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40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2240B1 KR102652240B1 KR1020180148901A KR20180148901A KR102652240B1 KR 102652240 B1 KR102652240 B1 KR 102652240B1 KR 1020180148901 A KR1020180148901 A KR 1020180148901A KR 20180148901 A KR20180148901 A KR 20180148901A KR 102652240 B1 KR102652240 B1 KR 102652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straight portion
- pipe
- compressor
- valve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와,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S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D 포트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과, 상기 인렛과 상기 S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을 갖는 압축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 중에 어느 하나는 2 개의 곡선부를 갖고 나머지 하나는 1 개의 곡선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써, 배관 응력 신뢰성이 확보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며 압축기실이 컴팩트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송풍기, 팽창 기구, 사방 밸브 등을 포함하며, 사방 밸브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에서 유로를 전환시킨다.
사방 밸브는 4개의 포트를 가지며, 각 포트는 압축기의 인렛 및 아웃렛과,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압축기의 가동 시에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이 배관에 전달되며, 배관의 길이, 형상, 밀도 등에 따라 배관의 진동이 저감되거나 증폭될 수 있다. 특히,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공진이 발생하여 배관의 진동이 크게 상승하고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관 진동을 저감하여 배관 구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관 길이를 최소화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압축기실을 컴팩트화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와,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S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D 포트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과, 상기 인렛과 상기 S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을 갖는 압축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 중에 어느 하나는 2 개의 곡선부를 갖고 나머지 하나는 1개의 곡선부를 갖는다.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 있다.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중심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D 포트가 상기 S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배관은 상기 D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배관은 상기 S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 포트가 상기 D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S 포트와 상기 D 포트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 및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는 S 포트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C 포트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E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가 상기 아웃렛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S 포트가 상기 인렛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S 포트는 상기 인렛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 사이의 각은 20 ~ 90 도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C 포트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상기 C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E포트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E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D 포트는 상기 아웃렛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방 밸브가 압축기에 근접 또는 직접 연결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 시에 압축기와 사방 밸브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의 운전 영역 바깥으로 이동하고, 배관 응력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배관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재료비가 절감되고, 압축기실이 컴팩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방 밸브와 압축기의 일체화 거동 특성을 가지면서도 컨트롤 박스나 리액터 등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냉방 운전 시,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냉방 운전 시,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5) 및 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내기(2)는 실내 열교환기(3)와, 송풍팬(4)을 포함하고, 실외기(5)는 실외 열교환기(6)와, 송풍팬(7)과, 압축기(10)와, 팽창 기구(8)와, 사방 밸브(20) 및 서비스 밸브(9)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는 입력 주파수에 따라 압축 용량이 가변되는 하나의 인버터 압축기로 구성되거나, 압축 용량이 일정한 복수개의 정속 압축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구동부와 압축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본체(11)와, 압축기 본체(11)를 향하는 냉매에서 액상의 냉매를 걸러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본체(11)는 로터리 압축기일 수 있다. 압축기(10)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15)과,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되는 아웃렛(16)을 구비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2)는 사방 밸브(20)에서 압축기(10)로 유입되는 냉매 중에 액체 상태의 냉매를 걸러낸 냉매, 즉 기체 상태의 냉매 만을 압축기 본체(11)로 제공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3)는 도 1의 냉방 모드일 시에 증발기로 작용하며, 도 2의 난방 모드일 시에 응축기로 작용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6)는 도 1의 냉방 모드일 시에 응축기로 작용하며, 도 2의 난방 모드일 시에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팽창 기구(8)는 실내 열교환기(3)와 실외 열교환기(6) 사이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 기구(8)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도 값이 가변하는 전자 팽창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밸브(9)는 실내기(2) 측 배관과 실외기(5) 측 배관을 연결하고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사방 밸브(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바꾸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사방 밸브(20)는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3) 또는 실외 열교환기(6)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사방 밸브(20)는 밸브 몸체(21)와, 밸브 몸체(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25, 26, 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25, 26, 27, 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28)를 포함할 수 있다.
사방 밸브(20)는 도 1의 냉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C 포트(27)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E 포트(28)가 연결되고, 도 2의 난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E 포트(28)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C 포트(27)가 연결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도 1의 냉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C 포트(27)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E 포트(28)가 연결되면, 압축기(10)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6)로 유출되게 되며 실내 열교환기(3)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도 2의 난방 모드 시에 시에 D 포트(25)와 E 포트(28)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C 포트(27)가 연결되면, 압축기(10)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3)로 유출되게 되며 실외 열교환기(6)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로 유출되게 된다.
