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22610B1 -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610B1
KR102622610B1 KR1020230058702A KR20230058702A KR102622610B1 KR 102622610 B1 KR102622610 B1 KR 102622610B1 KR 1020230058702 A KR1020230058702 A KR 1020230058702A KR 20230058702 A KR20230058702 A KR 20230058702A KR 102622610 B1 KR102622610 B1 KR 10262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rist
information
preference
module
t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호
Original Assignee
(주)피플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플밤 filed Critical (주)피플밤
Priority to KR102023005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관광장소를 추천하도록 하면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기상정보, 시간대별 환경정보 등에 따른 관광장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일정 추천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A Smart Recommending System of Travel Schedule}
본 발명은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관광장소를 추천하도록 하면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기상정보, 시간대별 환경정보 등에 따른 관광장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일정 추천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의 증가, 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여가 생활의 중요성 확대 등으로 인해 관광·여행 산업의 중요성 및 그 시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관광은 여행사가 공급하는 관광상품을 이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개인이 온라인을 통해 관광정보를 얻고 자유롭게 여행하는 트렌드가 일반화되어 있다.
온라인을 통한 관광정보의 획득이 이루어지던 초기에는 다양한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도 광고성 정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정보의 양이 너무 방대해져 개인이 양질의 관광정보를 찾는 것이 오히려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여행 일정을 추천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잘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 특성, 주변 환경에 맞추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추천 시스템은 제공된 바 없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169110호(2020. 10. 16. 등록)"여행 일정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관광장소를 추천하도록 하면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기상정보, 시간대별 환경정보 등에 따른 관광장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일정 추천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고, 성별, 나이 등의 사용자특성, 계절 등의 시기, 날씨, 일출/일몰, 만조/간조 등의 환경,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선호도의 분석과 여행일정의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테마에 맞는 선호도 높은 관광장소를 추천하고, 이와 더불어 각 테마의 중요정도에 맞춘 관광장소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광장소에 대한 더욱 정확한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천되는 관광장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도록 하면서, 각 여행일정에 대해 관광장소간의 이동수단을 매칭시키고,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와 이동수단에 따른 비용, 소요시간을 선호정도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추천되는 여행일정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천되는 여행일정에 포함된 각 관광장소에서 인생샷을 찍을 수 있는 촬영위치도 함께 추천하도록 하여 관광장소에서의 사진 촬영에 대한 만족도도 높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행지역에서 판매되는 물품정보,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도 함께 추천하도록 하여 여행 중 물품 구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은 여행일정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며,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여행일정을 추천받는 사용자단말기와; 관광지, 숙소, 맛집과 같은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관광장소 및 관광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등록되는 사용자정보에 맞추어 선호도가 높은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을 추천하며, 기상상황과 같은 환경정보에 따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관광장소에 관한 정보와 함께 관광장소와 관련된 온라인상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등록부와, 상기 데이터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SNS정보를 분석하여 관광지, 숙소, 맛집과 같은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분석부와, 상기 선호도분석부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관광장소 및 관광장소를 이동하는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관광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도분석부는 사용자특성 및 환경, 시간에 따른 관광장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분석부는 수집된 SNS정보에서 관광장소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대상추출모듈과, 수집된 SNS의 사용자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정보수집모듈과, 수집된 SNS에 포함된 관광장소에 대한 방문시점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시간정보추출모듈과, 방문시점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환경정보저장모듈과, SNS에 포함된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정도를 분석하는 SNS분석모듈과, 상기 SNS분석모듈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와 시기, 환경에 따라 관광장소의 선호도를 산정하는 선호도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산정모듈은 특정 관광장소에 대해 수집된 SNS정보의 숫자 대비 상기 SNS분석모듈에 의한 분석결과 관광장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된 사용자의 비율에 따라 선호도를 산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시기, 환경,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선호도를 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추천부는 사용자의 여행 일정에 맞는 숙소를 추천하여 제공하는 숙소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숙소추천부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과 