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35B1 - 면도기 핸들 - Google Patents
면도기 핸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5435B1 KR102655435B1 KR1020210062897A KR20210062897A KR102655435B1 KR 102655435 B1 KR102655435 B1 KR 102655435B1 KR 1020210062897 A KR1020210062897 A KR 1020210062897A KR 20210062897 A KR20210062897 A KR 20210062897A KR 102655435 B1 KR102655435 B1 KR 102655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zor
- coupling
- razor handle
- razor cartridge
- plun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26B21/4075—M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2—Ergonomic details, e.g. shape, ribs or rubber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면도기 핸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에 있어서, 홀더; 적어도 일부가 홀더 내에 배치되며,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 및 연장된 제1 면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탈착부재로서,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위치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인 제2 위치를 가지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에 있어서, 홀더; 적어도 일부가 홀더 내에 배치되며,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 및 연장된 제1 면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탈착부재로서,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위치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인 제2 위치를 가지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면도기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와 면도기 핸들(handle)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위치(rest position)와 그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회전위치(pivoting position)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pivoting motion)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위와 같은 회전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회전 커넥팅(connecting) 방식 또는 고정 커넥팅 방식을 사용하였다. 회전 커넥터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커넥팅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핸들에 대해서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커넥팅 방식은 피벗축의 위치가 최전방 면도 블레이드의 위치에 인접하도록 하여 보다 개선된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회전 커넥팅 방식은 일정 기간 또는 횟수를 사용한 후 교체를 요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정 커넥팅 방식은 커넥터가 면도기 카트리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커넥팅 방식과 비교하여 면도기 카트리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 커넥팅 방식의 경우 면도기 핸들 내부에 회전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면도기 핸들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면도기 핸들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개시는 피벗축의 위치를 최전방 면도 블레이드에 인접하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별도의 회전 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에 있어서, 홀더; 적어도 일부가 홀더 내에 배치되며,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 및 연장된 제1 면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탈착부재로서,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위치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인 제2 위치를 가지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핸들은 개선된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면도기 카트리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도기 핸들은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과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과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경우에는 하부홀더(162)가, 도 2의 경우에는 상부홀더(161)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12), 커넥터(130) 및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 및 블레이드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의 절삭을 위한 커팅 에지(112)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면도 블레이드(110)가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12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상면(121), 하면(123), 블레이드 가드(122) 및 캡(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21)은 커팅 에지(112)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으며, 하면(123)은 상면(121)과 대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1)에서, 블레이드 가드(122)는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124)은 면도 블레이드(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있어서'면도 블레이드의 전방' 및 '면도 블레이드의 후방'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블레이드 가드(122)는, 면도 시 면도 블레이드(110)에 의한 체모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커넥터(130)와 면도기 핸들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별도의 부재로서 제조된 이후에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3)에서, 면도 블레이드(11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3)에서, 면도 블레이드(11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사출(inject)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면도기 핸들에 구비된 제1 결합부(14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제1 결합부(140)의 제1 면(1462)과 대면하도록 구성된 제3 면(1342)을 가지는 제2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결합부(134)는 제1 결합부(1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136)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36)에는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6)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136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6)에 제1 결합부(140)를 수용하고, 제1 면(1462)과 제3 면(1342)이 대면함으로써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커넥터(130)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각각 진입하기 위한 열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30)에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에 대응되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130)와 면도기 핸들을 결합시키는 경우 두 개의 제2 결합부(134) 사이의 열린 영역을 통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진입 가능하다. 