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35306B1 -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306B1
KR102635306B1 KR1020160143111A KR20160143111A KR102635306B1 KR 102635306 B1 KR102635306 B1 KR 102635306B1 KR 1020160143111 A KR1020160143111 A KR 1020160143111A KR 20160143111 A KR20160143111 A KR 20160143111A KR 102635306 B1 KR102635306 B1 KR 10263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le
leaf extract
stage
bean leaf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27A (ko
Inventor
김수나
강영규
신승현
이용희
나용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4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306B1/ko
Priority to PCT/KR2017/010817 priority patent/WO2018080039A1/ko
Priority to TW106137258A priority patent/TW201817438A/zh
Publication of KR2018004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모유두 세포와 같은 탈모와 연관되는 조직에서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 촉진으로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Improving Hair Growth Containing Extract of Yellow-Colored Leaf of Soybean}
본 발명은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조직인 표피는 신체의 민감한 조직이 손상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두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 예컨대, 온도 변화, 습도 변화, 공해물질 노출 등의 외부 자극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영향 결핍 등으로 인해 두피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며, 탈모 현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탈모와 연관되는 조직으로는 피지선(sebaceous gland), 표피와 모낭의 각화세포(keratinocytes), 모유두 세포(진피 유두세포, dermal papilla cell), 한선(sweat gland), 모근초(root sheath of the scalp hair foll icle) 등이 있다.
남성의 형질발현에 있어서, 골격근 증가, 정자 형성 등은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관여하고 여드름, 피지증가, 탈모 및 전립선비대증 등은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해당 조직에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iboutot et al., J. Invest. Dermatol ., 105(2):209-14, 1995).
남성형 탈모증은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리덕타아제(5-알파 환원효소, 5 alpha-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여 모낭을 성장기 단계에서 퇴화기 단계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남성형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5-알파 리덕타아제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환자의 탈모 호르몬 DHT를 감소시켜 탈모를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는데(Van Neste et al., 2000), 이를 통해 5-알파 리덕타아제가 탈모 치료를 위한 중요한 타겟으로 탈모 치료제 개발에 이용되고 있으며,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반응에 관여하는 생체 효소인 5-알파 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서 탈모증을 치료하는 약리활성 물질을 찾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형 탈모증을 위한 치료제로는 주로 미녹시딜(minoxidil)이나 에스트로겐이 사용되고 있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미녹시딜을 환부에 바르거나 인위적으로 환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복합적인 탈모 원인에 대하여, 혈액 순환 촉진, 남성 호르몬 작용 억제, 모근 기능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시중에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이고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녹시딜의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과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 피나스테라이드의 경우 현재 경구투여용 제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의 섭취에 따라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을 뿐 아니라, 경구복용에 의해서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을 장기 투여하는 경우에는 유방암, 자궁암 등의 발암 위험성이 있고, 두통, 체중 증가와 같은 부작용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물로부터 추출된 에스트로겐 유사물질(phytoestrogen)인 콩의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탈모개선을 목적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이슈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하면서 동시에 효과적인 천연 유래 물질을 이용한 탈모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SERM(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로,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어떤 조직에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제(agonist)로 작용하고, 다른 조직에서는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SERM의 특징을 이용하여, 발암 가능성이 높은 자궁, 유방 등의 조직에서는 안전하면서도, 갱년기 증후군 개선에는 효과적인 SERM 함유 약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아피게닌(apigenin)은 식물성 폴리페놀로서, 과일 및 채소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특히 파슬리, 셀러리, 마늘 및 배추에 풍부하며, 항염증반응, 항암, 자유기 소거 등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Prostag . Leukotr . Ess ., 58:17-24, 1998).