같은 사용자 특성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의 여행일정 정보를 입력받는 일정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가 원하는 숙소 유형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유형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가 원하는 비용범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비용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의 여행일정, 원하는 유형 및 비용범위에 적합한 숙소를 검색하는 숙소정보검색모듈과, 검색된 숙소에 대해 사용자와 동일한 범위의 나이, 성별의 사용자들이 여행일정이 포함된 시기에 선호하는 숙소를 선별하여 표시하는 선호분석표시모듈과, 표시된 숙소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숙소정보를 저장하는 선택숙소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추천부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테마의 관광지, 맛집과 같은 관광장소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장소추천부와, 추천된 관광장소에 대해 환경에 따른 선호도를 고려한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일정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소추천부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의 테마정보를 입력받는 선호테마입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각 테마의 중요정도를 입력받는 중요지수입력모듈과, 각 관광장소에 설정된 테마별 맞춤정도와 사용자의 중요정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테마에 대한 맞춤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도를 산정하는 매칭도산정모듈과, 상기 매칭도산정모듈에 의해 매칭도가 높은 순으로 관광장소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매칭장소선별모듈과, 선별된 관광장소에 대한 성별, 나이와 같은 사용자특성, 시기에 따른 선호도를 반영하여 각 관광장소의 선호정도를 산정하는 선호정도산정모듈과, 선호정도가 높은 관광장소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선호장소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정추천부는 상기 장소추천부에 의해 추천되는 관광장소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관광장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는 여행일정생성모듈과,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 각각에 대해 여행일정 동안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모듈과, 각 관광장소에 대해 환경, 시점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는 선호도로딩모듈과, 상기 선호도로딩모듈에 의해 불러온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여행일정의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선호지수를 산출하는 선호지수산출모듈과, 선호지수가 높은 일정개수의 여행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정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수집모듈은 기온, 강수량, 바람, 일출/일몰, 만조/간조와 같은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선호도로딩모듈을 통해 각 환경에 따른 관광장소의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정추천부는 각 관광장소를 조합한 여행일정 각각에 대해 관광장소 사이의 이동수단을 매칭하는 이동수단매칭모듈과, 각 여행일정에 따른 관광장소, 이동수단을 위해 지출되는 비용 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지수를 산출하는 비용지수산출모듈과, 각 여행일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시간지수를 산출하는 시간지수산출모듈과,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 각각에 대한 중요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설정모듈과,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반영, 합산하여 각 여행일정에 다른 종합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종합지수를 산정하는 종합지수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정보제공모듈은 종합지수가 높은 일정 개수의 여행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추천부는 추천되는 여행일정의 각 관광장소에서의 촬영 위치를 추천하는 촬영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추천부는 관광장소에 대해 수집되는 SNS의 이미지 정보를 불러오는 이미지정보로딩모듈과, 각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추출모듈과, 각 촬영위치에서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분석모듈과, 선호도가 높은 위치를 촬영위치로 추천하는 추천위치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추천부는 사용자가 여행할 지역에서 구매빈도 및 선호도가 높은 물품을 추천하는 물품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추천부는 사용자들의 여행일정 중 물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매정보수집모듈과, 사용자가 여행할 지역을 설정하는 지역설정모듈과, 설정된 지역의 물품 구매정보를 불러오는 구매정보로딩모듈과, 물품별로 전체 물품 구매수 대비 해당 물품의 구매비율에 따라 구매되는 정도를 산정하는 구매지수산정모듈과, 물품에 대한 선호 정보를 수집하는 선호정보수집모듈과, 물품의 선호정도를 나타내는 선호지수를 산정하는 선호지수산정모듈과, 구매지수 및 선호지수를 합산하여 물품지수를 산출하는 물품지수산출모듈과, 물품지수가 높은 물품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물품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추천부는 추천된 여행일정 상에서 관광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매장을 추천하는 매장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추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장을 추천할 물품을 설정하는 물품설정모듈과, 설정된 물품을 판매하는 여행지역의 매장정보를 수집하는 매장정보수집모듈과, 수집된 전체 매장들의 해당 물품에 대한 판매수 대비 특정 매장의 판매수 비율에 따라 판매지수를 산정하는 판매지수산정모듈과, 각 매장에서의 해당 물품에 대한 선호 정도를 산정하는 선호도산정모듈과, 판매지수 및 선호 정도를 합산하여 매장별 구매지수를 산출하는 구매지수산출모듈과, 구매지수가 높은 매장을 추천하는 매장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특성에 맞는 관광장소를 추천하도록 하면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기상정보, 시간대별 환경정보 등에 따른 관광장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일정 추천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고, 성별, 나이 등의 사용자특성, 계절 등의 시기, 날씨, 일출/일몰, 만조/간조 등의 환경,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선호도의 분석과 여행일정의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테마에 맞는 선호도 높은 관광장소를 추천하고, 이와 더불어 각 테마의 중요정도에 맞춘 관광장소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광장소에 대한 더욱 정확한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천되는 관광장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도록 하면서, 각 여행일정에 대해 관광장소간의 이동수단을 