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296B1 -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6296B1 KR102656296B1 KR1020230080906A KR20230080906A KR102656296B1 KR 102656296 B1 KR102656296 B1 KR 102656296B1 KR 1020230080906 A KR1020230080906 A KR 1020230080906A KR 20230080906 A KR20230080906 A KR 20230080906A KR 102656296 B1 KR102656296 B1 KR 1026562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ner
- assembly block
- protrusions
- assembly
- depre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7—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 상기 본체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개방되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조립 블록은 건축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식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건축 블록들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돌, 나무 또는 강철로 만들어지며 서로를 연결하여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는 이러한 건축 블록을 활용하여, 건물의 벽, 기둥, 지붕, 바닥 등 다양한 부분을 축조할 수 있다.
건축용 조립 블록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서로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건설 작업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조립 블록은 전문 지식이나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비 전문가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건축용 조립 블록은 주택, 상업 건물, 공공 시설 등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조립 블록은 내열성, 방수성, 단열성 등의 추가적인 특성을 갖도록 별도의 제품이 발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건축 블록의 다른 종류로, 벽돌 블록은 벽돌로 이루어져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벽돌 블록은 전통적인 건축에 사용되며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벽돌식 건축 블록은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시멘트 혼합물인 모르타르 타설이 필요하다. 이 경우,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건조하는 데 시간이 걸리며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조물에 부하를 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모르타르 타설에는 전문적인 기술 및 노동력이 필요하여 시간과 인력 추가에 따른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한 번 타설 시 모르타르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벽돌식 건축 블록은 각각의 네모난 벽돌을 수평-수직방향으로 정확히 배치해야 함에 따라 높은 기술 요구 및 노동력이 필요하고, 내부에 철근을 내장하기 어려워 내진 설계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발명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기부와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간소화된 방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고, 내부에 수평 철근과 수직 철근을 내장하여 내진 설계가 가능한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 상기 본체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개방되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면 돌기부 및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면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함몰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하면 함몰부 및 상기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후면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함몰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한 쌍의 상면 돌기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함몰부의 함몰 너비는 상기 한 쌍의 전면 돌기부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면돌기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건축용 조립 블록은 상기 한 쌍의 상면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 철근 삽입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은 코너상면, 코너하면, 제1내측면, 제2내측면, 제1외측면 및 제2외측면을 포함하는 코너본체, 상기 코너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코너돌기부, 상기 코너본체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코너함몰부 및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코너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너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없이도 인접한 조립 블록 사이의 조립 구조에 기반하여 견고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조립 블록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더라도 내부에 철근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진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내부에 캐비티를 형성하고 조립 블록 사이의 캐비티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기나 배관 시설의 설치가 용이하고, 캐비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우측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된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 코너부에서 도시한 3D모델이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내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5는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의 사진이다.
도 16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8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우측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된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 코너부에서 도시한 3D모델이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내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5는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의 사진이다.
도 16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8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조립 블록을 우측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100)은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본체(110), 본체(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20), 본체(110)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130) 및 본체(110)의 중앙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캐비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면(111) 및 하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11)과 하면(112)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111)과 하면(112)은 조립 블록(10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면(111)과 하면(112)은 지면에 대해 수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면(112)은 지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10)의 하면(112)은 하나의 조립 블록(100)의 아래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상면(111)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115) 및 후면(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15)과 후면(116)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115)과 후면(116)은 조립 블록(10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115)과 후면(116)은 지면에 대해 수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전면(115)은 하나의 조립 블록(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후면(116)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제1 측면(113)과 제2 측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13)과 제2 측면(114)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113)과 제2 측면(114)은 조립 블록(10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제1 측면(113)은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제2 측면(114)은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로 노출되는 내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측면(113)과 제2 측면(114)은 서로 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체(110)는 상면(111), 하면(112), 전면(115), 후면(116), 제1 측면(113) 및 제2 측면(114)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은 복수의 돌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20)는 상면 돌기부(121) 및 전면 돌기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 돌기부(121)는 본체(110)의 상면(1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면 돌기부(121)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사이에는 수평 철근(S2)이 삽입되기 위한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면 돌기부(12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균형적인 조적을 위해 상면 돌기부(12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족하다.
