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68B1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7068B1 KR102657068B1 KR1020180142117A KR20180142117A KR102657068B1 KR 102657068 B1 KR102657068 B1 KR 102657068B1 KR 1020180142117 A KR1020180142117 A KR 1020180142117A KR 20180142117 A KR20180142117 A KR 20180142117A KR 102657068 B1 KR102657068 B1 KR 102657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ice
- tray
- section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3 response to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은, 구 형태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얼음 챔버의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하부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한 하부 히터가 제어부에 의해서 온되는 단계; 상기 얼음 챔버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높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부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forming a spherical ice chamber, comprising: starting ice making after water supply to the ice chamber is completed; turning on a lower heater for heating the lower tray by a control unit after the ice making starts; varying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at which ice is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ice making has been completed; and turning off the lower he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an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keeping the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Typically, an ice maker is provided inside a refrigerator to make ice.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ice maker is configured to make ice by receiv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dditionally, the ice maker is configured to transfer ice that has already been made ice from the ice tray using a heating method or a twisting method.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In this way, the ice maker, which automatically supplies and moves water, is formed to open upward and scoops up the formed ice.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The ice made in an ice maker with this structure has at least one flat surface, such as a crescent shape or a cubic shape.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hape of the ice is spherical, it may be more convenient to use the ice and provide a unique feeling of use to the user. Additionally, when storing de-iced ice, clumping of ice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area in contact with each oth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0918, which is a prior document, an ice maker is provided.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The ice maker of the prior literature has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upper cells arranged, an upper tray including a pair of link guide part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lower cells arranged, and the upper tray a lower tray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to allow the lower tray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A pair of links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an upper ejecting pin assembly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links while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link guide portion,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nks.
선행문헌의 경우, 반구 형태의 상부 셀 및 반구 형태의 하부 셀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나, 얼음이 상부 셀 및 하부 셀에서 동시에 생성되므로, 물에 포함된 기포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기포 들이 물 내부에서 분산되어 생성된 얼음이 불투명한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prior literature,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by a hemispherical upper cell and a hemispherical lower cell, but since ice is created simultaneously in the upper cell and lower cell, th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ce produced is opaque as the bubbles are dispersed within the water.
본 발명은,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n ice maker capable of producing transparent ice.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의 높이 별로 투명도가 균일한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n ice maker with uniform transparenc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ice.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되는 얼음 별로 투명도가 균일한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ith uniform transparency for each ice produced.
또한, 본 발명은, 제빙 과정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수행에 의해서 얼음 생성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that can minimize the delay in ice creation time due to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실의 목표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히터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n ice maker capable of producing transparent ice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heater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히터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capable of producing transparent ice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heater in response to temperature changes due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본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은, 구 형태의 얼음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얼음 챔버의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하부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한 하부 히터가 제어부에 의해서 온되는 단계; 상기 얼음 챔버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높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부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forming a spherical ice chamber, comprising: starting ice making after water supply to the ice chamber is completed; turning on a lower heater for heating the lower tray by a control unit after the ice making starts; varying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at which ice is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ice making has been completed; and turning off the lower he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하부 히터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부 히터의 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히터를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on condition of the lower heater is satisfied after the ice making starts. If the turn-on condition of the lower heater is satisfied, the control unit can turn on the lower hea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히터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turn-on condition of the lower heater is satisfi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reaches the turn-on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The on-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to a sub-zero temperature.
상기 얼음 챔버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 챔버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Based on the height of the ice chamber, the ice chamber may be divided into multiple sect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챔버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각 구간 별로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vary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for each section in which ice is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구간 각각에서 상기 하부 히터의 기준 출력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is predetermined.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a stage wher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s vari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ower heater so that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상기 얼음 챔버의 높이를 기준으로, 다수의 구간은 수평 방향 직경이 최대인 중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Based on the height of the ice chamber, the plurality of sections may include a middle section with a maximum horizontal diame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은 최초 구간에서 상기 중간 구간까지 단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gradually decreas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from the initial section to the middle sec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또한, 상기제어부는, 상기 중간 구간에서 최종 구간 까지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so that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creases stepwise from the middle section to the final section.
상기 다수의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 온도는 미리 결정되어 있다. The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is predetermi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바로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ower heater with a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ction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section.
제빙 과정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 감소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when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begins,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needs to be reduced.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 감소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에서의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If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 the current section.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이 다수의 구간 중 중간 구간 이전의 구간인 경우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needs to be reduced when the current section is a section before the middle section among multiple sections.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 감소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의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을 바로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If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 the current section to the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immediately next section.
상기 상부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바로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section,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lower heater with a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ction. there is.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이 상기 중간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 히터의 현재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maintain the current output of the lower heater when the current section is the middle section.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하부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하부 히터의 현재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If the current section is the middle section,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lower heater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is higher than the turn-off reference temperature, and turns off the lower heater. If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urrent output of the lower heater can be maintained.
제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위치되는 저장실의 목표 온도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의 증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when a chang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or de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의 증감 여부에 따라서, 구간 별 상기 하부 히터의 기준 출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reference output of the lower heater for each s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or de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가 증가되면, 구간 별 상기 하부 히터의 기준 출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목표 온도가 감소되면, 구간 별 상기 하부 히터의 기준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the control unit may decrease the reference output of the lower heater for each section, and when the target temperature decreases, the control unit may increase the reference output of the lower heater for each section.
제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위치되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 가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You can decide whether to vary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하부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지 않으면, 상기 하부 히터의 현재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lower heater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and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not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turns off the current output of the lower heater. It can be maintained.
상기 하부 히터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 바로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다음 구간의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After the lower heater is turned off,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section,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lower heater with the reference output of the next section.
본 실시 예의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은, 상기 하부 히터가 오프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이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로 열을 가열하는 상부 히터가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lower heater is turned off and wheth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nd when the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upper heater heats the upper tray for moving. It may further include an on step.
또한, 본 실시 예의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부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가 회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turning off the upper heater; and rotating the lower tray so that the lower tray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tray.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제빙 과정에서 하부 히터가 작동함에 따라서 얼음이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기포가 얼음의 최하측의 국부적인 부분에만 존재하게 되므로, 구형 얼음이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as the lower heater operates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ice is created from the upper side, so the air bubbles move downward, and ultimately, the air bubbles exist only in the localized part of the lowest part of the ice, resulting in spherical 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letely transparent.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얼음(또는 얼음 챔버)의 높이 구간 별로 하부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므로, 얼음의 높이 구간 별 얼음의 생성 속도가 균일해져, 얼음의 높이별로 투명도가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section of the ice (or ice chamber), the ice production rate for each ice height section becomes uniform, which has the advantage of uniform transparency for each ice height.
또한, 하부 히터의 열이 복수의 얼음 챔버 각각으로 골고루 제공될 수 있어, 생성되는 얼음 별로 투명도가 균일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eat from the lower heater can be evenly provi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chambers, which has the advantage of uniform transparency for each ice produced.
또한, 제상 과정에서 아이스 메이커 주변의 냉기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하부 히터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ransparent ice can be create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cold air around the ice maker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또한, 목표 온도 가변에 따라서 냉기량이 가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하부 히터의 구간 별 기준 출력을 증감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이 일정한 제빙 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at a constant ice-making spe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tandard output for each section of the lower heater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cold air varies depending on the target temperature.
또한, 도어 개폐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하부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이 일정한 제빙 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at a constant ice-making speed by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in consideration of temperature changes in the freezer due to door opening and clo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13은 도 5의 상부 케이스에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와 연결된 전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25는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6의 D-D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하부 서포터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하부 어셈블리가 상부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도 3a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3은 급수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4는 제빙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5는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6은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7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8은 얼음 챔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 별 하부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급수 및 제빙 과정에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하부 히터의 출력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0은 얼음의 높이 구간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1은 제빙 과정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시작되는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2는 제빙 과정에서 냉동실의 목표 온도가 가변되는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3은 냉동실의 목표 온도 증감에 따른 하부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도 44는 제빙 과정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된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opened.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ater coupling portion in the upper case of FIG. 5.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er is coupled to the upper case of FIG. 5.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wires connected to the heater in the upper case.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are lower perspective views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side view of the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DD of Figure 16 to show the low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Figure 26 is a plan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eater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er of Figure 26.
Figure 2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upper assembly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lower heater penetrates the upper case.
Figure 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ure 3a.
FIG. 3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ice creation is completed in the diagram of FIG. 29.
31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of creating ice in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ure 3a in a water supply state.
Figure 3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ure 3A in an ice-making state.
Figure 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ure 3A in a state in which ice making is completed.