매칭시키고,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와 이동수단에 따른 비용, 소요시간을 선호정도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추천되는 여행일정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천되는 여행일정에 포함된 각 관광장소에서 인생샷을 찍을 수 있는 촬영위치도 함께 추천하도록 하여 관광장소에서의 사진 촬영에 대한 만족도도 높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행지역에서 판매되는 물품정보,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도 함께 추천하도록 하여 여행 중 물품 구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데이터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선호도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의 관광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5의 숙소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5의 장소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5의 일정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5의 촬영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5의 물품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5의 매장추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시스템에 의해 추천되는 여행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은 여행일정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며,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여행일정을 추천받는 사용자단말기(200)와; 관광지, 숙소, 맛집과 같은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관광장소 및 관광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관리자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등록되는 사용자정보에 맞추어 선호도가 높은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을 추천하며, 기상상황과 같은 환경정보에 따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은 관광지에서 관광장소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관광장소 및 관광장소들이 조합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하는 것으로, 온라인 상의 SNS정보들로부터 숙소,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들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추천시스템은 사용자들의 특성, 시기에 따른 선호도를 분석하여 관광장소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날씨, 기후 등의 환경특성, 시간에 따른 선호도를 고려하여 관광장소가 조합된 일정을 최적화하여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일정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관광장소, 여행일정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여행하고자 하는 지역, 일정 등 여행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관리서버(100)로부터 추천되는 관광장소, 여행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본 시스템을 관리, 운영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관광장소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00)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관광지, 숙소, 맛집 등의 관광장소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00)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관광장소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관광장소 및 이동수단을 위한 비용, 소요시간 정보, 관광지역에서 판매되는 물품, 상점 등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을 추천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숙소,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관광장소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며, 분석된 선호도에 따라 관광장소, 여행일정 등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00)는 데이터등록부(1), 선호도분석부(3), 관광추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등록부(1)는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의 추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숙소정보등록모듈(11), 관광지정보등록모듈(12), 맛집정보등록모듈(13), SNS정보등록모듈(14), 물품정보등록모듈(15), 매장정보등록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소정보등록모듈(11)은 관광지역의 숙소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숙소의 위치, 비용, 유형 정보 등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숙소 예약 시스템과 연계하여 예약정보 등이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광지정보등록모듈(12)은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관광지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박물관, 지역명소, 미술관, 체험시설 등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광지정보등록모듈(12)은 관광지의 위치, 비용 등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관광지의 관련 테마, 테마와의 관련도 등에 관한 정보도 함께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맛집정보등록모듈(13)은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맛집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음식점, 카페 등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맛집정보등록모듈(13) 역시 각 맛집의 위치, 비용 정보와 함께 관련테마, 테마와의 관련도 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NS정보등록모듈(14)은 관광장소와 관련된 SNS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온라인 상에서 관광장소와 관련되어 작성되는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등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이미지, 문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정보등록모듈(15)은 관광지역에서 판매되는 물품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관광지역에 특화되어 관광객들이 자주 구매하는 특산품, 기념품 등의 물품 정보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장정보등록모듈(16)은 물품정보등록모듈(15)에 의해 등록되는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관광지역에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며, 매장의 물품 판매정보를 함께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분석부(3)는 관광장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관광장소에 대한 온라인 상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숙소, 관광지, 맛집 등의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선호도분석부(3)는 