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15936B1 -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 Google Patents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936B1
KR102615936B1 KR1020220138832A KR20220138832A KR102615936B1 KR 102615936 B1 KR102615936 B1 KR 102615936B1 KR 1020220138832 A KR1020220138832 A KR 1020220138832A KR 20220138832 A KR20220138832 A KR 20220138832A KR 102615936 B1 KR102615936 B1 KR 10261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ipette
protrusion
cap member
eas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연
박주란
박혜란
Original Assignee
(주)이엔비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비리서치 filed Critical (주)이엔비리서치
Priority to KR102022013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936B1/ko
Priority to PCT/KR2023/016628 priority patent/WO20240909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9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석액 등의 용액이 내부에 보관되어 운반되고, 필요시 용액을 분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순히 용액의 보관 및 운반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용액을 분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펫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양의 용액이 분주될 수 있도록 하여 실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A pipette diluent that is portable and easy to use and allows for efficient dispensing}
본 발명은 희석액 등의 용액이 내부에 보관되어 운반되고, 필요시 용액을 분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순히 용액의 보관 및 운반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용액을 분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펫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양의 용액이 분주될 수 있도록 하여 실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딜루언트는 희석액을 뜻하는 것으로, 실험에 사용되는 딜루언트는 통념상 희석액 등의 액체 즉, 용액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되는 시약용기로서, 내부에 보관된 용액은 파이펫에 의해 흡입된 후 다른 용기나 용액에 분주되어 실험이 진행된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딜루언트는 단순히 용액이 저장되는 수단으로만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내부에 저장된 소량의 용액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파이펫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파이펫은 통상 스포이드라 불리우고, 일반적인 스포이드는 단순히 용액을 흡입한 후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흡입된 용액을 분주하나, 최근 사용되고 있는 파이펫은 분주되는 용액의 양을 일정하게 분주할 수 있도록 분주되는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파이펫은 혈액 검사나, 이화학, 생화학 분야에서 특정 성분의 존재 유무에 대한 검사나 이화학 및 생화학 등에서 시약과 같은 용액을 정량 흡입 및 배출 투여하기 위하여 파이펫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험에서 한 번 사용한 파이펫은 그 통로 내측면에 투여 성분이 묻어 미소량 남게 되므로 정밀 분석 시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약이나 성분의 정량 투여를 위해 한번 사용된 파이펫은 재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런 경우 파이펫을 한번 밖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의 낭비 및 비용의 과다 발생이 문제가 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파이펫의 선단부에 교체 가능한 일회용 팁을 끼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딜루언트는 통상 멸균된 용액(식염수)가 보관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다가 필요시 화학용액을 희석한 뒤 파이펫을 통해 희석액이 흡입되어 분주됨으로써, 실험이 진행되는데, 상기 파이펫에 팁을 삽입하고 교체하는 과정의 부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실험의 진행이 번거롭고 실험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면봉을 이용하여 실험 또는 검사가 필요한 샘플을 채취하여 샘플을 희석시킨 후 파이펫을 사용하지 않고 희석된 샘플을 분주할 수 있는 피펫 스왑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내부가 비어있는 용기의 내부에 멸균된 용액을 주입하여 보관하기 어렵고, 나사산에 의한 결합구조가 포함되어 기밀성이 저하된 불량품이 존재하는 경우 일정한 양의 용액을 분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1039호(2018.05.17.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5391호(2015.10.14.취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딜루언트 용기는 파이펫을 이용하여 희석액을 분주하므로 상기 파이펫을 사용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피펫 스왑장치 등은 내부에 멸균된 용액을 주입하여 보관하기 어려우며, 기밀성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구조가 간단하여 성형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용액의 보관 및 운반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용액을 분주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펫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한쪽을 통해 내부에 용액을 주입하거나 분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기밀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을 가압하는 펌핑부재(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노즐(310)이 돌출형성되는 제1캡부재(300); 및 상기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상기 노즐(310)을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캡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부면 후방에 상기 펌핑부재(200)와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에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눈금(130);과 내주면에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눈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와 펌핑부재(200)를 일체화하는 방법은 상기 용기본체(100)를 사출하여 성형한 후 상기 용기본체(100)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펌핑부재(200)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 하부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면(150);과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1걸림밀폐돌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내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에 밀접되어 기밀을 형성하도록 내입되는 제1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상부말단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322);과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3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하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2걸림밀폐돌기(3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하부말단에 돌출형성되되, 상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3걸림밀폐돌기(3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펌핑부재(2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이 