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96085B1 -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 Google Patents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085B1
KR102596085B1 KR1020210012088A KR20210012088A KR102596085B1 KR 102596085 B1 KR102596085 B1 KR 102596085B1 KR 1020210012088 A KR1020210012088 A KR 1020210012088A KR 20210012088 A KR20210012088 A KR 20210012088A KR 102596085 B1 KR102596085 B1 KR 10259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space
unit
pouch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966A (ko
Inventor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주)이너보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보틀 filed Critical (주)이너보틀
Priority to KR102021001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085B1/ko
Priority to JP2023546064A priority patent/JP2024504794A/ja
Priority to PCT/KR2022/001438 priority patent/WO2022164211A1/ko
Publication of KR2022010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having air-escape, or air-withdrawal,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용기측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파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은 상기 용기측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측에 삽입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과 상기 용기측 개구부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선택적 실링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공기 또는 내용물을 유동시키고, 상기 파우치 유닛의 파우치 유닛측 개구부 측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단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충진 모듈; 및 상기 충진 모듈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유로부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내면이 상기 유로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내면과 상기 용기 장치 사이에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를 포함하는 감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충진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APPARATUS FOR FILLING CONTENT INTO CONTAINER AND METHOD USING THEREWITH}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로션 등과 같은 세정제 또는 케첩 등과 같은 액체 식자재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은 용기에 담아 사용하게 된다.
다만, 상기 액체 내용물의 점성에 의하여, 상기 용기의 내벽에 사용 과정에서 액체 내용물이 잔여되며, 사용자가 완전하게 상기 액체 내용물을 모두 다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액체 내용물이 상기 용기 내부에 잔여된 상태에서 폐기되는 경우, 상기 용기의 재활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한 환경 오염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품이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 용기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여전히 상기 용기의 내부에 액체 내용물이 잔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에 잔여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용기 장치의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용기측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파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은 상기 용기측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측에 삽입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과 상기 용기측 개구부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선택적 실링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공기 또는 내용물을 유동시키고, 상기 파우치 유닛의 파우치 유닛측 개구부 측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단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충진 모듈; 및 상기 충진 모듈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유로부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내면이 상기 유로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내면과 상기 용기 장치 사이에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를 포함하는 감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충진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 및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은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은,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유동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충진 모듈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홀이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 및 상기 연통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충진 모듈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충진 모듈 함몰부이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의 일부는 상기 충진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 및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는,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함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 유닛은, 상기 충진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 유닛의 양측에서 상기 함몰 유닛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 유닛의 함몰 깊이는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상기 충진공간에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과, 상기 충진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상호 연통되며, 상기 충진유닛과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와,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이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이 개구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의 폭은,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를 거쳐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충진 모듈 이동공간을 통하여, 상기 충진 모듈의 단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 공간은 상기 충진유닛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모듈 몸체에는,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연장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제2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제1 이동공간의 하측에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은 상호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와 연통되는 감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를 거쳐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에 음압이 제공되며,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충진 모듈 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어, 상기 충진 모듈의 단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의 내부에 인입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과, 상기 충진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의 폭은 상기 충진 유닛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의 내벽과 상기 충진 유닛의 외면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과 상기 충진공간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충진유닛과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기 충진 유닛 및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진모듈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모듈 몸체에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은,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모듈 몸체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의 테두리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을 가압하는 선택적 실링유닛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은, 용기 장치와 내용물 충진 장치를 정렬시키는 용기 장치 정렬 단계;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공간 감압 단계;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간 감압 단계; 충진 모듈이 파우치 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을 신장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상기 파우치 유닛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내용물 충진 단계; 및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내용물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진 모듈 인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과,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이 형성되는 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감압 단계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 및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은 차폐시키고,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충진유닛의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과, 상기 충진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유닛과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공간 감압 단계에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에 잔여되는 양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용기에 대한 액체 내용물의 충진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용기 내의 공기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내용물의 산화 및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감압공정 없이 내용물을 충진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4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7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감압공정 없이 내용물을 충진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내용물 충진과정을 설명하면, 용기 장치(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1)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111)과 연통되는 용기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넥 부(112)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10)에 설치되는 파우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넥 부(112)는 수용 공간(111)이 형성되는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간(123)이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 몸체(121)를 포함하는 파우치 유닛(120)을 포함한다.