공기 조화기(1)의 배관은 압축기(2)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30)과, 실외 열교환기(6)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60)과, 실내 열교환기(3)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배관(30)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과 사방 밸브(20)의 D 포트(25)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40)과, 압축기(10)의 인렛(15)과 사방 밸브(20)의 S 포트(26)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5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 가동 시의 배관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압축기 배관(3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재료비가 상승하고, 배관 구조가 복잡하여 압축기실의 공간이 크게 잠식당할 수 있다. 나아가, 근래 공기 조화기에는 운전 영역이 가변하는 인버터 압축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는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인버터 압축기의 넓은 운전 영역을 벗어나도록 설계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는 사방 밸브(20)를 압축기(10)에 근접 또는 직접 연결하여 배관의 고유 주파수를 압축기(10) 운전 영역의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관 응력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고, 압축기실의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및 사방 밸브(2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60)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은 생략하였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는 지지대(18) 위에 올려 놓이며, 압축기(10)는 평행한 상면(17)을 가질 수 있다. 압축기(10)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15)과,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되는 아웃렛(16)을 가지며, 인렛(15)과 아웃렛(16)은 각각 상면(17)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즉,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P)에 포함될 수 있다.
사방 밸브(20)는 밸브 몸체(21)와, 밸브 몸체(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25, 26, 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25, 26, 27, 28)는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28)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몸체(2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몸체(21)는 축 방향(A1)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D 포트(25)는 밸브 몸체(21)에서 밸브 몸체(21)의 축 방향(A1)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S 포트(26)는 밸브 몸체(21)에서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일치할 수 있다.
D 포트(25)와 S 포트(26) 사이의 길이(L1)는 인렛(15)과 아웃렛(16) 사이의 수평 거리(L2) 보다 크거나 대응될 수 있다.
D 포트(25)와 S 포트(26)는 밸브 몸체(21)의 축 방향(A1)을 기준으로 밸브 몸체(21)의 중심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C 포트(27)와 E 포트(28)는 S 포트(26)의 양 옆에 돌출될 수 있다. C 포트(27)와 E 포트(28)는 S 포트(26)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방 밸브(20)는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10)의 위에서 압축기(10)를 향해 내려다 볼 때, 사방 밸브(20)의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D 포트(25)가 S 포트(26)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 배관(40)과 흡입 배관(50)은 각각 2 개 이하의 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토출 배관(40)은 2개의 곡선부(44, 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배관(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42)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2배관 직선부(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43)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3배관 직선부(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44)와, 제2배관 직선부(42)와 제3배관 직선부(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매의 흐름에 유리하도록 제1배관 직선부(41)와 압축기의 상면(17) 사이의 각도(θ1)는 20 ~ 70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 배관이 하나의 곡선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8 등 참조).
또한, 흡입 배관(50)은 1 개의 곡선부(5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배관(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52)와, 제1배관 직선부(51)와 제2배관 직선부(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40)의 제1배관 직선부(41)와 흡입 배관(50)의 제1배관 직선부(51)는 서로 같은 경사를 가지므로, 흡입 배관(50)의 제1배관 직선부(51)의 압축기의 상면(17)의 각도(θ1)는 20 ~ 70 도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가 S 포트(26)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토출 배관(40)과 흡입 배관(50)은 각각 2 개 이하의 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방 밸브(20)와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40, 5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배관(40, 50)의 길이가 최소화되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함으로써,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10)의 운전 영역의 주파수 보다 높은 수치를 갖게 되어 공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의 배관 구조에서,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압축기(10)의 압축기 본체(11)와 어큐뮬레이터(12)의 높이 차이 또는 실외기(5) 내부의 공간 배치에 따라,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사방 밸브(20)는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S 포트(26)가 D 포트(25)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배관(240)은 2개의 곡선부(244, 24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2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2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242)와, 제1배관 직선부(241)와 제2배관 직선부(2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243)와, 제1배관 직선부(241)와 제3배관 직선부(2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244)와, 제2배관 직선부(242)와 제3배관 직선부(2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매의 흐름에 유리하도록 제1배관 직선부(241)와 압축기의 상면(17) 사이의 각도(θ1)는 20 ~ 70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흡입 배관(250)은 1 개의 곡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2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2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252)와, 제1배관 직선부(251)와 제2배관 직선부(2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의 배관 구조에서,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압축기(10)의 압축기 본체(11)와 어큐뮬레이터(12)의 높이 차이 또는 실외기(5) 내부의 공간 배치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고, S 포트(26)와 D 포트(25)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 배관(340)은 2개의 곡선부(344, 34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3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3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342)와, 제1배관 직선부(341)와 제2배관 직선부(3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343)와, 제1배관 직선부(341)와 제3배관 직선부(3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344)와, 제2배관 직선부(342)와 제3배관 직선부(3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34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350)은 1 개의 곡선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3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3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352)와, 제1배관 직선부(351)와 제2배관 직선부(3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사방 밸브(420)의 S 포트(426)는 인렛(15)에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방 밸브(420)는 밸브 몸체(421)와, 밸브 몸체(4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425, 426, 427, 4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425, 426, 427, 4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4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4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4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는 E 포트(428)를 포함할 수 있다.