쿠메스트롤(Coumestrol)은 콩 또는 콩과 식물 원물 내에 극히 미량이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비교하여 쿠메스트롤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30~100배 이상 높아, 자궁암, 골수암, 유방암 또는 뇌암, 갱년기 증상 등을 완화시키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카페인은 모유두 세포의 신진대사 작용을 자극하여 모낭 성장을 촉진하고(Kren et al, Zygote, 12(1):31-38, 2004; Tsianakas A et al., Arch. Dermatol . Res., 296:450, 2005), 모낭을 위축시키는 활성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작용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Fischer et al., Int J Dermatol., 46(1):27-35, 2007). 그러나, 카페인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모유두 세포에 영향을 미쳐 세포를 괴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Hashimoto et al., Cancer Res., 64(9):3344-3349, 2004) 오히려 탈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즉, 카페인이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효과를 낼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모낭에 도달하자면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차를 하루 60잔은 마셔야 하거나 두피에 바를 수 있는 카페인 용액은 고농도인 경우 오히려 탈모를 유발하기 때문에 효능이 우수하고 안전한 탈모방지제의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 C.A. Mey. 1909)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며 오장을 보하고 원기를 보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명약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인삼의 약효성분에 대한 효능은 Brekhman(1957)에 의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또는 사포닌(saponin)에 대한 연구로서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진세노사이드는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 고혈압의 개선, 항산화 효과, 항스트레스 등의 많은 효능이 알려져 있다.
녹차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식물(예컨대,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로 삼국시대부터 음용하여 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기능성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녹차에는 폴리페놀(예컨대,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C 등의 유용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강심작용, 피부미용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대한 항산화작용, 항콜레스테롤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종양작용, 혈소판응집저해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그 기능성이 크게 주목되고 있다.
녹차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녹차 한잔에 100㎎ 내외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이하 "EGCG"라 칭함)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이하 "ECG"라 칭함) 등의 갈레이트 카테킨(gallated catechin, 이하 "GC"라 칭함)과 그 외 에피카테킨(epicatechin. 이하 "EC"라 칭함) 및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이하 "EGC"라 칭함) 등의 여러 종류의 카테킨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성분은 항충치, 항균, 항산화, 소취작용, 혈당치 및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항종양,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작용 등 다양한 생체조절 기능을 가지는 식품소재로서 실용화되어 가공식품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테킨은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3∼4배에 달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테킨류는 수용성이지만 차잎에는 비타민 E나 β-카로틴 등의 지용성 성분도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들은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이나 암발생에 악영향을 주는 활성산소나 활성산소 유래의 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동시에 항산화 작용을 하는 카테킨과 같이 섭쉬하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는 모낭의 형성을 촉진하고(Andl T, et al., Dev Cell, 2(5):643-653, 2002), 모발주기의 성장기 동안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유지하고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Kishimoto J, et al., Genes & Dev , 14:1181-1185, 2000), 줄기세포로부터 케라티노사이트로의 분화를 촉진한다(Huelsken J, et al., Cell 105(4):533-545, 2001)고 보고되어 있다.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은 피부 생성 및 모낭 발생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Wnt 유전자를 녹-다운(Knock-down)시킨 마우스에서는 모발 성장이 저해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에 모낭 줄기세포에 존재하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물질이 모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미녹시딜의 경우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승인을 받은 모발성장 촉진 약물 중 하나로, 처음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그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현재는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의 발모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작용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KATP-채널 개방, 혈관 확장을 통한 영양 공급 증가 및 인간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에서 β-카테닌(catenin) 경로의 활성화 등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인간 모유두 세포는 중배엽 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IGF-1), 간세포 성장인자(H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7(FGF-7)과 같은 단백질 분비를 통해 모발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미녹시딜은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 저하를 통해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성장을 증식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물질의 5-알파 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인간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 증식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해당 물질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탈모를 치료하고 발모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는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개선 효과와 피부 보습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백모, 탈모 및 비듬 억제 효능이 개시되어 있으나,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즉, 단풍콩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증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단풍콩잎 추출물, 즉,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4964호 (2014.03.2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30095호 (2015.03.19.)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에 효과적인 식물 유래 SERM(phytoSER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즉, 단풍콩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증상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방지 효능이 우수한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모유두 세포와 같은 탈모와 연관되는 조직에서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 촉진으로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가 있다.