이 때, 열린 영역 내에 후술할 플런저 가드(1612) 또한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34)의 제3 면(1342)의 후방에는 제4 면(1344)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면(1344)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과 수직한 축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다. 여기서, 소정의 경사각은 20도 내지 8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도 내지 50도일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가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는 범위인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이 진입할 경우, 어느 각도로 진입하여도 면도기 카트리지(12)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2 결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부(134)의 제4 면(1344)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과 수직한 축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동시에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정지면(132)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진입하는 제1 결합부(140)의 진입 방향 및 피벗축(PA)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평면으로 자른 제4 면(1344)의 단면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을 향할수록 커넥터(130)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40)의 진입 방향이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라면, 어느 방향으로 진입하여도 제2 면(1464)과 제4 면(1344)이 서로 캠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과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두 개의 정지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었다는 것은 정지면(132)이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과 반드시 직각을 이루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정지면(132)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80도 내지 110도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정지면(132)은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피벗축(PA)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과도한 외력을 받아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대한 면도기 핸들의 피벗 범위를 규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정지면(1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두 개로 각각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세척영역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물 등으로 면도 블레이드(110)를 세척할 때 커넥터(130)에 의해 세척이 방해되지 않고, 면도 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피벗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면도기 핸들은 홀더(161 및 162), 제1 결합부(140), 제1 복원력제공부(170), 제2 복원력제공부(180) 및 탈착부재(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홀더(161 및 162)는 상부홀더(161) 및 하부홀더(16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홀더(161 및 162)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161 및 162)의 내부에는 제1 결합부(140), 제1 복원력제공부(170), 제2 복원력제공부(180) 및 탈착부재(15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홀더(161 및 162)는 별도로 제조된 후 면도기 핸들에 결합되거나, 면도기 핸들의 전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면도기 핸들의 일부 구성일 수도 있다.
하부홀더(162)에는 제1 결합부(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16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42)이 삽입돌기(164)에 삽입되면서, 삽입돌기(164)가 제1 결합부(140)가 움직일 때 축(axis)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돌기(164)는 제1 결합부(14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돌기(164)의 형상 및 배치는 제1 결합부(140)가 하부홀더(162)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면 족하다. 예컨대, 삽입홈(142)이 하부홀더(162)에 형성되고, 삽입돌기(164)가 제1 결합부(1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홀더(16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플런저 가드(16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드(1612)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에 배치되도록 홀더(161 및 162)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가드(1612)는 상부홀더(16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부홀더(162)의 일측으로, 또는 상부홀더(161)와 하부홀더(162) 모두로부터 연장되거나 플런저 가드(1612)를 별도 제조하여 상부홀더(161) 또는 하부홀더(162)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플런저 가드(16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가드(1612)의 전방 단부 에지(e1)가 플런저(172)의 전방 단부 에지(e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플런저 가드(1612)의 전방 단부 에지(e1), 플런저(172)의 전방 단부 에지(e2), 및 제1 결합부(140)의 전방 단부 에지가 대체로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선은 피벗축(PA)과 평행한 선이다.
두 개의 플런저 가드(1612) 사이에는 제1 복원력제공부(170)의 플런저(17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런저(172)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두 개의 플런저 가드(1612)는 각각 플런저(172)의 좌측 및 플런저(17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플런저 가드(1612) 사이에 플런저(172)가 배치되어 플런저(172)를 외부 이물질 등과 같은 자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플런저(172)의 운동방향에 가이드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플런저 가드(1612)가 두 개로 이루어져 상부홀더(161)의 Z축과 평행한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런저(172), 플런저 가드(1612) 및 제1 결합부(140)가 모두 인접하게 배치되어 면도기 핸들의 전방 단부에서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고, 면도기 카트리지(12)와 면도기 핸들이 결합 시 하나의 유닛이 커넥터(130)에 동시에 진입할 수 있다.