S 포트(426)는 밸브 몸체(421)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인렛(15)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426b)와,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제2포트 직선부(426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4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제2포트 직선부(426c) 사이의 각도(θ3)는 20 ~ 90 도일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426b)는 인렛(15)에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426b)의 단부에는 인렛(15)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반경이 확장된 확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도 1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방 밸브(520)의 S 포트(526)는 벤딩되어 인렛(15)에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사방 밸브(520)의 C 포트(527) 및 E 포트(528)은 S 포트(526)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포트(525)의 중심축(Ld)를 기준으로 S 포트(526)는 아래로 소정 각도(θ4)만큼 벤딩되고, C 포트(527) 및 E 포트(528)은 위로 소정 각도(θ4) 만큼 벤딩될 수 있다. 이것은 배관들의 용접 시에 포트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방 밸브(520)는 밸브 몸체(521)와, 밸브 몸체(5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525, 526, 527, 5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525, 526, 527, 5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5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5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5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528)를 포함할 수 있다.
S 포트(526)는 밸브 몸체(521)에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인렛(15)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526b)와, 제1포트 직선부(526a)와 제2포트 직선부(526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5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526b)는 인렛(15)에 삽입되고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C 포트(527)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527a)와, 실외 열교환기 배관(6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5포트 직선부(527b)와, 제4포트 직선부(527a)와 제5포트 직선부(527b)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52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곡선부(527c)는 포트 곡선부(526c)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E 포트(528)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528a)와,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5포트 직선부(528b)와, 제4포트 직선부(528a)와 제5포트 직선부(528b)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52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곡선부(528c)는 포트 곡선부(526c)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1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사방 밸브(620)의 D 포트(625)는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방 밸브(620)는 밸브 몸체(621)와, 밸브 몸체(6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625, 626, 627, 6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625, 626, 627, 6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6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6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627)와, 실내 열교환기(2)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628)를 포함할 수 있다.
D 포트(625)는 밸브 몸체(621)에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625a)와, 아웃렛(16)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625b)와, 제1포트 직선부(625a)와 제2포트 직선부(625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6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625b)의 단부에는 아웃렛(16)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반경이 확장된 확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626b)는 아웃렛(16)에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D 포트(625)가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고, S 포트(626)가 인렛(15)에 직접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D 포트(625)만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고, S 포트(626)는 배관을 통해서 인렛(15)에 연결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는 전술한 도 3의 배관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2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토출 배관(740)은 2개의 곡선부(744, 7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 배관(7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7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742)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2배관 직선부(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743)와, 제1배관 직선부(741)와 제3배관 직선부(7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744)와, 제2배관 직선부(742)와 제3배관 직선부(7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74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750)은 1 개의 곡선부(75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배관(7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7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752)와, 제1배관 직선부(751)와 제2배관 직선부(7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방 밸브(20)와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740, 75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배관(740, 750)의 길이가 최소화되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함으로써,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10)의 운전 영역의 주파수 보다 높은 수치를 갖게 되어 공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압축기(10)와 사방 밸브(20)가 일체화된 거동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20)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사방 밸브(20)와 압축기(20)의 일체화된 거동 특성이 유지되면서 컨트롤 박스나 리액터 등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3 : 실외기 4 : 실내 열교환기
5 : 송풍팬 6 : 팽창 기구
8, 9 : 서비스 밸브 10 : 압축기
11 : 압축기 본체 12 : 어큐뮬레이터
15 : 인렛 16 : 아웃렛
20 : 사방 밸브 21 : 밸브 몸체
25 : D 포트 26 : S 포트
27 : C 포트 28 : E 포트
30 : 압축기 배관 40 : 토출 배관
50 : 흡입 배관 60 : 실외 열교환기 배관
70 : 실내 열교환기 배관
3 : 실외기 4 : 실내 열교환기