파우치 유닛(120)은 상기 용기측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수용 공간(111) 측에 삽입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외면과 상기 용기측 개구부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부(125)가 형성되고, 충진공간(123)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124)에 설치되는 선택적 실링유닛(130)을 포함한다.
선택적 실링유닛(13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개구부측에서 충진공간(123)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링유닛 몸체(131)와, 실링 유닛 몸체(131)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파우치 유닛(120)의 연장부(122)에 결합되는 실링유닛 테두리(32)를 포함하고, 실링유닛 몸체(131)의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슬릿부(134)가 형성된다.
한편, 충진공간(123)에 대하여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하기 위한 내용물 충진 장치(2)는, 감압 모듈(200)와, 충진 모듈(300) 을 포함한다.
상기 충진 모듈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하기 위하여,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단부 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충진유닛(310)을 포함한다.
충진유닛(310)의 내부에는 상기 액체 내용물이 유동되는 유동 공간(311)이 형성되며, 충진유닛(310)의 단부(312)에 인접한 위치에는 유동 공간(311)과 연통되는 유동홀(313)이 형성된다.
감압 모듈(200)은, 외부 용기(110)의 넥 부(112)를 감싸며, 넥 부(112)를 둘러싸는 감압 공간(211)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210)와, 감압 모듈 몸체(2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외부 용기(110)의 숄더부(113)에 안착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 유닛(250)을 포함한다. 접촉 유닛(250)이 숄더부(113) 밀착되면, 감압 공간(211)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될 수 있다.
감압 모듈 몸체(210)에는, 감압 공간(211)과 연통되며 음압이 제공되는 감압 포트(212)가 형성된다. 감압 포트(212)는 외부의 펌프 등과 연결되어, 감압 공간(211)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감압 모듈 몸체(210)에는 감압 공간(211)과 연통되며, 상기 충진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 모듈 이동공간(213)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의 충진공간(123)에 액체 내용물(l)이 충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A)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가 외부 용기(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1)은, 파우치 유닛(120)의 유로부(125)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은 선택적 실링유닛(130)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충진 모듈이 끼워진 감압 모듈(200)이 용기 장치(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감압 공간(211)에 음압을 가하면, 용기 장치(100)의 외부 용기(110)와 파우치 유닛(120) 사이의 공기는 유로부(125)를 거쳐, 감압 모듈(2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용기 장치(100)의 외부 용기(110)와 파우치 유닛(120) 사이의 수용 공간(111)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충진 모듈의 충진유닛(31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을 향하여 이동되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충진유닛(310)의 단부(312) 및 유동홀(313)이 삽입된다.
충진유닛(310)의 단부(312)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슬릿부(134)를 가압하면, 선택적 실링유닛(130)은 개방된다. 예시적으로 선택적 실링유닛(130)은 충진공간(123)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유입은 허용하지만,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진공간(123)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유출을 차폐시키는 체크 밸브(Check Valve)일 수 있다.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파우치 유닛(12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은 파우치 유닛(120)을 하방으로 신장시킨다.
파우치 유닛(120)이 충분히 신장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의 유동홀(313)을 통하여 액체 내용물(l)을 공급한다. 이때, 충진유닛(310)이 파우치 유닛(120)을 충분히 신장시켰으며, 외부 용기(110)와 파우치 유닛(120) 사이의 수용 공간(111)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됨에 따라, 액체 내용물(l) 공급에 따른 파우치 유닛(120)의 확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도 1(B)를 참조하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액체 내용물(l)이 충분하게 충진되면, 충진 모듈(300)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으로부터 탈거된다.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서 충진 모듈(300)이 완전하게 탈거되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은 선택적 실링유닛(130)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충진공간(123)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우치 유닛(120)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l)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펌핑 유닛의 파이프를 충진공간(123)에 삽입한 다음, 상기 펌핑 유닛을 동작시켜 액체 내용물(l)을 외부로 토출 시킬 수 있다.