사용자 특성, 시기, 환경 등에 따라 각 관광장소의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여 선호도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광장소, 여행일정의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호도분석부(3)는 분석대상추출모듈(31), 사용자정보수집모듈(32), 시간정보추출모듈(33), 환경정보저장모듈(34), SNS분석모듈(35), 선호도산정모듈(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대상추출모듈(31)은 수집된 SNS정보에서 선호도 분석 대상을 추출하는 구성으로, SNS에 포함된 문자의 분석을 통해 숙소, 관광지, 맛집 등에 관한 관광장소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수집모듈(32)은 SNS를 등록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추출모듈(33)은 관광대상을 방문한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SNS에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한 시간정보를 추출하도록 하며, SNS에 포함된 문자정보를 분석하거나 또는 SNS에 포함된 이미지의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시간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저장모듈(34)은 SNS에 포함된 관광장소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 시점의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날씨정보, 일출/일몰, 간조/만조 등의 관광장소에 대한 정보 등을 기상청 등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NS분석모듈(35)은 관광대상에 대해 언급된 SNS의 문자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감정분석을 이용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관광장소에 대해 긍정적 선호도를 가진 SNS정보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산정모듈(36)은 SNS분석모듈(35)에 의한 분석결과에 따라 각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특정 관광장소에 대해 수집된 전체 SNS정보의 개수 대비 긍정적 선호도를 가진 SNS 개수의 비율을 선호도로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광추천부(5)는 상기 선호도분석부(3)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관광장소 및 관광장소를 이동하는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구성으로, 선호도가 높은 숙소, 관광지, 맛집 등의 정보, 숙소, 관광지, 맛집 등을 조합한 여행일정 정보를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광추천부(5)는 추천되는 관광장소에서 인생샷을 건질 수 있는 최적의 촬영위치를 선별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여행 지역에서 인기가 높은 물품,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도 함께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광추천부(5)는 숙소추천부(51), 장소추천부(52), 일정추천부(53), 촬영추천부(54), 물품추천부(55), 매장추천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소추천부(51)는 사용자에게 여행일정에 맞는 숙소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 비용 범위에 적합한 숙소를 추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숙소추천부(51)는 유사한 특성의 사용자들이 여행시기에 선호하는 숙소를 선별하여 추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약시스템과 연계하여 숙소를 검색,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숙소추천부(51)는 사용자정보입력모듈(511), 일정정보입력모듈(512), 유형정보입력모듈(513), 비용정보입력모듈(514), 숙소정보검색모듈(515), 선호분석표시모듈(516), 선택숙소저장모듈(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입력모듈(511)은 숙소를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나이, 성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정정보입력모듈(512)은 사용자의 여행일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여행의 시작 및 종료일자 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형정보입력모듈(513)은 사용자가 원하는 숙소의 유형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호텔, 리조트, 펜션, 게스트하우스 등 숙소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용정보입력모듈(514)은 사용자가 숙소에 지출할 수 있는 비용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일 예로 여행일정에 포함된 모든 숙소의 비용에 대한 범위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숙소정보검색모듈(515)은 사용자의 조건에 적합한 숙소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여행일정, 비용 범위에 적합한 숙소를 검색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숙소정보검색모듈(515)은 숙소 예약 시스템과 연계되어 여행일정에 예약 가능한 숙소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분석표시모듈(516)은 숙소의 선호정도를 분석하여 검색된 숙소를 선별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특성, 시기에 따른 선호정도의 분석을 통해 선호정도가 높은 숙소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한다. 상기 선호분석표시모듈(516)은 상기 선호도분석부(3)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 나이 범위에서 동일한 시기에 선호도가 높은 숙소를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기의 기준은 월별 또는 계절별로 분석된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숙소저장모듈(517)은 사용자가 선택한 숙소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선호분석표시모듈(516)을 통해 추천된 숙소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숙소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며, 날짜별로 숙소를 지정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소추천부(52)는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테마, 유사한 특성의 사용자가 유사한 시기에 선호하는 관광장소를 선별하여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소추천부(52)는 선호테마입력모듈(521), 중요지수입력모듈(522), 매칭도산정모듈(523), 매칭장소선별모듈(524), 선호정도산정모듈(525), 선호장소추천모듈(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테마입력모듈(521)은 사용자가 원하는 관광지, 맛집의 테마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일 예로 관광지에 대해서는 역사, 문화, 자연, 공연, 미술, 음악, 산책, 운동, 영화, K-POP 등의 테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맛집에 대해서는 한식, 중식, 일식, 양식, 분식, 카페 등의 테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요지수입력모듈(522)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테마 각각에 대한 중요정도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일 예로 1~5 사이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칭도산정모듈(523)은 각 