5 : 송풍팬 6 : 팽창 기구
8, 9 : 서비스 밸브 10 : 압축기
11 : 압축기 본체 12 : 어큐뮬레이터
15 : 인렛 16 : 아웃렛
20 : 사방 밸브 21 : 밸브 몸체
25 : D 포트 26 : S 포트
27 : C 포트 28 : E 포트
30 : 압축기 배관 40 : 토출 배관
50 : 흡입 배관 60 : 실외 열교환기 배관
70 : 실내 열교환기 배관
Claims (20)
-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을 갖는 어큐뮬레이터와,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 본체를 포함하는 압축기;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S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D 포트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과, 상기 인렛과 상기 S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을 갖는 압축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 중에 어느 하나는 2 개의 곡선부를 갖고, 나머지 하나는 1개의 곡선부를 갖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압축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한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공기 조화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는 상기 S 포트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배관은 상기 D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배관은 상기 S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는 상기 D 포트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와 상기 D 포트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 -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을 갖는 어큐뮬레이터와,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 본체를 포함하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내 열교환기; 및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는 D 포트와, 상기 밸브 몸체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렛에 연결되는 S 포트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C 포트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E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가 상기 아웃렛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S 포트가 상기 인렛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압축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는 상기 인렛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밸브의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 사이의 각은 20 ~ 90 도인 공기 조화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C 포트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공기 조화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E포트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E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공기 조화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는 상기 아웃렛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밸브의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5274 WO2019112307A1 (en) | 2017-12-05 | 2018-12-04 | Air conditioner |
EP18210263.2A EP3495752B1 (en) | 2017-12-05 | 2018-12-04 | Air conditioner |
CN201811482348.3A CN110017545B (zh) | 2017-12-05 | 2018-12-05 | 空气调节器 |
US16/210,783 US11326786B2 (en) | 2017-12-05 | 2018-12-05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65910 | 2017-12-05 | ||
KR1020170165910 | 2017-12-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552A KR20190066552A (ko) | 2019-06-13 |
KR102652240B1 true KR102652240B1 (ko) | 2024-03-29 |
Family
ID=6684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901A KR102652240B1 (ko) | 2017-12-05 | 2018-11-27 | 공기 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22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5992B1 (ko) * | 2020-05-27 | 2020-12-02 | 함용한 | 산업기계용 공기조화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12667A (ja) * | 2008-11-10 | 2010-05-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調和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97934A (ja) * | 1985-02-26 | 1986-09-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換気装置 |
JP2005106367A (ja) * | 2003-09-30 | 2005-04-21 | Daikin Ind Ltd | 空調室外機、空気調和機、及び圧縮機ユニット |
KR100598215B1 (ko) * | 2004-02-25 | 2006-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901A patent/KR1026522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12667A (ja) * | 2008-11-10 | 2010-05-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調和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552A (ko) | 2019-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400036A1 (en) | Centrifugal blower, air-blowing apparatus,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
US9528769B2 (en)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ing unit | |
KR102283537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 방법 | |
CN110476026B (zh) | 热交换器单元 | |
KR20140105586A (ko) | 공기 조화 장치 | |
KR102302546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US20130092355A1 (en) | Heat Exchanger With Subcooling Circuit | |
EP3040631B1 (en) | Out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 |
KR102652240B1 (ko) | 공기 조화기 | |
EP2597384B1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EP1628081A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10017545B (zh) | 空气调节器 | |
KR102388389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441101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 |
KR101899824B1 (ko) |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
US9797658B2 (en) | Subcool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KR20100084402A (ko) | 공기조화기 | |
CN218495131U (zh) | 一种新风装置及空调器 | |
KR100548281B1 (ko) | 복수의 저압식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EP4060246A1 (en)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 |
WO2018180279A1 (ja) | 空調室内ユニット | |
KR20240035115A (ko) | 공기조화기 | |
KR20220010416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2372345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22947A (ko) | 공기조화기 실외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