액체 내용물(l)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파우치 유닛(120)은 다시 탄성 변형되어, 충진공간(123)의 용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액체 내용물(l)은 외부 용기(110)와 격리된 상태로,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수용되며, 액체 내용물(l)이 외부 용기(110)의 내벽에 잔여되지 않고, 외부로 토출 될 수 있게 된다.
다만, 파우치 유닛(120)에 충진 모듈(300)이 진입하여, 액체 내용물(l)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유닛(120)의 이미 존재하고 있는 공기의 부피(E)만큼, 액체 내용물(l)이 충분히 충진 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파우치 유닛(120)이 외부 용기(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파우치 유닛(120)의 내부 공간인 충진 공간(123)에는 이미 기설정된 부피의 공기가 존재하며, 상기 공기는 액체 내용물(l)의 충진 과정 중, 충진 공간(123) 내부에 계속 잔여된다. 따라서, 공기의 부피(E)에 해당되는 용적만큼 액체 내용물(l)이 완전하게 충진 공간(123) 내부에 충진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의 공기 중에 의도되지 않은 오염물질이 함유되는 경우, 상기 오염물질이 액체 내용물(l)의 충진 과정에서도 여전히 잔여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기 오염물질이 사용자의 사용 과정까지 잔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충진공간(123)의 공기가 충분히 제거될 수 있는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진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진 장치는, 충진 모듈과, 충진 모듈(3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압 모듈(2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충진 모듈(300)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유동홀(313)이 형성되어 유동홀(313)을 통하여 공기 또는 내용물을 유동시키고, 파우치 유닛(120)의 파우치 유닛측 개구부 측에서 파우치 유닛(120)의 단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감압 모듈(200)은 충진 모듈(3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우치 유닛(120)의 유로부(125)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내면이 유로부(125)의 상기 일측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내면과 용기 장치(100)의 넥 부(112) 사이에 감압 공간(211)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21)를 포함한다. 감압 모듈 몸체(210)는,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테두리(132)와 접촉된 상태에서, 선택적 실링유닛(130)을 가압하는 선택적 실링유닛 가압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2)에서, 충진 모듈(30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압 모듈(200)은, 외부 용기(110)의 수용 공간(1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충진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감압 모듈(200)은 충진공간(123)의 내부 공기를 충진공간(123)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보다 상세히, 충진 모듈(3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3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동 공간(311)과 연통되는 유동홀(313)이 형성되는 충진유닛(310)을 포함한다.
충진 모듈(300)의 충진유닛(31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어,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공간(123)과 유동 공간(311) 및 감압 모듈(200)의 감압 공간(211)을 연통시킨다. 감압 공간(211)은,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상면의 공간부터 감압 모듈(200)의 감압 포트(212) 까지의 연결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공간(123)과 유동 공간(311)을 연통시키며,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211)은 차폐시킨다.
이때,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이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이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충진유닛(310)은 충진공간(123)으로 더 많이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 장치(2)의 충진유닛(310)은,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211)을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통 수단은, 유동홀(313)을 사이에 두고 충진유닛(310)의 단부(31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통 수단은, 유동 공간(311)과 연통되며 충진 모듈(300)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홀(314)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 모듈(300)의 유동홀(313)은 충진유닛(310)의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위치되며, 연통홀(314)은 충진공간(123)의 외부, 즉 감압 공간(211)에 위치된다. 이때,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슬릿부(134)는, 충진유닛(310)의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 사이에 위치되며,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 사이의 충진유닛(310)의 외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 모듈(300)의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위치된다. 즉,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동 공간(311)과 감압 공간(211)은 서로 차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을 통하여, 충진공간(123)에 액체 내용물(l)을 공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2)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장치(100)와 내용물 충진 장치를 정렬시키는 용기 장치 정렬 단계(S110)가 수행된다. 용기 장치(100)의 외부 용기(110)에는 파우치 유닛(120)을 포함하는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 다음, 외부 용기(110)의 수용 공간(111)의 내부의 공기를 수용 공간(111)의 외부, 즉 감압 공간(211)으로 배출시키는 제1 공간 감압 단계(S120)가 수행된다. 제1 공간 감압 단계(S120)가 수행되면, 수용 공간(111)의 압력은 대기압 보다 작아진다.
