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59169B1 -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169B1
KR102659169B1 KR1020230136585A KR20230136585A KR102659169B1 KR 102659169 B1 KR102659169 B1 KR 102659169B1 KR 1020230136585 A KR1020230136585 A KR 1020230136585A KR 20230136585 A KR20230136585 A KR 20230136585A KR 102659169 B1 KR102659169 B1 KR 10265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racket
body piece
main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장효빈
곽상현
유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to KR102023013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며 상호 탈착 가능한 복수의 메인 브라켓; 및 복수의 메인 브라켓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그 자체로 중량물인 배터리팩의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체결 및 지지 상태 유지가 가능한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BATTERY PACK FIXING BRACKET ASSEMBLY FOR COMMUNICATION DEVICE WHICH BE INSTALLED AT TELEPHONE POLE}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자체로 중량물인 배터리팩의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체결 및 지지 상태 유지가 가능한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신중계 기기는 정류기와 배터리팩, 그리고 중계기로서 기능하는 통신용 부하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용 부하기기의 대응 백업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팩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배터리팩의 병렬 연결을 위하여 전신주에 정류기와 복수개의 배터리팩을 설치하게 되는데, 백업 용량에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의 배터리팩을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터리팩이 전신주에 고정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고정 브라켓에 각각 기기별로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구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작업자들이 중량물인 배터리팩을 포함해 각종 기기들을 직접 들고 고정 브라켓에 체결하게 되는데, 중량물인 각종 기기들의 하중이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한 체결구에 의하여만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정 브라켓의 안정성 측면에서 위험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작업에 따른 기기 설치는 각 기기들의 효율적인 배치에 따른 공간 활용도의 효율성을 기대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또한, 배터리팩을 포함한 각종 기기들이 전신주에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될 경우, 작업자나 관리자가 아랫층의 기기들을 밟고 올라가 윗층의 기기들에 대한 설치 또는 점검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자나 관리자의 체중까지 고려하면 배터리팩을 포함한 각종 기기들의 하중은 물론 다양한 외부 충격이나 압력 또는 하중에 따른 고정 구조물의 하중 지지 안정성 등의 설계가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5113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자체로 중량물인 배터리팩의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체결 및 지지 상태 유지가 가능한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며 상호 탈착 가능한 복수의 메인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 각각과 마주보는 상기 서브 브라켓의 대향면에 대하여, 상기 서브 브라켓의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된 상기 서브 브라켓의 설치면에 배터리팩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제1 본체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측 연결부와,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우측 연결부와, 상기 서브 브라켓의 상하 승강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중간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는 제1 본체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상부 고정편 및 상기 하부 고정편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와,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로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와 교차하는 복수의 세로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중 하나의 메인 브라켓(이하 제1 브라켓)과 이웃한 메인 브라켓(이하 제2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우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좌측 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는 패턴이 반복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이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면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안착편과, 상기 좌측 안착편의 하면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우측 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고정되는 좌측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설치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면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의 좌측 연장편 전방면을 수용하는 전방 걸림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면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설치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연장편 후방면을 수용하는 후방 걸림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면 우측 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좌측 연결부의 좌측 안착편이 안착 고정되는 우측 안착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결착부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서브 브라켓의 상단부에 구비된 안착 설편이 걸림 안착되는 설편 안착단턱과,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과, 상기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평행한 걸림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걸림 리브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직교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편과 상기 걸림 리브에 의하여 안착 안내된 상기 서브 브라켓이 상기 승강 가이드편 및 상기 걸림 리브로부터 이탈하여 하강하는 것을 규제하는 하강 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브라켓은, 상기 메인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는 제2 본체편과, 상기 제2 본체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메인 브라켓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걸림 안착되는 안착 설편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중간 결착부의 관통 