전면 돌기부(122)는 본체(110)의 전면(11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돌기부(12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사이에는 수직 철근(S1)이 삽입되기 위한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면 돌기부(1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균형적인 조적을 위해 전면 돌기부(122)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족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은 복수의 함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함몰부(130)는 후면 함몰부(131) 및 하면 함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함몰부(132)는 본체(110)의 하면(112)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면 함몰부(132)는 본체(110)의 하면(112)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면 함몰부(132)는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 함몰부(132)의 내측면은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 함몰부(132)의 함몰 너비는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하면 함몰부(132)의 함몰 너비가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면 함몰부(132)의 함몰 깊이는 상면 돌기부(121)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하면 함몰부(132)의 함몰 깊이가 상면 돌기부(121)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하면 함몰부(132)는 하방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상면 돌기부(121)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평 철근(S2)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후면 함몰부(131)는 본체(110)의 후면(116)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함몰부(131)는 본체(110)의 후면(116)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함몰부(131)는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함몰부(131)의 내측면은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함몰부(131)의 함몰 너비는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후면 함몰부(131)의 너비가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 함몰부(131)의 함몰 깊이는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후면 함몰부(131)의 함몰 깊이가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후면 함몰부(131)는 후방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은 전면(115)과 후면(11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캐비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40)는 조립 블록(100)의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40)는 내부가 빈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와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와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적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들의 각각의 캐비티(140)는 모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 내부에 전기 설비, 배관 시설 등의 부품이 매설되어 캐비티(140)가 각종 부품을 연결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상술한 목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에 단열재가 매립됨으로써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형성하는 건축물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에 방음재를 매설함으로써 복수의 조립 블록(100)이 형성하는 건축물의 방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100)은 상부에 다른 조립 블록(100)이 적층될 수 있다.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과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은 상면(11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은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면 함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가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하면 함몰부(132)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상면(111)에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하면(112)이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과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은 중력 방향을 따라 지지되면서도,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섭되어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는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결합이 완료되어도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은 하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와 상부에 적층되는 조립 블록(100)의 하면 함몰부(13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은 내부에 수평 철근(S2)을 삽입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의 조립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100)은 전방에 다른 조립 블록(10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과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은 전면(11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은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에 대응되는 형상의 후면 함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가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후면 함몰부(13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후면(116)에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전면(115)이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과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지지되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섭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는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결합이 완료되어도 복수의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은 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와 전방에 배치되는 조립 블록(100)의 후면 함몰부(13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은 내부에 수직 철근(S1)을 삽입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
상술한 수평 철근(S2) 및 수직 철근(S1)의 배치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된 과정을 상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코너 본체(210), 코너 본체(2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20), 코너 본체(210)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130) 및 코너 본체(210)의 중앙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코너 캐비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본체(210)는 코너 상면(211) 및 코너 하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 상면(211)과 코너 하면(212)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상면(211)과 코너 하면(212)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211)과 코너 하면(212)은 지면에 대해 수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의 코너 하면(212)은 지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코너 본체(210)의 코너 하면(212)은 하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상면(211)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는 제1 내측면(213) 및 제2 내측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213)과 제2 내측면(214)은 서로 연결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213)과 제2 내측면(214)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인접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면(213)과 제2 내측면(214)은 인접한 코너블록의 전면(115) 및 후면(116)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213)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일 측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후면(116)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면(214)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타 측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전면(115)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는 제1 외측면(215) 및 제2 외측면(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면(215)과 제2 외측면(216)은 서로 연결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측면(215)과 제2 외측면(216)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인접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면(215)과 제2 외측면(216)은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 본체(210)는 코너 상면(211), 코너 하면(212), 제1 내측면(213), 제2 내측면(214), 제1 외측면(215) 및 제2 외측면(216)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복수의 코너돌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너돌기부(220)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 및 측면 돌기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 돌기부(221)는 코너 본체(210)의 코너 상면(2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 돌기부(221)는 코너 각도를 따라 90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내측에는 코너부에 수평 철근(S2)이 삽입되기 위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균형적인 조적을 위해 코너 상면 돌기부(221)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족하다.