플런저 가드(1612)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이동하는 경로와 동일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이동할 때 플런저 가드(1612)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플런저 가드(1612)의 적어도 일부분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제1 결합부(140)의 이동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할 때, 플런저 가드(1612)의 y축 방향(도 1 참조) 면 중 일부가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와 접하여 제1 결합부(14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플런저 가드(1612)는 전방을 향할수록 y축 방향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드(1612)의 측면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가드(1612)가 전방을 향할수록 얇아지면서,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최대 각도로 피벗된 경우에도 면도 블레이드(110)를 세척하기 위한 영역이 보존될 수 있고, 플런저 가드(1612)가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었을 때와 비교해서 면도기 카트리지(12)가 더 큰 각도로 피벗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구조로 인해 플런저 가드(1612)는 면도기 카트리지(12)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를 보호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드(1612)를 추가함으로써, 홀더(161 및 162)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플런저(172) 및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 결합부(134)가 완전히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두 개의 제2 결합부(134) 사이의 공간에 플런저 가드(1612)가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두 개의 제2 결합부(134) 사이 공간의 형상과 플런저 가드(1612)의 전방 단부의 형상을 서로 상응하게 함으로써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34)의 적절한 결합지점에 대한 가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플런저 가드(1612)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 홀더(161 및 162) 대신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커넥터(1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지속적으로 교체를 요하는 구성인 반면에 면도기 핸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모든 면도기 카트리지(12)에 플런저 가드(1612)와 같은 구성을 추가하는 것 보다 면도기 핸들의 일부 구성인 상부홀더(161)에 플런저 가드(1612)를 형성하는 것이 제조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제1 결합부(140)는 홀더(161 및 16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커넥터(13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13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161 및 162) 내에 배치되지만 나머지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제1 결합부(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결합부(140)는 플라스틱 중 PEEK(PolyEther Ether Ketone), PPS(PolyPhenylene Sulfide) 및 엔지니어 플라스틱 등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부(140)는 수용부(13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걸림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46)는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1462) 및 연장된 제1 면(1462)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 제2 면(14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462)의 연장방향은 피벗축(PA)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면(1464)이 이루는 경사의 경사각은 제1 결합부(140)가 면도기 카트리지(12)에 결합될 때, 제2 면(1464)이 접하는 면도기 카트리지(12)의 면, 구체적으로, 제4 면(1344)이 이루는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46)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12) 간 장탈착을 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길이방향 거리가 제1 거리일 때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위치를 의미하고, 제2 위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길이방향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일 때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위치를 의미한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는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후술할 제2 복원력제공부(18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한다. 피벗축(PA)은 걸림부(146)의 전방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벗축(PA)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1)과 제3 면(13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복원력제공부(170)는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일부 영역과 캠 작용을 하여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복원력제공부(170)는 피벗축(P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중립위치는 면도기 카트리지(12)와 면도기 핸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형성된 위치를 의미한다.
제1 복원력제공부(170)는 플런저(172) 및 제1 탄성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172)는 적어도 일부가 홀더(161 및 16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에 배치되며 면도기 카트리지(12) 중 적어도 일부분과 캠 작용하여 복원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172)의 일단은 면도기 카트리지(12)와 면도기 핸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플런저(172)의 타단은 제1 탄성부재(174)와 연결된다.
제1 탄성부재(174)는 홀더(161 및 162) 내부에 배치되며 플런저(17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74)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인접한 제1 탄성부재(174)의 일측은 플런저(172)와 연결되고,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이격된 제1 탄성부재(174)의 타측은 탈착부재(150)와 연결된다.
따라서,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피벗축(P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탄성부재(174)를 압축하게 된다. 제1 탄성부재(174)를 압축한 결과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형성된다.
제2 복원력제공부(180)는 제2 위치로 이동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를 제1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복원력제공부(180)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탄성부재(182)를 포함한다. 제2 탄성부재(182)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탄성부재(182)의 일측이 하나의 제1 결합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제1 결합부(140)와 연결된다. 제2 탄성부재(182)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경우, 즉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2 탄성부재(182)는 압축되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외부 영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외부 영향이 제거되면 제2 탄성부재(182)의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제1 위치로 복원된다.
탈착부재(150)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탈착부재(150)는 두 개의 가압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부재(150)의 두 개의 가압돌기(152)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의 가압면(144)을 가압함으로써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면도기 핸들에 면도기 카트리지(12)가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부재(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6)가 수용부(136)로부터 분리된다.