관광장소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테마에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매칭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각 관광장소별로 평가된 각 테마에 대한 관련도에 중요지수입력모듈(522)에 의해 입력된 중요정도를 반영하여 합산함으로써 매칭도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칭장소선별모듈(524)은 사용자가 원하는 테마에 적합한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를 선별하는 구성으로, 매칭도가 높은 관광장소들을 선별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정도산정모듈(525)은 매칭장소선별모듈(524)에 의해 선별된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선별된 관광장소 각각에 대해 사용자특성, 시기에 따른 선호정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선호정도산정모듈(525)은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 각각에 대해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 나이 범위 사용자의 동일한 시기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선호 정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선호장소추천모듈(526)은 선호정도산정모듈(525)에 의해 산정된 선호정도가 높은 관광지, 맛집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구성으로, 선호정도가 높은 순으로 일정개수의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일정추천부(53)는 사용자에게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구성으로, 상기 숙소추천부(51)에 의해 추천되는 숙소와 상기 장소추천부(52)에 의해 추천되는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를 기초로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한다. 상기 일정추천부(53)는 추천되는 숙소, 관광지, 맛집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숙소, 관광지, 맛집을 기반으로 관광지, 맛집의 방문순서를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도록 하며, 특히 시간대별 환경을 고려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일정을 선별하여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정추천부(53)는 생성된 여행일정에서 각 관광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 여행에 소모되는 비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여행일정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정보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천되는 여행일정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정추천부(53)는 여행일정생성모듈(530), 환경정보수집모듈(531), 선호도로딩모듈(532), 선호지수산출모듈(533), 이동수단매칭모듈(534), 비용지수산출모듈(535), 시간지수산출모듈(536), 가중치설정모듈(537), 종합지수산정모듈(538), 일정정보제공모듈(5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일정생성모듈(530)은 상기 장소추천부(52)에 의해 추천되는 관광지, 맛집 등의 관광장소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관광장소를 조합하여 여행일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방문하는 시점과 순서를 달리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환경정보수집모듈(531)은 여행일정생성모듈(530)에 의해 생성된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들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등의 기상정보, 일출/일몰, 만조/간조 시간 등에 관한 예측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각 관광장소를 방문하는 시점에 따른 환경정보를 외부 기상청 등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도록 한다.
상기 선호도로딩모듈(532)은 수집된 환경, 여행시점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여행일정을 생성하는 관광장소 각각에 대해 환경, 방문 시간대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선호도로딩모듈(532)은 관광장소를 방문하게 되는 각 시간대에 따라 예측되는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에 따른 선호도정보, 일출/일몰에 따른 선호도정보, 만조/간조에 따른 선호도정보, 시간대별 선호도정보 등을 불러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지수산출모듈(533)은 여행일정에 포함된 각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선호도로딩모듈(532)에 의해 불러온 선호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선호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선호지수산출모듈(533)은 관광장소를 방문하는 시간대에 따른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일출/일몰, 만조/간조. 시간대 자체의 선호도 정보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평균값이 각 관광장소의 선호정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호지수산출모듈(533)은 각 관광장소의 선호정도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각 여행일정의 선호정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생성된 전체 여행일정 각각의 선호정도를 합산한 값에 대한 각 여행일정의 선호정도의 비율을 선호지수로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매칭모듈(534)은 여행일정에 포함된 숙소 및 관광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매칭시키는 구성으로, 관광장소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수단의 매칭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용지수산출모듈(535)은 여행일정에 소모되는 비용 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각 관광장소의 방문, 이동수단의 이용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이용하여 비용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의 이용을 위한 비용은 이동하는 관광장소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용지수산출모듈(535)은 각 여행일정에 대해 소모되는 비용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전체 여행일정에 대해 각 여행일정의 비용을 모두 합산한 값에 대한 각 여행일정 비용의 비율을 비용지수로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용지수산출모듈(535)에 의해 산출되는 비용지수는 각 여행일정이 다른 여행일정에 비해 비용이 높고 낮은 정도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시간지수산출모듈(536)은 각 여행일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시간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소요되는 시간이 적은 정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수산출모듈(536)은 관광장소의 방문, 이동수단의 이용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합산하여 각 여행일정의 소요시간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 여행일정의 소요시간을 합산한 값에 대한 각 여행일정의 소요시간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을 1에서 차감하여 시간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지수산출모듈(536)은 시간이 적게 소요될 수록 높은 시간지수를 갖게 된다.