도 1은 콩(콩잎)의 각 생육단계별 콩잎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풍콩잎 추출물과 콩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풍콩잎 추출물 또는 콩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모유두세포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Wnt/β-catenin signalling cascade) 활성에 따른 반응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풍콩잎 추출물 또는 콩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모낭 기관의 모발 성장 길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풍콩잎"은 콩의 생육과정 중에 콩잎의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을 의미하며, 이러한 콩잎은 콩의 생육 단계 중에서 1) 콩깍지와 콩이 노란색으로 변해가는 상태(하기 R7시기); 에서부터 2) 잎이 떨어지면서 콩깍지와 콩이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하기 R8 시기); 에 있는 콩잎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풍콩잎"은 초록색 또는 파릇한 콩잎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콩잎이거나 또는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의 콩잎을 의미하며, 콩잎이 부분적으로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인 경우를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하기 콩의 생육단계 중 R7 내지 R8 단계의 콩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콩의 생육단계는 다음과 같다.
VE 단계: 종자를 심은 후 1~2주 후 상태, 토양으로부터 떡잎이 올라옴
VC 단계: 떡잎이 활짝 피며, 그 위로 한마디가 자라나고 외엽이 생성됨
V1 단계: 첫번째 외엽으로부터 한마디가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2 단계: V1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3 단계: V2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4 단계: V3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5 단계: V4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R2 단계: 콩꽃이 활짝 핀 상태
R4 단계: 콩깍지 생성이 완료된 상태
R5 단계: 콩깍지 안에 콩이 생성되는 상태
R6 단계: 콩깍지 안에 녹색의 콩이 생성 완료된 상태
R7 단계: 콩깍지와 콩이 노란색으로 변해가는 상태
R8 단계: 잎 떨어지면서 콩깍지와 콩이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풍콩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모낭 줄기세포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10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150% 이상의 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반응 정도(즉,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의 농도 의존적으로 반응 정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모낭 줄기세포의 모발 성장 촉진 신호인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풍콩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간 모낭 기관의 모발 성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은 1, 10 및 50ppm의 농도 범위에서 양성대조군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ppm 농도에서는 모발의 길이 성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인간 모낭 기관의 모발을 성장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시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풍콩잎 추출물, 또는 아피게닌, 쿠메스트롤, 카페인,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물질과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처리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SO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음성대조군)에 비해 1, 10 또는 50ppm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는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였고, 특히 10ppm 농도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미녹시딜으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양성대조군)와 동등한 수준의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피게닌, 쿠메스트롤, 카페인, 인삼 추출물(실시예 5) 및 녹차 추출물(실시예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물질과 10ppm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혼합한 혼합물을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한 결과,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과 상기 물질을 혼합하여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할 경우 모발 성장 효과가 더욱 촉진되는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시험예 4 참조).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의 조절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은 남성 호르몬 및/또는 혈액 순환 조절을 통해 모발 성장 촉진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남성 호르몬을 억제하거나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는 해결되지 않았던 심한 탈모 및 여성형 탈모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단풍콩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콩잎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란색으로 변했을 때의 콩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의 생육단계 중 R7 내지 R8 단계의 콩잎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아피게닌(apigenin), 쿠메스트롤(Coumestrol), 카페인,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과 단풍콩잎 추출물을 특정 혼합비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콩'은 그 종류에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서리태(Seoritae, Glycin max MERR), 서목태(Seomoktae, Rhynchosia Nolubilis), 흑태(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청태(blue bean, Glycime max MERR ), 황태(yellow bean, Glycime max MERR), 울타리콩(field bean, Vicia faba), 강낭콩(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얼룩강낭콩(pinto bean, Phaseolus vulgaris L.), 적두(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거두(small black bean, Phaseolus angularis W.F. WIGHT.), 콩나물콩(sprouting bean, Glycine max (L.) Merr.) 