Figure 3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ure 3A in the initial state of moving.
Figure 3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ure 3A in a completed state.
Figure 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ice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Figure 39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put amount of the lower heater during the water supply and ice making process.
Figure 40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ce creation step by step for each ice height section.
Figure 4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begin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Figure 4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hanges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Figure 4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utput of the lower heat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Figure 4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a door opening is detected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ure 1 ope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Storage members such as drawers, shelves, and baske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and the freezer compartment 4.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may include a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 and the freezing chamber 4 and the shape of the door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frigera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For example, the freezing compartment 4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are arranged left and right, bu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reezing compartment 4 to be locat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냉동실 도어(6)나 상기 냉장실(3)이나 상기 냉장실 도어(5)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eezer 4 may be equipped with an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 ice bin 102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뱅크(102)는 별도의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냉동실(4)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6)를 개방시켜,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접근하여 얼음을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6, access the ice bin 102, and obtain ice.
다른 예로서, 상기 냉장실 도어(5)에는 정수된 물 또는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가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refrigerating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된 얼음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되어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 수단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7)로 이송되어 디스펜서(7)에서 얼음을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produced in the
이하에서는 아이스 메이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ice m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to 4 ,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형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형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That is,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에 의해서 3개의 얼음 챔버(11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얼음 챔버(111)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Hereinafter, the example in which thre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한다. The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된 구형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After ice is created,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구동 모터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 driving motor may be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Accordingly, rotation of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allow ice to be separated from the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ejecting pins 3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후술할 연결 유닛(35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312)가 구비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일 예로 한 쌍의 분리 방지 돌기(312)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Ice pressurized by the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During the rotation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하에서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120)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측 부분을 정의한다.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을 지지하여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상기 급수부(19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온도 센서(5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되면,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측 부분을 정의한다. Meanwhile,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600)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즉, 상기 스위치(600)를 온시키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물이 공급되고, 냉기에 의해서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과정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어 얼음이 이빙되는 이빙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반면, 상기 스위치(600)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부 케이스> <Upper cas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4) 내의 하우징(101)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고정을 위한 상부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는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122a)에 상기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함몰부(122)가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개구(123)를 관통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이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히터(도 13의 148참조)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함몰부(1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설치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도 6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 사이에 상기 온도 센서(50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air of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슬롯(131, 13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은,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개구(123)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상기 개구(123)가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도 6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슬롯(131)이 화살표 B 방향(제 2 방향이라 함)과 교차되는 방향인 화살표 A 방향(제 1 방향이라 함)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ing, the plurality of first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슬롯(132)이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살표 A 방향은 복수의 얼음 챔버(1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of arrow A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상부 슬롯(133)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돌기(상부 트레이에 형성됨)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length of each of the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first
그리고, 상기 개구(123)에서 상기 각 상부 슬롯(131)을 바라볼 때, 상기 각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 질 수 있다. And, when each of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슬리브(1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복수의 슬리브(13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리브(133)는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리브(133)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복수의 슬리브(133) 중 일부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슬롯(1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복수의 슬리브(133) 중 다른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other sleeve among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도 6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 서포터(135, 136)에는 제 1 힌지 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inge supports 135 and 136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with respect to FIG. 6 . Additionally, a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inge supports 135 and 136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결합 후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140a)에 의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하우징(10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수직 연장부(140)에 상기 급수부(190)가 결합될 수 있다. Also,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수직 연장부(14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를 상기 하우징(101)에 스크류 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스크류 체결부(142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측면 둘레부는(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ide
위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 내의 별도의 하우징(101)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을 형성하는 벽에 직접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Above, it was explained that the
<상부 트레이><Upper tra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Figure 7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As an example, the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If the
이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형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after the shape of the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상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상부 챔버(152)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를 정의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는,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를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독립적인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153)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도 8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의 화살표 A 방향은 도 6의 화살표 A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The first
상기 상부 챔버(15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형 얼음 중 상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챔버(152)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는 3개의 유입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될 수 있다. An inlet opening 15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인입될 수 있다. During the moving process, the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 측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는 입구 벽(155)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the
상기 입구 벽(155)은 상기 유입 개구(15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입구 벽(155)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입구 벽(155)의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유입 개구(154)를 관통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One or more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 및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ing,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입구 벽(155)은 제 2 연결 리브(16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도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two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는 급수 가이드(156)가 구비될 수 있다. A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입구 벽(155)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제 1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The
상기 함몰부(122)에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되고,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도 13의 148참조)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상부 히터(도 13의 148참조)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챔버 들(152a, 152b, 152c)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히터(도 13의 148참조)가 결합된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수용되는 제 2 수용부(161)(또는 센서 수용부라고 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receiving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부 챔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는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Additionally, the
따라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 상부 히터(도 13의 148참조)와 상기 온도 센서(50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heater (see 148 in FIG. 13) accommodated in the first
상기 온도 센서(500)가 상기 제 2 수용부(16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은 수직벽(153a)과 곡선벽(15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곡선벽(153b)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단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 및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또는 "제 1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또는 "제 2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접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서포터(1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복수의 상부 슬롯(131, 132) 각각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는,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유입 개구(15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 및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도 8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8의 화살표 B 방향은 도 6의 화살표 B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The first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first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상부 돌기(165, 166)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빙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이때, 상기 상부 돌기(165, 165)가 곡선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상부 돌기(165, 165)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챔버(152)와의 간격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최소화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늘어나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소성 변형되는 경우, 제빙 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므로, 얼음이 구 형태와 가깝지 않게 된다. For example, horizontal deformation of the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제 1 하부 돌기(167)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제 2 하부 돌기(167)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하부 돌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도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 및 하면(164b) 각각에 돌기(165, 166, 167, 168)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는 후술할 상기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69)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복수의 관통홀(169)이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through
복수의 관통홀(169) 중 일부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165) 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16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복수의 관통홀(169) 중 다른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other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상부 서포터><Upper Support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ure 10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일 예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과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가 관통하기 위한 플레이트 개구(17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둘레 벽(1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74)은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A
그리고, 상기 둘레 벽(174)의 상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은,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가 삽입되는 제 1 하부 슬롯(176)과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가 삽입되는 제 2 하부 슬롯(1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복수의 제 1 하부 슬롯(176)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하부 슬롯(177)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체결 보스(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각 체결 보스(175)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관통홀(169)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Each of the
상기 체결 보스(175)가 상기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는 일 예로 볼트(도 3의 B1)일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상기 볼트(B1)의 바디부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 및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ody portion of the bolt (B1) to the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연결된 연결 유닛(350)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일 예로 도 11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nit guides 181 and 18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ith reference to FIG. 11 .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둘레 벽(174)과 연결될 수 있다. The unit guides 181 and 182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183)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unit guides 181 and 182 may include a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이 상기 이젝터 바디(310)와 연결된다. The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이젝터 바디(310)로 전달되면, 상기 이젝터 바디(310)가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상부 히터 결합 구조> <Upper heater combination structure>
도 12는 도 5의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도 5의 상부 케이스에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상부 케이스에서 히터와 연결된 전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ater coupling portion in the upper case of FIG. 5,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heater coupled to the upper case of FIG. 5, and FIG. 14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connected to the heater in the upper case. This is a drawing that shows.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히터(148)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홈(124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to 14 ,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의 하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개구(12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히터(148)는 일 예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절곡이 가능하며,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형태에 맞추어 절곡시켜 상기 상부 히터(148)를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상부 히터(148)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DC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48)는 이빙을 위하여 온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임)과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heat from the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강할수록,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된 이후에, 얼음 중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에 의해서 가열된 부분이 다시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어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If the