측면 돌기부(222)는 코너 본체(210)의 제1 내측면(21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돌기부(22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돌기부(22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돌기부(222)의 사이에는 수직 철근(S1)이 삽입되기 위한 코너 수직 철근 삽입 공간(2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측면 돌기부(2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균형적인 조적을 위해 측면 돌기부(222)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족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복수의 코너함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너함몰부(230)는 측면 함몰부(231) 및 코너 하면 함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하면 함몰부(232)는 코너 본체(210)의 코너 하면(212)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면 함몰부(132)는 코너 본체(210)의 코너 하면(212)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코너 하면 함몰부(232)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하면 함몰부(232)의 내측면은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하면 함몰부(232)의 함몰 너비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코너 하면 함몰부(232)의 함몰 너비가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코너 하면 함몰부(232)의 함몰 깊이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코너 하면 함몰부(232)의 함몰 깊이가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하면 함몰부(232)는 하방에 배치되는 다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상면 돌기부(221)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 사이에 수평 철근(S2)이 구부러져 배치되기 위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231)는 코너 본체(210)의 제2 내측면(214)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231)는 인접한 다른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함몰부(231)의 내측면은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함몰부(231)의 함몰 너비는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 및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측면 함몰부(231)의 너비가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 함몰부(231)의 함몰 깊이는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 및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측면 함몰부(231)의 함몰 깊이가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측면 함몰부(231)는 일 측방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 및 조립 블록(100)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 및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되기 위한 코너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제1 내측면(213)과 제2 내측면(2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코너 캐비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캐비티(240)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본체(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캐비티(240)는 내부가 빈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캐비티(240)와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캐비티(240)와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적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과 복수의 조립 블록(100)들의 각각의 코너 캐비티(240) 및 캐비티(140)는 모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부 조립 블록(200)과 조립 블록(100)의 코너 캐비티(240) 및 캐비티(140) 내부에 전기 설비, 배관 시설 등의 부품이 매설되어 캐비티(140)가 각종 부품을 연결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100)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일반적인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 블록(100)과, 코너부 연결을 위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을 각각 마련함으로써 코너 부분까지 우수한 마감을 가지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에 형성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을 통해 코너부에도 철근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건축물의 내진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인 시공성 및 마감이 향상된 조립 블록(100)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 코너부에서 도시한 3D모델이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외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내측에서 도시한 3D 모델이다. 도 1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조립 블록과 복수의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조립되고 내부에 복수의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상면(211)과 코너 상면 돌기부(221)에 의해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이 확보될 수 있어,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제1 내측면(213)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에 배치된 수평 철근(S2)이 코너부까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제2 내측면(214)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에 배치된 수평 철근(S2)이 코너부까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측면 돌기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제1 내측면(213)과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에 다른 수직 철근(S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측면 함몰부(231)에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제2 내측면(214)과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에 따른 조립 블록(100) 및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립 블록(100)과 코너부 조립 블록(200)은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내부에 철근이 수용되기 위한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과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을 확보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철근(S1)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복수의 수평 철근(S2)을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구조에 의해 건축물의 코너 부분까지 철근을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시키고 전후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촬영한 실제 사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블록(100)의 상면(111)에 돌출된 한 쌍의 상면 돌기부(121)의 사이에 수평 철근(S2)이 배치되기 위한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이 형성되어, 수평 철근(S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립 블록(100)의 전면(115)에 돌출된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사이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되기 위한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이 형성되어, 수직 철근(S1)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조립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먼저 제1층에 복수의 조립 블록(100)을 전후 방향을 따라 조립하고,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에 수직 철근(S1)을 배치하고, 수평 철근 삽입 공간(1211)에 수평 철근(S2)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수직 철근(S1)과 수평 철근(S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수직 철근(S1)과 수평 철근(S2)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제1층의 상부에 제2층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조립 블록(100)을 제1층에 배치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위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의 복수의 조립 블록(100)과 제2층의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캐비티(140)는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블록(100)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캐비티(140) 내부에 방음재 또는 충진재 등을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설비 또는 배관이 들어가는 공간은 비워둘 수 있다.
