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05018B1 -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018B1
KR102605018B1 KR1020210112354A KR20210112354A KR102605018B1 KR 102605018 B1 KR102605018 B1 KR 102605018B1 KR 1020210112354 A KR1020210112354 A KR 1020210112354A KR 20210112354 A KR20210112354 A KR 20210112354A KR 102605018 B1 KR102605018 B1 KR 10260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information
management
seme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697A (ko
Inventor
노경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쿠스
Priority to KR102021011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2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정액스트로에 기재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여 기록될 수 있어 기록 오기나 오류를 방지하고, 가축 인공수정 관리의 효율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카메라 위치에 맞춰 카메라 노출을 위한 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초점 가능 범위 내에 촬영 공간을 마련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에 정액스트로가 위치하도록 정액스트를 삽입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카메라를 향하는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공간에 놓인 정액스트로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 ON STRAW OF ALIVESTOCK SPECIFICATION MANAGEMENT SYSTEM}
본 개시 내용은 가축 사양 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은 가축을 번식하고 길러 유용한 생산물을 공급하는 오래된 산업 분야이다.
축산 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어, 환경적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고, 생산성 또한 향상되었다. 그러나, 현재 생산성 효율의 한계에 봉착한 상태이며, 기존의 단순한 축사 환경의 개선만으로는 생산성을 높이기 어렵다. 보다 효율적인 가축 사양 관리 방안이 도입된다면, 기존 생산성의 한계를 넘어 큰 진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축의 개체별 특성에 따라 체계 있게 가축사양을 관리하여, 사육중인 가축을 질병없이 관리하고 수태율을 높이는 것은 경제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축산 가축에 대한 사양 관리가 농장주나 일부 전문가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작업으로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인공수정을 위해 정액이 담긴 스트로 등에 새겨진 정보를 현장에서 일일이 수기로 기록하고 관리함에 따라, 오독이나 오기 등의 발생으로 관리가 제대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수태율 저하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큰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축산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종래의 가축 사양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본 과제는, 정액스트로에 기재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여 기록될 수 있어 기록 오기나 오류를 방지하고, 가축 인공수정 관리의 효율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인공 수정을 위한 가축의 사양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시스템은, 축산 농장의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사양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관리하고 축산 관련 사업장의 단말기에 연결되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축산 농장의 단말기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서버, 상기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IoT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검출값을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인가하는 IoT 수신부,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각 축산 농장의 요청에 따라 각 단말기로 가축 사양 관리에 필요한 입출력용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어플리케이션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되고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축산 농장의 가축 사양 관리에 대한 사양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대장모듈,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개체의 발정 상태와 수정 시기를 관리하는 발정관리모듈,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정보를 관리하는 수정관리모듈,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개체의 전염병을 관리하는 전염병분석모듈, 가축 개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체적 및 체중을 관리하는 영상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액정보는, 수정용 정액이 담긴 정액스트로 표면에4 기재된 정액번호, 표식 문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수정관리모듈은, 인공수정용 정액이 담긴 정액스트로에 기재된 정액정보를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여 관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해 선택된 정액스트의 정보관리를 위해, 정액스트로 표면에 인쇄된 정액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카메라 위치에 맞춰 카메라 노출을 위한 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초점 가능 범위 내에 촬영 공간을 마련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에 정액스트로가 위치하도록 정액스트를 삽입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카메라를 향하는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공간에 놓인 정액스트로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은 외부의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단말기를 감싸며 설치되는 커버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커버를 단말기에 장착하여 고정프레임을 단말기에 연결하는 구조일 수있다.
상기 고정프레임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선단에 형성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 사이를 축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단말기 후면으로 접거나 단말기 후면에서 직각으로 펼쳐 사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단말기 후면에서 직각으로 펼쳤을 때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여 하우징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부재에는 암나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수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의 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부재에 설치된 암나사부재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측 선단에는 회전노브가 설치되어, 회전노브를 정역회전시켜 연결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구조일 수 있다.
