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 - 롤러블 표시 장치>
먼저,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롤러블 표시 장치를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돌돌 말린 롤러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한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100)이므로, 표시부(DP)는 와인딩 및 언와인딩(un-wi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표시 패널 및 백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HPO)가 배치된다. 표시부(DP)는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는 풀 언와인딩(full unwinding)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full winding)된 상태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언와인딩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언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와인딩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더 이상 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구동부가 배치된다.
<구동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헤드바 및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롤러(151) 및 표시부(DP)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헤드바(164) 및 표시부(DP)만을 도시하였고, 도 4에서는 하우징부(HP), 롤러(151) 및 표시부(DP)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MP)는 롤러부(150) 및 승강부(160)를 포함한다.
롤러부(150)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회전하며 롤러부(150)에 고정된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한다. 롤러부(150)는 롤러(151), 롤러 지지부(152) 및 롤러 회전부(153)를 포함한다.
롤러(151)는 표시부(DP)가 와인딩되는 부재이다. 롤러(151)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15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고정될 수 있다. 롤러(151)가 회전하면, 롤러(151)에 하측 엣지가 고정된 표시부(DP)가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반면에, 롤러(15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5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5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다. 롤러(151)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롤러 지지부(152)는 롤러(151)의 양측에서 롤러(151)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롤러 지지부(152)는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에 배치된다. 그리고 롤러 지지부(152)의 상단 측면은 롤러(151)의 양측 끝단과 결합된다. 이에, 롤러 지지부(152)는 롤러(151)가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롤러(151)는 롤러 지지부(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롤러 회전부(153)는 롤러(151)를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지지부(152)에 각각 롤러 회전부(15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회전부(153)는 롤러(1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승강부(160)는 롤러부(150)의 구동에 맞춰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160)는 링크 지지부(161), 링크부(162), 링크 승강부(163) 및 헤드바(164)를 포함한다.
링크 지지부(161)는 링크부(162) 및 링크 승강부(163)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링크 지지부(16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부(162) 및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의 경계에 충돌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링크 지지부(161)는 링크부(162) 및 표시부(DP)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링크부(162)는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의 링크(162L)를 포함한다.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링크 승강부(16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부(16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시키거나,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링크부(162)에 연결된 표시부(DP)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링크 승강부(163)는 롤러 회전부(153)와 구동이 동기화되어, 롤러부(150)와 승강부(160)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때, 롤러부(150)는 롤러(151)에 표시부(DP)가 와인딩되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승강부(160)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를 회전시켜 표시부(DP)가 하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때, 롤러부(150)는 롤러(151)로부터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되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승강부(160)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를 회전시켜 표시부(DP)가 상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승강부(160)의 헤드바(164)는 표시부(DP)의 최상단에 고정된다. 헤드바(164)는 링크부(162)와 연결되어,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의 회전에 따라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표시부(DP)는 헤드바(164)에 의해 링크부(162) 및 링크 승강부(16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헤드바(164)는 표시부(DP)의 최상단에서, 표시부(DP)의 정면 및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헤드바(164)는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를 포함한다. 제1 헤드바(164a)는 표시부(DP)의 정면을 덮는다. 제1 헤드바(164a)는 표시부(DP)에 정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표시부(DP)의 최상단 엣지에 인접하는 정면의 일부분만을 덮는다.
제2 헤드바(164b)는 표시부(DP)의 배면을 덮는다. 제2 헤드바(164b)는 표시부(DP)의 최상단 엣지에 인접하는 배면의 일부분을 덮는다. 다만, 표시부(DP)의 배면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제2 헤드바(164b)는 제1 헤드바(164a)보다 표시부(DP)에 더 많이 중첩할 수 있다.
표시부(DP)를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에 체결하기 위해, 표시부(DP)에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SC)는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여 제1 헤드바(164a), 표시부(DP) 및 제2 헤드바(164b)를 체결할 수 있다.