도 15는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의 사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정방형이 아닌,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전후 방향과 수직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200)과 달리, 상하 방향을 따라 개방된 코너 캐비티(240a)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코너 본체(210a), 코너 본체(21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20a), 코너 본체(210a)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130a) 및 코너 본체(210a)의 중앙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코너 캐비티(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본체(210a)는 코너 상면(211a) 및 코너 하면(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 상면(211a)과 코너 하면(212a)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상면(211a)과 코너 하면(212a)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211a)과 코너 하면(212a)은 지면에 대해 수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a)의 코너 하면(212a)은 지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코너 본체(210a)의 코너 하면(212a)은 하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상면(211a)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a)는 제1 내측면(213a) 및 제2 내측면(2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213a)과 제2 내측면(214a)은 서로 연결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213a)과 제2 내측면(214a)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인접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면(213a)과 제2 내측면(214a)은 인접한 코너블록의 전면(115) 및 후면(116)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213a)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일 측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후면(116)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면(214a)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타 측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전면(115a)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너 본체(210a)는 제1 외측면(215a) 및 제2 외측면(21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면(215a)과 제2 외측면(216a)은 서로 연결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측면(215a)과 제2 외측면(216a)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인접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면(215a)과 제2 외측면(216a)은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 본체(210a)는 코너 상면(211a), 코너 하면(212a), 제1 내측면(213a), 제2 내측면(214a), 제1 외측면(215a) 및 제2 외측면(216a)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복수의 코너돌기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너돌기부(220a)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a) 및 측면 돌기부(222a)로 구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 돌기부(221a)는 코너 본체(210a)의 코너 상면(211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내측에는 코너부에 수평 철근(S2)이 삽입되기 위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돌기부(222a)는 코너 본체(210a)의 제1 내측면(2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돌기부(222a)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돌기부(222a)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돌기부(222a)의 사이에는 수직 철근(S1)이 삽입되기 위한 코너 수직 철근 삽입 공간(1221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측면 돌기부(222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조립 블록(100)의 균형적인 조적을 위해 측면 돌기부(222a)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족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복수의 코너 함몰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너함몰부(230a)는 측면 함몰부(231a) 및 코너 하면 함몰부(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하면 함몰부(232a)는 코너 본체(210a)의 코너 하면(212a)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면 함몰부(132a)는 코너 본체(210)의 코너 하면(212a)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코너 하면 함몰부(232a)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하면 함몰부(232a)의 내측면은 코너 상면 돌기부(221)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하면 함몰부(232a)의 함몰 너비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전체 돌출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코너 하면 함몰부(232a)의 함몰 너비가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코너 하면 함몰부(232a)의 함몰 깊이는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코너 하면 함몰부(232a)의 함몰 깊이가 코너 상면 돌기부(221a)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하면 함몰부(232a)는 하방에 배치되는 다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상면 돌기부(221a)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a) 사이에 수평 철근(S2)이 구부러져 배치되기 위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231a)는 코너 본체(210a)의 제2 내측면(214a)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231a)는 인접한 다른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함몰부(231a)의 