일정하도록 구성하되, 1회 압력시 항상 1ml 정량이 분주되어 항상 정량 또는 정량의 부피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제2걸림밀폐돌기(324)가 형성된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환형의 홈부(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전방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하부 전방에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330);와 후방에 돌출형성되는 제1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캡부재(400)는 일측 일부가 상기 제1캡부재(300)의 일측과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부(410);와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하부면 전방에 돌출형성되되, 탄성을 가지는 두께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손잡이부(420)는 타측에 일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탄성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돌기(120)는 펌핑(200) 주위의 일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에워싼 형태로 이루어져, 제품 운송이나 이동시, 또는 휴대 및 사용시에 외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간섭으로 인하여 가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노즐(310)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2결합돌기(3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캡부재(400)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제2결합돌기(360)의 외주면에 밀접되는 제3결합돌기(430);와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외주면이 상기 노즐(310)의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기밀밀폐돌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캡부재(40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3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부풀림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는 구조가 간단하여 성형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용액의 보관 및 운반 뿐만 아니라 파이펫 없이도 용액을 분주할 수 있어 실험의 공정을 줄여 실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한쪽을 통해 내부에 용액을 주입하거나 분주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기밀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용액의 보관 및 운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사시도(a) 및 저면 사시도(b).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정면도(a) 및 배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캡부재와 제2캡부재가 개방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사시도(b) 및 저면 사시도(b).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본 발명은 시약 또는 희석액 등의 용액이 내부에 보관되어 운반되고, 필요시 용액을 분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용액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보관된 용액을 파이펫이 없이도 분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펫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한쪽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용액을 주입하여 보관함과 동시에 분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기밀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용액의 보관 및 운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실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을 가압하는 펌핑부재(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노즐(310)이 돌출형성되는 제1캡부재(300); 및 상기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상기 노즐(310)을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캡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부면 후방에 상기 펌핑부재(200)와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에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눈금(130);과 내주면에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눈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와 펌핑부재(200)를 일체화하는 방법은 상기 용기본체(100)를 사출하여 성형한 후 상기 용기본체(100)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펌핑부재(200)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 하부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면(150);과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1걸림밀폐돌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내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에 밀접되어 기밀을 형성하도록 내입되는 제1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상부말단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322);과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3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하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2걸림밀폐돌기(3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하부말단에 돌출형성되되, 상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3걸림밀폐돌기(3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은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기밀코팅층(1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제2걸림밀폐돌기(324)가 형성된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환형의 홈부(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전방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하부 전방에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330);와 후방에 돌출형성되는 제1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캡부재(400)는 일측 일부가 상기 제1캡부재(300)의 일측과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부(410);와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하부면 전방에 돌출형성되되, 탄성을 가지는 두께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손잡이부(420)는 타측에 일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탄성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캡부재(300)는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노즐(310)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2결합돌기(3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캡부재(400)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제2결합돌기(360)의 외주면에 밀접되는 제3결합돌기(430);와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외주면이 상기 노즐(310)의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기밀밀폐돌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캡부재(40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3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부풀림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10)에 시약 또는 멸균된 용액(이하, '용액'이라 통칭한다.)