삽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결착부를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여 안착 고정되는 안착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 상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함몰 홈과,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 하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함몰 홈과, 상기 상부함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 슬롯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보강 리브와, 상기 하부함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안착 슬롯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함몰 홈과 상기 하부함몰 홈을 통하여 관통 결합된 배터리 체결구가, 상기 제2 본체편의 설치면에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그 자체로 중량물인 배터리팩을 포함한 각종 기기의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체결 및 지지 상태 유지가 가능한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인 구조로 설계되어 조립 및 분리 등 설치와 교체를 포함한 제반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종 하중에 대한 보강 구조를 마련하여 뒤틀림이나 변형 등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특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이 메인 브라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과 메인 브라켓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과 메인 브라켓의 하중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변위 결과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과 메인 브라켓의 하중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한 안전계수를 색깔로 표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가 전신주(5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300)이 메인 브라켓(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300)과 메인 브라켓(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300)과 메인 브라켓(200)의 하중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변위 결과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서브 브라켓(300)과 메인 브라켓(200)의 하중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한 안전계수를 색깔로 표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2(a)에서 아래로 향하는 굵고 투명한 화살표는 후술할 서브 브라켓(300)이 슬라이딩 하강하여 메인 브라켓(200)에 체결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전신주(500)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110)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며 상호 탈착 가능한 복수의 메인 브라켓(200)과, 복수의 메인 브라켓(200)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복수의 메인 브라켓(200) 각각과 마주보는 서브 브라켓(300)의 대향면에 대하여, 서브 브라켓(300)의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된 서브 브라켓(300)의 설치면에 배터리팩(400)이 고정되는 것을 도 1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메인 브라켓(200)중 하나의 메인 브라켓(200)(이하 제1 브라켓)과 이웃한 메인 브라켓(200)(이하 제2 브라켓)에 있어서, 제1 브라켓의 우측 연결부(230)와 제2 브라켓의 좌측 연결부(220)가 상호 결합되는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패턴이 반복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메인 브라켓(200)이 병렬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 브라켓(200)은, 서브 브라켓(300)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탈착 고정되는 제1 본체편(210)과, 제1 본체편(210)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측 연결부(220)와, 제1 본체편(210)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우측 연결부(230)와, 서브 브라켓(300)의 상하 승강 탈착이 가능하도록 서브 브라켓(300)과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중간 결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브라켓(200)은, 제1 본체편(21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탈착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250)과, 제1 본체편(2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탈착 고정되는 하부 고정편(2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편(210)은 상부 고정편(250) 및 하부 고정편(260)을 관통하는 체결구(이하 미도시)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메인 브라켓(200)은, 도 3과 같이 서브 브라켓(300)과 마주보는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211)와,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로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211)와 교차하는 복수의 세로보강 리브(212)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좌측 연결부(220)는, 제1 본체편(210)의 좌측면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본체편(210)의 상단부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안착편(221)과, 좌측 안착편(221)의 하면과 제1 본체편(210)의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우측 연결부(23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고정되는 좌측 연장편(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브라켓(300)과 마주보는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과,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00)과 마주보는 제1 본체편(210)의 설치면을 정의한다.
이때, 우측 연결부(230)는, 제1 본체편(210)의 우측면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측에 배치되며 좌측 연결부(220)의 좌측 연장편(222) 전방면을 수용하는 전방 걸림편(2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연결부(230)는, 제1 본체편(210)의 우측면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본체편(210)의 설치면측에 배치되며 좌측 연장편(222) 후방면을 수용하는 후방 걸림편(23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우측 연결부(230)는, 제1 본체편(210)의 상단부 면 우측 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좌측 연결부(220)의 좌측 안착편(221)이 안착 고정되는 우측 안착단턱(2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연결부(220)는, 좌측 안착편(221)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좌측 안착편(221)의 전후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1 안착 경사면(221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 경사면(221s)은 우측 연결부(230)의 우측 안착단턱(233)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우측 안착단턱(233)의 전후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안착 경사면(233s)과 맞닿음으로써, 좌측 안착편(221)이 우측 안착단턱(233)에 안착 고정될 것이다.
