ko) * | 2020-05-12 | 2021-01-04 | (주)한빛하이브 | 늑근고정브라켓을 구비한 보 거푸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1544A (ko) | 202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2488B1 (ko) | 보 시공용 단위부재를 이용한 보 거푸집 시공방법 | |
CN108425442B (zh) | 砼预制墙板与钢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2382532B1 (ko) | 보나 기둥 및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측압결속구 | |
JP4851881B2 (ja) |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 |
KR101127362B1 (ko) |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63739B1 (ko) |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 |
KR102344705B1 (ko) | 보 및 기둥의 선택적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거푸집 결합구조 | |
JP2014020129A (ja) | 鋼矢板及び鋼矢板壁体 | |
KR102375923B1 (ko) | 보나 기둥 등의 거푸집 구축을 위한 데크판체와 스트럽 간의 결합용 고정클립 | |
KR102417716B1 (ko) | 4면 부분 용입용접으로 제작한 보-기둥 강관 접합패널 | |
JP5656065B2 (ja) |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構造部材 | |
JP6428027B2 (ja) | 柱鉄筋接続パネルおよび鉄筋構造物 | |
KR101615303B1 (ko) | 절곡앵글형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pc 박스 및 그 시공방법 | |
JP6070118B2 (ja) |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 |
JP2006348664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 |
KR102703509B1 (ko) | 탈형 보나 기둥 및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측압결속구 | |
KR102648063B1 (ko) | 보 시공용 거푸집 | |
JP5432318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連結構造並びに連結方法 | |
JP6836853B2 (ja) | ブレース接合構造 | |
JP2018105037A (ja) |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 | |
KR20240131189A (ko) | 보나 기둥 및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측압결속구 | |
KR102374690B1 (ko) | 탈형 보 및 기둥의 선택적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거푸집 결합구조 | |
KR102346729B1 (ko) | 구조물 시공용 서포터 | |
KR102305424B1 (ko) | 폐합형 중간지지대를 이용한 비개착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비개착지중구조물 | |
JP2016188491A (ja) | 壁体、壁体の構築方法および残存型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