가 보관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캡부재(300)가 개방되어 혼합 또는 희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식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내주면에 상부로 갈수록 수치 즉, 값이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눈금(130)과, 내주면에 하부로 갈수록 수치 즉, 값이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눈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캡부재(400)를 개방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의 용액을 분주할 때, 상기 제1눈금(130)을 확인하며 보다 쉽게 알맞은 양의 용액을 분주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베이스가 되는 용액을 주입하거나, 상기 용액과 혼합 또는 희석을 위해 다른 시약을 주입할 때, 상기 제2눈금(140)을 확인하며 알맞은 양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눈금(130)과 제2눈금(140)의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제1눈금(130)과 제2눈금(140)이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는 이유는 외주면에 형성되었을 경우 용기본체(100)의 두께에 의한 빛의 굴절에 의해 정확한 용액의 양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용액의 양을 가늠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눈금(130)과 제2눈금(140)위 경우 눈금 하나의 간격은 1ml의 간격으로 구분되어 있어 펌핑부재(200)의 1회 가압시 한 눈금씩 낮아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펌핑부재(200)의 1회 가압시 1ml 정량을 분주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펌핑부재(200)의 에러시에도 눈금만으로 1ml 정량 분주가 가능하도록 이중확인 시스템을 형성하여 항상 안정되고 효율적인 분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펌핑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을 가압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기체 즉, 결과적으로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용액을 가압하여 이후에 제2캡부재(400)가 개방된 후 노즐(310)을 통해 상기 용액이 외부로 일정한 양만큼 분주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펌핑부재(2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이 일정하도록 구성하되, 1회 압력시 항상 1ml 정량이 분주되어 항상 정량 또는 정량의 부피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1ml 이하 또는 1ml 이상 일정한 정량이 분주되도록 하기 위하여 1회 가압시 해당 요건에 적합한 일정한 정량의 부피와 동일한 일정한 정량이 항상 분주되도록 구조를 설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펌핑부재(200)는 탄성을 가지되, 상기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보관되는 용액과 접촉되므로 상기 용기본체(100)와 같이 내식성 및 내화학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예로,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펌핑부재(200)는 앞서 설명된 용기본체(100)와 같이 내식성 및 내화학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나 탄서을 가져야하므로 상기 용기본체(10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10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기 어렵고, 일반적인 접착제에 의한 부착은 수용공간(110) 내부에 보관되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접착제와 용액이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일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펌핑부재(200)와 용기본체(100)를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상기 용기본체(100)를 사출하여 성형한 후 상기 상기 용기본체(100)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금형에 배치하고, 사출하여 기제조되어진 펌핑부재(200)를 상기 금형에 함께 배치하여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펌핑부재(200)와 용기본체(100)의 일체화되는 부분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과 우수한 기밀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상부면 후방에 상기 펌핑부재(200)와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돌기(120)는 사용자가 상기 펌핑부재(200)를 최대한 손가락의 동일한 부위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펌핑부재(200)와 접촉되는 손가락 부위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캡부재(400)가 개방된 후 용액을 운반시 상기 펌핑부재(200)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액의 운반시 용액을 실수로 분주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용액을 다수의 장소 또는 용기에 용이하게 분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안전돌기(120)는 평단면이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펌핑부재(200)의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돌기(120)는 펌핑(200) 주위의 일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에워싼 형태로 이루어져, 제품 운송이나 이동시, 또는 휴대 및 사용시에 외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간섭으로 인하여 가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노즐(310)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개방하여 수용공간(110)에 용액을 주입하여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캡부재(400)에 의해 상기 노즐(310)이 개방되면 펌핑부재(200)에 의해 가압된 용액이 상기 노즐(310)을 통해 분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페쇄할 때, 수용공간(110)에 보관된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내주면 하부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면(150)과,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1걸림밀폐돌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내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에 밀접되어 기밀을 형성하도록 내입되는 제1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제1캡부재(30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폐쇄할 때, 상기 제1캡부재(300)의 제1결합돌기(32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로 내입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제1걸림밀폐돌기(160)가 밀접됨에 따라 기밀성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외주면 상부말단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3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하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2걸림밀폐돌기(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150)과 제2경사면(322)은 대응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결합돌기(32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로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결합돌기(32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걸림밀폐돌기(324)는 하부가 제1결합돌기(320)가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로 내입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과 밀접됨으로써,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과 제1걸림밀폐돌기(160)가 밀접되어 기밀성을 형성시킬 때,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이 