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02967B1 -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 Google Patents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967B1
KR102602967B1 KR1020220043069A KR20220043069A KR102602967B1 KR 102602967 B1 KR102602967 B1 KR 102602967B1 KR 1020220043069 A KR1020220043069 A KR 1020220043069A KR 20220043069 A KR20220043069 A KR 20220043069A KR 102602967 B1 KR102602967 B1 KR 10260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witch
power suppl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3876A (ko
Inventor
제오수
Original Assignee
제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오수 filed Critical 제오수
Priority to KR102022004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967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은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와 병렬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는 부하,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 제어전압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및 전원 스위치의 온 동작시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원부와 부하를 연결 또는 차단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축적된 전압이 간헐적으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부하 연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The Hybrid Road Stud Based on Energy Harvesting}
본 발명은 도로표지 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포함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발생된 전원으로 점등되는 도로표지 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 병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되어 발광함으로써 운전자와 보행자가 도로의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광전지를 포함하여 낮 시간 동안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축적하고 야간에 점등되는 도로표지 병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전지를 포함한 도로표지 병은 설치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쉬우며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으나 광전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특성상 광량이 작은 환경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특히, 터널의 경우 태양광이 들지 않으므로 종래의 광전지를 포함한 도로표지 병을 적용하지 못해 전력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도로표지 병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로표지 병에 대한 전력선을 추가로 설치해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며, 도로표지 병을 점등하기 위해 별도로 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0807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271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부하를 점등할 전압에 못 미치는 전원이 제공되는 환경에서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원으로 점등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은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와 병렬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는 부하,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 제어전압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및 전원 스위치의 온 동작시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원부와 부하를 연결 또는 차단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축적된 전압이 간헐적으로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부하 연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부하를 점등할 전압에 못 미치는 전원이 제공되는 환경에서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원으로 점등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터널과 같이 조명외에 다른 광원이 없어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원으로 점등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의 회로도의 각 노드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의 사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은 전원부(110), 부하(120),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 전원 스위치(150), 부하 연결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부(110)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와 병렬 연결되어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11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지,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소자, 진동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113)를 먼저 충전하고, 배터리(113)가 완충된 이후에 부하(1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획득되는 전력이 적을 때에도 배터리(113)를 통해 부하(120)를 점등할 정도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은 이종 전원으로 하이브리드 구동할 수 있다.
부하(120)는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을 기설정된 저항비에 따라 분배한 전압과 기설정된 임계전압을 비교하여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전원부(110)와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의 사이에는 일단이 전원부와 연결된 제1 분배저항(131)과, 일단이 제1 분배저항(13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분배저항(1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제1 분배저항(131)의 타단 및 제2 분배저항(133)의 일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을 제1 분배저항(131)의 저항값과 제2 분배저항(133)의 저항값에 따라 분배한 전압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임계전압과 비교하여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을 기설정된 저항비에 따라 분배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전압(예를 들어, 3.5V 이상에서 동작하는 부하와 연결되는 경우 3.6V)보다 작아지면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는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을 기설정된 저항비에 따라 분배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전압 이상이면 전원부(110)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한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로우레벨 전압값은 전원 스위치(150)의 문턱전압값보다 작게 설정되고 하이레벨 전압값은 전원 스위치(150)의 문턱전압값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0)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전원 스위치(150)는 온 동작함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 연결 제어부(200)를 연결하여 전원부(110)에서 부하 연결 제어부(2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오프 동작함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 연결 제어부(200)를 차단하여 전원부(110)에서 부하 연결 제어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0)는 소스단이 전원부(110)의 일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부하 연결 제어부(200)와 연결되며, 게이트단으로 제어전압을 입력받는 PMOS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0)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에서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제어전압이 출력되면 오프 동작함에 따라 개방되어 전원부(110)에서 부하 연결 제어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0)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140)에서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제어전압이 출력되면 온 동작함에 따라 단락되어 전원부(110)에서 부하 연결 제어부(2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터널 붕괴, 전력 차단 등의 사고로 인해 실내 조명이 꺼져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전원 생성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부하(120)가 배터리(113)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13)의 출력 전압에 따라 부하(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13)가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고가 수습된 이후 배터리(113)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자동 복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전 방전에 의한 배터리(113) 교체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부하 연결 제어부(200)는 전원 스위치(150)의 온 동작시 전원부(11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120)를 연결 또는 차단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축적된 전압이 간헐적으로 부하(120)에 제공되도록 한다.