및 대두(soybean, Glycine ma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단풍콩잎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단풍콩잎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단풍콩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단풍콩잎,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단풍콩잎의 발효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풍콩잎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초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풍콩잎 초본의 잎, 줄기, 뿌리, 및 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꽃, 잎, 및 줄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의 경우 반드시 건조를 통해서 제조되는 것은 아니며 단풍콩잎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개선(improve)" 또는 "완화(alleviate)"란 용어는 이상(abnormality) 또는 증상, 증후군을 포함하는 조건, 질병, 장애 또는 표현형의 감소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여기서, 탈모의 개선 또는 완화란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탈모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치료"란 탈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은 phyto-SERM(phyto-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hyto-SERM은 식물에서 유래한다는 의미의 "피토(phyto)"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SERM,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가 조합된 단어이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어떤 조직에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제(agonist)로 작용하고, 다른 조직에서는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는 발암 가능성이 높은 자궁, 유방 등의 조직에 있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는 길항제로 작용하여 자궁암, 유방암 등의 발암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낭 인간 모유두 세포에는 작용제로 작용하여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방지에는 효과적인 phyto-SERM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풍콩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풍콩잎 추출물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추출물의 성분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과가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피게닌(apigenin), 쿠메스트롤(Coumestrol), 카페인,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아피게닌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단풍콩잎 추출물 및 아피게닌이 1~10:1~10,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쿠메스트롤로 구성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단풍콩잎 추출물 및 쿠메스트롤이 1~10:1~10,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카페인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단풍콩잎 추출물 및 카페인이 1~10:1~10,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이 1~10:1~10,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단풍콩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1~10:1~10,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콩잎 추출물은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모유두 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콩잎 추출물은 모낭 기관의 모발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콩잎 추출물은 모유두 세포의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증상 개선 효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부형제(excipient)"는 정제나 환약 등의 제제 과정에서 주약(主藥)의 양이 적은 경우에 약을 먹기 쉽게 하거나 어떤 빛깔과 형태를 갖추게 하려고 더 넣는 물질로, 락토오스나 녹말을 주로 사용한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의약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 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 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투여량은, 예컨대, 하루에 체중 1㎏당 0.01~5000㎎, 바람직하게는 0.1~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0㎎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콩잎 추출물 또는 단풍콩잎 추출물은 천연물질이므로 독성이 전혀 없어서 의약품으로 지속적으로 다량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에는,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들이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될 객체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질환의 증상을 방지,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 내용 측면에서,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서 사용되는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화합물들)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은 세포 배양 분석으로부터 초기에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량(dose)은 세포 배양에서 결정된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또는 EC50(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를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얻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서 계산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인간에서의 유용한 선량을 더욱 정확히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단풍콩잎 추출물,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화합물들)의 독성과 치료 효율성은, 예를 들어, LD50(군집의 50%에 대한 치사량), ED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선량), IC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억제 효과를 갖는 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 또는 실험동물에서의 표분 제약 과정들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 효과 간의 선량 비가 치료 지수이고 이것은 LD50과 ED50(또는, IC50) 간의 비율로서 표현될 수 있다. 높은 치료 지수를 보이는 화합물들이 바람직하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인간에 사용하는 선량의 범위를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들의 투여량(dosage) 또는 도포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ED50(또는, IC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식품을 의미한다.
기능성은 물성 및 생리기능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할 경우, 일반 식품의 물성 및 생리기능성이 향상될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향상된 기능의 식품을 포괄적으로 '기능식품(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건강기능성 식품)'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021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자체가 다른 식품에 대한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음료,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투여시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 에센스,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외에도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 실시예 1∼4] 생육단계별 콩잎 추출물의 제조
신화콩(Glycine max (L.) Merrill; 국립종자원 품종등록번호: 제01-0003-134호)을 파종한 후 45일 경과한 콩잎(V5단계), 78일 경과한 콩잎(R2~3단계), 107일 경과한 콩잎(R6단계), 139일 경과한 콩잎(R8단계)을 각각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였다. 상기 세말화된 각각의 콩잎 가루 100g씩을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상온(25℃)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그 다음, 여과물을 농축하여 분말화하였다. 그리하여 V5단계의 콩잎 추출물(실시예 1), R2~3단계의 콩잎 추출물(실시예 2), R6단계의 콩잎 추출물(실시예 3), 및 R8단계의 콩잎 추출물(실시예 4)의 분말을 각각 10.3g씩 수득하였다.