본 구현예의 관리 방법은,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 사양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연결된 축산 관련 사업장의 단말기를 통해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IoT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검출값을 수신하여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IoT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통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생체 정보 변화 분석에 따라 가축 개체의 발정, 수정, 출산, 질병 및 출하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관리 단계에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에 설치된 IoT기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 정보, 가축 개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변화 분석 단계는,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수정 시기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변화 분석 단계는, 가축 개체의 체온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 변화를 연산하여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변화 분석 단계는,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영상으로부터 체적과 체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방법은,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한 가축 정액 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액 정보 관리 단계는, 가축 개체의 IoT기기를 통해 가축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공수정용 정액이 담긴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관리표식을 인식하고 이를 인가받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방법은, 축산 전문가에 의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설팅 단계는,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인가된 정보를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단계, 축산 농장의 경영 관리와 가축 개체의 사양 관리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구현예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의하면, 체계적이고 스마트한 사양 관리를 통해 가축의 생체 정보 및 관리 정보를 정확히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별 특성에 따른 가축 사양 관리 및 축산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축산 가축의 생체 정보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하며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가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농장별 지역별 및 가축 개체별 체온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체온 변화 발생시 이를 조기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가축의 전염병을 예방하고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가축의 생체 정보 변화를 정확히 검출하여 가축의 발정시기나 수정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수태율을 높일 수 있다.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문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관리함으로써, 수기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영상 정보를 통해 가축의 체중을 단계별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표준화된 관리를 통해 가축의 사양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선진적인 축산 경영을 도입할 수 있다. 이에, 비전문 인력으로도 농장에서도 관리 가축의 사육 관리가 용이하여 축산업 발전을 도모할 수 있고 가축사양관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다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가축 발정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가축 수정을 위한 정액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가축 전염병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가축 영상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액스트로 인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액스트로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축산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시스템(100)은, 가축 개체와 가축 사양 관리에 참여하는 축산 관련 사업장 들을 인터넷망을 포함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로 연결하여 가축 사양을 위한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축 또는 가축 개체는 축산 농장에서 기르는 소, 돼지, 양, 염소, 말 등 종류 또는 각 종류별 가축 각각의 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
축산 관련 사업장은 가축을 직접 사양하는 축산 농장, 축산 관계자, 수정사, 수의사일 수 있다. 또한, 축산 관련 사업장으로 컨설턴트 등의 축산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으며, 시스템(100)은 축산 전문가에 의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정보는, 축산 농장의 경영 관리, 가축 개체의 사양 관리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 결과일 수 있다. 축산 전문가는 시스템(100)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본 시스템(1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농장 등 사업장에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축산 농장의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사양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관리하고 축산 관련 사업장의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관리서버(110), 관리서버(110)와 축산 농장의 단말기(200)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서버(120), 관리서버(110)에 연결되어 각 축산 농장의 요청에 따라 각 단말기(200)로 가축 사양 관리에 필요한 입출력용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 관리서버(110)에 연결되고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 IoT를 활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IoT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검출값을 수신하여 관리서버(110)로 인가하는 IoT 수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IoT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된 검출값을 분석하여 각 농장의 가축 사양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한 기기로,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검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사물에 따라 그 구조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IoT 기기는 가축 개체의 귀 등에 부착되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태그(Tag)(300), 농장 등에 설치되어 각 가축 개체의 태그(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300)은 예를 들어, 가축 개체의 고유 등록정보가 내장된 칩,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 생체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태그(300)의 형태나 가축에 대한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태그(300)에 마련되는 통신부는 예를 들어,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인 LoRa 무선통신망을 통해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LoRa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구조일 수 있다. LoRa 무선통신망은, 노드와 외부 서버 사이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으로, 노드에서 검출된 정보를 외부 게이트웨이(400)로 전송한다.
LoRa 무선통신은, Long Range의 약어를 뜻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Low Power WideArea) 방식으로서, 대기전력이 적고 모듈 가격이 저렴하다. 따라서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기존의 스마트 기기 연결환경과는 다르게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 없이 노드에 칩세트를 올려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보안 양방향 통신, 이동성 등의 원활한 상호 호환성을 제공한다. 통신부는 LoRa 무선통신 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저전력 무선 통신 프로토콜 역시 적용가능하다.