하부홀더(162)는 일면에 가압돌기(152)가 삽입되고, 가압돌기(15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홈(166)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부재(15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돌기(152)는 레일홈(16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레일홈(166)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홈(166)은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레일홈(166)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일홈(166)의 Z축 방향 양끝단이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가압돌기(152)는 레일홈(166)을 따라 양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결합부(140)의 가압면(144)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가압돌기(152)가 가압면(144)을 가압할수록,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즉, 가압돌기(152)가 가압면(144)을 가압할수록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가압돌기(152)가 레일홈(166)을 따라 음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복원력제공부(180)에 의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레일홈(166) 내의 가압돌기(152)의 위치에 따라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6)는 제1 면(1462) 및 제1 면(1462)의 전방 방향에 형성된 제2 면(14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34)는 제3 면(1342) 및 제3 면(1342)의 후방 방향에 형성된 제4 면(13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제4 면(1344)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1462) 및 제3 면(1342)은 면도기 핸들의 제1 결합부(140)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제2 결합부(134)와 결합할 때 서로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제1 면(1462) 및 제3 면(1342)은 면도기 카트리지(12) 또는 커넥터(130)가 피벗축(PA)을 중심으로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면(1462)은 제3 면(1342)을 따라 제3 면(1342)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면(1462)은 제3 면(1342)보다 피벗축(PA)에 더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피벗축(PA)이 제1 결합부(140)의 자유단, 즉 전방측 단부를 관통하기 때문에 제1 면(1462)이 제3 면(1342)보다 피벗축(PA)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1 면(1462) 및 제3 면(134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 면(1342)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제1 면(1462)은 제3 면(1342)의 오목한 곡면에 대응되는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1462)의 곡면 및 제3 면(1342)의 곡면은 피벗축(P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arc)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면(1462)의 곡률은 제3 면(1342)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462)은 반드시 곡면을 가져야 하거나 제3 면(1342)의 곡률과 대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면(1462)은 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1462)은 직면을 가지고,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회동할 때 곡면을 가지는 제3 면(134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면(1464)은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34)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2 결합부(134) 내의 수용부(136)로 진입하기 위해 제4 면(1344)과 캠 작용할 수 있다. 제4 면(1344)은 제1 결합부(140)가 제2 결합부(134)와 결합할 때 어느 각도로 진입하더라도 제2 면(1464)과 캠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결합부(140)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 결합부(134)의 오목부(1362) 내에서 회동 가능한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라면 어느 방향으로 진입하여도 제2 면(1464)과 제4 면(1344)이 캠 작용을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피벗 초기각도를 0도로 보았을 때, 여기서 소정의 각도 범위는 0도 내지 9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50도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면도기 카트리지(12)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 결합할 때 진입 방향을 탐색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면(1464)과 제4 면(1344)이 서로 상응하는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제1 결합부(140)가 면도기 카트리지(12)에 결합하여 캠 작용을 하는 동안 제2 면(1464)과 제4 면(1344) 사이에 일정한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벗축(PA)과 수직하고 레일홈(166)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S축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결합부(140)의 가압면(144)은 S축으로부터 각도 a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도 a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가압돌기(152)가 레일홈(166)을 따라 전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결합부(140)가 가압되는 거리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제1 결합부(140)를 제조할 때 가압면(144)의 각도 a를 조절함으로써 제1 결합부(140)가 가압돌기(152)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별다른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가압면(144)의 각도 a를 증가시켜 제1 결합부(1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6)가 커넥터(130)에 완전히 결합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각각이 이동가능한 거리가 걸림부(146)의 제1 면(1462)의 길이인 B보다 커야한다. 따라서, 하나의 제1 결합부(140)가 이동가능한 거리가 B보다 작다면, 걸림부(146)가 커넥터(130)의 제2 결합부(134)에 결합되는 길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없으므로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12) 간에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즉, 걸림부(146)가 수용부 내에 완전히 결합되기 위하여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는 각각 충분한 이동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가압면(144)과 레일홈(166)에 관한 기술적 특징에 의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가 커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복원력제공부(180)는 하부홀더(162)의 벽면 중 일부와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각각에 연결되어 각각의 제1 결합부(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제2 탄성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 복원력제공부(180)는 반드시 하부홀더(162)에 접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2 복원력제공부(180)의 일단이 한 곳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면 족하다.