즉, 얼음의 둘레에 상부 히터와 대응되는 형태의 불투명한 띠가 형성된다. That is, an opaque band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heater is formed around the ice.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출력 자체가 낮은 DC 히터를 사용하고,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의 열전도율도 낮아진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a DC heater with low output is used and the
따라서, 얼음의 국부적인 부분에 열이 집중되지 않고 적은 양의 열이 얼음으로 서서히 가해지므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되면서도 얼음의 둘레에 불투명해진 띠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heat is not concentrated in a localized portion of the ice and a small amount of heat is gradually applied to the ice, the ice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and the formation of an opaque band around the ice can be prevented.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으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챔버 벽(153) 각각의 둘레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유입 개구(15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이 상기 함몰부(122)에서 함몰되므로,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은 외벽(124b)과 내벽(124c)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결합부(12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의 직경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된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벽(124b)과 내벽(124c) 중 하나 이상에는 이탈 방지 돌기(124d)가 구비될 수 있다. To prevent the
도 12에는 일 예로 내벽(124c)에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124d)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FIG. 12 shows,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는 상기 내벽(124c)의 단부에서 상기 외벽(124b)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에 의해서 삽입이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의 돌출 길이는 상기 외벽(124b)과 내벽(124c)의 간격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24d) prevents the
도 13과 같이,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라운드부(148c)와 직선부(148d)로 구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when the
즉,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이 라운드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라운드부와 직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히터(148)가 라운드부(148c)와 직선부(148d)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라운드부(148c)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며,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The
상기 직선부(148d)는 각각의 상부 챔버(152)에 대응되는 라운드부(148c)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The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유입 개구(154)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라운드부의 이격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관통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상부 히터(148) 중에서 상기 라운드부(148c)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질 우려가 크므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는 상기 라운드부(148c)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상기 히터 수용홈(124a)의 바닥면에는 관통 개구(124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용될 때,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는 상기 관통 개구(124e)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24d)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개구(124e)가 위치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상부 히터(148)가 수평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텐션이 증가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고, 상기 상부 히터(148)가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빠질 우려가 높다. When the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 관통 개구(124e)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24e)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상부 히터(148)의 텐션을 줄이며, 상기 히터 수용홈(124a)에서 상부 히터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However, when the through
도 14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서 수용되므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히터 통과홀(125)을 통과한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은 하나의 제 1 커넥터(129a)에 연결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129a)에는 상기 전원 입력단(148a)과 전원 출력단(148b)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전선(129d)이 연결된 제 2 커넥터(129c)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히터(148), 상기 제 1 커넥터(129a), 제 2 커넥터(129c) 및 전선(129d)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도 14에는 일 예로 상기 제 1 가이드부(126)가 상기 제 1 커넥터(129a)를 가이드하는 것이 도시된다. FIG. 14 shows, as an example, the
상기 제 1 가이드부(126)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26)의 상측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 1 커넥터(12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Accordingly,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상기 전선(129d)이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대략 "U"와 같은 형태로 절곡된 이후에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The
상기 전선(129d)이 1회 이상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상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전선(129d)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가이드(127, 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전선 가이드(127, 128)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이드(127)와 제 2 가이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127) 및 상기 제 2 가이드(128)는 절곡되는 전선(129d)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전선(129d)의 절곡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wire guides 127 and 128 may include a
즉, 상기 제 1 가이드(127) 및 제 2 가이드(128) 각각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each of the
상기 제 1 가이드(127)와 상기 제 2 가이드(128) 사이에 위치된 전선(129d)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이드(127)와 제 2 가이드(128) 중 하나 이상은 다른 한 가이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가이드(127a)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restrict the
도 15는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14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 상부 서포터(17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부 케이스(120)의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되도록 한다. Then, the first
그 다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하부 돌기(167)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1 하부 슬롯(176)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하부 돌기(168)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2 하부 슬롯(177)에 삽입되도록 한다. Next, the first
그러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관통홀(169)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B1)를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할 수 있다. Then, the
상기 볼트(B1)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B1)의 헤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bolt B1 is fastened to the
반면, 상기 힌지 서포터(135, 136)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부 어셈블리(110) 또는 연결 유닛(350)이 상기 볼트(B1)의 헤드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inge supports 135 and 136 are located lower than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양측에 위치되는 관통 개구(도 5의 139a, 139b)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가이드 슬롯(183)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관통한다. In this way, the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챔버(152)로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상부 챔버(152)의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결합된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다. When the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면(160a)에 접촉한다. With the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가 함몰된 형태의 히터 결합부(124)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A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의 라운드부(148c)가 상기 상부 챔버(15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즉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라운드부(148c)의 두 지점 간의 최대 거리는 상기 상부 챔버(15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f the
<하부 케이스> <Bottom cas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8 is a lower part of the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하부 트레이(250), 하부 서포터(270)와, 하부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6 to 18 ,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Also, the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탄성 부재(36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The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3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각각 제 1 링크(352)와 제 2 링크(356)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그리고, 두 개의 제 1 링크(352) 중 어느 한 링크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Also, one of the two
상기 두 개의 제 1 링크(352)는 연결 샤프트(도 4의 37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two
상기 제 2 링크(356)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터 바디(310)가 관통할 수 있는 홀(358)이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고정을 위한 하부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 고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는 상기 개구(212)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를 관통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둘러싸는 둘레 벽(214)(또는 커버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둘레 벽(214)은 수직벽(214a)과 곡선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다.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21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벽이다. The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슬릿(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슬릿(214b)은 상기 수직벽(214a)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 슬릿(215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곡선벽(215)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를 더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는 도 17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7)는 도 17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와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 보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곡선벽(215)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곡선벽(215)에는 체결 부재의 이동을 홈(215b)이 구비된다.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member to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슬롯(218)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은 상기 수직벽(214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일 예로, 복수의 슬롯(218)이 도 1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218)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21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8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일부가 상기 곡선벽(215)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측면 둘레 일부와 접촉하는 연장벽(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219)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하부 트레이> <Lower tray>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Figure 19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0 and 21 are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of the lower tray.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9 to 22, the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If the
이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형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after the shape of the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하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하부 챔버(252)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복수의 하부 챔버(252)를 정의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하부 챔버(252)는,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독립적인 3개의 하부 챔버(252a, 252b, 2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25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252d)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도 19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하부 챔버(252)는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형 얼음 중 하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명세서에서 반구와 유사한 형태는, 완전한 반구는 아니나 반구에 거의 가까운 형태를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hemisphere-like shape refers to a shape that is not a complete hemisphere but is almost similar to a hemisphere.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와 접촉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둘러쌀 수 있다. The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을 둘러싸는 제 1 벽(260a)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을 둘러싸는 제 2 벽(260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벽(260a)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벽이다.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벽이다. 즉,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챔버(2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둘레 벽(26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제 1 연장부(25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253)와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단차를 형성한다. The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슬롯(218)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상부 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제 1 벽(26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255)가 도 19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first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의 돌기 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하부 돌기(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first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와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하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2 연장부(254)에는 복수의 관통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복수의 관통홀(256)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관통홀(256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hrough
일 예로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이 도 1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이 도 1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은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25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25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상부 돌기(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제 2 벽(260b)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258)가 도 1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second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수용홈(218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가 상기 수용홈(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곡선벽(215)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 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1 벽(260a)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제 1 벽(260a)의 측면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드는 목부(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262a)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슬릿(214b)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 돌기(2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2 벽(260b)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2 결합 슬릿(215a)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하부 돌기(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 중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와 하부 챔버(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측면 제한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하부 서포터(2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된다. The
따라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측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하부 서포터> <Lower Supporter>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25는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6의 D-D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Figure 23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the low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D-D in Figure 16.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서포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23 to 25, the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3개의 챔버 벽(252d)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챔버 수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수용부(27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3개의 챔버 수용부(272)에 대응하도록 3개의 하부 개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개구(274)의 둘레를 따라서 강보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275)가 구비될 수 있다.A reinforcing
또한, 상기 3개의 챔버 벽(252d) 들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 벽(252d) 들은 연결 리브(27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리브(273)는 상기 챔버 벽(252d)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wo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2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1 연장벽(285)의 테두리에서 제 1 연장벽(285)과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 연장벽(2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상면은 상기 제 1 연장벽(28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2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돌기 홈(287)은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제 1 체결 부재(B2)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홈(28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이 상기 제 2 연장벽(286)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 중 일부는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인접하는 두 개의 돌기 홈(28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보스 관통홀(28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을 관통한 제 2 체결 보스(217)를 둘러싸는 슬리브(286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ss through
상기 제 1 체결 부재(B2)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방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체결홈(286a)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member B2 may pass through the
상기 제 2 체결 부재(B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3 may be fastened to the