게이트웨이(400)는 가축 개체에 설치된 태그(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예를 들어 본 시스템(10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예를 들어, 가축 개체에 부착된 태그(300)과 무선통신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복수의 태그(300)을 를 관리하며, 각 태그(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게이트웨이(400)는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본 시스템(100)의 IoT 수신부(150)를 통해 접수되고,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가공, 정리, 분석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실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웹이나 일반 웹 페이지를 통해 각 사업장의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각 사업장에 속한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가축의 생체 정보는 물론,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IoT 기술을 통해 어느 농장에서나 정보의 누락이나 오류 없이 실시간으로 가축 사양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의 사양 관리를 위한 각종 기록이나 생체 정보가 오류없이 정확히 확인 및 관리되어, 농장의 가축 사양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단말기(200)는 각 사업장에 마련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컴퓨터 또는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유무선으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주어진 연산업무를 처리하는 기기로 이해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본 실시예의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각 사업장에 속한 참여 주체는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통합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단말기(200)로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또는 웹 환경에서 실행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이에,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들은 단말기(200)를 통해 본 실시예의 관리 시스템(100)으로 접속하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통합 환경 하에서 가축 사양 관리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을 통해 각 단말기(200)로 가축 사양을 위한 작업 별로 정보 입력을 위한 서식환경이 제공될 수 있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시스템(100)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는 관리서버(110)에 연결된 각 사업장의 단말기(200)로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는 다양한 정보를 통신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각 단말기(200)로 제공하며, 각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는, 축산 농장을 포함한 각 축산 관련 사업장의 참여 주체 접속을 위한 접속화면, 축산 농장과 가축 개체 또는 태그(300) 등록을 위한 화면, 축산 농장의 작업 선택을 위한 화면, 선택된 작업 관리를 위한 정보 입력 화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여 가축 사양 관리에 필요한 화면을 관리서버(110)를 통해 해당 단말기(200)로 제공하며, 해당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가 본 실시예의 사양관리 시스템(10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가축 개체의 태그(300) 등록이나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일련의 작업을 선택하여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는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화면을 통해 시스템(100)으로 접속하고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등 단일된 통합 관리 환경하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화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IoT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통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 변화를 분석하고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정보를 인가받아, 각 가축 개체의 등록에서부터 발정, 수정, 출산, 질병, 폐사 및 출하에 이르는 전체적인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관리서버(110)는 통신서버(120)를 통해 각 사업장의 단말기(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관리서버(110)는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와 데이터서버(140)와 연결되어 있어, 각 서버를 통해 각 단말기(200)로 정보 입출력을 위해 필요한 웹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서버(110)를 통해 가축 사양을 위한 개체 등록에서부터 출하에 이르는 사양 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통합 관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관리서버(110)는 관리대장모듈(111), 발정관리모듈(112), 수정관리모듈(113), 전염병분석모듈(114), 영상분석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관리대장모듈(111)을 통해 축산 농장의 가축 사양 관리에 대한 사양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대장모듈(111)은, 가축 사양관리대장에 기록되는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다. 공사관리모듈은 가축 사양관리와 관련하여 각 사업장의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어 생성된 정보를 연결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의 관리대장모듈(111)은, 축산 농장의 등록 정보,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 등록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양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축산 농장의 등록 정보는, 축산 농장의 고유 ID, 주소, 농장주, 농장 내의 가축의 개체 종류, 종류별 개체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축산 농장의 등록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관리대장모듈(111)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이력 정보일 수 있다.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기(200) 또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관리대장모듈(111)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 정보, 가축 개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예를 들어, 가축 개체에 설치된 IoT기기로부터 인가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관리대장모듈(111)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사양정보는, 사료 구입에 관한 정보, 사료 급여에 관한 정보, 농장 출입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분만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발정에 대한 정보, 가축 개체의 폐사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출하 관련 정보, 가축 개체 구입 관련 정보, 가축 개체 수정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수정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임신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사양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기(200) 또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관리대장모듈(111)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대장모듈(111)은 가축 개체의 전체적인 사양 관리에 필요한 입출력 정보를 해당 단말기(200)로 제공하고, 사양 관리를 위해 수행되는 작업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나 IoT 기기로부터 인가받아 데이터서버(14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관리대장모듈(111)은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가축 사양관리에 필요한 서비스화면을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작업자는 관리대장모듈(111)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각 사업장의 작업자는 단말기(200)로 제공된 사양 관리 화면을 통해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여 후속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발정관리모듈(112)을 통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발정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가축 개체의 발정 상태와 수정 시기를 관리할 수 있다. 발정관리모듈(112)은, 가축 발정과 관련하여 각 가축 개체의 IoT기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연결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의 발정관리모듈(112)은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와 등록된 가축 개체에 부착된 IoT 기기로부터 측정되어 생성된 생체 정보 등 발정과 수정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발정과 수정 관리를 위해 확인된 가축 개체의 등록 정보와 생체 정보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발정관리모듈(112)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발정관리모듈(112)은, 가축 개체의 발정에 따른 수정 시기를 예측하는 분석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16)는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과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수정 시기를 예측한다.
발정관리모듈(112)에서 관리되는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 정보, 가축 개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시스템(100)의 가축 발정 관리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개체에 부착된 태그(300)을 통해 가축 개체의 체온이 측정된다. 태그(300)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는 인근 게이트웨이(400)에서 수집되고, 게이트웨이(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측정된 체온 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110)의 발정관리모듈(112)은 게이트웨이(400)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발정관리모듈(112)은 IoT 기기로부터 전송된 가축 개체의 체온과 움직임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부(116)를 통해 모니터링된 정보를 분석하여 정확한 발정 상태와 수정 시기는 물론 출산시기까지 예측할 수 있다.
발정관리모듈(112)에 의해 분석된 축산 개체의 발정 상태나 수정 시기에 대한 결과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필요한 사업장의 사업 주체의 단말기(200)로 제공된다.