그 다음,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의 내부의 공기를 충진공간(123)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간 감압 단계(S130)가 수행된다.
제2 공간 감압 단계(S130)에서, 충진 모듈(300)의 충진유닛(31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어,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공간(123)과 유동 공간(311) 및 감압 모듈(200)의 감압 공간(211)을 연통시킨다. 즉, 충진공간(123)은, 충진유닛(310)의 유동홀(313), 유동 공간(311) 및 연통홀(314)을 거쳐, 감압 공간(211)과 연통된다. 이때,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 사이의 충진유닛(310)의 외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선택적 실링유닛 가압부(230)가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테두리(132)의 일부 영역을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하며, 선택적 실링유닛 가압부(230)와 테두리(132)가 접촉되지 않은 다른 영역을 통하여,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211)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진 모듈(300)이 파우치 유닛(120)에 인입된 상태에서, 파우치 유닛(120)을 신장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S140)가 수행된다. 충진 모듈(300)은 파우치 유닛(120)이 외부용기(110) 내에서 가급적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파우치 유닛(120)의 단부가 외부 용기(1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위치될 수 있도록 파우치 유닛(120)을 신장시킨다.
이때,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공간(123)과 유동 공간(311)을 연통시키며,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311)간의 연결은 차폐시킨다. 이때,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유동홀(313) 및 연통홀(314)의 상측에 위치되는 충진유닛(310)의 외면 영역에 밀착된다.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이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유닛(310)이 충진공간(123)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파우치 유닛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내용물(l)을 충진하는 내용물 충진 단계(S150)가 수행된다.
그 다음, 충진공간에 액체 내용물(l)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충진 모듈(30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진 모듈 인출 단계(S160)가 수행된다. 충진 모듈(300)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으로부터 인출되면,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은 액체 내용물(l)이 충진된 상태에서, 선택적 실링유닛(130)에 의하여 충진공간(123)의 외부에 대해 차폐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내용물이 잔여되는 양을 최소화될 수 있으며 파우치 유닛(120) 내에 공기가 존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용기에 대한 액체 내용물의 충진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파우치 유닛(120)의 내부의 충진공간(123)의 공간 낭비 없이 액체 내용물(l)이 충진될 수 있으며, 액체 내용물 충진 전,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불순물이 함유된 경우, 이를 사전에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의 구성과 실직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충진 모듈(300)의 상기 연통 수단은, 충진 모듈(30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충진 모듈 함몰부(315)로 형성된다. 충진 모듈 함몰부(315)는, 충진 모듈(30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함몰 유닛(316)을 포함하고, 함몰 유닛(316)은, 충진 모듈(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함몰 유닛(316)의 양측 사이에 일정한 깊이, 또는 함몰 깊이의 변화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충진 모듈(300)의 유동홀(313)은 충진 모듈(300)의 단부(312)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충진 모듈 함몰부(315)는 유동홀(313)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충진 모듈 함몰부(315)의 함몰 유닛(316)들은 충진 모듈(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 길이는,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을 중심으로 함몰 유닛(316)의 일측과 다른 일측이 밸브의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진 장치(2)의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 즉 제2 감압 단계(S130)에서, 충진 모듈(300)의 유동홀(313)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위치된다. 그리고, 충진 모듈 함몰부(315)의 일부는 충진공간(123)의 내부에 위치되고, 충진 모듈 함몰부(315)의 다른 일부는 충진공간(123)의 외부에 위치된다.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은 충진 모듈 함몰부(315)의 외주면에 위치된다. 이때, 충진 모듈 함몰부(315) 중 함몰 유닛(3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가 밀착되지 못하고, 함몰 유닛(316)이 형성하는 홈을 따라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211)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가 충진 모듈 함몰부(315)의 외주면에 위치되면, 감압 모듈(200)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의 내부 공기를 감압 공간(2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진 모듈(300)의 유동홀(313) 및 충진 모듈 함몰부(315)는 파우치 유닛(120)의 상기 충진공간(123)에 위치된다. 이때,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충진유닛(310)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의 구성과 실직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2)의 충진 모듈(300)의 상기 연통 수단은, 충진 모듈(30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충진 모듈 함몰부(317)로 형성된다.