상기 슬리브(286c)의 하단은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헤드부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 및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refore,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3, the head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3 contacts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벽(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외벽(280)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각 힌지 서포터(135, 136)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는 도 2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 바디(281, 282)는 제 2 힌지 홀(28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제 2 힌지 홀(281)에는 상기 제 1 링크(352)의 샤프트 연결부(353)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 간격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2 링크(35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샤프트(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샤프트(383)는 상기 외벽(28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탄성 부재(36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부재 결합부(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가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에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360)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70)의 하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284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하부 히터의 결합 구조> <Combined structure of lower heater>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하부 서포터에 하부 히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하부 어셈블리가 상부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히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26 is a plan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eater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er of Figure 26, and Figure 28 is a state in which the low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upper assembly. This diagram shows the wire connected to the lower heater penetrating the upper case.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아이스 메이커(100)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열을 가하기 위한 하부 히터(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6 to 28, the
상기 하부 히터(296)는 제빙 과정에서 열을 상기 하부 챔버(252)로 제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상측부에서부터 얼기 시작하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제빙 과정에서 발열함에 따라서, 제빙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빙 완료 시, 구형 얼음 중 최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형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상기 하부 히터(296)는, 일 예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챔버(252)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세 개의 챔버 벽(252d)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히터(296)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 결합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 결합부(29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챔버 수용부(272)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히터 수용홈(29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함몰에 의해서 상기 히터 결합부(290)는, 내벽(291a)과 외벽(291b)을 포함할 수 있다.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상기 내벽(291a)은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벽(291b)은 상기 내벽(29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용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내벽(291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When the
상기 내벽(291a)이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하부 개구(274)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 수용부(272)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챔버 벽(252d)이 수용되면, 상기 챔버 벽(252d)은 상기 내벽(29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내벽(291a)의 상면은 반구 형태의 챔버 벽(252d)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면이다. The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296)의 직경은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함몰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외벽(291b)과 내벽(291a) 중 하나 이상에는 이탈 방지 돌기(291c)가 구비될 수 있다. To prevent the
도 26에는 상기 내벽(291a)에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Figure 26 shows that the
상기 내벽(291a)의 직경이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직경 보다 작으므로, 상기 하부 히터(196)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196)는 상기 챔버 수용부(272)의 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다. Since the diameter of the
즉, 상기 하부 히터(196)가 외벽(291a)의 상방에서 상기 내벽(291a)을 향하여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1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내벽(29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lower heater 196 is received in the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내벽(291a)의 상단부에서 상기 외벽(291b)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의 돌출 길이는 상기 외벽(291b)과 내벽(291a)의 간격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도 27과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라운드부(296a)와 직선부(296b)로 구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7, when the
즉, 상기 히터 수용홈(291)이 라운드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용홈(296)의 라운드부와 직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라운드부(296a)와 직선부(296b)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라운드부(296a)는 상기 하부 챔버(25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며,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된 부분이다. The
상기 직선부(296b)는 각각의 하부 챔버(252)에 대응되는 상기 라운드부(296a)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The
상기 하부 히터(296) 중에서 라운드부(296a)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질 우려가 크므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는 상기 라운드부(296a)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상기 히터 수용홈(291)의 바닥면에는 관통 개구(29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용될 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는 상기 관통 개구(291d)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돌기(291c)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 개구(291d)가 위치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하부 히터(296)가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되면 상기 상부 히터(296)의 텐션이 증가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고,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빠질 우려가 높다. When the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관통 개구(291d)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하부 히터(296)의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291d)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하부 히터(296)의 텐션을 줄이며,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하부 히터(296)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However, when a through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수용된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홈(293)과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홈(29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은 일 예로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의 단부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서 화살표 A 방향은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축(C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다. Additionally, the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은 3개의 챔버 수용부에서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의 챔버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일 예로 도 27에서는 3개의 챔버 수용부 중 좌측에 위치되는 챔버 수용부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이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As an example, in FIG. 27, the
도 27와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이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에 수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7, the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c)은 하나의 제 1 커넥터(297a)에 연결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297a)에는 상기 전원 입력단(296a)과 전원 출력단(296b)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전선(298)이 연결된 제 2 커넥터(297b)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297b)에 연결된 전선(298)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의 단부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된 인출 슬롯(295)을 통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부로 인출된다. And,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되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조립 완료 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297a)와 상기 제 2 커넥터(297b)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에 수용되므로, 상기 전선(298)의 일부는 상기 제 2 가이드홈(294)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인출 슬롯(295)에 의해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부에 위치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이때,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축(C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전선(298)의 일부도 상기 회전 중심축(C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상기 전선(298)의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C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이러한 상기 전선(298)의 배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전선(298)에는 인장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비틀림력(torsion)이 작용한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of the
상기 전선(298)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상기 전선(298)이 단선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tensile force acts on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전선(298)으로 비틀림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전선(298)의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상기 제 2 가이드 홈(294) 중 하나 이상에는 내부에 수용된 하부 히터(291) 또는 전선(298)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293a)가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에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 입력단(296c)과 전원 출력단(296d)에서도 열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이 연장되는 좌측의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이 다른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 보다 크다. The
이 경우, 각 챔버 수용부로 제공되는 열의 크기다 다르면 제빙 및 이빙 완료 후 완성되는 구형 얼음의 투명도가 얼음 별로 달라질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heat provided to each chamber receiving part is different, the transparency of the spherical ice completed after ice making and moving may be different for each ice.
따라서, 얼음 별로 투명도의 차이가 커지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3개의 챔버 수용부 중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293)과 가장 멀리 위치된 챔버 수용부(일 예로 우측 챔버 수용부)에는 우회용 수용홈(29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transparency for each ice,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for example, the right chamber accommodating part) located furthest from the
일 예로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은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후에 다시 상기 히터 수용홈(291)에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에 상기 하부 히터(291)가 추가로 수용되면, 우측의 챔버 수용부(272)에 수용된 챔버 벽과 상기 하부 히터(296)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If the
따라서, 우측의 챔버 수용부(272)에는 상기 우회용 수용홈(292)에 수용된 하부 히터의 위치 고정을 위한 돌기(292a)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외측으로 인출된 전선(298)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전선 관통 슬롯(138)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when the
상기 전선 관통 슬롯(138)에는 상기 전선 관통 슬롯(138)을 관통한 전선(298)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용 가이드(1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용 가이드(139)는 다수 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한용 가이드가 형성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전선(298)이 위치될 수 있다. The
도 29는 도 3a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3A, and FIG. 3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ce creation is completed in the drawing of FIG. 29.
도 29에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Figure 29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in contact.
먼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가 완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29, as the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접촉된다. The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가해진다. At this time, while the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을 가압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과 접촉된 상태에서 각 면이 상호 가압되어 밀착력이 향상된다. Accordingly,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 사이에 밀착력이 증가되면, 두 면 사이의 틈새가 없어서 제빙의 완료 후에 구형 얼음의 둘레를 따라 얇은 띠 형상의 얼음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에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이 접촉된다. The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2 연장부(254)가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With the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수직벽(26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급수부(18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된 경우,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지 못하는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도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a larger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han the volume of the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둘레 벽(260)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유입 개구(154) 또는 상기 상부 챔버(15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With the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는 상기 하부 히터(296)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히터 접촉부(25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하면에서 돌출돌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하면에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접촉부(251a)의 하면을 평면일 수 있다. The heater contact portion 251a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히터(296)가 상기 히터 접촉부(251a)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는 상기 하부 챔버(252)의 높이의 중간 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측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볼록부(251b)의 두께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볼록부(251b)의 하측에는 함몰부(251c)가 형성된다. A depression 251c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완전하게 동일한 것 및 동일하지 않으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In this specification, “substantially the same”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ings that are completely the same and things that are not the same but are similar enough to have little difference.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부 개구(27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볼록부(251b)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D1 of the
상기 얼음 챔버(11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 상태의 얼음으로 상변화된다. 이때,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물이 팽창되고, 물의 팽창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및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각각으로 전달된다. When cold air is supplied to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의해서 둘러싸이나, 상기 서포트 바디(271)의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부분(이하 "대응 부분"이라 함)은 둘러싸이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other part of the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가 완전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물의 팽창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중 상기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대응 부분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274) 측으로 변형된다. If the
이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로 존재하게 되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구형의 얼음에서 상기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 만큼 돌기 형태의 추가적인 얼음 생성된다. In this case, before ice is created, the water supplied to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빙 완료된 얼음의 완전한 구형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볼록부(251b)를 형성하였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가 되지 않으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볼록부(251b)가 상기 하부 개구(274) 측을 향하여 변형되므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볼록부(251b)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 개구(274)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D1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 의한 얼음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c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31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flow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of creating ice in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급수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4는 제빙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 water supply state, and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n ice-making state.
도 35는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6은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7은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 state of complete de-icing, 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n initial state of moving, and FIG. 3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 complete state of ice-making.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31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상부 히터(148)와, 상기 하부 히터(296)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1 to 37 ,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4)로 냉기 공급을 위한 증발기의 제상을 위한 제상 히터(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설치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oor
일 예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냉동실(4)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730)는 상기 냉동실 도어(6)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제공되는 저장실의 목표 온도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입력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일 예로, 상기 입력부(720)를 통해 상기 냉장실(3) 및 상기 냉동실(4) 각각의 목표 온도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arget temperature of each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4 can be set and changed through the
상기 제어부(700)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제빙 과정에서, 제상이 시작되거나, 도어 개폐 감지되거나, 목표 온도의 변경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현재의 하부 히터의 출력을 유지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다. Also,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when defrosting starts, door opening/closing is detected, or a change in target temperature is detected, the current output of the lower heater can be maintained or varied in response.