이에, 농장에서는 가축 개체의 발정과 수정시기 등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하고 필요한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정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이고, 관리 소홀로 인한 발정시기 및 인공 수정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제때 포착하여 수태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IoT 기기를 통해 가축의 체온 변화와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사업장으로 정확한 발정시기와 수정시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사양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인공 수정 실패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발정관리모듈(112)은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가축 개체의 발정과 인공 수정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화면을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발정관리모듈(112)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수정관리모듈(113)을 통해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수정관리모듈(113)은, 가축 인공 수정과 관련하여 각 가축 개체의 IoT기기에 의해 생성된 정보와 인공 수정용 정액 정보를 연결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의 수정관리모듈(113)은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와 인공수정에 사용되는 정액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수정 관리를 위해 확인된 가축 개체의 등록 정보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수정관리모듈(113)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인공 수정용 정액은 정액스트로에 담겨져 보관 및 사용될 수 있다. 정액스트로는 표면에 정액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정액 정보는 인공 수정에 이용되는 수컷 개체의 번호, 정액스트로 일련번호, 제조회사, 제조일자, 바코드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표식 문자는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통해 인식하여 관리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표식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인식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는 단말기(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표식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인식장치에 정액스트로를 삽입해주는 것으로, 인식장치를 통해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표식 문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액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식장치에서 인식된 정액 정보는 단말기(200)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전송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수정관리모듈(113)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시스템(100)의 가축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관리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개체에 부착된 태그(300)을 통해 가축 개체의 고유 ID가 확인될 수 있다. 단말기(200)에 구비된 인식장치를 통해 정액스트로의 정액 정보가 인식되고, 이들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10)로 전송된다. 관리서버(110)의 수정관리모듈(113)은 전송된 가축 개체의 정보와 정액스트로의 정액 정보를 연결하여 데이터서버(140)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수정관리모듈(113)은 IoT 기기로부터 가축 개체의 고유 ID와 정액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단말기(200)를 통해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정액 관리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농장에서는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현장에서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표식 문자를 일일이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정액 정보를 기록함에 따라 오독 및 오기가 발생할 우려가 컸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IoT 기기와 단말기(200)의 인식장치를 통해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관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사양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인공 수정 오류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수정관리모듈(113)은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화면을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수정관리모듈(113)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전염병분석모듈(114)을 통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개체의 전염병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가축 개체의 전염병 발생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전염병분석모듈(114)은, 가축 개체의 전염병 발생과 관련하여 각 가축 개체의 IoT 기기에 의해 생성된 생체 정보를 연결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의 전염병분석모듈(114)은 가축 개체에 대한 등록 정보와 등록된 가축 개체에 부착된 IoT 기기로부터 측정되어 생성된 생체 정보 등 전염병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전염병 관리를 위해 확인된 가축 개체의 등록 정보와 생체 정보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전염병분석모듈(114)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전염병분석모듈(114)은,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연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17)는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 변화를 연산하여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전염병분석모듈(114)에서 관리되는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본 시스템(100)의 가축 전염병 관리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개체에 부착된 태그(300)을 통해 가축 개체의 체온이 측정된다. 태그(300)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는 인근 게이트웨이(400)에서 수집되고, 게이트웨이(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측정된 체온 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110)의 전염병분석모듈(114)은 게이트웨이(400)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전염병분석모듈(114)은 IoT 기기로부터 전송된 가축 개체의 체온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연산부(117)를 통해 모니터링된 체온 변화를 연산하여 이상 체온 변화 발생을 확인함으로서,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전염병분석모듈(114)에 의해 분석된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징후에 대한 결과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필요한 사업장의 사업 주체의 단말기(200)로 제공된다.
이에, 농장나 관련 기관으로부터 해당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에 대해 정확한 확인과 감시가 가능하며 필요한 조취를 적시에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염병분석모듈(114)은 전국적으로 가축 개체의 체온 변화를 지도(GIS) 상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병역 시스템(100)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구제역이나 돼지 열병 등 가축 전염병 발생시 의심 농장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모니터링 및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징후가 발생된 가축만 선별 관리할 수 있어 전염병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방역라인 설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소홀로 인한 전염병 발생 놓치지 않고, 가축의 이상 징후를 조기 포착함으로써, 대규모 가축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전염병분석모듈(114)은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가축 개체의 전염병 발생 감염 여부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화면을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염병분석모듈(114)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영상분석모듈(115)을 통해 가축 개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체적 및 체중을 관리할 수 있다. 영상분석모듈(115)은 가축 개체의 체적과 체중 관리와 관련하여 각 가축 개체의 IoT기기에 의해 생성된 고유 ID 등 생체 정보와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관리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분석모듈(115)은 가축 개체에 고유 ID에 대한 정보와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 등 가축의 체적과 체중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가축 체적과 체중 관리를 위해 확인된 가축 개체의 고유ID 정보는 IoT 기기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영상분석모듈(115)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영상분석모듈(115)은, 가축 개체의 체적과 체중을 측정하는 검출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18)는 촬영된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를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가축 개체의 체적과 체중을 측정한다. 영상 정보는 가축 전체를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분석모듈(115)은, 가축 개체에 대한 영상을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하여 관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단말기(200)의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가축 개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가축 개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얻어 가축 개체의 체중 및 체적을 관리할 수 있다. 카메라(210)에서 인식된 영상 정보는 단말기(200)를 통해 관리서버(110)로 전송되어 데이터서버(140)에 저장되며 영상분석모듈(115)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본 시스템(100)의 가축 개체 체적과 체중 관리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개체에 부착된 태그(300)을 통해 가축 개체의 고유 ID가 확인될 수 있다.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통해 가축 개체의 전체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이 영상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10)로 전송된다. 관리서버(110)의 영상분석모듈(115)은 전송된 가축 개체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데이터서버(140)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또한, 영상분석모듈(115)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가축 개체의 체중 및 체적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영상분석모듈(115)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가축 개체의 영상을 통해 체중과 체적를 측정하고 체중과 체적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검출부(118)를 통해 체중과 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계속 모니터링함으로써, 가축 개체의 단계별 체중과 체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영상분석모듈(115)에 의해 측정된 가축 개체의 체중과 체적에 대한 결과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필요한 사업장의 사업 주체의 단말기(200)로 제공된다.