상기 가중치설정모듈(537)은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중용하게 생각하는 지수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합지수산정모듈(538)은 각 여행일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정도,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반영하여 종합적인 평가정보를 나타내는 종합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를 합산하여 종합지수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지수가 높을수록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모되는 여행일정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일정정보제공모듈(539)은 여행일정을 추천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선호지수가 높은 일정개수의 여행일정을 추천하거나 또는 종합지수가 높은 일정개수의 여행일정을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정보제공모듈(539)은 여행일정의 추천과 함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시간대, 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추천부(54)는 각 관광장소에서 인생샷을 찍기 위해 추천되는 촬영 위치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상기 일정추천부(53)에 의해 추천되는 여행일정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에 대한 촬영위치를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촬영추천부(54)는 이미지정보로딩모듈(541), 위치정보추출모듈(542), 선호도분석모듈(543), 추천위치제공모듈(5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정보로딩모듈(541)은 관광장소에 대해 수집된 SNS정보의 이미지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이미지정보와 함께 이미지에 관한 속성정보, 해당 SNS에 대해 분석된 선호도 정보를 함께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추출모듈(542)은 로딩된 이미지의 촬영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이미지에 대한 속성정보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분석모듈(543)은 이미지에 대한 선호정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각 위치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SNS정보를 감정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전체 정보 대비 긍정 선호도의 수 비율로 선호정도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추천위치제공모듈(544)은 각 관광장소에서의 촬영위치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상기 선호도분석모듈(543)에 의해 각 위치별 이미지의 선호정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촬영위치를 추천하도록 하며, 선호정도가 높은 일정개수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추천부(55)는 여행일정 중 구매하면 좋을 물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구성으로, 여행 예정 지역에서 많이 판매되고 선호도가 높은 물품을 추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물품추천부(55)는 구매정보수집모듈(551), 지역설정모듈(552), 구매정보로딩모듈(553), 구매지수산정모듈(554), 선호정보수집모듈(555), 선호지수산정모듈(556), 물품지수산출모듈(557), 물품추천모듈(5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정보수집모듈(551)은 물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여행 지역의 매장들과 연계하여 구매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여행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불 카드를 지급하고, 선불카드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고, 그 밖에 다양한 방법으로 물품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역설정모듈(552)은 추천 물품을 결정할 지역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여행 예정지를 지역으로 설정하여 물품 구매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매정보로딩모듈(553)은 설정된 지역의 물품 구매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지역설정모듈(552)에 의해 설정되는 지역에서 구매정보수집모듈(551)에 의해 수집되는 물품의 구매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구매지수산정모듈(554)은 설정된 지역에서 물품이 구매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구매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해당 지역에서 전체 물품의 판매수 대비 특정 물품의 판매수 비율로 각 물품의 구매지수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정보수집모듈(555)은 해당 지역에서 구입한 물품의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해당 지역에서의 물품에 관한 SNS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여행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물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호지수산정모듈(556)은 설정된 지역에서 각 물품의 선호정도를 나타내는 선호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각 물품에 대한 선호정도를 분석하여 긍정 비율에 따라 선호지수를 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각각의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으로 각 물품의 선호지수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지수산출모듈(557)은 물품에 대한 구매정도 및 선호정도를 나타내는 물품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구매지수 및 선호지수를 합산하여 물품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지역에서 많이 구매되고 선호도가 높은 물품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물품의 구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추천모듈(558)은 물품지수가 높은 물품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물품지수가 높은 순서로 물품 목록을 제공하도록 하며, 구매지수 및 선호지수 정보도 함께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매장추천부(56)는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추천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품추천부(55)에 의해 추천되는 물품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물품에 대해 많은 사람이 구매하고 선호도가 높은 