충진 모듈 함몰부(317)는 충진유닛(310)의 외주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되며, 충진유닛(3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충진 모듈 함몰부(317)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충진 모듈 함몰부(317)의 함몰 깊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감압 단계(S130)에서,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충진 모듈 함몰부(317) 측에 위치된다. 충진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 함몰 형성된 충진 모듈 함몰부(317) 측을 통하여, 충진공간(123) 측으로부터 감압 공간(211) 측으로 충진공간(123)의 내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때, 감압 포트(212)를 통하여 감압 공간(211)에 음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S140) 및 내용물 충진 단계(S150)에서, 선택적 실링 유닛 몸체(131)는, 유동홀(313) 및 충진 모듈 함몰부(317)의 상방에 위치되는 충진유닛(310)의 외주면 영역에 밀착되어, 충진공간(123)과 감압 공간(211)이 연통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4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의 구성과 실직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1)의 충진 모듈(300)은,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충진 모듈(300)은, 충진유닛(310)과 충진유닛(31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320)을 포함한다. 충진유닛(310)과 감압 가이드 유닛(320)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충진유닛(3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312)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동 공간(311)과 연통되는 유동홀(313)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압 가이드 유닛(320)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와,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를 포함한다.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에는, 충진유닛(3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22) 및 충진공간(123)의 내부의 공기를 충진공간(123)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충진공간 감압유로(325)가 형성된다. 충진공간 감압유로(325) 및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은 상호 연통되며, 충진공간 감압유로(325) 및 충진유닛 이동공간(322)가 연통되는 연통 공간(326)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중앙에 배치되며, 충진공간 감압유로(325)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하단에서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이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이 개구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의 좌우 폭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와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의 연결된 위치에는 단차(327)가 형성된다.
한편, 감압 모듈 몸체(210)에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진 모듈 이동공간(213)이 형성되며, 충진 모듈 이동공간(213)의 하측에는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장부 이동공간(214)이 형성된다. 이때, 충진 모듈 이동공간(213)은 제1 이동공간, 연장부 이동공간(214)은 제2 이동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공간의 하측에는 걸림부(215)가 형성된다.
용기 장치 정렬 단계(S110) 및 제1 공간 감압 단계(S120)에서, 충진유닛(310) 및 감압 가이드 유닛(320)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로 마련되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21)의 단차(327)는, 감압 모듈 몸체(210)의 걸림부(215)와 기설정된 이격거리(d4)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충진유닛(310)은, 충진공간 감압유로(325)와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의 연통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 다음,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공간 감압 단계(S130)에서, 감압 가이드 유닛(320)의 일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면, 충진공간(123)은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을 통하여 충진공간 감압 유로(335)와 연통된다. 충진공간 감압 유로(335)에는 음압이 제공되어, 충진공간(123)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감압 가이드 유닛(320)의 이동은 걸림부(215)에 의하여 제한된다.
충진공간 감압유로(325) 및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326)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충진공간(123)의 내부 공기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22) 및 충진공간 감압유로(325)를 거쳐 충진공간(123)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 다음, 도 16을 참조하면,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S140)에서, 충진 모듈(300)이 감압 가이드 유닛(320)의 충진 모듈 이동공간(322)을 통하여,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323)는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서 외부로 인출되며, 충진공간 감압유로(325) 및 충진유닛 이동공간(322)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326)은 충진유닛(31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때, 감압 가이드 유닛(320)은, 걸림부(215)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리프팅된다.