또한, 좌측 연결부(220)는, 좌측 연장편(222)의 상부측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제1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우측 연결부(230)의 전방 걸림편(231) 및 후방 걸림편(232)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림 안착되는 상부걸림 돌출편(2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연결부(220)는, 좌측 연장편(22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하방걸림 연장편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전방 걸림편(231) 및 후방 걸림편(232) 사이의 내부 공간에 걸림 수용되는 하부걸림 연장편(2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부걸림 연장편(224)의 상단부 좌우 폭은 상부걸림 돌출편(223)의 하단부 좌우 폭보다 작거나 같으며, 하부걸림 연장편(224)은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전방 걸림편(231)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걸림편(232)측을 향하여 전방 후크편(231h)이 절곡 연장되어 좌측 연결부(220)의 하부걸림 연장편(224)의 슬라이딩 하강 및 걸림 안착을 안내하고 하부걸림 연장편(224)을 포함한 좌측 연결부(220)의 이탈을 규제하게 된다.
또한, 후방 걸림편(232)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 걸림편(231)측을 향하여 후방 후크편(232h)이 절곡 연장되어 좌측 연결부(220)의 하부걸림 연장편(224)의 슬라이딩 하강 및 걸림 안착을 안내하고 하부걸림 연장편(224)을 포함한 좌측 연결부(220)의 이탈을 규제하게 된다.
즉, 하부걸림 연장편(224)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구조와 함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 후방 후크편(231h, 232h)의 내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전, 후방 걸림편(231, 232) 각각의 대향면에는 하부걸림 연장편(224)의 역사다리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을 가진 걸림 구조를 마련하여 확실하고 안정적인 안착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중간 결착부(240)는,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서브 브라켓(3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안착 설편(320)이 걸림 안착되는 설편 안착단턱(24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결착부(240)는,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결착부(240)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242)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어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과 평행한 걸림 리브(2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결착부(240)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242) 각각의 하단부와 걸림 리브(243)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제1 본체편(210)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하강 방지편(244)을 포함할 수 있다.
하강 방지편(244)은, 승강 가이드편(242)과 걸림 리브(243)에 의하여 안착 안내된 서브 브라켓(300)이 승강 가이드편(242) 및 걸림 리브(243)로부터 이탈하여 하강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걸림 리브(243)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 길이는, 걸림 리브(243)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크게 제작되도록 한다.
즉, 걸림 리브(243) 각각은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242)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본체편(210)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 연장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되,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할 안착 슬롯(330)의 관통 삽입 안내 및 서브 브라켓(300)의 슬라이딩 하강을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브라켓(300)은, 메인 브라켓(200)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는 제2 본체편(310)과, 제2 본체편(31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메인 브라켓(200)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 브라켓(200)의 상단부에 걸림 안착되는 안착 설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브라켓(300)은, 메인 브라켓(200)의 대향면으로부터 제2 본체편(310)의 대향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중간 결착부(240)의 관통 삽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중간 결착부(240)를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여 안착 고정되는 안착 슬롯(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브라켓(300)은, 하중 지지에 따른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구조의 마련을 위하여, 제2 본체편(310)의 대향면 상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함몰 홈(311)과, 상부함몰 홈(3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안착 슬롯(3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보강 리브(311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브라켓(300)은, 하중 지지에 따른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구조의 마련을 위하여, 제2 본체편(310)의 대향면 하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함몰 홈(312)과, 하부함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 슬롯(3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보강 리브(312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함몰 홈(311)과 하부함몰 홈을 통하여 관통 결합된 배터리 체결구(이하 미도시)가, 제2 본체편(310)의 설치면에 배터리팩(400)을 고정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브라켓(300)은, 제2 본체편(310)의 대향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부함몰 홈(311)과 하부함몰 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함몰 홈(3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브라켓(300)은, 중간함몰 홈(3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절개 형성된 안착 슬롯(3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안착 슬롯(330)과 연통되는 하단 절개부(341)를 가지는 안착 걸림편(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 걸림편(34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하강 방지편(244)의 상면에 걸림 안착됨으로써, 서브 브라켓(300)의 과하강(過下絳)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메인 브라켓(200)과 서브 브라켓(300)의 설계 구조가 큰 하중에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며 확실하고 견고한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지 도 4와 같이 하중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변위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메인 브라켓(200)은 도 4(a)와 같이 최대 변위가 약 0.008mm이며, 서브 브라켓(300)은 도 4(b)와 같이 최대 변위가 약 0.0003mm에 불과함을 확인한 바, 큰 하중과 압력에도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 발생 우려가 일절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메인 브라켓(200)과 서브 브라켓(300)의 설계 구조가 하중에 따른 안전계수 입력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안전도 결과를 도 5와 같이 도출하였다.