[ 실시예 5] 인삼 추출물의 제조
생(生)인삼근을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시켜 인삼근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근 건조원료 1kg에 물 3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근 추출물 300g을 얻었다.
[ 실시예 6] 녹차 추출물의 제조
300g의 녹차에 85∼95℃의 온도로 가열된 4.5L의 물을 첨가한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2∼3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여과하고 65∼75℃에서 감압으로 녹차 추출물 82.7g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 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4의 제조시 사용한 콩과 동일한 품종인 신화콩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였다. 세말화된 콩 가루 100g을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상온(25℃)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그 다음, 여과물을 농축하여 분말화하였다. 그리하여 콩 추출물의 분말을 10.3g 수득하였다.
[ 시험예 1] 생육단계별 콩잎 추출물의 성분 비교 분석
제조한 각 생육단계별 콩잎 추출물(실시예 1 내지 4) 및 콩 추출물(비교예)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추출물 각각을 70% 에탄올에 녹여 10,000ppm 용액으로 만든 후, HPLC(Waters사, 2695 model)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Waters사, 2996 PDA 검출기)을 진행하였다. 고정상은 Kanto Chemical의 Mightysil RP-18 GP 250-4.6(5μm) 칼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사용하였다.
시간(분) 아세토나이트릴
0 95 5
65 62 38
70 38 62
75 95 5
80 95 5
그 결과, 도 1의 HPLC 분석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종 후 139일 경과한 콩잎(R8단계) 추출물(실시예 4)에서, 파종 후 45일 경과한 콩잎(V5단계) 추출물(실시예 1), 파종 후 78일 경과한 콩잎(R2~3단계) 추출물(실시예 2) 및 파종 후 107일 경과한 콩잎(R6단계) 추출물(실시예 3)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피크(peak)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콩잎의 생육단계에 따라 콩잎 추출물의 구성성분이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의 HPLC 분석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종 후 139일 경과한 콩잎(R8단계) 추출물(실시예 4)은 콩종자 추출물(비교예)과 비교하여 이소플라본 및 그 유도체들(Daidzein, Genistein, Daidzin, Genistin, Malonyl-Daidzin, Malonyl-Genistin)의 함량이 현저히 낮고, 쿠메스트롤 및 다른 미지의 성분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2] 단풍콩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모낭 줄기세포의 Wnt /β- 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 변화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리포터 단백질인 루시퍼라제가 발현되는 모낭 줄기세포인 NIH3T3(Wn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Nunc, Wiesbaden, Germany)에 10000cells/well로 씨딩(seeding)한 다음, 5% CO2, 37℃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양한 NIH3T3(Wnt) 세포에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1, 10 또는 50ppm의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음성대조군: DMSO(Dimethyl Sulfoxide); 양성대조군: 50mM의 리튬클로라이드(LiCl); 비교예: 일반 콩잎 추출물). 그 다음,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ONE-Glo 시약(Promega, Madison, WI, USA)을 100μL씩 넣고 3분간 반응시켰으며, 반응 후 luminometer Victor(PerkinElmer, Waltham,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하여 NIH3T3(Wnt) 세포의 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반응(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도)을 측정(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10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150% 이상의 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반응 정도(즉,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반응 정도가 증가하였다. 반면, 비교예인 일반 콩잎 추출물의 경우 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반응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일반적으로, Wnt/β-카테닌 루시퍼라제 반응 정도가 150%를 넘으면, 발모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모낭 줄기세포의 모발 성장 촉진 신호인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단풍콩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간 모낭 기관의 모발 성장 효과