상기 하부 히터(296)의 구체적인 출력 조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pecific output control of the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S1). To create ice in the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후술할 이빙 완료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180)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된다. At the water supply standby position of th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C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시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8도 내외일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가 시작된다(S2). 일 예로, 상기 냉장고(1)의 외부 급수원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물 탱크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물이 급수부(190)로 유동한다. 그러면,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In this state, water supply begins (S2). As an example, water flows to the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유입 개구(154) 중 일 유입 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At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When water supply is completed, part of the supplied water may fill the
일 예로, 상기 상부 챔버(151)의 체적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의 체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의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volume of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channel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hree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을 따라 다른 하부 챔버로 유동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if there is no channel for the movement of water in the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하부 챔버(252) 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이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급수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제빙 위치로 이동된다. When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일 예로, 도 34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180)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4 ,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가까워지게 된다. When the
그러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Then, the water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And, when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밀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제빙 위치라 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S4). Ice making begins with the
제빙 중에는 물의 가압력(또는 물의 팽창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 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During ice making, the pressing force of water (or the expansion force of water) is less than the force to deform the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After ice making starts, the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이 시작되고 바로 하부 히터(296)가 온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하부 히터(296)의 온 조건이 만족되어야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다(S6). 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얼음 챔버(111)에 공급되는 물은 상온의 물이거나 상온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일 수 있다. 급수된 물의 온도는 물의 어는점 보다 높다. Specifically, in general, the water supplied to the
따라서, 급수 이후 냉기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낮아지다가 물의 어는점에 도달하면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s lowered by cold air after supplying water, and when the freezing point of water is reached, the water turns into ice.
본 실시 예의 경우,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기 전에는 상기 하부 히터(296)를 온시키지 않는다. 만약, 얼음 챔버(111)의 물의 어는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열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어는점에 도달하는 속도가 느려져, 결과적으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려진다. 즉, 얼음의 투명도와 무관하게 불필요하게 하부 히터가 작동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므로, 불필요한 하부 히터(296)의 작동에 따라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on condition of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일 예로,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최 상측(유입 개구 측)에서 물이 얼기 시작한 것임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이다. As an example, the on reference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for determining that water has begun to freeze at the uppermost side (inlet opening side) of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는 유입 개구(15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 및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막혀있으므로,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이 냉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유입 개구가 위치된 최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물이 어는 경우,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다. When water freezes in the
그리고,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의 얼음의 온도 보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가 높다. Also, the temperature of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온도 센서(500)가 얼음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않고, 상기 온도 센서(50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구조적인 배치에 의해서,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하였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 이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By this structural arrangement, in order to determine that ice has begun to be formed in the
즉,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온 기준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의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로서 온 기준 온도 보다 낮으므로,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생성된 것임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열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전달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 상태에서 제빙이 수행되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하부 챔버(252)에 수용된 물로 열이 공급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Accordingly, when ice making is performed with the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의 밀도는 얼음의 밀도 보다 크므로, 물 내의 기포가 하측으로 쉽게 이동하여 하측으로 모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ice is created from the top within the
상기 얼음 챔버(111)가 구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높이 별로 수평 단면적이 다르다. Since the
상기 얼음 챔버(111)로 동일한 냉기량이 공급된다고 가정할 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동일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의 높이 별로 수평 단면적이 다므로, 높이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위 시간 당 얼음이 생성되는 높이가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 Assuming that the same amount of cold air is supplied to the
이 경우, 물 속의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한 채로 얼음에 포함되어 얼음이 불투명해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air bubbles in the water are included in the ice without being able to move downward, making the ice opaqu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높이에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가변하여 제어한다(S7).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얼음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은 증가하다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경계에서 최대가 되고 다시 하측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에 따른 수평 단면적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가변한다.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ice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reaches a maximum at the boundary between the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블록부(251b)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generating i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35와 같이 상기 블록부(251b)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If ice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is state, the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The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를 오프시킬 수 있다(S9).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온도 센서(500)와 각 얼음 챔버(111) 간의 거리가 다르므로, 모든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0)는,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이빙을 시작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상부 히터(148)를 작동시킨다(S10).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접촉면으로 전달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a)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 간에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heat of the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상부 히터(148)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180)을 작동시킨다(S11). When the
도 36과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As shown in FIG. 36, w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다.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During the moving process,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ce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또는,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re may be cases where ice is not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 방향 회전 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과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state, during the rotation of the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ice is supported by the
만약,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더라도 도 35와 같이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가압되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During the rotation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Specifically, while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And, when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Ic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유닛(180)을 제어한다. Afte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25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If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 방향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고,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빠지게 된다. In addition,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대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Then, when the
도 38은 얼음 챔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 별 하부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의 (a)는, 구 형태의 얼음 챔버를 높이 별로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것을 보여주고, 도 38의 (b)는, 얼음 챔버의 높이 구간 별 하부 히터의 출력량을 보여준다. Figure 38 is a diagram to explain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ice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Figure 38(a) shows a spherical ice chamber divided into a number of sections according to height, and Figure 38(b) shows the output amount of the lower heater for each height section of the ice chamber.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직경이 50mm인 구 형태의 얼음 챔버(또는 얼음의 간격)를 6mm 간격(기준 간격)으로 9개의 구간(A 구간 내지 I 구간)으로 구분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여, 얼음 챔버(또는 얼음의 직경)의 직경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spherical ice chamber (or ice interval) with a diameter of 50 mm is divided into 9 sections (section A to section I) at 6 mm intervals (standard interval), and the i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diameter of the chamber (or the diameter of the ice) and the number of distinct sections.
도 39는 급수 및 제빙 과정에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하부 히터의 출력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0은 얼음의 높이 구간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39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put amount of the lower heater during the water supply and ice making process, and Figure 40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ce creation step by step for each ice height section.
도 40에서 I는 생성된 얼음이고 W는 물이다. In Figure 40, I is produced ice and W is water.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얼음 챔버를 기준 간격으로 구분하는 경우, 구분되는 각 구간 별 높이는 A 구간 내지 H 구간은 동일하고, I 구간은 나머지 구간 보다 높이가 낮다. 물론, 얼음 챔버(또는 얼음의 직경)의 직경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 따라서, 구분되는 모든 구간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8 and 39, when the ice chamber is divided by a standard interval, the height of each divided section is the same for sections A to H, and section I is lower than the remaining sections. Of course,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ice chamber (or the diameter of ice) and the number of divided sections, the height of all divided sections may be the same.
다수의 구간 중에서 E 구간이 얼음 챔버의 최대 수평 직경을 포함하는 구간이므로, 부피가 최대이고, E구간에서 상측 구간 및 하측 구간으로 갈수록 부피가 줄어든다. Among the multiple sections, section E is the section containing the maximum horizontal diameter of the ice chamber, so the volume is the maximum, and the volume decreases from section E to the upper section and lower s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냉기량이 공급되고,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일정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E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느리고, A구간 및 I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빠르다. 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same amount of cold air is supplied and the output of the
이러한 경우, 각 구간 별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달라 구간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지게 되고, 특정 구간에서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너무 빨라 기포를 포함하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 speed of ice formation in each section is different, so the transparency of the ice varies for each section, and in certain sections, the speed of ice creation is too fast, causing the problem of inclusion of air bubbles.
본 발명에서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물 속의 기포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구간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지도록, 상기 하부 히터(296)를 제어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E 구간의 부피가 가장 크므로, E 구간에서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5)이 최대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volume of the E section is the largest, the output (W5) of the
그리고, E 구간의 부피 보다 D 구간의 부피가 작으므로, 부피가 작아지는 만큼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라져, 얼음 생성 속도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Also, since the volume of the D sectio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E section, the speed of ice production increases as the volume de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delay the ice production rate.