내용물 충진 단계(S150)에서, 충진유닛(310)의 유동홀(313)이 충진공간(123)에 액체 내용물을 충진하며, 충진유닛(31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선택적 실링유닛(130)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용기(110)의 수용 공간(111)에 대한 제1 공간 감압과,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대한 제2 공간 감압이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여 감압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감압 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7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의 구성과 실직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 장치(2)의 감압 가이드 유닛(330)은, 충진유닛(3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33) 및 충진공간 감압유로(331)가 형성되며, 충진공간 감압유로(331) 및 충진유닛 이동공간(333)은 상호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를 포함한다. 충진공간 감압유로(331)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333)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감압 가이드 유닛(330)과 충진유닛(310)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외면에는 충진공간 감압유로(331)와 연통되는 감압홀(334)이 형성된다.
그 다음, 도 18을 참조하면, 제2 공간 감압 단계(S130)에서,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일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면, 충진공간(123)의 내부의 공기는 충진공간 감압유로(331)를 거쳐 충진공간(123)의 외부로 배출된다. 충진공간 감압유로(331)에는 충진공간(12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압이 제공된다.
이때, 충진유닛(310)은 단부(312)가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보다 상방에 위치된다.
그 다음, 도 19를 참조하면,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S140)에서, 충진유닛(310)이 감압 가이드 유닛(330)의 충진 모듈 이동공간(333)을 통하여 이동되어, 충진 모듈(300)의 단부(312)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에 삽입되어 파우치 유닛(120)을 외부 용기(110)의 하측을 향하여 신장시킨다. 이때,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의 내부에 인입된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선택적 실링유닛(130)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외면에 밀착된다.
그 다음, 도 20을 참조하면, 충진 모듈 인출 단계(S180)에서,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의 내부에 인입된 위치는 유지된다. 그리고, 충진유닛(310)이 상방으로 리프팅되어,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단부와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상기 단부와 정렬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충진유닛(310)의 단부(312)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32)의 상기 단부보다 상측으로, 즉 감압 가이드 유닛(320)의 충진유닛 이동공간(333)의 내부로 완전하게 인입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그 다음, 도 21을 참조하면, 각 단부들이 서로 정렬된 충진유닛(310) 및 감압 가이드 유닛(330)이 동시에,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공간(123)으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압 가이드 유닛이 충진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내용물 충진 장치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의 충진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충진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도 14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내용물 충진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에서는, 충진 모듈(300)의 구성이 도시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1)의 충진 모듈(300)의 감압 모듈(200)과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충진 모듈(300)의 일부는 감암 모듈(200)의 감암 공간에 위치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 장치(2)의 충진 모듈(300)은, 감압 가이드 유닛(340)과, 충진유닛(310)과, 충진모듈 몸체(350)를 포함한다.
충진 유닛(310)의 하측 단부(312)에 인접한 위치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복수개의 유동홀(313)들이 형성되며, 하측 단부(312)의 반대쪽에는 상기 내용물을 충진 유닛(310)에 공급하기 위한 내용물 공급유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감압 가이드 유닛(340)은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41)를 포함하고,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41)에는, 충진유닛(3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이 형성되며, 충진유닛(310)과 감압 가이드 유닛(340)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의 폭은 충진 유닛(3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의 내벽, 즉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41)의 내벽,과 충진 유닛(310)의 외면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341)의 상기 내벽과 충진 유닛(310)의 외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일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 공간(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진유닛 이동공간(342)과 충진공간(123)과 연통된다.