내측면은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외측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함몰부(231a)의 함몰 너비는 인접한 조립 블록(100)의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a) 및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측면 함몰부(231a)의 너비가 한 쌍의 전면 돌기부(122)의 전체 너비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 함몰부(231a)의 함몰 깊이는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a) 및 조립 블록(100)의 원활한 조적을 위해 측면 함몰부(231a)의 함몰 깊이가 전면 돌기부(122)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에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측면 함몰부(231a)는 일 측방에 배치되는 다른 조립 블록(100)의 전면 돌기부(122)와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a) 및 조립 블록(100)이 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a) 및 조립 블록(100) 사이에 수직 철근(S1)이 배치되기 위한 코너수직 철근 삽입 공간(2221a)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코너 상면(211a)과 코너 하면(212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코너 캐비티(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캐비티(240a)는 코너부 조립 블록(200)의 코너 본체(210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캐비티(240a)는 내부가 빈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캐비티(240a)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캐비티(240a)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라 조적되는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200)들의 각각의 코너 캐비티(240)는 모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의 코너 캐비티(240a) 내부에 전기 설비, 배관 시설 등의 부품이 매설되어 코너 캐비티(240a)가 각종 부품을 연결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100)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일반적인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 블록(100)과, 코너부 연결을 위한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을 각각 마련함으로써 코너 부분까지 우수한 마감을 가지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코너부 조립 블록(200a)에 형성된 코너 철근 삽입 공간(2211a)을 통해 코너부에도 철근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건축물의 내진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조립 블록(200a)은 코너상면돌기부(221a)를 이용하여 조립 블록 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시공성 및 마감이 향상된 조립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7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8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과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과 건축용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의 캐비티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복수의 조립 블록의 캐비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의 경우 코너부 조립 블록을 활용하여 시공자의 니즈에 맞게 코너부 조립 블록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과 건축용 조립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과 달리, 복수의 코너부 조립 블록의 캐비티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복수의 조립 블록의 캐비티도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은 조립 방향을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바꾸더라도 언제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건축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없이도 인접한 조립 블록 사이의 조립 구조에 기반하여 견고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조립 블록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더라도 내부에 철근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진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내부에 캐비티(140)를 형성하고 조립 블록 사이의 캐비티(140)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기나 배관 시설의 설치가 용이하고, 캐비티(140)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립 블록
110; 본체
111; 상면
112; 하면
113; 제1측면
114; 제2측면
115; 전면
116; 후면
120; 복수의 돌기부
121; 상면 돌기부
1211; 수평 철근 삽입 공간
122; 전면 돌기부
1221; 수직 철근 삽입 공간
130; 복수의 함몰부
131; 후면 함몰부
132; 하면 함몰부
140; 캐비티
200; 코너부 조립 블록
210; 코너 본체
211; 코너 상면
212; 코너 하면
213; 제1 내측면
214; 제2 내측면
215; 제1 외측면
216; 제2 외측면
220; 복수의 코너돌기부
221; 코너 상면 돌기부
2211; 코너 철근 삽입 공간
222; 측면 돌기부
2221; 코너 수직 철근 삽입 공간
230; 복수의 함몰부
231; 측면 함몰부
232; 코너 하면 함몰부
240; 코너캐비티
S1; 수직 철근
S2; 수평 철근
110; 본체
111; 상면
112; 하면
113; 제1측면
114; 제2측면
115; 전면
116; 후면
120; 복수의 돌기부
121; 상면 돌기부
1211; 수평 철근 삽입 공간
122; 전면 돌기부
1221; 수직 철근 삽입 공간
130; 복수의 함몰부
131; 후면 함몰부
132; 하면 함몰부
140; 캐비티
200; 코너부 조립 블록
210; 코너 본체
211; 코너 상면
212; 코너 하면
213; 제1 내측면
214; 제2 내측면
215; 제1 외측면
216; 제2 외측면
220; 복수의 코너돌기부
221; 코너 상면 돌기부
2211; 코너 철근 삽입 공간
222; 측면 돌기부
2221; 코너 수직 철근 삽입 공간
230; 복수의 함몰부
231; 측면 함몰부
232; 코너 하면 함몰부
240; 코너캐비티
S1; 수직 철근
S2; 수평 철근
Claims (7)
- 상면, 하면, 제1측면, 제2측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