부하 연결 제어부(200)는 제1 스위치(210), 제1 저항(220), 제1 커패시터(230), 비교기(240), 제1 딜레이부(250), 반전기(260), 제2 딜레이부(270), 제2 스위치(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120)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온 동작함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120)를 연결하여 전원부(110)에서 부하(1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오프 동작함에 따라 전원부(110)와 부하(120)를 차단하여 전원부(110)에서 부하(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소스단이 전원 스위치(150)의 타단(드레인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부하(120)와 연결되며, 게이트단으로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1
)을 입력받는 PMOS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전원스위치(150)의 온 동작에 따라 전원부(110)의 전원을 공급받고, 비교전압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동작하며 전원부(110)에서 제공된 전원을 부하(120)에 공급하거나 전원부(110)에서 부하(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게이트단으로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이 입력되면 온 동작하며 단락됨으로써 전원 스위치(150)의 드레인단에서 제공된 전원을 부하(1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게이트단으로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이 입력되면 오프 동작하며 개방됨으로써 전원 스위치(150)의 드레인단에서 부하(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저항(220)는 일단이 전원 스위치(150)의 타단(드레인단)과 연결되어 전원 스위치(150)의 온 동작에 따라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제1 커패시터(230)는 전원부(11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230)는 일단이 제1 저항(2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커패시터(230)는 제1 저항(220)을 통해 전원부(1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일 수 있다.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2
)과 기설정된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3
)을 비교하여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4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5
)이상이면 제1 스위치(210)를 온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6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비교기(240)는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OP AMP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비교기(240)는 OP AMP의 +입력단인 제1 입력단으로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입력받고, OP AMP의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7
)을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8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09
)이상이면 출력단으로 제1 스위치(210)를 온 동작시기키 위한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0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1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2
)보다 작으면 출력단으로 제1 스위치(210)를 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3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로우레벨 전압값은 제1 스위치(210)의 문턱전압값보다 작게 설정되고 하이레벨 전압값은 제1 스위치(210)의 문턱전압값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딜레이부(250)는 비교기(240)에서 출력되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4
)의 상승엣지(Rising edge) 또는 하강엣지(Falling edge)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딜레이부(250)는 일단이 비교기(240)의 출력단과 연결된 제2 저항(251), 일단이 제2 저항(25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커패시터(25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딜레이부(250)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5
)의 상승엣지 또는 하강에지에서 제2 저항(251)의 저항값 또는 제2 커패시터(253)의 정전용량에 따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6
)의 기울기를 조정한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7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딜레이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240)에서 출력되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8
)의 상승엣지와 하강엣지의 기울기를 눕혀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딜레이부(250)의 제2 저항(251)은 가변저항으로 이뤄지는 것일 수 있다. 제2 저항(25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저항(251)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수단(301)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251)의 저항값은 제1 조작수단(3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조작수단(301)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저항(251)의 저항값이 증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조작수단(301)을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저항(251)의 저항값이 감소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은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의 외부로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 부하(120), 제1 조작수단(301), 제2 조작수단(303)이 노출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로 광전지가 적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120)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발생된 전원에 의해 점멸되며 도로의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조작수단(30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며 제2 저항(251)의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조작수단(303)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며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수단(301) 또는 제2 조작수단(303)을 조작함으로써 부하(120)의 점멸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반전기(260)는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19
)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반전기(260)는 입력단이 제2 저항(251)의 타단 및 제2 커패시터(253)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0
)을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반전기(260)는 슈미트 트리거 인버터로 이루어져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1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아진 시점 이후부터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2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커지는 시점 이전까지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3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반전기(260)는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4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커지는 시점 이후부터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5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아진 시점 이전까지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6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는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7
)의 상승엣지 또는 하강엣지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는 제3 저항(271)과 제3 커패시터(273)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3 저항(271)은 일단이 반전기(26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8
)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3 커패시터(273)는 일단이 제3 저항(271)의 타단 및 제2 스위치(28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는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29
)의 상승엣지 또는 하강엣지에서 제3 저항(271)의 저항값 또는 제3 커패시터(273)의 정전용량에 따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0
)의 기울기를 조정한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1
)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는 도 2과 같이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2
)의 상승엣지와 하강엣지의 기울기를 눕혀서 출력할 수 있다.