이에, 해당 가축 개체의 체중과 체적 측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보다 간편하게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현장에서 가축을 일일이 체중계에 올려 체중을 측정하거나 숙련된 작업자의 눈대중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이 힘들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IoT 기기와 단말기(200)의 카메라(210)를 통해 얻어진 정보들을 통해 가축 개체의 체적과 체중 관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사양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효율적인 사료 공급을 통해 사료비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높여 인건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분석모듈(115)은 웹어플리케이션서버(130)를 통해 가축 개체의 체중과 체적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화면을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영상분석모듈(115)에 의해 단말기(200)로 제공된 서비스화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가축 사양관리에 필요한 통합 관리 환경을 제공한다.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들은 관리서버(110)를 통해 구축된 통합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받고 필요한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로 업로드된 자료는 데이터서버(140)로 저장되고 필요시 관리서버(110)를 통해 제공된다.
데이터서버(140)는, 관리서버(110)에서 관리하는 모든 이력 및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서버(140)는 관리서버(11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데이터서버(140)는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의 단말기(200) 또는 가축 개체의 IoT기기로부터 관리서버(110)로 전송된 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서버(140)는, 각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 사양 관리에 필요한 사양정보가 저장되는 관리대장DB(141), 축산 농장에 대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농장정보DB(142), 가축 개체별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개체정보DB(143), 가축 개체별 생체 정보가 저장되는 생체정보DB(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대장DB(141)는 사료 구입에 관한 정보, 사료 급여에 관한 정보, 농장 출입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분만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발정에 대한 정보, 가축 개체의 폐사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출하 관련 정보, 가축 개체 구입 관련 정보, 가축 개체 수정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수정 관련 정보, 가축 개체의 임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사양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농장정보DB(142)는, 축산 농장의 고유 ID, 주소, 농장주, 농장 내의 가축의 개체 종류, 종류별 개체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축산 농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농장정보DB(142)는 축장 농장 외에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고유 ID, 주소,사업주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개체정보DB(143)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가축 개체 등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생체정보DB(144)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 정보, 가축 개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생체정보DB는, 인공 수정을 위한 정액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해 선택되어 관리서버의 수정관리모듈(113)에 의해 관리되는 정액이 담긴 정액스트로에 기재된 정액정보를 현장에서 기계적으로 인식하여 제공하는 인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수정용 정액은 정액스트로에 주입되어 액체질소통에 극저온 상태로 냉동처리되어 보관된다. 정액스트로의 표면에는 정액 정보가 인쇄되어 있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해서는 이 정액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고 기록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는 정액스트로에 기재된 정액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액스트로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정액스트로(P) 인식장치(10)는, 카메라(210)를 구비한 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카메라(210) 위치에 맞춰 카메라(210) 노출을 위한 홈부(21)가 형성된 고정프레임(20), 고정프레임(20)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 연결프레임(30)에 설치되고 카메라(210)의 화각 및 초점 가능 범위 내에 촬영 공간(41)을 마련하고 측면에는 공간(41) 내에 정액스트로(P)가 위치하도록 정액스트를 삽입하는 삽입홀(42)을 형성하며 카메라(210)를 향하는 상단은 개방되어 공간(41)에 놓인 정액스트로(P)를 카메라(210)가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간편하게 정액스트로(P)를 본 장치에 삽입하여 표면에 기재된 정액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액 정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공 수정에 이용되는 수컷 개체의 번호, 정액스트로 일련번호, 제조회사, 제조일자, 바코드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작은 정액스트로(P)에 기재된 정액정보를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여 기록해야 하는 불편함과 작업 부하를 줄이고, 기록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나 오기를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0)은 단말기(2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단말기(200)만을 사용하거나 필요시 단말기(200)에 고정프레임(20)을 장착하여 정액스트로(P) 인식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200)에 고정프레임(20)을 착탈하는 구조는 간단하게 단말기(200)에 접하는 고정프레임(20)의 상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단말기(200) 후면에 부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프레임(20)은 단말기(200)를 감싸며 설치되는 커버(도시되지 않음)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커버를 단말기(200)에 장착하여 고정프레임(20)을 단말기(200)에 연결할 수 있다.
커버는 단말기(200) 보호를 위해 단말기(200) 후면에 씌워져 단말기(200)와 결합된다. 고정프레임(20)은 커버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커버를 단말기(200)에 설치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0)을 단말기(2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프레임(20)에 단말기(200)가 끼워지는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홈에 단말기(200)의 선단을 끼워 본 장치를 단말기(200)에 착탈시킬 수 있다.
고정프레임(20)은 단말기(200)의 카메라(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21)를 통해 카메라(210)가 고정프레임(20)에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정액스트로(P)를 촬영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0)은 양 측 선단에 연결프레임(30)과의 결합을 위한 축부재(2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에 설치되어 하우징(40)을 카메라(210) 앞에 위치시킨다.