도 6의 경우에는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사이에 하나의 제2 탄성부재(182)가 연결되어, 제2 탄성부재(182)가 고장나거나 원위치에서 이탈하는 등 탄성력을 잃는 경우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모두에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반면에 도 7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제1 결합부(140) 각각 하나씩 제2 탄성부재(182)와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제2 탄성부재(182)가 고장나거나 탄성력을 잃더라도 다른 하나의 제2 탄성부재(182)가 그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14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경우에는 제1 탄성부재(174)와 제2 탄성부재(182)가 각각 압축 및 팽창을 하면서 서로 물리적인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나, 도 7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탄성부재(182)가 제1 탄성부재(174)와 물리적 간섭이 없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과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상부홀더(161)를 생략하였다. 도 8의 (a)는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와 결합하기 전의 도면이다. 도 8의 (b)는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12)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140)가 제2 결합부(134)에 캠 작용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의 (c)는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d)는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 도 8의 (b), 및 도 8의 (c)의 순서로,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에 결합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로 진입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진입하는 방향이 도 8의 (a)와 같이 하나로 정해진 것은 아니고,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회전가능한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의 방향으로만 진입해도 족하다. 즉,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핸들을 면도기 카트리지(12)와 결합할 때, 사용자가 결합 각도를 파악해야 하는 별다른 노력 없이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8의 (a)에는 걸림부(146)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부(146)의 전방 단부 에지의 길이방향 길이는 A, 제1 면(1462)의 길이방향 길이는 B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A는 걸림부(146)의 전방 단부 에지에서 피벗축(PA)과 평행한 부분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B의 길이가 종래기술 대비 증가됨으로써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34)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A 부분은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피벗할 때 직접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2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A 부분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A는 2.5 mm 이상, B는 1.5 mm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는 2.85 mm, B는 1.74 mm일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면도기 핸들이 면도기 카트리지(12)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140)의 제2 면(1464)이 제2 결합부(134)의 제4 면(1344)과 캠 작용을 하고 있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결합 과정에서 반드시 캠 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는 탈착부재(15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캠 작용 없이 제1 결합부(140)를 수용부(136)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40)가 수용부(136)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제2 면(1464)과 제4 면(1344) 사이의 캠 작용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캠 작용 상태의 해제를 통해, 제2 면(1464)은 더 이상 제4 면(1344)을 가압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는 제2 복원력제공부(18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위치로 복원된다. 두 개의 제1 결합부(140)가 제2 결합부(134)의 수용부(136) 내에서 제1 위치로 복원된 경우, 제1 결합부(140)의 제1 면(1462)과 제2 결합부(134)의 제3 면(1342)은 서로 대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34)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면(1462)과 제3 면(1342)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제1 결합부(140) 및 제2 결합부(134)는 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면(1342)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제1 면(1462)은 제3 면(1342)의 오목한 곡면에 대응되는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탈착부재(15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제1 결합부(14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12)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부(140)의 제1 면(1462)이 제3 면(134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만큼 탈착부재(150)를 전방으로 충분히 이동시켜야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6의 IX-IX 방향으로 자른 면도기 조립체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중립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b)는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최대 회동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외력에 의해 중립위치와 최대 회동 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외력이 사라진 경우에는 회동된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1 복원력제공부(170)가 공급하는 복원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면(1462)은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면(1342)은 제1 면(1462)의 볼록한 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제1 면(1462)의 곡면 및 제3 면(1342)의 곡면은 피벗축(P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arc)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36) 내에는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6)가 수용되기 위한 오목부(1362)가 형성된다. 