제2 헤드바(164b)에는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체결되는 팸 너트(PN)가 배치된다. 팸 너트(PN)에 의해 제2 헤드바(164b)와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링크부(162)에 체결된 제2 헤드바(164b)와, 제2 헤드바(164b)에 체결된 제1 헤드바(164a) 및 표시부(DP)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가 일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구동부(MP)의 구동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롤러(15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연결된다. 그리고 롤러(151)가 롤러 회전부(153)에 의해 제1 방향(DR1),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부(DP)는 표시부(DP)의 배면이 롤러(15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반대로, 롤러(151)가 롤러 회전부(153)에 의해 제2 방향(DR2),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5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51)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한 구동부(MP) 이외에 다른 구조를 갖는 구동부(MP)가 표시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표시부(DP)를 와인딩 및 언와인딩할 수 있다면, 상술한 롤러부(150) 및 승강부(160)의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표시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롤러부(150) 및 승강부(16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DP)는 백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백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인쇄 회로 기판(140), 및 고정 부재(17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및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서브 화소는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된 본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본딩 영역(BA)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A) 중 표시 영역(AA)의 일 측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플렉서블 필름(130)이 본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딩 영역(BA)에는 플렉서블 필름(130)이 본딩되기 위한 다양한 패드 및 패드와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각종 부품이 배치된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의 일단에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필름(130)은 비표시 영역(NA) 중 본딩 영역(BA)에 배치되어 본딩 영역(BA)에 본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플렉서블 필름(130)이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필름(13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플렉서블 필름(130)에,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는 실장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가 플렉서블 필름(130)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일단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IC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가 실장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신호는 플렉서블 필름(130)을 통해 표시 패널(120)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140)이 1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쇄 회로 기판(14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의 배면에서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한다. 이에,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백커버(110)는 외부로부터 표시부(DP)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0)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나, 백커버(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는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바(Invar)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백커버(110)의 물질은 설계에 따라 열 변형량, 곡률 반경, 강성 등의 물성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부재(170)는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의 일단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백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70)는 별도의 기구물을 통해 백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부재(170)와 백커버(110)의 고정 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고정 부재(170)는 표시 장치(1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의 일단을 가압하여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고정 부재(170)는 표시 패널(1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70)는 판 스프링, 금속층 또는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부재(170)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기판(121), 버퍼층(122), 화소부(123), 봉지층(124) 및 봉지 기판(125)을 포함한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2)은 기판(121)의 외측에서 침투한 수분 및/또는 산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122)은 실리콘 산화물(SiOx) 및 실리콘 질화물(SiNx)의 단층이나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부(123)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부(123)는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는 유기 발광층으로 정공을 공급할 수 있고,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는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Zinc Tin Oxide; IT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 발광층은 애노드로부터 정공을 공급받고,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의 색상에 따라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청색 유기 발광층 및 백색 유기 발광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층이 백색 유기 발광층인 경우, 다양한 색상의 컬러 필터가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는 유기 발광층에 전자를 공급할 수 있고,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는 마그네슘(Mg),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표시 패널(120)은 탑 에미션(top emission) 또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상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탑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상부로, 즉, 캐소드 측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 하부에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하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바텀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하부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부(123)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된다.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화소부(123) 상에 화소부(123)를 덮는 봉지층(124)이 배치된다. 봉지층(124)은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한다. 봉지층(124)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24)은 복수의 무기층과 복수의 유기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알루미늄 산화물(AlOx)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기층은 에폭시(Epoxy) 계열 또는 아크릴(Acryl) 계열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층(124) 상에 봉지 기판(125)이 배치된다. 