충진모듈 몸체(350)는, 충진 유닛(300) 및 감압 가이드 유닛(340)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충진모듈 몸체(3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충진 유닛(300 및 감압 가이드 유닛(340)은 충진모듈 몸체(350)의 중앙 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충진모듈 몸체(350)에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42)과 연통되는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352)이 형성되며,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352)은, 감압 모듈(200)의 감압 공간(211)에 위치된다. 따라서, 충진 공간(123)에 존재하는 공기는 충진 유닛 이동 공간(342)을 거쳐 감압 공간(211)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충진모듈 몸체(350)는, 감압 모듈(200)과 연결되고 위한, 충진모듈 몸체 고정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충진 장치(21)를 이용하여 용기 장치(1)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2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장치에 충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3을 참조하면, 용기 장치(100)와 내용물 충진 장치(2)의 충진모듈(300)이 정렬된다.
그 다음, 도 24를 참조하면, 충진 모듈(300)이 용기 장치(100)를 향하여 이동되어, 충진 모듈(310)의 충진 유닛(310)의 단부가 완전하게 삽입되며,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일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충진 공간(123)에 삽입된다. 이때,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단부가 파우치 유닛(120)의 선택적 실링유닛(130)에 압력을 가하여 선택적 실링유닛(130)의 일부 개방되도록 한 다음,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일부가 충진 공간(123)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충진 유닛(310)의 하측 단부(312)는 파우치 유닛(120)을 가압하여, 파우치 유닛(120)이 외부 용기(110)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신장되도록, 파우치 유닛(120)을 스트레칭 시킨다.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일부가 충진 공간(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진 공간(123)의 내부 공기는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을 통하여 감압 공간(211) 측으로 토출된다.
그 다음, 도 25를 참조하면, 충진 공간(123)의 공기가 기설정된 부피만큼 외부로 토출된 상태에서, 충진 유닛(310)의 위치는 유지되며, 감압 가이드 유닛(340)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하여, 충진 공간(123)에 삽입되었던 감압 가이드 유닛(340)의 일부가 완전하게 충진 공간(123)에서 이탈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340)이 충진 공간(123)에 이탈되면, 충진 공간(123)과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의 연통은 해제된다.
감압 가이드 유닛(340)이 충진 공간(123)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충진 유닛(310)은 충진 공간(123)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여, 충진 공간(123)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도록 한다.
충진 공간(123) 내부의 감압이 완료된 상태에서, 감압 가이드 유닛(340)이 충진 공간(123)에서 탈거됨으로써, 감압 모듈(200)이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충진유닛 이동공간(342)을 거쳐 감압 공간(21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20)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용기측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파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은 상기 용기측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측에 삽입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과 상기 용기측 개구부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선택적 실링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공기 또는 내용물을 유동시키고, 상기 파우치 유닛의 파우치 유닛측 개구부 측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단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충진 모듈; 및
    상기 충진 모듈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유로부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그 내면이 상기 유로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용기 장치 사이에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를 포함하는 감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충진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 및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유닛은,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유동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모듈은,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은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충진 모듈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홀이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 및 상기 연통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충진 모듈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충진 모듈 함몰부이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의 일부는 상기 충진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유닛의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유동홀 및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모듈 함몰부는,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함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 유닛은, 상기 충진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 유닛의 양측에서 상기 함몰 유닛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 유닛의 함몰 깊이는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상기 충진공간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9.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용기측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파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은 상기 용기측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측에 삽입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과 상기 용기측 개구부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파우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선택적 실링유닛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에 대한 내용물 충진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공기 또는 내용물을 유동시키고, 상기 파우치 유닛의 파우치 유닛측 개구부 측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단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충진 모듈; 및
    상기 충진 모듈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유로부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며, 그 내면이 상기 유로부의 상기 일측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용기 장치 사이에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모듈 몸체를 포함하는 감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충진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압 모듈은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과,
    상기 충진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상호 연통되며,
    상기 충진유닛과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와,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이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이 개구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의 폭은,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를 거쳐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충진 모듈 이동공간을 통하여, 상기 충진 모듈의 단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연장부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 공간은 상기 충진유닛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모듈 몸체에는,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연장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제2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제1 이동공간의 하측에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 및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은 상호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와 연통되는 감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를 거쳐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에 음압이 제공되며,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충진 모듈 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어, 상기 충진 모듈의 단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의 내부에 인입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 몸체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의 폭은 상기 충진 유닛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의 내벽과 상기 충진 유닛의 외면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모듈은,
    상기 충진 유닛 및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진모듈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모듈 몸체에는, 상기 충진유닛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모듈 몸체측 연통홀은,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7. 제1 항 및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모듈 몸체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의 테두리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적 실링유닛을 가압하는 선택적 실링유닛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장치.