모발이식술 이후 남은 조직에서 인간 모낭 기관을 하나씩 분리하여 William' E 배지(L-글루타민(2mM), 인슐린(10μg/mL), 히드로코르티손(40ng/mL), 항생제(1% w/v), 항진균제(1% w/v) 함유 배지)에 배양하였다.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1, 10 또는 50ppm의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음성대조군: DMSO; 양성대조군: 50μM 미녹시딜), 배양 3일차 및 6일차에 모낭 기관으로부터 성장한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은 1, 10 및 50ppm의 농도 범위에서 양성대조군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ppm 농도에서는 모발의 길이 성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인간 모낭 기관의 모발을 성장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4]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
인간 모유두 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를 96웰 플레이트에 5000세포/well로 씨딩하고, 5% CO2, 37℃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i)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 1, 10 또는 50ppm), 0.1% DMSO(음성대조군), 50μM 미녹시딜(양성대조군)을 각각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하거나, (ii) 아피게닌(Sigma, 미국), 쿠메스트롤(Sigma, 미국), 카페인(Sigma, 미국), 인삼 추출물(실시예 5) 또는 녹차 추출물(실시예 6) 중 하나의 시험물질을 5ppm의 농도로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 10ppm)과 혼합하여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시험법(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tetrazolium reduction assay)으로 세포 증식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률을 확인하였다.
 시료 세포 증식률(%) 표준편차(%)
0.1% DMSO(음성대조군) 100.0 3.4
50μM 미녹시딜(양성대조군) 112.4 9.0
1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 105.7 4.5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 114.1 3.6
5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 107.9 11.4
5ppm 아피게닌 112.2 5.8
5ppm 쿠메스트롤 109.6 4.4
5ppm 카페인 127.6 2.5
5ppm 인삼 추출물(실시예 5) 124.9 8.7
5ppm 녹차 추출물(실시예 6) 106.5 5.1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5ppm 아피게닌 131.1 6.4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5ppm 쿠메스트롤 129.3 5.5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5ppm 카페인 138.8 4.7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5ppm 인삼 추출물(실시예 5) 140.2 10.4
10ppm 단풍콩잎 추출물( 실시예 4)+5ppm 녹차 추출물(실시예 6) 133.9 8.3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SO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음성대조군)에 비해 1, 10 또는 50ppm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는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였고, 특히 10ppm 농도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는 미녹시딜으로 처리된 인간 모유두 세포(양성대조군)와 동등한 수준의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피게닌, 쿠메스트롤, 카페인, 인삼 추출물(실시예 5) 또는 녹차 추출물(실시예 6)을 각각 5ppm 농도로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였으며,
아피게닌, 쿠메스트롤, 카페인, 인삼 추출물(실시예 5) 및 녹차 추출물(실시예 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의 물질과 10ppm의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4)을 혼합하여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한 결과,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단풍콩잎 추출물과 상기 물질을 혼합하여 인간 모유두 세포에 처리할 경우 모발 성장 효과가 더욱 촉진되는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예 1∼10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의약품, 식품, 화장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성, 비용 및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함량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제제 및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다.
[ 제제예 1] 연질 캡슐의 제조
단풍콩잎 추출물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캡슐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단풍콩잎 추출물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4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드링크제의 제조
단풍콩잎 추출물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게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과립의 제조
단풍콩잎 추출물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제조하였다.