봉지 기판(125)은 봉지층(124)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봉지 기판(125)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호일(foil) 혹은 박막 형태로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철(Fe)과 니켈의 합금 재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봉지 기판(125)을 금속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봉지 기판(125)을 초박막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 및 긁힘에 강한 내보호성이 제공될 수 있다.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 사이에 제1 접착층(AD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AD1)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소부(123)는 버퍼층(122) 및 봉지층(124)에 의해 밀봉될 수 있고,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는 버퍼층(122)과 제1 접착층(AD1)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봉지 기판(125)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AD1)은 흡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제는 흡습성을 가지는 파티클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 등을 흡수하여, 화소부(123)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 상에 백커버(110)가 배치된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봉지 기판(125)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을 보호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백커버(110)는 복수의 개구부(111)를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부(111)는 백커버(110)가 플렉서빌리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백커버(110)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71)에 와인딩되거나, 롤러(17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봉지 기판(125)과 백커버(110) 사이에 제2 접착층(AD2)이 배치된다. 제2 접착층(AD2)은 봉지 기판(125)과 백커버(1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AD2)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층(AD2)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에 제2 접착층(AD2)이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접착층(AD2)이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의 일부 또는 전체에 채워질 수 있다. 만약, 제2 접착층(AD2)이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의 내측에 채워지는 경우, 제2 접착층(AD2)과 백커버(1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21)의 배면에 투광성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은 표시 패널(120)의 전면을 보호하거나, 표시 패널(12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을 반사를 최소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필름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 COP(Cyclo Olefin Polyer)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및 투과도 제어 필름(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백커버(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백커버의 구체적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백커버(110)는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복수의 연성 영역(MA)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영역(P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고, 복수의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의 최상단에서부터 제1 지지 영역(PA1), 제1 연성 영역(MA1), 제3 지지 영역(PA3),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백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은 백커버(110)의 최상단 영역으로, 헤드바(164)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1 지지 영역(PA1)에는 헤드바(164)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바(164)와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는 스크류(SC)가 배치되어, 헤드바(164)와 백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영역(PA1)이 헤드바(164)와 체결됨에 따라, 헤드바(164)에 체결된 링크부(162)가 상승 또는 하강 시, 백커버(11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 또한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체결 홀(AH1)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체결 홀(AH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서는 백커버(110)가 제1 체결 홀(AH1)을 사용하여 헤드바(164)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커버(110)와 헤드바(164)가 체결될 수도 있다.
제1 연성 영역(MA1)은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표시부(DP)가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경우, 백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1 연성 영역(MA1)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의 하단 부분 및 중앙 부분이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이때, 백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고,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제3 지지 영역(PA3)은 제1 연성 영역(MA1)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3 지지 영역(PA3)에는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된다.
제3 지지 영역(PA3)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롤러(151)에 곡면이 아닌 평면 형상으로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롤러(151)도 제3 지지 영역(PA3)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성 영역(MA2)은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또한, 제2 연성 영역(MA2)에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다.
제2 연성 영역(MA2)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때, 롤러(151)에 고정된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된 제3 지지 영역(PA3)까지는 하우징부(HP)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3 지지 영역(PA3)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에서부터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3 지지 영역(PA3)의 길이가, 제2 지지 영역(PA2)에서부터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까지의 길이보다 작으면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가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 하단의 일부분이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되므로, 영상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3 지지 영역(PA3)의 길이가,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은 백커버(110)의 최하단 영역으로 롤러(151)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에는 롤러(151)와의 체결을 위해 제2 체결 홀(AH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151)와 제2 체결 홀(AH2)을 관통하는 스크류(SC)가 배치되어, 롤러(151)와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영역(PA2)이 롤러(151)와 체결됨에 따라, 롤러(151)의 회전에 의해,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체결 홀(AH2)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체결 홀(AH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서는 백커버(110)가 제2 체결 홀(AH2)을 사용하여 롤러(151)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커버(110)와 롤러(151)가 고정될 수도 있다.