상기 본체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개방되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면 돌기부; 및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면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면 돌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되며, 상기 상면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수평 철근 삽입 공간; 및
상기 한 쌍의 전면 돌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철근 삽입 공간;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 블록.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함몰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하면 함몰부; 및
상기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후면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 블록.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함몰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한 쌍의 상면 돌기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건축용 조립 블록.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함몰부의 함몰 너비는 상기 한 쌍의 전면 돌기부의 전체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건축용 조립 블록. - 삭제
- 코너상면, 코너하면, 제1내측면, 제2내측면, 제1외측면 및 제2외측면을 포함하는 코너본체;
상기 코너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코너돌기부;
상기 코너본체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코너함몰부; 및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코너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너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코너돌기부는
상기 코너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코너 상면 돌기부; 및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코너 상면 돌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되며, 상기 코너상면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코너 철근 삽입 공간;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돌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 수직 철근 삽입 공간;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코너부 조립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0906A KR102656296B1 (ko) | 2023-06-23 | 2023-06-23 |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0906A KR102656296B1 (ko) | 2023-06-23 | 2023-06-23 |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6296B1 true KR102656296B1 (ko) | 2024-04-09 |
Family
ID=9070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0906A KR102656296B1 (ko) | 2023-06-23 | 2023-06-23 |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629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397U (ko) * | 1993-06-14 | 1995-01-04 | 전성오 | 건축용 블록 |
KR20060025321A (ko) * | 2004-09-16 | 2006-03-21 | 윤상희 | 집성목벽돌을 이용한 조립식 판넬 |
KR101174065B1 (ko) * | 2011-10-20 | 2012-08-13 | 김종군 | 건축용 블록 및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2023
- 2023-06-23 KR KR1020230080906A patent/KR1026562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397U (ko) * | 1993-06-14 | 1995-01-04 | 전성오 | 건축용 블록 |
KR20060025321A (ko) * | 2004-09-16 | 2006-03-21 | 윤상희 | 집성목벽돌을 이용한 조립식 판넬 |
KR101174065B1 (ko) * | 2011-10-20 | 2012-08-13 | 김종군 | 건축용 블록 및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10029717A1 (en) | Composite building block with modular connective structure | |
KR101353546B1 (ko) | 목재벽돌조립체 | |
KR200440000Y1 (ko) |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 |
JP2017524848A (ja) | 交換可能なモジュール組立体のためのインターロック構造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 | |
KR200438913Y1 (ko) |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 |
JP6343277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床を構築するための焼結した発泡ポリスチレンの組み立て式要素 | |
JP2020518747A (ja) |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 |
KR102656296B1 (ko) |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KR100623581B1 (ko) |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 |
KR20120000702A (ko) |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0751585B1 (ko) |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 |
KR102056758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바닥 시공 방법 | |
KR102249058B1 (ko) | 조립식 벽체 | |
KR100688448B1 (ko) |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 |
KR100620363B1 (ko) |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 |
KR101707956B1 (ko)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 |
US11591791B2 (en) | Masonry block system | |
KR200377456Y1 (ko) |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 |
KR102664470B1 (ko) | 조립식 패널 조립체 | |
KR100955363B1 (ko) | 벽체블럭 | |
KR200459623Y1 (ko) |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 |
KR102567893B1 (ko) |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 |
JP7384370B1 (ja) | 住宅用の鉄筋コンクリート製躯体、住宅用の鉄筋コンクリート製躯体の設計方法 | |
KR102632253B1 (ko) | 증축 구조물 | |
JP3930016B2 (ja) |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