오목부(1362)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벗축(PA)은 오목부(1362)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벗축(PA)은 오목부(1362)의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1)측 방향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46)의 단면 형상도 오목부(1362)의 형상에 대응되어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부채꼴 형상은 반드시 원의 중심으로부터 형성된 두 개의 반지름과 두 반지름 선을 이어주는 호로 이루어진 형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두 선분과 하나의 곡선으로 형성된 모든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걸림부(146)는 부채꼴 형상이 아닌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오목부(1362) 내에서 회동가능하다면 반드시 걸림부(146)의 단면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피벗축(PA)을 중심으로 중립위치로부터 최대 회동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축(PA)이 제1 결합부(140)의 전방 단부를 관통하는 곳에 위치함으로써 굴곡진 피부면에 대한 밀착 면도가 가능해진다. 즉, 피벗축(PA)이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1)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고, 면도 블레이드(110)의 최전방에 더 근접할 수 있어, 면도기 조립체는 보다 개선된 회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최대 회동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 결합부(140)는 정지면(132)과 접하게 된다. 이는 최대 회동 위치를 초과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과도한 외력이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작용되는 경우 제1 결합부(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결합부(140)가 최대 회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결합부(140)의 상부면이 정지면(132)과 접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제1 결합부(140)에게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제1 결합부(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허용된 피벗 각도를 초과하여 피벗하는 것을 제한시킴으로써 면도기 핸들의 제1 결합부(140)로부터 제2 결합부(134)가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카트리지 110: 면도 블레이드
112: 커팅 에지 120: 블레이드 하우징
121: 상면 122: 블레이드 가드
123: 하면 124: 캡
125: 클립 130: 커넥터
132: 정지면 134: 제2 결합부
1342: 제3 면 1344: 제4 면
136: 수용부 1362: 오목부
140: 제1 결합부 142: 삽입홈
144: 가압면 146: 걸림부
1462: 제1 면 1464: 제2 면
150: 탈착부재 152: 가압돌기
161: 상부홀더 162: 하부홀더
1612: 플런저 가드 164: 삽입돌기
166: 레일홈 170: 제1 복원력제공부
172: 플런저 174: 제1 탄성부재
180: 제2 복원력제공부 182: 제2 탄성부재
112: 커팅 에지 120: 블레이드 하우징
121: 상면 122: 블레이드 가드
123: 하면 124: 캡
125: 클립 130: 커넥터
132: 정지면 134: 제2 결합부
1342: 제3 면 1344: 제4 면
136: 수용부 1362: 오목부
140: 제1 결합부 142: 삽입홈
144: 가압면 146: 걸림부
1462: 제1 면 1464: 제2 면
150: 탈착부재 152: 가압돌기
161: 상부홀더 162: 하부홀더
1612: 플런저 가드 164: 삽입돌기
166: 레일홈 170: 제1 복원력제공부
172: 플런저 174: 제1 탄성부재
180: 제2 복원력제공부 182: 제2 탄성부재
Claims (16)
-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에 있어서,
홀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면도기 핸들이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결합방향에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 및 연장된 상기 제1 면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제1 결합부;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탈착부재;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제1 위치 및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인 제2 위치를 가지고,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복원력제공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 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제3 면을 포함하되,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상기 홀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면을 따라 상기 제3 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의 전방 단부를 관통하는 피벗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력제공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 중 적어도 일부분과 캠 작용하여 복원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인접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플런저와 연결되고,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이격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탈착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플런저 가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드의 전방 단부 에지는 상기 플런저의 전방 단부 에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플런저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플런저 가드는,
상기 플런저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플런저의 좌측 및 상기 플런저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면이 접하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면이 이루는 경사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를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복원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원력제공부는,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원력제공부는,