용기본체(10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면적을 넓혀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밀폐돌기(324)의 하부는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결합돌기(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하부말단에 돌출형성되되, 상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3걸림밀폐돌기(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걸림밀폐돌기(326)는 상기 제2걸림밀폐돌기(324)와 마찬가지로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이 용기본체(10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면적을 넓혀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이때, 상기 제3걸림밀폐돌기(326)의 상부는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은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기밀코팅층(1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기밀코팅층(162)은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내주면과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이 보다 강하게 밀접되도록하여 높은 기밀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기밀코팅층(162)은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polyhydroxy aminoether, PHAE)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는 에폭시화합물과 아미노화합물로 생성된 수지로, 강도가 매우높아 제1캡부재(300)의 반복적인 개폐에도 높은 기밀성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이 수지를 내연강판에 180℃에서 접착시킨 경우 라인업 강도는 약 3500psi로 이는 열경화성의 2액형 에폭시수지의 강도 1500-5000psi 범위에 들어간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PHAE)는 극성기를 가지는 PET 같은 수지와 녹는점보다 꽤 낮은 온도에서 잘 접착한다. PHAE를 220℃에서 PET에 적층시킨 필름 경계면의 파괴에너지(Gic)는 45-60J/㎡에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고배리어성 나일론수지는 PET와의 적층 필름에서 Gic는 10 J/㎡ 이하다. Gic절대치 차는 크지 않으나 각종 배리어층을 이용해 통풍 성형한 다층 PET 낙하실험에서 PHAE를 배리어층으로 사용한 경우와 EVOH나 나일론수지를 배리어층으로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3-4배 가까이 층간 박리에 대해 내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ET 융점(275℃) 이상의 고온에서 PHAE를 접착하면 폴리에스테르와 PHAE 경계 영역은 용융해 그 결과 Gic치가 크게 상승해 540 J/㎡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은 고온 접착 메카니즘은 PHAE 일급 수산기와 용융된 PET중심체인 중의 에스테르기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일으켜 PET와 PHAE 사이에 공유결합이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PHAE의 뛰어난 접착성은 이 수지의 필러로 혼입된 무기물 등의 입자와의 사이에서 관찰 가능하다. 기존 열가소성수지 매질과 필러로서 접착강도가 그다지 크지 않아 필러가 들어 있는 수지의 기계적 강도 특히 인장응력은 필러 혼입량 증가에 따라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PET를 포함하는 경우 기밀코팅층(162)의 형성이 보다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에 운모, 활석 탄산칼슘, 목분, 그래뉼상 등의 필러를 넣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외충격에 의한 코팅층의 스크레치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PHAE에 필러를 넣은 경우 기계적 강도는 필러양 증가에 따라 향상된다. 구체적인 예를 보면 압축 성형한 PHAE 40mil 두께 판은 필러가 없는 경우 파괴응력이 6300psi를 보이나, 이 수지에 지름 125㎛ 미만인 단단한 나무 가루를 수지 중량의 30%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용융 성형해 만든 40mil 두께의 판 파괴응력은 11000psi로 크게 증가한다. 이 필러 첨가 PHAE 성형판 인장계수는 필러가 없는 경우 415000psi에 비해 813000psi로 된다. PHAE에 운모, 활석을 필러로 수지 중량의 20%를 균일하게 혼입한 경우 인장 강도는 13000psi나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에 포함되는 PET와 기밀코팅층(162)에 포함되는 PHAE의 조성비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부식성과 내화학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부가하여, 상기 기밀코팅층(162)은 제2걸림밀폐돌기(324)와 제3걸림밀폐돌기(326)의 외주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코팅층(162)은 필수 구성 요건이 아닌 선택 구성 요건으로,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와 상기 제1결합돌기(320) 결합시, 또는 상기 제2걸림밀폐돌기(324)와 상기 제3걸림밀폐돌기(326) 결합시 자체 구조만으로도 정밀하게 밀접되어 결합되므로 우수한 기밀성을 갖고 있지만, 추가로 더욱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밀코팅층(162)을 선택적으로 추가 형성하여 기밀성을 더욱 높게 유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기 위한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제2걸림밀폐돌기(324)가 형성된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환형의 홈부(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홈부(328)는 제1결합돌기(320)가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내입될 때, 상기 제1경사면(150)과 제2경사면(322)에 의해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상부말단이 원활하게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상부말단이 내측방향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짐에 따라 제1걸림밀폐돌기(160)와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 제1걸림밀폐돌기(160)와 제2걸림밀폐돌기(324) 및 제3걸림밀폐돌기(326)의 제조시 형상의 오차가 미세하게 발생된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기밀성이 형성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홈부(328)는 상기 제2걸림밀폐돌기(324)가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접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상부(홈부(328)의 상부에 해당됨)가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유도하여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외주면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보다 강하게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기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홈부(328)는 종단면의 형상이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320)의 상부가 안쪽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전방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하부 전방에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330)와,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혀엉되는 제1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330)는 제1캡부재(300)가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개방하였을 때, 별도의 보관없이도 상기 용기본체(100)와 연결되어 언제든지 쉽게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340)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하부면 전방에 돌출형성되되, 탄성을 가지는 두께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부(350)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1캡부재(300)의 후방을 하부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돌기(320)의 후방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와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캡부재(300)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2캡부재(400)는