고정프레임(20)을 향하는 연결프레임(30)의 선단에는 축부재(32)가 형성되어,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와 샤프트(23)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연결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40)을 단말기(200) 후면으로 접거나 단말기(200) 후면에서 직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하우징(40)을 단말기(200) 후면에서 직각으로 펼쳐 카메라(210) 앞에 하우징(40)을 위치시키고, 사용 후에는 하우징(40)을 단말기(200) 후면으로 접어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의 상단에는 스토퍼부재(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34)는 연결프레임(30)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켜 펼쳤을 때 고정프레임(20)에 접하게 된다. 이에, 스토퍼부재(34)가 고정프레임(20) 하단에 접하면서 연결프레임(3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기 설정된 각도로만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부재(34)에 의해 연결프레임(30)의 회동각도가 제한되어 연결프레임(30)에 설치된 하우징(40)을 정확히 카메라(210) 촬영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켜 단말기(200)에 대해 하우징(40)을 펼치거나 접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에는 암나사부재(25)가 설치되고, 샤프트(23)는 수나사로 이루어져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를 관통하여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에 설치된 암나사부재(25)에 나사체결되고, 샤프트(23)의 외측 선단에는 회전노브(27)가 설치되어, 회전노브(27)를 정역회전시켜 연결프레임(30)과 고정프레임(20)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구조와 달리,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가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 외측에 위치하는 구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암나사부재(25)는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에 설치되며, 샤프트(23)는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를 관통하여 암나사부재(25)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가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 외측에 위치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수나사로 이루어진 샤프트(23)는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를 관통하여 연결프레임(30)의 축부재(22)에 설치된 암나사부재(25)에 나사체결된다.
나사체결에 따라 회전노브(27)가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를 회전프레임의 축부재(22)에 조여 고정하게 된다. 고정프레임(20)의 축부재(22)가 회전프레임의 축부재(22)와 샤프트(23)의 회전노브(27)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노브(27)를 회전시켜 샤프트(23)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간단하게 고정프레임(20)에 대해 회전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회전프레임에 설치된 하우징(40)을 단말기(200) 후면에 접거나 펼친 상태로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의 전면에는 하우징(40)이 설치된다.
하우징(40)은 연결프레임(30)과 결합되어 내부에 촬영 공간(41)을 형성한다. 촬영 공간(41)은 단말기(200)의 카메라(210)가 촬영 가능한 영역 즉, 카메라(210)의 화각 범위 이내로 카메라(210)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카메라(210)의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범위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촬영 공간(41)에 위치한 정액스트로(P)는 카메라(210)에 의해 정액스트로(P)에 인쇄된 정액정보 전체가 누락되지 않고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다.
카메라(210)를 향하는 하우징(40)의 상단은 개방되어 공간(41)에 놓인 정액스트로(P)를 카메라(210)가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촬영 공간(41)이 마련되며, 측면에는 공간(41) 내에 정액스트로(P)가 위치하도록 정액스트로(P)를 삽입하는 삽입홀(42)을 형성한다. 삽입홀(42)은 하우징(40)의 내부 촬영 공간(41)과 연통된다. 정액스트로(P)는 삽입홀(42)에 끼워져 촬영 공간(41) 내에 놓인다.
이에, 삽입홀(42)을 통해 하우징(40) 내부로 삽입된 정액스트로(P)는 하우징(40) 내부에서 카메라(210)의 화각 및 초점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210)는 정액스트로(P) 표면에 정확히 초점을 맞춰 인쇄된 정액정보를 누락없이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40) 또는 연결프레임(30)은 외부의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40) 또는 연결프레임(30)을 통해 외부의 빛이 촬영 공간(41)으로 조사되어, 하우징(40) 내부는 촬영시 필요한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켜 하우징(40)을 접어 단말기(2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단말기(200)에서 연결프레임(30)을 회전시켜 하우징(40)을 펼쳐 줌으로써 정액스트로(P) 인식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정액스트로(P) 인식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연결프레임(30)을 단말기(200)에서 펼쳐주게 되면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샤프트(23)를 매개로 연결프레임(30)이 회전된다. 이에 연결프레임(30)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40)이 단말기(200)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진다.
하우징(40)이 펼쳐지면 하우징(40) 내부의 촬영 공간(41)이 단말기(200)의 카메라(210)의 촬영 가능 영역에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정액스트로(P)를 하우징(40) 내부로 삽입시키면, 정액스트로(P)에 대한 인식 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카메라(210)로 정액스트로(P)를 촬영함으로써, 정액스트로(P) 표면에 기재된 정액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정액스트로(P)는 카메라(210)의 촬영 화각 및 초점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어 표면에 인쇄된 정액정보를 카메라(210)가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정액 정보는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정액 정보로 기록되어 시스템으로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정액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시스템에 구비된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정액 정보로 기록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 정액스트로(P)에 기재된 정액 정보를 간편하게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정보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고 수기로 일일이 기록함에 따라 오독이나 오기가 발생되고 정확한 관리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인식장치(10)를 통해 정액스트로(P)의 정액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정액스트로(P)에 기재된 정액정보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정액 정보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줄이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통한 축산 가축 사양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사양관리 방법은,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 사양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연결된 축산 관련 사업장의 단말기를 통해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축산 농장의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통해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생체 정보 변화 분석에 따라 가축 개체의 발정, 수정, 출산, 질병 및 출하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는 시스템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 별로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인 농장, 축산 관계자, 수정사, 수의사 또는 축산 전문가는 본 시스템에 등록되어 회원으로 관리될 수 있다. 각 농장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축들 또한 가축 개체 별로 태그 등의 IoT 기기를 부착하고 있어, IoT 기기를 통해 본 시스템에 등록되어 관리된다. 태그는 가축 개체의 고유 등록정보가 내장된 칩을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가축 개체가 태그를 통해 시스템에 간단히 등록 관리될 수 있다.