따라서, D 구간에서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6)은 E 구간에서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5)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put W6 of the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C 구간 부피가 D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C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3)은 D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4)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For the same reason, since the volume of section C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section D, the output W3 of the
또한, B 구간 부피가 C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B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2)은 C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3)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volume of section B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section C, the output (W2) of the
또한, A 구간 부피가 B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A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1)은 B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2)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volume of section A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section B, the output (W1) of the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F 구간 부피가 E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F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6)은 E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5)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For the same reason, since the volume of the F sectio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E section, the output (W6) of the
또한, G 구간 부피가 F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G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7)은 F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6)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volume of the G sectio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 section, the output (W7) of the
또한, H 구간 부피가 G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H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8)은 G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7)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volume of the H sectio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G section, the output W8 of the
또한, I 구간 부피가 H 구간의 부피 보다 작으므로, I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9)은 H 구간의 하부 히터(296)의 출력(W8)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volume of the I sectio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H section, the output (W9) of the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 변화 패턴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최초로 온된 후에, 최초 구간에서 중간 구간 까지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Accordingly, looking at the output change pattern of the
그리고, 얼음 챔버(111)의 중간 구간(수평 직경이 최대인 구간)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최소가 된다. And, the output of the
그리고, 상기 얼음 챔버(111)의 중간 구간의 다음 구간에서부터는 다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And, from the next section of the middle section of the
도 39와 같이,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가 증가될 수록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각 구간 별 구간 기준 온도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9, as the height of ice produced increases,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에서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다음 구간의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하부 히터의 출력으로 가변한다.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도 38의 (a)에는 이해가 쉽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볼록부(252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In (a) of FIG. 38, it is assumed that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볼록부(252b)가 구비되므로, 실제로 얼음 챔버(111)에서 구간의 개수에 따라서, I 구간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I 구간이 상기 블록부(252b)가 위치되는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어느 경우든, 상기 블록부(252b)를 포함하는 구간이 상기 다수의 구간 중에서 최종 구간에 해당할 수 있고, 해당 구간의 부피에 기초하여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In any case, the section including the
이러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 제어에 의해서 각 구간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균일해지고, 최하측 구간으로 기포가 모이게 되어, 얼음 전체적으로 국부적인 부분에 기포가 모이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도 41은 제빙 과정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시작되는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begin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38 및 도 41을 참조하면, 제빙이 시작되고(S4), 제빙 과정에서 하부 히터(296)가 온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4)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의 제상이 시작될 수 있다(S21). Referring to FIGS. 38 and 41, ice making begins (S4), and while the
일 예로 상기 제상 히터(710)를 온시켜 제상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상 수행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As an example, defrosting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n the
제상 히터(710)에 의해서 제상이 수행되면, 상기 냉동실(4)로 냉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공급되는 냉기량이 적거나,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높을 수 있다. When defrosting is performed by the
따라서, 제상 과정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주변의 냉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높다. Therefore,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around the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작동하는 중에 제상이 수행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는 열이 과도해진다. In this way, if defrosting is performed while the
이 경우,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려져 원하는 시간 대에 얼음을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생성되는 얼음의 구간 별 투명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reate ice at the desired time because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is s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varies for each section.
따라서, 상기 제빙 과정 중에 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150)의 출력의 감소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 Accordingly, when defrosting begins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 이전의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 이전의 구간인 경우, 상기 하부 히터(150)의 출력의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38에서 B 구간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중에 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다음 구간인 C 구간에 대응하는 출력(W3)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S23). For example, in FIG. 38, when defrosting begins while ice is being created in section B, the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과도한 열이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하부 히터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by reducing the output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킨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700)는, 구간 별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after reducing the output of the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출력 감소시킨 구간의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한다.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output of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 구간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W2 만큼의 출력으로 작동하는 중에, 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감소되어, W3 만큼의 출력으로 작동한다. Specifically, when defrosting begins while the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B 구간의 다음 구간인 C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C 구간의 출력(W3)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히터(296)가 W3의 출력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An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그리고, 순차적으로, D 구간 내지 H 구간에 대응하는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And, sequentially, the output of the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구간에서만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다음 구간이 시작되면, 다음 구간에서는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한다(S7). In summary, the
이와 같이, 제상 시작 시점이 중간 구간 이전의 구간인 경우에는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얼음 생성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defrosting start time is a section before the middle section, the ice generation delay time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output of the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 히터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유지되도록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일 예로,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E 구간)이며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를 오프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이때, 오프 기준 온도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ff reference temperature can be set to the temperature of the video.
그 이후,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F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다음 구간(F 구간)에 해당하는 출력(W6)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한다(S7). Afterwards,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E 구간)이며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S24). In addition, the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E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이렇게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이 유지되는 중에,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F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다음 구간(F 구간)에 해당하는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한다(S7). While the output of the
반면,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 이후의 구간인 경우에는, 얼음이 완성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이 많지 않으므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현재의 출력으로 유지하고, 얼음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section is a section after the middle section, there is not much time remaining until the ice is completed, so the
또는, 현재 구간이 중간 구간 이후의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현재의 출력으로 유지하다가,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감소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current section is a section after the middle section, the
일 예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이전 구간의 출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현재 구간이 G 구간인 경우,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감소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이전 구간인 F 구간에 대응하는 출력(W6)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그 이후에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H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다음 구간(H 구간)에 해당하는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a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이때, 상기 감소 기준 온도는 상기 오프 기준 온도와 동일하거나 낮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duction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equal to or lower than the off reference temperatur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상 과정에서 아이스 메이커 주변의 냉기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하부 히터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cold air around the ice maker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도 42는 제빙 과정에서 냉동실의 목표 온도가 가변되는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change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43은 냉동실의 목표 온도 증감에 따른 하부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Figure 4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utput of the lower heat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4)의 목표 온도에 맞추하여 냉기량(또는 압축기의 냉력 또는 냉기 온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냉기량이 상기 냉동실로 공급된다. Referring to Figures 42 and 43, the amount of cold air (or the cold power or cold air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4, and the determined amount of cold air is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각 구간 별 상기 하부 히터(296)의 기준 출력은, 미리 결정된 냉기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The reference output of the
그런데, 상기 냉동실(4)의 목표 온도가 가변되면,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주변의 냉기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4 changes, the amount of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4 changes and the cold air temperature around the
만약, 상기 냉동실(4)의 목표 온도가 감소되면,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많아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주변의 냉기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If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4 decreases, the amount of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4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around the
반면, 상기 냉동실(4)의 목표 온도가 증가되면,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줄어들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주변의 냉기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제빙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4 increases, the amount of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4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around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목표 온도의 가변과 무관하게 투명한 얼음이 일정한 제빙 속도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제빙이 시작되고(S4), 제빙 과정에서 상기 입력부(720)를 통해 냉동실(4)의 목표 온도 변경이 감지된다(S31). For example, ice making starts (S4), and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a chang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4 is detected through the input unit 720 (S31).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목표 온도가 증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Then, the
단계 S3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온도가 증가되었으면,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 및 나머지 구간 각각의 기준 출력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구간 별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 if the target temperature has increased, the
반면, 상기 목표 온도가 감소되었으면, 상기 제어부(700)는 현재 구간 및 나머지 구간 각각의 기준 출력을 증가시키고(S34), 증가된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구간 별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5). 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temperature has decreased, the
본 실시 예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기준 출력을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output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may be predetermin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목표 온도 가변에 따라서 냉기량이 가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하부 히터의 구간 별 기준 출력을 증감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이 일정한 제빙 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at a constant ice-making spe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eference output for each section of the lower heater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cold air varies depending on the target temperature.
도 44는 제빙 과정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된 경우의 하부 히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when a door opening is detected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44를 참조하면, 제빙이 시작되고(S4), 제빙 과정에서 하부 히터(296)가 온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4)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6)의 개방이 감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냉장실(3)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냉장실 도어(5)의 개방이 감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4, while ice making starts (S4) and the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도어 닫힘이 감지된 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After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and the door closing is detected, the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되면 외부 공기가 냉동실(4)로 공급되므로, 냉동실(4)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4)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증가된다. 도어의 개방 시간이 길수록, 온도 증가 폭은 크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4, so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4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er 4 increas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단계 S4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현재 출력을 감소시킨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를 오프시킬 수 있다(S44).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반면,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부 히터(296)의 현재 출력을 유지한다. 즉, 도어의 개방 시간이 짧은 경우, 온도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을 유지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오프된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5). When the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오프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하강하게 되고,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다음 구간의 기준 출력으로 상기 하부 히터(296)를 작동시킨다(S46). 그리고,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구간 별 하부 히터(296)의 출력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7.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 개폐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하부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투명한 얼음이 일정한 제빙 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at a constant ice-making speed by controlling the lower heater in consideration of temperature changes in the freezer due to door opening and closing.