제3 저항(271)은 일단이 반전기(260)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3 저항(271)은 가변저항으로 이뤄지는 것일 수 있다. 제3 저항(27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조작수단(303)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은 제2 조작수단(303)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조작수단(303)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이 증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2 조작수단(303)을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이 감소할 수 있다.
제3 커패시터(273)는 일단이 제3 저항(271)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는 제1 딜레이부(250)와는 다른 시정수에 따른 제2 스위치(280)의 개폐 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 딜레이부(270)가 생략되는 경우 제2 스위치(280)에는 반전기(260)의 출력이 입력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80)는 반전기(260)의 출력에 따라 제1 스위치(210)가 온 동작한 시점에서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온 동작하며 제1 커패시터(230)가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3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4
)보다 작아져 비교기(240)에서 제1 스위치(210)를 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을 출력하도록 한다.
제2 스위치(280)는 소스단이 접지되고 드레인단이 제1 저항(220)의 타단 및 제1 커패시터(230)의 일단과 연결되며 게이트단으로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NMOS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반전기(260)와 제2 스위치(280)사이에 제2 딜레이부(270)가 더 구비되는 경우, 제2 스위치(280)는 게이트단으로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5
)에 따라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80)는 게이트단으로 기설정된 문턱전압값 이상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이 입력되면 온 동작하며 제1 저항(220)의 타단 및 제1 커패시터(230)의 일단과 접지를 연결하여 제1 커패시터(230)가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80)는 게이트단으로 기설정된 문턱전압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이 입력되면 오프 동작하며 제1 저항(220)의 타단 및 제1 커패시터(230)의 일단과 접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제1 커패시터(230)가 전원부(1120)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280)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6
)을 지연 및 반전시킴에 따른 전압값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제1 커패시터(230)가 충방전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7
)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8
)보다 커지고 작아지는 것을 반복하고,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39
)과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0
)을 비교한 결과에 의해 제1 스위치(210)가 온오프 동작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부하(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제2 저항(251)의 저항값 또는 제3 저항(271)의 저항값을 변경하며 제1 커패시터(230)의 충방전 주기와, 제1 커패시터(230)의 충방전 주기에 따른 제1 스위치(210)의 온오프 스위칭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부하 연결 제어부(200)의 동작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도록 한다.
전원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1
)이 입력되기 시작하면 제1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2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3
)을 초과하기 전까지 비교기(240)에서 출력되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4
)은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까지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5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6
)을 초과하기 시작한 시점(t1, t7, t13)부터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을 출력하기 시작하고, 제1 스위치(210)가 온 동작하며 부하(120)에 기설정된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7
)이 공급된다.
제1 딜레이부(250)는 비교기(240)의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8
)이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된 시점(t1, t7, t13)부터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49
)이 로우레벨 전압값에서 하이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되는 시점(t4, t10)까지 출력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0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이 될 때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시켜 출력한다.
반전기(260)는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1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아진 시점(t2, t8, t14)부터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2
)을 출력한다.
제2 딜레이부(270)는 반전기(26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3
)의 전압값이 로우레벨 전압값에서 하이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되는 시점(t2, t8, t14)부터 반전기(260)의 전압()의 전압값이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되는 시점(t5, t11)이전까지 전압값이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에서 하이레벨 전압값까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5
)을 출력한다.
제2 스위치(280)는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6
)의 전압값이 증가하기 시작한 시점(t2, t8, t14) 이후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7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시점(t3, t9, t15)부터 온 동작한다.
이때, 제1 커패시터(230)는 제2 스위치(280)의 온 동작에 의해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방전을 시작한다. 즉,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8
)은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59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시점(t3, t9, t15)부터 점차 감소한다.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230)의 방전에 의해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0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1
)보다 작아진 시점(t4, t10)부터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2
)을 출력하고, 이때, 제1 스위치(210)는 오프 동작하게 된다.
제1 딜레이부(250)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3
)이 로우레벨 전압값에서 하이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된 시점(t4, t10)부터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4
)이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되는 시점(t7, t13)까지 전압값이 로우레벨 전압값에서 하이레벨 전압값이 될 때까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5
)을 출력한다.