각 사업장의 참여 주체는 단말기를 통해 사양 관리를 위한 서비스 화면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필요한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관리하며 참여 주체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자료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면 가축 사양을 위한 정보 등록이나 작업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 작업을 선택하여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축 사양을 위한 작업은 사료 구입과 공급에서부터 농장 출입, 가축 발정, 수정, 출산, 질명, 출하, 폐사에 이르는 사양 관리 전체 업무를 망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환경하에서 필요한 작업을 선택하여 작업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가축 사양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저장 및 보관되며, 필요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로 제공된다.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에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에 설치된 태그 등의 IoT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어 얻어질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태그는 칩 외에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는, 가축 개체의 고유 ID, 가축 개체의 실시간 체온 정보, 가축 개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
IoT 기기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에, 생체 정보에 대한 누락이나 오류 발생없이 실시간으로 가축 개체의 실제 생체 정보를 시스템으로 업로드시킬 수 있다.
시스템은 전송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필요시 각 작업 주체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정보 관리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생체 정보의 변화되는 값은 시스템을 통해 분석된다. 생체 정보의 변화량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시스템에 저장 관리되며, 필요시 작업 주체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의 변화량을 분석함으로써, 변화에 따른 적절한 사양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보다 효율적으로 가축의 사양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변화 분석 단계는, 수정 시기 예측 단계, 전염병 판단 단계, 영상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 시기 예측 단계는,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과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수정 시기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시스템은 인가된 체온이나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발정 및 수정시기를 탐지한다.
시스템은 분석 결과를 확인하여 예를 들어,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에 도달하는 경우 발정에 따른 수정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은 발정이나 수정 시기를 나타나는 가축 개체의 체온이나 움직임에 대한 적정 수치 범위로 이해할 수 있다. 기준값은 연구 또는 경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은 분석 결과에 따라 가축 개체의 수정 시기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전염병 판단 단계는, 가축 개체의 체온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체온 변화를 연산하여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체온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시스템은 인가된 체온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전염병 감염 여부를 탐지한다.
시스템은 체온 변화에 대한 연산 결과를 확인하여 예를 들어, 가축 개체의 체온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범위를 넘어 이상 징후가 나타난 경우 전염병을 발생을 의심할 수 있다. 기준값은 전염병에 감염된 가축 개체의 체온에 대한 기준 수치 범위로 이해할 수 있다. 기준값은 연구 또는 경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은 연산 결과에 따라 가축 개체의 전염병 징후에 대한 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해당 가축 개체를 사양하는 농장은 물론 관련 기관으로 전송된 메시지를 통해 전염병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농장의 위치를 방역 시스템을 통해 표시하여 전국적인 전염병 확산 방지와 방력라인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상 분석 단계는,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검출된 가축 개체의 영상으로부터 체적과 체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축 개체의 영상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시스템은 인가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개체의 체중과 체적을 측정한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영상 정보로부터 가축 개체의 체적과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시스템은 측정된 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양관리 방법은,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한 가축 정액 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관리하는 정액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액 관리 단계는, 가축 개체의 IoT기기를 통해 가축 개체를 확인하는 단계,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공수정용 정액이 담긴 정액스트로에 인쇄된 관리표식을 인식하고 이를 인가받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수정을 위한 가축 개체의 생체 정보와 인공수정용 정액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정액정보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므로 오기나 오류없이 정확히 시스템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정액 관리 정보는 필요시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관리 방법은, 축산 전문가에 의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설팅 단계는, 가축 사양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인가된 정보를 축산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단계, 축산 농장의 경영 관리와 가축 개체의 사양 관리에 대한 축산 전문가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농장 주인 등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축산 전문가에게 가축 개체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축산 전문가는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축 개체 사양 관리는 물론, 농장 관리 경영, 가축 개체의 사육, 사양, 질병 관리를 위한 컨설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축산 전문가의 컨설팅 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그 결과를 요청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농장주 등은 축산 전문가의 조언을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사양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인식장치 20 : 고정프레임