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영역이다. 연성 영역(MA)은 표시부(DP)의 다른 구성 중 적어도 표시 패널(120)에는 중첩할 수 있다.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에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다.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복수의 개구부(111)는 표시부(DP)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슬립(slip)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즉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0)를 와인딩할 때,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해,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표시 패널(120)의 길이와 백커버(110)의 길이가 차이나게 된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롤러(151)에 와인딩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를 기준으로 백커버(110)보다 외측에 배치되므로,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 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 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처럼,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해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에서 와인딩되는 길이가 차이나게 되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이 미끄러져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와인딩에 의해 발생한 응력 및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슬립 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슬립이 과도하게 커지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며 표시부(DP)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백커버(110)의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백커버(110)의 길이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곡률 반경 차이에 의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의 길이 차이를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개구부(111)가 변형되어 백커버(110)로부터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완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개구부(111)는 이웃하는 행의 복수의 개구부(111)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는, 해당 행에 이웃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홀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중심과, 짝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중심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의 1/2씩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 각각에는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만이 형성될 뿐,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11)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은 복수의 개구부(111)와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은 각각 헤드바(164)와 롤러(151)에 고정되는 영역으로, 연성 영역(MA)보다 강성을 가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강성을 가짐에 따라,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은 헤드바(164) 및 롤러(15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DP)가 구동부(MP)의 롤러(151) 및 헤드바(164)에 고정되어, 구동부(MP)의 동작에 따라 하우징부(HP)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된 백커버(110)가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지지 및 보호한다. 백커버(110)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백커버(110) 중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는 연성 영역(MA)에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백커버(110)의 플렉서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높은 강성을 갖는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반면,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복수의 개구부(111)에 의해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와인딩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을 조절하여, 백커버(110)가 플렉서빌리티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백커버(110)의 와인딩 시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는 열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복수의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는 행 방향에 대한 폭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와인딩될 때, 복수의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고, 백커버(110)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을 조절하여 백커버(110)의 플렉서빌리티를 높일 수 있고,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팽창하며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표시 패널(120)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고정 부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70)는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70)는 일 단이 고정 부재(170)와 백커버(110)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물에 고정되고, 타 단이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에, 고정 부재(170)는 표시 패널(120)과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13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70)는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도 있고,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의 일부만을 덮을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접착층이 고정 부재(17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70)와 표시 패널(120)을 접착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고정 부재(170)와 백커버(110)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구물은 베이스 플레이트(BP), 바텀 커버(BC) 및 탑 커버(T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BP)는 백커버(110)의 배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BP)는 일면으로부터 탑 커버(TC)를 향하여 돌출된 고정 돌기(BP1)를 포함한다, 이에, 고정 돌기(BP1)가 백커버(110), 바텀 커버(BC) 및 탑 커버(TC)를 관통하여 고정 기구(FM1)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돌기(BP1) 내부에는 고정 기구(FM1)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BP1)는 팸 너트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 돌기(BP1)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 기구(FM1)가 고정 돌기(BP1) 내부의 나사산에 의해 고정 돌기(BP1)에 체결될 수 있다.
바텀 커버(BC)는 백커버(110) 상에 배치된다. 바텀 커버(BC)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고정 돌기(BP1)가 관통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바텀 커버(BC)에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고정 돌기(BP1)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커버(BC)에는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배치되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고정할 수 있다.