여기서, 안전계수는 파괴하중을 허용하중으로 나눈 상수값이다.
우선, 안전계수가 1.25~1.5라 함은, 관리가 가능한 조건에서 매우 신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작용하는 하중 및 응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아는 경우, 무게의 경량화를 특히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안전계수가 1.5~2라 함은, 비교적 일정한 조건에서 잘 알려져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하중과 응력의 크기가 쉽게 결정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안전계수가 2~2.5라 함은, 평범한 조건에서 보통의 재료를 사용하고, 하중과 응력의 크기를 알아낼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안전계수가 2.5~3이라 함은, 보통의 환경, 하중, 응력조건에서 별로 사용되지 않는 재료 또는 취성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안전계수가 3~4라 함은, 보통의 환경, 하중, 응력 조건에서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나, 잘 알려진 재료이지만 불확실한 환경과 응력 조건에서 사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값이다.
아울러, 안전계수값을 선택하여 시뮬레이션하였을 때, 구조물 전체가 파란색계열의 색상으로 표시된다면 구조적으로 안전한 구조물이란 것을, 구조물 일부라도 빨간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시된다면 선택한 안전계수의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란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200)과 서브 브라켓(300)은 잘 알려진 재료 및 확실한 환경과 응력 조건에 사용되는 구조물인 바, 안전계수를 3으로 선정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따라서, 메인 브라켓(200)은 도 5(a)와 같이 안전계수를 3 입력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메인 브라켓(200) 전체가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란색으로 나온 바, 안전한 구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브 브라켓(300)은 도 5(b)와 같이 안전계수를 3 입력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서브 브라켓(300) 전체가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란색으로 나온 바, 안전한 구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그 자체로 중량물인 배터리팩의 하중을 안전하게 분산 지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견고한 체결 및 지지 상태 유지가 가능한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베이스 프레임
110...설치 바
200...메인 브라켓
210...제1 본체편
211...가로보강 리브
212...세로보강 리브
220...좌측 연결부
221...좌측 안착편
221s...제1 안착 경사면
222...좌측 연장편
223...상부걸림 돌출편
224...하부걸림 연장편
230...우측 연결부
231...전방 걸림편
231h...전방 후크편
232...후방 걸림편
232h...후방 후크편
233...우측 안착단턱
233s...제2 안착 경사면
240...중간 결착부
241...설편 안착단턱
242...승강 가이드편
243...걸림 리브
244...하강 방지편
250...상부 고정편
260...하부 고정편
300...서브 브라켓
310...제2 본체편
311...상부함몰 홈
311r...상부보강 리브
312...하부 함몰 홈
312r...하부보강 리브
313...중간함몰 홈
320...안착 설편
330...안착 슬롯
340...안착 걸림편
341...하단 절개부
400...배터리팩
500...전신주

Claims (11)

  1. 전신주와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바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며 상호 탈착 가능한 복수의 메인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 각각의 상하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제1 본체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측 연결부와,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우측 연결부와,
    상기 서브 브라켓의 상하 승강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중간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 각각과 마주보는 상기 서브 브라켓의 대향면에 대하여, 상기 서브 브라켓의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된 상기 서브 브라켓의 설치면에 배터리팩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고정되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상부 고정편 및 상기 하부 고정편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와,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로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가로보강 리브와 교차하는 복수의 세로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중 하나의 메인 브라켓(이하 제1 브라켓)과 이웃한 메인 브라켓(이하 제2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우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좌측 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는 패턴이 반복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브라켓이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면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좌측 안착편과,
    상기 좌측 안착편의 하면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우측 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탈착 고정되는 좌측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서브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본체편의 설치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면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연결부의 좌측 연장편 전방면을 수용하는 전방 걸림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우측면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설치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좌측 연장편 후방면을 수용하는 후방 걸림편과,
    상기 제1 본체편의 상단부 면 우측 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좌측 연결부의 좌측 안착편이 안착 고정되는 우측 안착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착부는,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서브 브라켓의 상단부에 구비된 안착 설편이 걸림 안착되는 설편 안착단턱과,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과,