100: 아이스 메이커 110: 상부 어셈블리
120: 상부 케이스 150: 상부 트레이
170: 상부 서포터 200: 하부 어셈블리
210: 하부 케이스 250: 하부 트레이
270: 하부 서포터 296: 하부 히터100: ice maker 110: upper assembly
120: upper case 150: upper tray
170: upper supporter 200: lower assembly
210: lower case 250: lower tray
270: lower supporter 296: lower heater
Claims (21)
상기 얼음 챔버의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얼음 챔버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가 제어부에 의해서 온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은 다수의 구간 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제빙 과정에서 증발기의 제상이 시작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including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forming a spherical ice chamber,
starting ice making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 chamber is completed;
turning on a heater for supplying heat to the ice chamber by a control unit after the ice making starts;
Variating the output of the heater by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ice making has been comple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urning off the heater,
In the ice-making process, the reference output of the heater is predetermined for each multiple section,
When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begins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he control unit may reduce the output of the heater in the current section.
상기 제어부는,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히터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히터를 온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on condition of the heater is satisfied after ice making starts, and turns on the heater if the on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히터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heater 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reaches the on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의 온도인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w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below zero.
상기 제어부는, 각 구간 별로 상기 히터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in which the control unit varies the output of the heater for each section.
상기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출력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5,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in which, in the stage where the output of the heater is varied, the output of the heater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상기 얼음 챔버의 높이를 기준으로, 다수의 구간은 수평 방향 직경이 최대인 중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의 출력은 최초 구간에서 상기 중간 구간까지 단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간 구간에서 최종 구간 까지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6,
Based on the height of the ice chamber, the plurality of sections include a middle section with a maximum horizontal diameter,
The output of the hea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section to the middle section,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that increases step by step from the middle section to the final section.
상기 다수의 구간 각각의 기준 온도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으로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is predetermin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with a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ction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next section.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이 다수의 구간 중 중간 구간 이전의 구간인 경우 상기 히터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herein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output of the heater when the current section is a section before the middle section among multiple sections.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간의 상기 히터의 출력을 바로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으로 감소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herein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output of the heater in the current section to a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immediately next section.
상기 제 1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바로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구간에 해당하는 기준 출력으로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section,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in which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heater with a referenc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ction.
상기 얼음 챔버의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얼음 챔버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가 제어부에 의해서 온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은 다수의 구간 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제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위치되는 저장실의 목표 온도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온도의 증감 여부에 따라서, 구간 별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을 증감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including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forming a spherical ice chamber,
starting ice making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 chamber is completed;
turning on a heater for supplying heat to the ice chamber by a control unit after the ice making starts;
Variating the output of the heater by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ice making has been comple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urning off the heater,
In the ice-making process, the reference output of the heater is predetermined for each multiple section,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when a change i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or decreases,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that increases or decreases the standard output of the heater for each s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or de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가 증가되면, 구간 별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목표 온도가 감소되면, 구간 별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을 증가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ncreases,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reference output of the heater for each section,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that increases the standard output of the heater for each section when the target temperature decreases.
상기 얼음 챔버의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얼음 챔버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가 제어부에 의해서 온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히터의 출력이 가변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히터의 기준 출력은 다수의 구간 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제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위치되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히터의 출력 가변 여부를 결정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including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forming a spherical ice chamber,
starting ice making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 chamber is completed;
turning on a heater for supplying heat to the ice chamber by a control unit after the ice making starts;
Variating the output of the heater by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ice making has been comple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urning off the heater,
In the ice-making process, the reference output of the heater is predetermined for each multiple section,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is detected,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vary the output of the heater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y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의 기준 온도 보다 높지 않으면, 상기 히터의 현재 출력을 유지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heate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that maintains the current output of the heater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not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section.
상기 히터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현재 구간 바로 다음 구간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다음 구간의 기준 출력으로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After the heater is turned off,
The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heater with a reference output of the next section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of the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urrent section.
상기 히터가 오프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 1 트레이로 열을 가열하는 추가적인 히터가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heater is turned off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ice maker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turning on an additional heater that heats the first tray for moving.
상기 추가적인 히터가 오프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제 1 트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0,
turning off the additional heat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moving the second tray so that the second tray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Priority Applications (25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117A KR102657068B1 (en) | 2018-11-16 | 2018-11-16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PCT/KR2019/012885 WO2020071772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5428.5A CN112805521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CN201980064597.7A CN112805516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US17/282,081 US1201316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24 US11898785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211726090.3A CN116222072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AU2019352420A AU201935242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19354477A AU201935447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3994.2A CN112771328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9868829.3A EP3862693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8711.3A EP3862665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68368.2A EP3862662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201.9A CN112771334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AU2019352424A AU2019352424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273.3A EP3862670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689.0A EP3862695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74 US12135158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911482.5A CN117168039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CN201980064141.0A CN112771329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US17/281,749 US12013168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PCT/KR2019/012866 WO2020071753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43.XA CN112771331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56 WO2020071746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2423A AU201935242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073356.7A CN116086086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854 WO2020071744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7/282,283 US12013165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69888.8A EP3862683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100 US12117225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955 US1189222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50 WO2020071740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69398.8A EP3862672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69400.2A EP3862673B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777 US1213006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69401.0A EP3862674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8593.5A EP3862664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8592.7A EP3862663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3701.0A CN112771327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CN202310035805.9A CN116294337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US17/281,833 US1210483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RU2021112395A RU2765876C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73.0A CN112771333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24198322.0A EP4450900A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70027.0A EP3862686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59 WO2020071748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42.5A CN112771330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5677A AU2019355677B9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79 WO2020071766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N202210946300.3A CN115289762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EP19869810.2A EP3862681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565 US1190623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232 US1210484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19353490A AU201935349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2421A AU201935242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582.0A CN112823264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EP19869687.4A EP3862680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501.7A EP3862701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80 WO2020071767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N202310990134.1A CN116972591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CN201980063550.9A CN112752940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9868828.5A EP3862667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24191180.9A EP4428471A3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74 WO2020071761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744393.6A CN116753649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EP19869274.1A EP3862671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U2019354475A AU2019354475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70028.8A EP3862687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87 WO2020071774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601.XA CN112789464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RU2022101439A RU2022101439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5675A AU2019355675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854205.5A CN116892810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EP23188915.5A EP4242558A3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30 US1184646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53.3A CN112771332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CN202210945279.5A CN115289761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AU2019354482A AU2019354482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PCT/KR2019/012883 WO2020071770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86 WO2020071773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94.2A CN112789460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980064554.9A CN112789468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US17/282,310 US20210341205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37 US11859888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N201980064602.4A CN112805517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PCT/KR2019/012863 WO2020071752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043.0A