탑 커버(TC)는 바텀 커버(BC)의 상측에 배치된다. 탑 커버(TC)는 바텀 커버(BC) 및 바텀 커버(BC)에 배치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되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탑 커버(TC)에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고정 돌기(BP1)가 관통하고 고정 기구(FM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탑 커버(TC)는 표시 장치(100)의 와인딩 시, 롤러(151)의 평면부에 배치되어 롤러(151) 및 탑 커버(TC)가 이루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곡면 형상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70)의 일면을 기구물의 탑 커버(TC)가 덮도록 배치되어, 별도의 결합 부재(FM2)를 통해 고정 부재(170)가 기구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FM2)는 나사, 스크류, 팸 너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에서는 고정 부재(170)가 탑 커버(TC)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고정 부재(170)는 바텀 커버(BC)에 고정될 수도 있고, 고정 부재(170)가 백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기구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의 배면에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백커버가 배치된다. 이러한 롤러블 표시 장치의 와인딩 시, 롤러에 고정된 백커버가 롤러에 말리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와인딩 과정에서 표시 패널에는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딩 과정에서 표시 패널이 백커버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이 백커버로부터 박리되지 않더라도, 표시 패널이 와인딩 과정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과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에 의해, 플렉서블 필름이 본딩되는 본딩 영역에 배치된 표시 패널의 패드 또는 플렉서블 필름의 패드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본딩 영역에 배치된 다양한 무기층들과 배선 또한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딩 영역에 배치된 패드, 배선 등이 손상되는 경우 표시 장치에 정상적으로 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표시 장치의 구동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 부재(170)를 배치하여, 표시 장치(1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20)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해당 힘이 과하게 발생하는 경우, 본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때, 본딩 영역(BA)을 덮도록 배치된 고정 부재(17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을 가압하여,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고, 본딩 영역(BA)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패드 또는 플렉서블 필름(130)의 패드, 다양한 배선 및 무기층들 또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본딩 영역(BA)에 배치된 패드, 배선, 무기층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100)에 구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Xa-X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Xb-X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의 표시 장치(900)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97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900)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을 포함하고, 고정 부재(970)는 본딩 영역(BA)에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970)는 베이스부(971) 및 복수의 연장부(972)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는 백커버(110)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복수의 연장부(972)는 베이스부(971)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에, 고정 부재(970)는 플렉서블 필름(130)을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서,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는 백커버(110) 상에 배치되고, 고정 부재(970)의 복수의 연장부(972)는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는 고정 기구(FM3)에 의해 백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접착층에 의해 백커버(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는 플렉서블 필름(130)과 백커버(11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플렉서블 필름(130)이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를 덮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및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된다. 도 10b에서는 플렉서블 필름(130)이 고정 부재(970)의 베이스부(97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 필름(130)은 베이스부(971)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접착층에 의해 베이스부(97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에서는, 고정 부재(970)의 복수의 연장부(972)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부재(970)에 의해 표시 패널(120) 및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970)는 표시 장치(9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표시 패널(120)을 가압할 수 있는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 부재(970)는 표시 장치(9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을 가압할 수 있고, 고정 부재(970)가 표시 패널(12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을 가압하는 힘이 큰 경우, 고정 부재(970) 하부에 배치된 플렉서블 필름(130)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970)를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 즉,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만 배치하여, 표시 장치(900)의 와인딩 시, 고정 부재(970)의 가압에 의해 본딩 영역(BA)에 배치된 플렉서블 필름(130), 표시 패널(120)의 패드, 다양한 배선 및 무기층들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으면서도,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20)은 본딩 영역(BA)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에는 다양한 배선, 패드,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도전성 엘리먼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 부재(970)는 표시 장치(9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의 다양한 도전성 엘리먼트를 가압할 수 있고, 고정 부재(970)가 도전성 엘리먼트를 가압하는 힘이 큰 경우, 고정 부재(970) 하부에 배치된 도전성 엘리먼트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고정 부재(970)는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와 중첩하지 않도록 표시 패널(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900)의 와인딩 시, 고정 부재(970)의 가압에 의해 도전성 엘리먼트가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으면서도,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통과홀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XII-X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의 표시 장치(1100)는 도 9 내지 도 10b의 표시 장치(900)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1170 및 보호 수지(P)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170)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1173)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170)의 통과홀(1173)은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제3 지지 영역(PA3)에서 고정 부재(1170)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필름(130)이 제1 연성 영역(MA1)에서는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170)는 본딩 영역(BA)에서 통과홀(1173)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표시 패널(120)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고정 부재(1170)는 플렉서블 필름(130)과 중첩하지 않도록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0)는 보호 수지(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수지(P)는 고정 부재(117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170)는 표시 패널(12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보호 수지(P)는 고정 부재(117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170)에 의해 표시 패널(120)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보호 수지(P)는 다양한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에서는, 고정 부재(1170)가 