상기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상기 노즐(310)을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310)을 개방한 후 파이펫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앞서 설명된 펌핑부재(2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보관되어 있는 용액을 분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캡부재(400)는 일측 일부가 상기 제1캡부재(300)의 일측과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부(410)와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410)는 앞서 설명된 제1연결부(330)와 마찬가지로 노즐(310)을 개방한 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제1연결부(330)와 제2연결부(410)는 탄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중앙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연결부(410)는 제1연결부(330)에 비해 개방된 상태 즉, 개방후 연결된 상태가 노즐(310)(상기 제1연결부(330)의 경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과 이격된 거리가 멀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중앙부분이 더 큰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2손잡이부(420)는 앞서 설명된 제1손잡이부(34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노즐(3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손잡이부(420)는 타측말단에 일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탄성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탄성부(42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제2손잡이부(420)와 제1캡부재(300)의 상부면 사이에 넣기 편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1캡부재(300)를 개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42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제2손잡이부(420)와 제1캡부재(300)의 상부면 사이에 넣은 후 사용자의 지렛대의 원리로 상기 제2캡부재(4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즐(310)이 하부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수용공간(110)에 용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용액이 상기 노즐(310)을 통해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42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상기 제2손잡이부(420)와 제1캡부재(300)의 상부면 사이에 충분히 인입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제2캡부재(400)의 후방보다 탄성력이 증가되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제2캡부재(400)가 개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손잡이부(420)는 용기본체(100)를 기준으로 안전돌기(120)가 형성된 일측 즉, 오른손잡이의 경우 좌측에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노즐(310)이 하부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용기본체(100)를 파지한 후 왼손으로 상기 제2손잡이부(4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캡부재(400)를 보다 쉽고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캡부재(40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3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부풀림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부풀림홈(450)은 제2캡부재(40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110) 내부의 용액에서 기체가 발생되는 경우 부풀어올라 사용자가 용액의 분주전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2캡부재(400)의 개방시 급작스럽게 용액이 노즐(310)을 통해 분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부풀림홈(450)이 부풀어 있는 경우 상기 노즐(310)을 상부로 향한상태에서 상기 제2캡부재(400)를 개방하여 수용공간(110) 내부의 상승된 압력을 해제한 후 용액을 분주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용액을 분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캡부재(300)는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노즐(310)꽈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2결합돌기(3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2캡부재(400)는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상기 제2결합돌기(360)의 외주면에 밀접되는 제3결합돌기(430)와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노즐(310)의 내측으로 내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노즐(310)의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기밀밀폐돌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360)와 제3결합돌기(430)는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제2캡부재(40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제2캡부재(4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밀밀폐돌기(440)는 상기 노즐(310)에 기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캡부재(400)가 상기 노즐(310)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액이 상기 노즐(310)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돌기(360)의 하부말단 외측과 상기 제3결합돌기(430)의 상부말단 내측은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노즐(310)의 하부말단 내측과 상기 기밀밀폐돌기(440)의 상부말단 외측은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기밀밀폐돌기(440)가 상기 노즐(310)에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밀밀폐돌기(440)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310)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접되도록 하여 우수한 기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310)은 하부말단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됨에 따라 펌핑부재(200)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에 의해 분주되는 용액이 일정한 양으로 분주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데, 이는 분주되는 용액이 노즐(310)의 하부말단으로 분주될 때, 분주되는 용액의 하부의 무게가 증가되므로 자연스럽게 용액이 일정한 양에 도달되는 경우 분주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부담없이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제조가 용이하고, 용액의 보관 및 운반 뿐만 아니라 파이펫 없이도 용액을 분주할 수 있어 실험의 공정을 줄임으로써, 실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밀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용기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안전돌기
130 : 제1눈금 140 : 제2눈금
150 : 제1경사면 160 : 제1걸림밀폐돌기
162 : 기밀코팅층
200 : 펌핑부재
300 : 제1캡부재
310 : 노즐 320 : 제1결합돌기
322 : 제2경사면 324 : 제2걸림밀폐돌기
326 : 제3걸림밀폐돌기 328 : 홈부
330 : 제1연결부 340 : 제1손잡이부
350 : 가압부 360 : 제2결합돌기
400 : 제2캡부재
410 : 제2연결부 420 : 제2손잡이부
422 : 탄성부 430 : 제3결합돌기
440 : 기밀밀폐돌기 450 : 부풀림홈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을 가압하는 펌핑부재(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노즐(310)이 돌출형성되는 제1캡부재(300); 및