반전기(260)는 제1 딜레이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6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보다 작아진 시점(t2, t8, t14) 이후 기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커진 시점(t5, t11)부터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7
)을 출력한다.
제2 딜레이부(270)는 반전기(26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8
)이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으로 변경되는 시점(t5, t11)부터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에서 로우레벨 전압값이 될 때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69
)을 출력한다.
제2 스위치(280)는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0
)이 기설정된 문턱전압값보다 커진 시점(t3, t9)부터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1
)이 기설정된 문턱전압값보다 이하가 되는 시점(t6, t12)까지는 온 동작하고, 제2 딜레이부(270)에서 출력되는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2
)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문턱전압값보다 작아진 시점(t6, t12)부터 오프 동작한다.
제1 커패시터(230)의 일단은 제2 스위치(280)의 오프 동작에 의해 접지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제1 저항(220)과 연결되어 제1 저항(220)을 통해 전원부(1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3
)은 제2 스위치(280)가 오프 동작을 시작한 시점(t6, t12)부터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비교기(240)는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4
)의 전압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5
)보다 작아진 시점(t4, t10)부터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6
)을 출력하다가,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7
)의 전압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8
)보다 작아진 시점(t4, t10) 이후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79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0
)이상이 된 시점(t7, t13)부터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1
)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2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3
)보다 작아진 시점(t4, t10)부터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4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5
)보다 커진 시점(t7, t13)이전까지 오프 동작하며 부하(1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6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7
)보다 작아진 시점(t4, t10) 이후에 제1 커패시터(230)의 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8
)이 기준전압(
Figure 112022037004866-pat00089
)보다 커진 시점(t7, t13)부터 온 동작하며 부하(120)로 전원부(11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커패시터(220)가 충전되며 비교기(240)에서 제1 스위치(210)를 온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이 출력되어 제1 스위치(210)가 온 동작하고, 비교전압을 지연 및 반전시킴에 따른 전압의 전압값에 의해 제1 커패시터(220)가 방전되며 비교기(240)에서 제1 스위치(210)를 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이 출력되어 제1 스위치(210)가 오프 동작하고, 제1 스위치(210)가 오프 동작한 이후 비교전압을 지연 및 반전시킴에 따른 전압의 전압값에 의해 제1 커패시터(220)가 다시 충전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 스위치(210)가 온오프 동작하며 부하(120)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11)에서 발생된 전력이 부하(120)를 점등할 전압에 못 미치는 환경에서도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부하(120)를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10)은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 광전지를 포함하고, 터널과 같이 실내 조명 외의 광원이 없는 환경에서 별도로 전력선 설치없이 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로 점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병 점등을 위한 전력선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및 유지가 비교전 간편하며, 전기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110 : 전원부
111 :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113 : 배터리
120 : 부하
140 : 배터리 연결 제어부
150 : 전원 스위치
200 : 부하 연결 제어부
210 : 제1 스위치
220 : 제1 저항
230 : 제1 커패시터
240 : 비교기
250 : 제1 딜레이부
251 : 제2 저항
253 : 제2 커패시터
260 : 반전지
270 : 제2 딜레이부
271 : 제3 저항
273 : 제3 커패시터
280 : 제2 스위치
301 : 제1 조작수단
303 : 제2 조작수단

Claims (6)

  1.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와 병렬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는 부하;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연결 제어부;
    상기 제어전압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동작시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전원부와 상기 부하를 연결 또는 차단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축적된 전압이 간헐적으로 상기 부하에 제공되도록 하는 부하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연결 제어부는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부와 상기 부하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로우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내이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하이레벨 전압값을 가지는 비교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전압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에지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1 딜레이부와,
    상기 제1 딜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반전기와,
    상기 반전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동작한 시점에서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기설정된 문턱전압값을 초과하는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이 입력되면 온 동작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을 접지와 연결해 상기 제1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며,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동작한 시점에서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기설정된 문턱전압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이 입력되면 오프 동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접지의 연결을 차단해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도록 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