21 : 홈부 22 : 축부재
23 : 샤프트 25 : 암나사부재
27 : 회전노브 30 : 연결프레임
32 : 축부재 40 : 하우징
41 : 촬영 공간 42 : 삽입홀
100 : 사양관리 시스템 110 : 관리서버
111 : 관리대장모듈 112 : 발정관리모듈
113 : 수정관리모듈 114 : 전염병분석모듈
115 : 영상분석모듈 116 : 분석부
117 : 연산부 118 : 검출부
120 : 통신서버 130 : 웹어플리케이션서버
140 : 데이터서버 150 : IoT 수신부
200 : 단말기 210 : 카메라
300 : 태그 400 : 게이트웨이

Claims (3)

  1. 가축 개체의 인공 수정을 위해 선택된 정액스트로의 정보관리를 위해, 정액스트로 표면에 인쇄된 정액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가축 사양 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로,
    상기 정액스트로 인식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카메라 위치에 맞춰 카메라 노출을 위한 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 및 초점 가능 범위 내에 촬영 공간을 마련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에 정액스트로가 위치하도록 정액스트로를 삽입하는 삽입홀을 형성하며 카메라를 향하는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공간에 놓인 정액스트로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선단에 형성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 사이를 축결합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단말기 후면으로 접거나 단말기 후면에서 직각으로 펼쳐 사용하는 구조의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은 외부의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KR1020210112354A 2021-08-25 2021-08-25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KR10260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54A KR102605018B1 (ko) 2021-08-25 2021-08-25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54A KR102605018B1 (ko) 2021-08-25 2021-08-25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697A KR20230030697A (ko) 2023-03-07
KR102605018B1 true KR102605018B1 (ko) 2023-11-24

Family

ID=8551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354A KR102605018B1 (ko) 2021-08-25 2021-08-25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889A (ja) 2006-09-28 2008-04-10 Hitachi Ltd 無線認識icタグ封入ストロー
US20140046126A1 (en) * 2011-04-18 2014-02-13 Inguran, Llc Two-dimensional bar codes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US20180202903A1 (en) 2015-08-10 2018-07-19 Essenlix Corporation Bio/chemical assay devices and methods for simplified steps, small samples, accelerated speed, and ease-of-use
JP2019518223A (ja) 2016-03-24 2019-06-27 バイオロジカル ダイナミクス,インク. 使い捨て可能な流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
WO2019215463A1 (en) 2018-05-10 2019-11-14 Microfluidlabs Kft. Portable device for semen quality control
US20210093432A1 (en) 2017-12-13 2021-04-01 Inovet Technology Devic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gynaecological examination of the vagina and the cervix, and to assist with uterine treatments and sample collection in livest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729B2 (ja) * 2016-09-13 2021-10-27 株式会社77Kc 個体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889A (ja) 2006-09-28 2008-04-10 Hitachi Ltd 無線認識icタグ封入ストロー
US20140046126A1 (en) * 2011-04-18 2014-02-13 Inguran, Llc Two-dimensional bar codes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US20180202903A1 (en) 2015-08-10 2018-07-19 Essenlix Corporation Bio/chemical assay devices and methods for simplified steps, small samples, accelerated speed, and ease-of-use
JP2019518223A (ja) 2016-03-24 2019-06-27 バイオロジカル ダイナミクス,インク. 使い捨て可能な流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
US20210093432A1 (en) 2017-12-13 2021-04-01 Inovet Technology Devic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gynaecological examination of the vagina and the cervix, and to assist with uterine treatments and sample collection in livestock
WO2019215463A1 (en) 2018-05-10 2019-11-14 Microfluidlabs Kft. Portable device for semen quality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69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7533B (zh) 基于耳标的畜牧监测方法、装置及耳标监测系统
US8112293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KR101122644B1 (ko) 가축의 생체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CN201382818Y (zh) 嵌入式系统红外测温仪
WO2019184139A1 (zh) 牲畜保险理赔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1294792B (zh) 具有自动校准功能的植物形态参数视觉测量仪
KR102296501B1 (ko) 깊이 영상카메라 및 소리 센서를 활용한 모돈의 발정기 및 수정적기 판단 시스템
CN112926707A (zh) 一种设备运维管理方法及系统
US20030021454A1 (en) Drug sample identification peripheral
WO2018079916A1 (ko) 배란일 측정을 위한 영상처리 및 분석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KR102605018B1 (ko)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액스트로 인식장치
TWI584208B (zh) 人員勤務管理系統及其方法
CN107818607A (zh) 一种基于nfc手持式数据采集器的智能巡检系统
TWM540315U (zh) 製程參數監控系統
US11640425B2 (en) Inspection suppor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management server, and inspection report creation system
KR20210004184A (ko) 마킹 정보의 식별 기반의 가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와 서버
CN212276436U (zh) 一种地下设施巡检仪
CN108733751A (zh) 一种猪场测膘信息监测系统及方法
KR102661872B1 (ko) 개체별 가축 사양관리 시스템과 관리 방법 및 가축 관리를 위한 정액해동장치
WO2021196347A1 (zh) 牛只状态监控系统和监控方法
CN111860438B (zh) 一种基于ar技术的可穿戴式巡检设备及系统
CN204233106U (zh) 一种牲畜活体体测设备
CN108226676A (zh) 一种无线电力线路巡检系统及方法
WO2022150857A1 (en) Apparatus and a method of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image of a medical special investigations test
CN204207723U (zh) 手持式牲畜体温自动采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