상기 홀더의 벽면 중 일부와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어 각각의 제1 결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면의 후방에 형성된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가압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돌기를 가지되,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일면에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돌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897A KR102655435B1 (ko) | 2021-05-14 | 2021-05-14 | 면도기 핸들 |
PCT/KR2022/005541 WO2022239984A1 (ko) | 2021-05-14 | 2022-04-18 | 면도기 핸들 |
EP22807632.9A EP4338904A1 (en) | 2021-05-14 | 2022-04-18 | Razor handle |
CN202280034958.5A CN117295591A (zh) | 2021-05-14 | 2022-04-18 | 剃须刀手柄 |
US18/508,677 US20240091967A1 (en) | 2021-05-14 | 2023-11-14 | Razor handle |
KR1020240044680A KR20240064591A (ko) | 2021-05-14 | 2024-04-02 | 면도기 핸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897A KR102655435B1 (ko) | 2021-05-14 | 2021-05-14 | 면도기 핸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4680A Division KR20240064591A (ko) | 2021-05-14 | 2024-04-02 | 면도기 핸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098A KR20220155098A (ko) | 2022-11-22 |
KR102655435B1 true KR102655435B1 (ko) | 2024-05-03 |
Family
ID=840284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2897A KR102655435B1 (ko) | 2021-05-14 | 2021-05-14 | 면도기 핸들 |
KR1020240044680A KR20240064591A (ko) | 2021-05-14 | 2024-04-02 | 면도기 핸들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4680A KR20240064591A (ko) | 2021-05-14 | 2024-04-02 | 면도기 핸들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91967A1 (ko) |
EP (1) | EP4338904A1 (ko) |
KR (2) | KR102655435B1 (ko) |
CN (1) | CN117295591A (ko) |
WO (1) | WO2022239984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191B1 (ko) * | 2007-05-31 | 2009-06-17 | 주식회사 도루코 | 면도기 |
KR101486932B1 (ko) * | 2008-10-01 | 2015-01-27 | 빅-비올렉스 에스아 | 면도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손잡이 및 그 손잡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84862A (en) * | 1988-07-26 | 1992-01-28 | Hitachi Maxell, Ltd. | Disk cartridge shutter |
KR940003992Y1 (ko) * | 1992-07-10 | 1994-06-17 | 노재룡 | 면도날 헤드 착탈식 면도기 |
JP4848110B2 (ja) * | 2001-09-26 | 2011-12-28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首振り式剃刀 |
KR101764489B1 (ko) * | 2015-09-07 | 2017-08-02 | 차점숙 | 면도날 카트리지 교환 구조를 갖는 면도기 |
EP3348364B1 (en) * | 2017-01-17 | 2020-04-15 | BIC-Violex S.A. |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
US11161263B2 (en) * | 2019-08-22 | 2021-11-02 | Harry's, Inc. | Razor cartridge connection and handle |
-
2021
- 2021-05-14 KR KR1020210062897A patent/KR1026554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4-18 CN CN202280034958.5A patent/CN117295591A/zh active Pending
- 2022-04-18 WO PCT/KR2022/005541 patent/WO202223998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4-18 EP EP22807632.9A patent/EP4338904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11-14 US US18/508,677 patent/US20240091967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4-02 KR KR1020240044680A patent/KR2024006459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191B1 (ko) * | 2007-05-31 | 2009-06-17 | 주식회사 도루코 | 면도기 |
KR101486932B1 (ko) * | 2008-10-01 | 2015-01-27 | 빅-비올렉스 에스아 | 면도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손잡이 및 그 손잡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295591A (zh) | 2023-12-26 |
KR20220155098A (ko) | 2022-11-22 |
EP4338904A1 (en) | 2024-03-20 |
US20240091967A1 (en) | 2024-03-21 |
WO2022239984A1 (ko) | 2022-11-17 |
KR20240064591A (ko) | 2024-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7818B1 (ko) | 면도기 부품, 면도 카트리지 및 제조 방법 | |
CN109571561B (zh) | 剃须刀刀片架组件 | |
JP4921747B2 (ja) | 剃刀 | |
US20080256800A1 (en) | Razor cartridge assembly with movable face | |
JPS60502238A (ja) | かみそりの柄組立体 | |
KR20200031657A (ko) | 면도 시스템 | |
EP2056995A1 (en) | Shaving blade unit comprising a movable trimming blade protector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 |
JP2008540053A (ja) | 分離されるガードバーを有する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 |
CA2383107A1 (en) | Razor cartridge loading system | |
US20230211516A1 (en) | Cartridge connector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2655435B1 (ko) | 면도기 핸들 | |
KR102655436B1 (ko) |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 |
CA2962748A1 (en) | A shaving blade cartridge and a shaver comprising such shaving blade cartridge | |
KR20230107533A (ko) | 면도기 조립체 | |
KR20210150008A (ko) | 면도기 조립체 | |
KR102231866B1 (ko) |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 |
KR102691550B1 (ko) |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조립체 | |
KR102655433B1 (ko) | 면도기 조립체 | |
KR102474994B1 (ko) | 면도기 카트리지 | |
KR20240145919A (ko) | 면도기 조립체 | |
KR101136349B1 (ko) | 면도기 카트리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