    상기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평행한 걸림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승강 가이드편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걸림 리브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 본체편의 대향면과 직교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편과 상기 걸림 리브에 의하여 안착 안내된 상기 서브 브라켓이 상기 승강 가이드편 및 상기 걸림 리브로부터 이탈하여 하강하는 것을 규제하는 하강 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브라켓은,
    상기 메인 브라켓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지는 제2 본체편과,
    상기 제2 본체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메인 브라켓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단부에 걸림 안착되는 안착 설편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중간 결착부의 관통 삽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결착부를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여 안착 고정되는 안착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브라켓은,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 상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함몰 홈과,
    상기 제2 본체편의 대향면 하부측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함몰 홈과,
    상기 상부함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 슬롯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보강 리브와,
    상기 하부함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안착 슬롯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함몰 홈과 상기 하부함몰 홈을 통하여 관통 결합된 배터리 체결구가, 상기 제2 본체편의 설치면에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KR1020230136585A 2023-10-13 2023-10-13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KR10265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585A KR102659169B1 (ko) 2023-10-13 2023-10-13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585A KR102659169B1 (ko) 2023-10-13 2023-10-13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169B1 true KR102659169B1 (ko) 2024-04-23

Family

ID=9088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585A KR102659169B1 (ko) 2023-10-13 2023-10-13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1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24B1 (ko) * 2007-02-22 2007-05-08 진우전기감리(주)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
KR102160418B1 (ko) * 2019-06-03 2020-09-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85333B1 (ko) * 2020-06-30 2020-12-02 최장헌 힌지부재를 이용한 함체용 고정구조
KR102511390B1 (ko) 2022-12-15 2023-03-17 주식회사 테라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KR20230075824A (ko)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무진동 무볼트 내함 고정방식을 갖는 통신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24B1 (ko) * 2007-02-22 2007-05-08 진우전기감리(주)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
KR102160418B1 (ko) * 2019-06-03 2020-09-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85333B1 (ko) * 2020-06-30 2020-12-02 최장헌 힌지부재를 이용한 함체용 고정구조
KR20230075824A (ko)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무진동 무볼트 내함 고정방식을 갖는 통신용 단자함
KR102511390B1 (ko) 2022-12-15 2023-03-17 주식회사 테라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6752B2 (ja) クレーンのためのカウンタウェイトブロック及びアセンブリ
KR102610336B1 (ko) 트렌치 박스 및 그의 조립 방법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GB256902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decking
KR102659169B1 (ko)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기기용 배터리팩 고정브라켓 어셈블리
CZ73697A3 (en) Sheeting device for sheeting trenches
US20190078330A1 (en) Modular truss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US5398777A (en) Lifeline anchor assembly for pre-cast concrete deck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EP1861565B1 (en) Falling head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s for floors
JP2002004572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KR100609726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20200112476A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US20230150798A1 (en) Modular Spread Bar Device with Stiffening Truss
JP6936489B2 (ja) 仮設足場用足場板
KR102684491B1 (ko) 해양 구조물의 편심 인양용 중심 조정 중량보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편심 인양 방법
KR101368671B1 (ko) 선박
CN216629496U (zh) 箱体组件及作业机械
KR20160000510A (ko) 케이블 트레이
KR102320925B1 (ko) 운송용 팔레트의 고정장치
KR102722252B1 (ko) 조선소 시스템 발판의 수직수평 연결구조
JP2022076945A (ja) 吊り足場
CN219507445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水平吊装设备
CN218087082U (zh) 一种地面定位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