매장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매장추천부(56)는 물품설정모듈(561), 매장정보수집모듈(562), 판매지수산정모듈(563), 선호도산정모듈(564), 구매지수산출모듈(565), 매장정보제공모듈(5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설정모듈(561)은 매장을 추천할 물품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품추천부(55)에 의해 추천되는 물품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물품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을 매장을 추천할 물품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매장정보수집모듈(562)은 설정된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여행 예정인 지역의 매장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상기 판매지수산정모듈(563)은 수집된 매장 각각의 판매 비율인 판매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해당 지역에서 설정된 물품의 전체 판매수 대비 특정 매장의 판매수 비율을 판매지수로 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판매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물품이 많이 팔린 매장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선호도산정모듈(564)은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대한 선호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시 선호정보수집모듈(555)에 의해 수집되는 물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이용하거나 매장에 대한 SNS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매장의 선호도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매지수산출모듈(565)은 해당 물품이 많이 판매되고 선호도가 높은 매장을 의미하는 구매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판매지수산정모듈563)에 의해 산정되는 판매지수와 상기 선호도산정모듈(564)에 의해 산정되는 선호도를 합산하여 각 매장의 구매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매장정보제공모듈(566)은 구매지수가 높은 매장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여행일정에 따른 루트 주변에서 구매지수가 높은 일정개수의 매장정보를 구매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리서버 1: 데이터등록부
3: 선호도분석부 5: 관광추천부
51: 숙소추천부 52: 장소추천부
53: 일정추천부 54: 촬영추천부
55: 물품추천부 56: 매장추천부
200: 사용자단말기 300: 관리자단말기

Claims (12)

  1. 여행일정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며,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여행일정을 추천받는 사용자단말기와; 관광지, 숙소, 맛집과 같은 관광지역에서 방문할 수 있는 관광장소 및 관광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등록되는 사용자정보에 맞추어 선호도가 높은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을 추천하며, 기상상황과 같은 환경정보에 따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일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관광장소에 관한 정보와 함께 관광장소와 관련된 온라인상의 SNS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등록부와, 상기 데이터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SNS정보를 분석하여 관광지, 숙소, 맛집과 같은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분석부와, 상기 선호도분석부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관광장소 및 관광장소를 이동하는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관광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도분석부는,
    사용자특성 및 환경, 시간에 따른 관광장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관광장소 및 여행일정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관광추천부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테마의 관광지, 맛집과 같은 관광장소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장소추천부와, 추천된 관광장소에 대해 환경에 따른 선호도를 고려한 여행일정을 추천하는 일정추천부와, 추천되는 여행일정의 각 관광장소에서의 촬영 위치를 추천하는 촬영추천부와, 사용자가 여행할 지역에서 구매빈도 및 선호도가 높은 물품을 추천하는 물품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추천부는,
    상기 장소추천부에 의해 추천되는 관광장소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관광장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여행일정을 생성하는 여행일정생성모듈과, 여행일정에 포함된 관광장소 각각에 대해 여행일정 동안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모듈과, 각 관광장소에 대해 환경, 시점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는 선호도로딩모듈과, 상기 선호도로딩모듈에 의해 불러온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여행일정의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선호지수를 산출하는 선호지수산출모듈과, 각 관광장소를 조합한 여행일정 각각에 대해 관광장소 사이의 이동수단을 매칭하는 이동수단매칭모듈과, 각 여행일정에 따른 관광장소, 이동수단을 위해 지출되는 비용 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지수를 산출하는 비용지수산출모듈과, 각 여행일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시간지수를 산출하는 시간지수산출모듈과,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 각각에 대한 중요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설정모듈과, 선호지수, 비용지수,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반영, 합산하여 각 여행일정에 다른 종합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종합지수를 산정하는 종합지수산정모듈과, 종합지수가 높은 일정 개수의 여행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정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수집모듈은,
    기온, 강수량, 바람, 일출/일몰, 만조/간조와 같은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선호도로딩모듈을 통해 각 환경에 따른 관광장소의 선호도 정보를 불러오도록 하며,
    상기 선호지수산출모듈은,
    각 여행일정에 포함된 각 관광장소의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일출/일몰, 만조/간조. 시간대 자체의 선호도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여 각 관광장소의 선호정도를 산정하고, 각 관광장소에 대한 선호정도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각 여행일정의 선호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상기 비용지수산출모듈은,