[ 제형예 5]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3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Montana 202 (제조사:Seppic)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6] 마사지크림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4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7] 팩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5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8] 헤어토닉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6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5.0
피마자유 5.0
레조시놀 0.1
멘톨 0.05
판테놀 0.2
살리실산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에탄올 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9] 헤어샴푸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7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샴푸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5.0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LS) 20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LES) 20
코카마이드미파 적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카보머 적량
에탄올 적량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6.0
디메치콘(50%) 2.0
디메치콘(70%) 2.0
DL-판테놀 적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멘톨 적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C/IMI)
0.03
메칠파라벤 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10]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8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컨디셔너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단풍콩잎 추출물 5.0
에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라이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단풍콩잎 추출물; 및 아피게닌(apigenin), 쿠메스트롤(Coumestrol), 카페인,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구성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단풍콩잎 추출물은 하기 콩의 생육단계 중 R7 내지 R8 단계의 콩잎으로부터 추출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VE 단계: 종자를 심은 후 1~2주 후 상태, 토양으로부터 떡잎이 올라옴
    VC 단계: 떡잎이 활짝 피며, 그 위로 한마디가 자라나고 외엽이 생성됨
    V1 단계: 첫번째 외엽으로부터 한마디가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2 단계: V1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3 단계: V2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4 단계: V3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5 단계: V4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R2 단계: 콩꽃이 활짝 핀 상태
    R4 단계: 콩깍지 생성이 완료된 상태
    R5 단계: 콩깍지 안에 콩이 생성되는 상태
    R6 단계: 콩깍지 안에 녹색의 콩이 생성 완료된 상태
    R7 단계: 콩깍지와 콩이 노란색으로 변해가는 상태
    R8 단계: 잎 떨어지면서 콩깍지와 콩이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아피게닌을 함유하는 경우, 단풍콩잎 추출물 및 아피게닌을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의 혼합비로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쿠메스트롤을 함유하는 경우, 단풍콩잎 추출물 및 쿠메스트롤을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의 혼합비로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경우, 단풍콩잎 추출물 및 카페인을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의 혼합비로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단풍콩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의 혼합비로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이 단풍콩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단풍콩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의 혼합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콩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6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콩잎 추출물은 Wnt/β-카테닌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143111A 2016-10-31 2016-10-31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635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11A KR102635306B1 (ko) 2016-10-31 2016-10-31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PCT/KR2017/010817 WO2018080039A1 (ko) 2016-10-31 2017-09-28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TW106137258A TW201817438A (zh) 2016-10-31 2017-10-27 含有大豆黃葉萃取物的用於防止脫髮或改善生髮的組合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11A KR102635306B1 (ko) 2016-10-31 2016-10-31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27A KR20180047227A (ko) 2018-05-10
KR102635306B1 true KR102635306B1 (ko) 2024-02-13

Family

ID=6202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11A KR102635306B1 (ko) 2016-10-31 2016-10-31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35306B1 (ko)
TW (1) TW201817438A (ko)
WO (1) WO2018080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621B1 (ko) * 2018-11-15 2024-03-11 (주)아모레퍼시픽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11297701A (zh) * 2020-03-13 2020-06-19 上海水分子婴童用品有限公司 泡沫洁肤巾及其制作工艺
KR102473645B1 (ko) 2020-08-28 2022-12-05 (주)부흥산업사 (2S,5R)-벤질 5-(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7478A1 (en) * 2010-12-21 2012-06-21 Dawson Jr Thomas Larry Hair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mprove Hair Appear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70A (ko) * 2006-08-01 2008-02-11 (주)로다멘코스메딕스 푸에라리아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76001B1 (ko) 2012-09-10 2020-02-12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73638B1 (ko) * 2012-09-10 2019-04-30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52517B1 (ko) * 2013-09-11 2019-12-06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75249B1 (ko) 2013-09-11 2020-11-06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 2014-06-19 2015-12-30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7478A1 (en) * 2010-12-21 2012-06-21 Dawson Jr Thomas Larry Hair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mprove Hair Appea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7438A (zh) 2018-05-16
WO2018080039A1 (ko) 2018-05-03
KR20180047227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604B1 (ko)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JP5577443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の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5306B1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2770722B (zh) 小花风车子提取物在化妆品中的用途
KR20160059271A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6513468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レッドビート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824497B1 (ko) 피토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6267957B2 (ja) 皮脂合成抑制剤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67033B1 (ko) 대두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46697A (ko) 아이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46685A (ko) 노나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3008704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62143A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q1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9710B1 (ko) 콩 배양조직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095435A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2538135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81157B1 (ko) 아미노산을 이용한 식물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23106879A1 (ko)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6696A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09436B1 (ko)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