  18. 제1 항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장치와 내용물 충진 장치를 정렬시키는 용기 장치 정렬 단계;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공간 감압 단계;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간 감압 단계;
    충진 모듈이 파우치 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을 신장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상기 파우치 유닛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내용물 충진 단계; 및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내용물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진 모듈 인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과, 상기 단부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이 형성되는 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감압 단계에서,
    상기 충진 모듈의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 및 상기 감압 모듈의 상기 감압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감압 공간은 차폐시키고,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충진유닛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유닛이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방법.
  19. 삭제
  20. 제9 항의 내용물 충진 장치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장치와 내용물 충진 장치를 정렬시키는 용기 장치 정렬 단계;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공간 감압 단계;
    파우치 유닛의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간 감압 단계;
    충진 모듈이 파우치 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유닛을 신장시키는 파우치 스트레칭 단계;
    상기 파우치 유닛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내용물 충진 단계; 및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내용물 충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 모듈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진 모듈 인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유동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동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충진유닛과, 상기 충진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충진유닛 이동공간 및 상기 충진공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충진공간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충진공간 감압 유로가 형성되는 감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유닛과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공간 감압 단계에서, 상기 감압 가이드 유닛의 일부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충진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 감압유로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충진 방법.
KR1020210012088A 2021-01-28 2021-01-28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Active KR10259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88A KR102596085B1 (ko) 2021-01-28 2021-01-28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JP2023546064A JP2024504794A (ja) 2021-01-28 2022-01-27 内容物充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内容物充填方法
PCT/KR2022/001438 WO2022164211A1 (ko) 2021-01-28 2022-01-27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88A KR102596085B1 (ko) 2021-01-28 2021-01-28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66A KR20220108966A (ko) 2022-08-04
KR102596085B1 true KR102596085B1 (ko) 2023-11-01

Family

ID=8265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088A Active KR102596085B1 (ko) 2021-01-28 2021-01-28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4794A (ko)
KR (1) KR102596085B1 (ko)
WO (1) WO20221642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258A1 (en) 2010-03-17 2011-09-22 Lumson S.P.A.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for use with an airless pu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3550B2 (ja) * 2002-07-09 2006-08-23 有限会社ミナミスポーツ企画 液体収納容器
JP5959087B2 (ja) * 2012-04-05 2016-08-02 インタメディック株式会社 充填包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90075829A (ko) * 2017-12-21 2019-07-01 (주)이너보틀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20200124982A (ko) * 2019-04-25 2020-11-04 (주)이너보틀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258A1 (en) 2010-03-17 2011-09-22 Lumson S.P.A.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for use with an airless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4794A (ja) 2024-02-01
KR20220108966A (ko) 2022-08-04
WO2022164211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KR102596085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10344746B2 (en) Hydraulic double-acting hand pump
JP6315556B2 (ja) 泡吐出器
KR20200102215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JP2009149323A (ja) 二重容器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CN113329950B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KR101987557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03277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20190075829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102595881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JP2015227197A (ja) 泡吐出器
KR102016330B1 (ko) 박스형 워터씰, 이를 구비한 드레인 분리 장치 및 드레인 분리 방법
US12024323B2 (en) Content filling apparatus and content filling method using same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2614868B1 (ko) 내용물 충진장치
JP2012012047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CN210303512U (zh) 一种高压均质机
JP6267998B2 (ja) 泡吐出器
KR20200124982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KR200356857Y1 (ko)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20200129835A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