    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소스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의 타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상기 부하와 연결되며, 게이트단으로 상기 비교전압을 입력받는 PMOS로 이루어지는 것
    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소스단이 접지되고 드레인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과 연결되며 게이트단으로 상기 반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NMOS로 이루어지는 것
    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연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분배함에 따른 전압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 동작시키기 위해 기설정된 전압값을 가지는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는
    오프 동작시 상기 전원부와 상기 부하 연결 제어부를 차단하며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
    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KR1020220043069A 2022-04-06 2022-04-06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KR10260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069A KR102602967B1 (ko) 2022-04-06 2022-04-06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069A KR102602967B1 (ko) 2022-04-06 2022-04-06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876A KR20230143876A (ko) 2023-10-13
KR102602967B1 true KR102602967B1 (ko) 2023-11-16

Family

ID=8828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069A KR102602967B1 (ko) 2022-04-06 2022-04-06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9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95B1 (ko) 2011-04-19 2011-08-04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도로 태양광 led 표시등
JP2013523080A (ja) 2010-03-19 2013-06-13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圧電振動ハーベスタから最大電力を抽出するためのコンバータ及び方法
KR101943016B1 (ko) * 2018-04-06 2019-01-28 박현만 도로 표지병 제어 장치
KR102168185B1 (ko) 2019-09-05 2020-10-2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주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하베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245039A1 (en) * 2020-05-31 2021-12-09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Energy harves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16B1 (ko) * 2008-01-25 2010-09-07 이기찬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의 점등제어장치
KR200450486Y1 (ko) * 2008-04-23 2010-10-06 (주)이노셈코리아 태양광을 통한 led 도로교통 표지판
KR20100119952A (ko) * 2009-05-04 2010-11-12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솔라 도로표지병
KR20120114828A (ko) * 2011-04-08 2012-10-1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
KR101342260B1 (ko) * 2012-03-26 2013-12-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펄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29550B1 (ko) 2012-05-14 2014-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fs의 벙커링 시스템
KR101645583B1 (ko) * 2014-09-15 2016-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08078A (ko)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나노켐 딘 레일 장착형 결합기구
KR102177756B1 (ko) * 2018-01-23 2020-11-12 (주)디오시스 태양광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33862B1 (ko) * 2019-09-18 2021-1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최대 전력점 추적 기능을 갖춘 단일 인덕터 공유 기반의 이중입력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102313374B1 (ko) * 2020-03-03 2021-10-15 (주)인포스텍 자가발전 기반 도로 표지병 및 그 제어방법
KR102528497B1 (ko) * 2021-04-05 2023-05-04 주식회사 에스제이씨앤티 도로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080A (ja) 2010-03-19 2013-06-13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圧電振動ハーベスタから最大電力を抽出するためのコンバータ及び方法
KR101054495B1 (ko) 2011-04-19 2011-08-04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도로 태양광 led 표시등
KR101943016B1 (ko) * 2018-04-06 2019-01-28 박현만 도로 표지병 제어 장치
KR102168185B1 (ko) 2019-09-05 2020-10-2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주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하베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245039A1 (en) * 2020-05-31 2021-12-09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Energy harve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876A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4198A (en) Solar power source for a lighting system
KR101516193B1 (ko) 태양광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46331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847512B2 (en) Solar powered DC load system
KR20130082240A (ko) 슈퍼캐패시터 및 재충전배터리의 충방전 제어장치
JP2017157574A (ja) 電灯給電技術
KR100750297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led 조명 시스템
CN102427637A (zh) 一种具有智能控制器的太阳能路灯
KR102292930B1 (ko)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US10090754B2 (en) Photovoltaic inverter
CN104079238A (zh) 一种用于隧道入口加强段的太阳能供电系统及控制方法
KR102602967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하이브리드 도로표지 병
KR20110029767A (ko) 하이브리드 태양광 가로등
US8692470B2 (en) Designs for control on solar power system with extreme low energy consumption
KR102030934B1 (ko) 신 재생에너지 파워 뱅크.
KR101292522B1 (ko) 임피던스 매칭형 태양광 충방전 제어장치, 조명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048528A (ja) 照明電力の制御方法、照明装置
KR101022168B1 (ko) 태양전지모듈용 전원관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5073377A (ja) 太陽電池電源装置
KR200386062Y1 (ko) 태양전지 발전식 led 조명장치
JP3774841B2 (ja) 不日照対応型自発光装置
US20070103337A1 (en) Backup traffi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207410577U (zh) 高效型太阳能照明灯智能控制器
KR102443157B1 (ko) 도로표지판용 태양광 충전 기능을 갖는 방전 컨트롤러
KR100943749B1 (ko) 태양광 발전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