    상기 제1캡부재(300)의 하부에 상기 노즐(310)을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캡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 하부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면(150);과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제1걸림밀폐돌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캡부재(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내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 하부에 밀접되어 기밀을 형성하도록 내입되는 제1결합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상부말단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322);과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3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하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2걸림밀폐돌기(3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부면 후방에 상기 펌핑부재(200)와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주면에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눈금(130);과
    내주면에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눈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와 펌핑부재(200)를 일체화하는 방법은
    상기 용기본체(100)를 사출하여 성형한 후 상기 용기본체(100)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펌핑부재(200)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외주면 하부말단에 돌출형성되되, 상부면이 상기 제1걸림밀폐돌기(16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환형의 제3걸림밀폐돌기(3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재(2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이 일정하도록 구성하되, 1회 압력시 항상 1ml 정량이 분주되어 항상 정량 또는 정량의 부피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320)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제2걸림밀폐돌기(324)가 형성된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환형의 홈부(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부재(300)는
    전방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하부 전방에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330);와
    후방에 돌출형성되는 제1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캡부재(400)는
    일측 일부가 상기 제1캡부재(300)의 일측과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부(410);와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부재(300)는
    하부면 전방에 돌출형성되되, 탄성을 가지는 두께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돌기(120)는
    펌핑(200) 주위의 일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에워싼 형태로 이루어져, 제품 운송이나 이동시, 또는 휴대 및 사용시에 외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간섭으로 인하여 가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KR1020220138832A 2022-10-26 2022-10-26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Active KR10261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32A KR102615936B1 (ko) 2022-10-26 2022-10-26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PCT/KR2023/016628 WO2024090983A1 (ko) 2022-10-26 2023-10-25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32A KR102615936B1 (ko) 2022-10-26 2022-10-26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936B1 true KR102615936B1 (ko) 2023-12-20

Family

ID=8937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832A Active KR102615936B1 (ko) 2022-10-26 2022-10-26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5936B1 (ko)
WO (1) WO202409098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8256U (zh) * 2010-10-28 2011-06-01 珠海贝索生物技术有限公司 带盖帽的弯嘴滴盖
KR20150115391A (ko) 2014-04-04 2015-10-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피펫 장치
JP3213458U (ja) * 2016-09-06 2017-11-09 士華 黄 多用途検体採集器
KR101861039B1 (ko)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2334654B1 (ko) * 2021-09-29 2021-12-02 김경숙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436244U (zh) * 2019-09-25 2020-09-08 杭州潮韵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防交叉污染的移液枪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8256U (zh) * 2010-10-28 2011-06-01 珠海贝索生物技术有限公司 带盖帽的弯嘴滴盖
KR20150115391A (ko) 2014-04-04 2015-10-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피펫 장치
KR20160140930A (ko) * 2014-04-04 2016-12-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피펫 장치
JP3213458U (ja) * 2016-09-06 2017-11-09 士華 黄 多用途検体採集器
KR101861039B1 (ko)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2334654B1 (ko) * 2021-09-29 2021-12-02 김경숙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983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180B2 (en) Aseptic cartridge and dispenser arrangement
AU2014355546B2 (en) Delamination container
JP4112851B2 (ja) 2室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US6715645B2 (en) Mixing capsu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8955720B2 (en) Container for flowable substances and dispensing apparatus
JP2016532469A (ja) 切り替え可能なプランジャー、フィルムコーテッドプランジャー及び関連のシリンジアセンブリ
CN103370264B (zh) 容器的排出部件及其制造方法、容器以及容器包装食品
JP5729530B2 (ja) カプセルおよび化学処理用カートリッジ
TW201236930A (en) Connectors for liner-based dispense containers
CN101247781A (zh) 具有空心针的容器
US12179205B2 (en) Reagent packaging devices and uses thereof
CN106659634A (zh) 用于药品的容器的封闭装置以及用于封闭小瓶的方法
KR102615936B1 (ko)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US7384599B2 (en) Apparatus for drug testing
WO2012147636A1 (ja) 試薬容器
US20080172025A1 (en) Chemical reaction cartridge and using method thereof
AU610410B2 (en) Plastic tubular article and mold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US5425475A (en) Epoxy dispenser
US7482047B1 (en) Delaminated multilayered container
EP3050815B1 (en) Layer separating container
CN102133514A (zh) 化学反应盒
US10098812B2 (en) Multi-component container
JPH11166849A (ja) ビュレット装置用のピストンビュレット
EP3492926B1 (en) Pipette tip, liquid delivery method and liquid delivery system
TW201040083A (en) Multi-chamb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