본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통과홀(1173)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표시 패널(12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170)는 표시 패널(120)을 가압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표시 장치(1100)의 와인딩 과정에서, 고정 부재(1170)가 표시 패널(12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을 가압하여 플렉서블 필름(130)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에서는, 고정 부재(1170)가 플렉서블 필름(13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1173)을 포함함과 동시에 본딩 영역(BA)에서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고정 부재(1170)가 플렉서블 필름(130)과 중첩하는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100)의 와인딩 시, 고정 부재(1170)가 표시 패널(120)의 본딩 영역(BA)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면서도, 플렉서블 필름(130)을 가압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1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부재(1170)에 의해 본딩 영역(BA)에 배치된 플렉서블 필름(130), 표시 패널(120)의 패드, 다양한 배선 및 무기층들이 손상되는 것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에서는, 고정 부재(117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보호 수지(P)를 배치하여, 고정 부재(1170)에 의해 표시 패널(120)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170)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표시 장치(1100)의 와인딩 시, 고정 부재(1170)가 표시 패널(12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20)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고정 부재(117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보호 수지(P)를 배치하여, 표시 장치(1100)의 와인딩 과정에서 고정 부재(1170)에 의해 표시 패널(120)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의 표시 장치(1300)는 도 9 내지 도 10b의 표시 장치(900)와 비교하여, 백커버(1310) 및 고정 부재(137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37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클립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복수의 고정 클립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백커버(1310)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3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310)의 관통홀(1312)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각각의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이 관통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312)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관통홀(1312)에 고정 부재(1370)의 하나의 고정 클립이 관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관통홀(1312)이 백커버(131)에 배치되고, 하나의 관통홀(1312)에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은 백커버(1310)의 관통홀(1312)을 관통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 각각의 일 단은 표시 패널(1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타 단은 백커버(1310)의 배면 상에서 표시 패널(120)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백커버(1310)에 표시 패널(12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이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310)에 직접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과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310)의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표시 장치(1500)는 도 13 내지 도 14의 표시 장치(1300)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1570)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5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은 백커버(1310)의 관통홀(1312)을 관통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570)의 복수의 고정 클립 각각의 일 단은 표시 패널(1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타 단은 백커버(1510)의 배면 상에서 표시 패널(120)과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백커버(1310)에 표시 패널(12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이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310)에 직접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 부재(1370)의 복수의 고정 클립과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310)의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300, 1500)에서는, 고정 부재(1370, 1570)를 복수의 고정 클립으로 구성하여, 표시 장치(1300, 15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3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1370, 15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이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서 백커버(1310)의 관통홀(1312)에 끼우는 형태로 고정 부재(1370, 15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을 배치하여 백커버(1310)에 표시 패널(12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370, 1570)의 복수의 고정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 나사, 스크류 등을 이용한 별도의 고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370, 1570)를 복수의 고정 클립으로 구성하여, 추가적인 고정 공정 없이 표시 장치(1300, 1500)의 와인딩 시,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31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되고,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 백커버에 고정된 롤러, 및 백커버에 고정되고, 비표시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을 덮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본딩 영역에 본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필름을 더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플렉서블 필름이 관통하는 통과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백커버의 상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기구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구물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탑 커버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탑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구물은 바텀 커버 및 탑 커버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바텀 커버 및 탑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필름은 복수이고, 고정 부재는 본딩 영역에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백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을 덮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고, 백커버는 복수의 고정 클립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고정 클립 각각의 일 단은 표시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타 단은 백커버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본딩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복수의 도전성 엘리먼트와 중첩하지 않도록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판 스프링, 금속층 또는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지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커버,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표시 패널 상에서 백커버에 표시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표시 패널 및 백커버를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하도록 구성된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외측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과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이 본딩되는 본딩 영역을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및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의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을 덮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복수의 연장부는 본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클립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사이 각각에서 백커버를 관통하여 표시 패널을 백커버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