    추천된 여행일정들의 여행비용을 모두 합산한 값에 대한 특정 여행일정의 비용 비율에 따라 비용지수를 산출하도록 하며,
    상기 시간지수산출모듈은,
    추천된 여행일정들의 여행시간을 모두 합산한 값에 대한 특정 여행일정의 여행시간의 비율을 1에서 차감하여 시간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상기 촬영추천부는,
    관광장소에 대해 수집되는 SNS의 이미지 정보를 불러오는 이미지정보로딩모듈과, 각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추출모듈과, 각 촬영위치에서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선호도분석모듈과,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설정된 개수의 촬영위치를 추천하는 추천위치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품추천부는,
    사용자들의 여행일정 중 물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구매정보수집모듈과, 사용자가 여행할 지역을 설정하는 지역설정모듈과, 설정된 지역의 물품 구매정보를 불러오는 구매정보로딩모듈과, 물품별로 전체 물품 구매수 대비 해당 물품의 구매비율에 따라 구매되는 정도를 산정하는 구매지수산정모듈과, 물품에 대한 선호 정보를 수집하는 선호정보수집모듈과, 물품의 선호정도를 나타내는 선호지수를 산정하는 선호지수산정모듈과, 구매지수 및 선호지수를 합산하여 물품지수를 산출하는 물품지수산출모듈과, 물품지수가 높은 순으로 설정된 개수의 물품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물품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30058702A 2023-05-04 2023-05-04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KR10262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702A KR102622610B1 (ko) 2023-05-04 2023-05-04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702A KR102622610B1 (ko) 2023-05-04 2023-05-04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610B1 true KR102622610B1 (ko) 2024-01-09

Family

ID=8953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702A KR102622610B1 (ko) 2023-05-04 2023-05-04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2641B1 (ko) * 2024-01-15 2025-02-06 (주)위치스 가상 여행일지 생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914A (ko) * 2014-08-14 2016-0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00033572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플렉싱크 속성정보를 활용한 관광상품 추천시스템
KR102137653B1 (ko) * 2019-11-29 2020-07-24 주식회사 플렉싱크 관광지 상품 판매 및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정보제공시스템
KR102244735B1 (ko) * 2019-12-31 2021-04-27 엔에이치엔고도 주식회사 인생샷을 위한 사용자 맞춤정보 제공 방법
KR102451539B1 (ko) * 2021-12-21 2022-10-12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914A (ko) * 2014-08-14 2016-0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00033572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플렉싱크 속성정보를 활용한 관광상품 추천시스템
KR102137653B1 (ko) * 2019-11-29 2020-07-24 주식회사 플렉싱크 관광지 상품 판매 및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정보제공시스템
KR102244735B1 (ko) * 2019-12-31 2021-04-27 엔에이치엔고도 주식회사 인생샷을 위한 사용자 맞춤정보 제공 방법
KR102451539B1 (ko) * 2021-12-21 2022-10-12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2641B1 (ko) * 2024-01-15 2025-02-06 (주)위치스 가상 여행일지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Önder et al. Tracing tourists by their digital footprints: The case of Austria
Alegre et al. Repeat visitation in mature sun and sand holiday destinations
JP442656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Tideswell et al. Multidestination travel patterns of international visitors to Queensland
Formica et al. Market segmentation of an international cultural-historical event in Italy
Loker et al. A benefit-based segmentation of a nonresident summer travel market
CA2733345C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and/or managing a travel plan
US20130311270A1 (en) Mood-based searching and/or advertis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Gunter et al. An exploratory analysis of geotagged photos from Instagram for residents of and visitors to Vienna
US10366422B2 (en) Quality visit measure for controlling computer response to query associated with physical location
CN111538904A (zh) 用于推荐兴趣点的方法和装置
Scholtz et al. Determinants of visitor length of stay at three coastal national parks in South Africa
CN112088390A (zh) 对于地点的个性化匹配得分
US20170243308A1 (en) Itinerary determining method and itinerary determining apparatus
CN102667840A (zh) 上下文信息使用系统、装置和方法
CN116762070A (zh) 用于提供图像推荐的系统、方法、计算平台和存储介质
KR20140137883A (ko) 카드 사용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Nikoli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tourism sector
KR101094484B1 (ko) 전문가 추천 기법을 이용한 관광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60790A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1994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r plan service
KR101873319B1 (ko) 실시간 홍보 및 이벤트 제공시스템
JP484466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622610B1 (ko) 스마트 여행일정 추천시스템
JP20200089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