EP3862669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PCT/KR2019/012873 WO2020071760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88 WO2020071775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69 WO2020071756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19869919.1A EP3862684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855901.8A CN116878201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EP19869500.9A EP3862676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PCT/KR2019/012871 WO2020071758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62 WO2020071751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087331.2A CN116123784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872 WO2020071759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078886.0A CN116086087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US17/282,070 US1213515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70026.2A EP3862685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N201980065211.4A CN112789467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67 WO2020071754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2419A AU2019352419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7/282,320 US1199433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76 WO2020071763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PCT/KR2019/012851 WO2020071741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N201980065200.6A CN112805518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980063985.3A CN112771340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7/281,722 US20220003479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24193306.8A EP4435351A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60 WO2020071749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580.1A CN112789463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035847.2A CN116086075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CN201980065442.5A CN112912675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590 US1211722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EP19869688.2A EP3862694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4473A AU201935447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19869502.5A EP3862677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AU2019352422A AU2019352422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RU2022101436A RU2022101436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776 US12111089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70 WO2020071757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745808.1A CN116753650A (en) | 2018-10-02 | 2019-10-01 | ice maker |
EP19868827.7A EP3862666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212.7A CN112789462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2310014244.4A CN116202263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852 WO2020071742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19868594.3A EP3862691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8238.7A EP3862707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7/282,144 US1214036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701 US1189222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PCT/KR2019/012861 WO2020071750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5212.9A CN112789465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9868712.1A EP3862692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78 WO2020071765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3695.9A CN112771326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AU2019353487A AU2019353487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PCT/KR2019/012857 WO2020071747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RU2021112443A RU2765255C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irator |
US17/282,099 US11994330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768 US1174000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881 WO2020071768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1980064190.4A CN112789471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19/012884 WO2020071771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672 US1211722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210946306.0A CN115289764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CN202310014072.0A CN116182454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875 WO2020071762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122 US1187404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553 US12140362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76 US1183528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U2019355673A AU201935567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2,304 US12111091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591.8A EP3862679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310033550.2A CN115930511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864 US11835282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CN202210946301.8A CN115289763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868 WO2020071755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7/282,640 US12072133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PCT/KR2019/012853 WO2020071743A1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EP19870029.6A EP3862688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US17/281,779 US11920846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8945.7A EP3862708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7/281,753 US11879679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N201980064193.8A CN112789466A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door |
CN201980064202.3A CN112789461B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AU2019352426A AU2019352426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EP19869811.0A EP3862709A4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7/281,786 US11971204B2 (en) | 2018-10-02 | 2019-10-01 | Refrigerator |
PCT/KR2019/012919 WO2020071792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AU2019355691A AU2019355691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PCT/KR2019/012975 WO2020071822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N201980064555.3A CN112805522B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CN202310004026.2A CN116182467A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EP23192691.6A EP4253879A3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AU2019353516A AU2019353516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US17/281,950 US11841180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EP24189288.4A EP4455582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PCT/KR2019/012979 WO2020071825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AU2019355698A AU2019355698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EP19868715.4A EP3862699A4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EP19870035.3A EP3861263A4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EP19869690.8A EP3862702B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CN202310015402.8A CN116164465A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PCT/KR2019/012941 WO2020071802A1 (en) | 2018-10-02 | 2019-10-0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
AU2019354500A AU2019354500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7/281,936 US20210381741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7/282,061 US20210396444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US17/281,805 US11719478B2 (en) | 2018-10-02 | 2019-10-0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EP19869048.9A EP3861261A4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N202310994787.7A CN116972571A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9869505.8A EP3862678A4 (en) | 2018-10-02 | 2019-10-0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
CN201980063553.2A CN112867899B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US17/282,076 US11874049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CN201980064204.2A CN112771335B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9869276.6A EP3861262A4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PCT/KR2019/012977 WO2020071824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CN201980064213.1A CN112771336B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PCT/KR2019/012943 WO2020071804A1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US17/282,579 US12117226B2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
CN201980063556.6A CN112771337B (en) | 2018-10-02 | 2019-10-02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CN202310732873.0A CN116772472A (en) | 2018-10-02 | 2019-10-02 | Ice machine |
US18/209,157 US20230324096A1 (en) | 2018-10-02 | 2023-06-13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AU2023203978A AU2023203978A1 (en) | 2018-10-02 | 2023-06-23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23203969A AU2023203969A1 (en) | 2018-10-02 | 2023-06-23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8/214,732 US20230341166A1 (en) | 2018-10-02 | 2023-06-27 | Refrigerator |
AU2023204229A AU2023204229A1 (en) | 2018-10-02 | 2023-06-30 | Refrigerator |
AU2023204228A AU2023204228A1 (en) | 2018-10-02 | 2023-06-30 | Refrigerator |
AU2023204204A AU2023204204A1 (en) | 2018-10-02 | 2023-06-30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23204190A AU2023204190A1 (en) | 2018-10-02 | 2023-06-30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23204363A AU2023204363A1 (en) | 2018-10-02 | 2023-07-06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U2023204339A AU2023204339A1 (en) | 2018-10-02 | 2023-07-06 | Refrigerator |
AU2023204359A AU2023204359A1 (en) | 2018-10-02 | 2023-07-06 | Refrigerator |
US18/219,406 US20230349615A1 (en) | 2018-10-02 | 2023-07-07 | Refrigerator |
AU2023204603A AU2023204603A1 (en) | 2018-10-02 | 2023-07-12 | Refrigerator |
AU2023206157A AU2023206157A1 (en) | 2018-10-02 | 2023-07-19 | Refrigerator |
AU2023206156A AU2023206156A1 (en) | 2018-10-02 | 2023-07-19 | Refrigerator |
AU2023206135A AU2023206135A1 (en) | 2018-10-02 | 2023-07-19 | Refrigerator |
AU2023206136A AU2023206136A1 (en) | 2018-10-02 | 2023-07-19 | Refrigerator |
AU2023206205A AU2023206205A1 (en) | 2018-10-02 | 2023-07-20 | Refrigerator |
AU2023206206A AU2023206206A1 (en) | 2018-10-02 | 2023-07-20 | Refrigerator |
AU2023208097A AU2023208097A1 (en) | 2018-10-02 | 2023-07-25 | Refrigerator |
AU2023208100A AU2023208100A1 (en) | 2018-10-02 | 2023-07-25 | Refrigerator |
AU2023208102A AU2023208102A1 (en) | 2018-10-02 | 2023-07-25 | Refrigerator |
AU2023208173A AU2023208173A1 (en) | 2018-10-02 | 2023-07-27 | Refrigerator |
AU2023208188A AU2023208188A1 (en) | 2018-10-02 | 2023-07-27 | Refrigerator |
AU2023210670A AU2023210670A1 (en) | 2018-10-02 | 2023-08-04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U2023211723A AU2023211723A1 (en) | 2018-10-02 | 2023-08-07 | Refrigerator |
AU2023214235A AU2023214235A1 (en) | 2018-10-02 | 2023-08-08 | Refrigerator |
US18/231,892 US20230384014A1 (en) | 2018-10-02 | 2023-08-09 | Refrigerator |
US18/242,823 US20230408161A1 (en) | 2018-10-02 | 2023-09-06 | Refrigerator |
US18/385,070 US20240093928A1 (en) | 2018-10-02 | 2023-10-30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8/386,517 US20240068728A1 (en) | 2018-10-02 | 2023-11-02 | Refrigerator |
US18/511,242 US20240085079A1 (en) | 2018-10-02 | 2023-11-16 | Refrigerator |
US18/511,176 US20240085081A1 (en) | 2018-10-02 | 2023-11-16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8/538,053 US20240110738A1 (en) | 2018-10-02 | 2023-12-13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8/543,155 US20240118009A1 (en) | 2018-10-02 | 2023-12-18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8/396,059 US20240125532A1 (en) | 2018-10-02 | 2023-12-26 | Refrigerator |
US18/402,314 US20240230199A9 (en) | 2018-10-02 | 2024-01-02 | Refrigerator |
US18/409,336 US20240151447A1 (en) | 2018-10-02 | 2024-01-10 | Refrigerator |
US18/415,215 US20240151448A1 (en) | 2018-10-02 | 2024-01-17 | Refrigerator |
US18/425,673 US20240167748A1 (en) | 2008-01-21 | 2024-01-29 | Refrigerator |
US18/432,820 US20240175620A1 (en) | 2018-10-02 | 2024-02-05 | Refrigerator |
US18/442,463 US20240183598A1 (en) | 2018-10-02 | 2024-02-15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8/596,107 US20240210086A1 (en) | 2018-10-02 | 2024-03-05 | Refrigerator |
US18/649,073 US20240280307A1 (en) | 2018-10-02 | 2024-04-29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8/653,152 US20240280306A1 (en) | 2018-10-02 | 2024-05-02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8/662,388 US20240295354A1 (en) | 2018-10-02 | 2024-05-13 | Refrigerator |
US18/663,545 US20240361060A1 (en) | 2018-10-02 | 2024-05-14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8/675,801 US20240318889A1 (en) | 2018-10-02 | 2024-05-28 | Refrigerator |
US18/746,868 US20240337425A1 (en) | 2018-10-02 | 2024-06-18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117A KR102657068B1 (en) | 2018-11-16 | 2018-11-16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557A KR20200057557A (en) | 2020-05-26 |
KR102657068B1 true KR102657068B1 (en) | 2024-04-15 |
Family
ID=7091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2117A KR102657068B1 (en) | 2008-01-21 | 2018-11-16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70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21363887A1 (en) | 2020-10-22 | 2023-06-01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ice mak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03299A (en) * | 1992-01-23 | 1993-08-10 | Matsushita Refrig Co Ltd | Automatic ice making device |
JPH09269172A (en) * | 1996-03-29 | 1997-10-14 | Toshiba Corp | Icemaker |
US9472828B2 (en) * | 2011-04-22 | 2016-10-18 | Ube Industries, Ltd. |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ing same, and trifluoromethylbenzene compound |
KR101890939B1 (en) * | 2011-07-15 | 2018-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
-
2018
- 2018-11-16 KR KR1020180142117A patent/KR102657068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557A (en)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938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692985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581486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30133819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657068B1 (en)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
KR20230136583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57750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10005479A (en)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
KR20210005478A (en)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
KR20200057598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660521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RU2781073C1 (en) | Ice generator and refrigerator | |
KR20200112547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40095105A (en) | Ice maker | |
KR20210057319A (en)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
US20220349638A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10001764A (en) |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 |
KR20210098201A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00112548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