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88832B1 - 기능성 좌식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좌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32B1
KR102588832B1 KR1020210117150A KR20210117150A KR102588832B1 KR 102588832 B1 KR102588832 B1 KR 102588832B1 KR 1020210117150 A KR1020210117150 A KR 1020210117150A KR 20210117150 A KR20210117150 A KR 20210117150A KR 102588832 B1 KR102588832 B1 KR 10258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ckrest
user
sea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298A (ko
Inventor
전병익
서병준
김대희
석창훈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ublication of KR2023002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기능성 좌식 의자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과도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전연령대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좌식 의자{Functional seat chair}
본 발명은 좌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공부 또는 업무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 있다. 이때, 학생 또는 직장인과 같은 테이블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테이블 쪽으로 상체를 구부린 자세가 장시간 유지된다.
이경우 사용자는 상체의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수험생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석 시간이 점차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 경우 팔의 힘이 손으로 전달되어 글쓰기 등 불안한 자세가 발생함으로써 집중 불안 및 신체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에서 오랜 시간을 버티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들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좌식 의자에 기능을 추가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는 기능성 좌식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에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00)와 등받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등받이부(200)에 형성된 길이가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각각 동일 크기를 갖고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로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동일 두께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에서부터 상기 지지부(500)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된 개구부(50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연장된 전체 길이를 L이라 할 때 상기 개구부(502)의 폭 방향 길이는 L/2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개구부(502)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라운드 부(5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510);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라운드 부(52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520);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홈 형태의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아서 상기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기댈 경우 엉치뼈의 상측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3 라운드 부(532)와 연결되어 후면 영역을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획 리브(50)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 리브(50)는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의 후면 중앙 에 배치된다.
상기 구획 리브(50)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보강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부(52)는 상기 착좌부(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구획 리브(50)와 동일 높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착좌부(100)에 부착되는 제1 패드부(410);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제2 패드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선단부에 부분 삽입되고, 제1 밸크로(411)가 형성된 커버부(412); 상기 제1 패드부(410)의 후단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500)를 경유한 타단에 상기 제1 밸크로(4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제2 밸크로(413)가 형성된 밴드부(4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아 안정적인 지지 성능이 유지되고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허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수평 유지부에 의해 자세를 바로잡고 허리를 세우는 동작에서 움직임이 최소화 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며 허리에 가해지는 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내지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의 배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에 결합되는 패드부를 도시한 도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좌식 의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착좌부에 앉았을 때 허리를 좌우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때 발생되는 강성도(stiffness)가 지나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허리에 대한 압박을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및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패드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착좌부(100)와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나 다른 재질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일체 사출 방식으로 성형된다.
상기 착좌부(10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곳으로 선단부에 다수개의 통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04)은 공기의 순환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로 개구 된다. 상기 착좌부(1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선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연장된다.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각각 동일 크기를 갖고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능성 좌식 의자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지부(500)에 의해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동일 크기로 분할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 전체와 엉덩이에 대해 좌우측 위치에서의 선택적인 지지력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분할되지 않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일측에 가해진 하중이 이웃한 타측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엉덩이에 불필요한 반력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반력에 의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있어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00)와 등받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500)가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등과 엉덩이를 후방으로 기댈 경우 상기 등과 엉덩이의 위치에 따른 압박이 최소한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통증 또는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등과 엉덩이에 느끼는 반발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아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 예는 일 예로 등받이부(200)에 형성된 지지부(500)의 길이가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등받이부(200)는 연장 길이가 상기 연결부(300) 보다 10 ~ 20%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비율로 길게 연장된다.
지지부(500)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아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접촉한 후에 후방을 향해 기댈 경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 및 지지부(500)가 기댄 방향의 반대 방향(전방)으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상기 지지력은 지지부(500)에 의해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서 동시에 발생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일부 구간에 걸쳐 지지부(500)가 길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에 기댄 상태로 움직이거나, 상기 등받이부(200)를 후방으로 미는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등에 가해지는 반력이 짧게 연장된 경우 보다 강하게 가해지지 않게 되어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연결부(300)에 형성된 지지부(500)는 사용자의 엉치뼈와 척추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반력과 연관성을 갖고 있어 본 실시 예와 같이 지지부(500)가 연결부(300)의 특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보다 유리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 및 엉덩이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에서부터 상기 지지부(500)의 세로 방향에서 개구된 개구부(5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02)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500)가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에서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므로 개구부(502) 또한 세로 방향에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연장된 전체 길이를 L이라 할 때 상기 개구부(502)의 폭 방향 길이는 L/2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등받이부(20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지지력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위와 같이 폭 방향 길이가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과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된다.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폭 방향 길이는 지지부(500)의 지지력과 상관 관계를 갖고 있으며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착자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기대거나 숙일 때 또는 좌우 방향으로 몸을 이동할 때 허리와 엉덩이 일부 위치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조절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개구부(502)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낮아진다.
여기서 지지력은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의미하고, 강성도(stiffness)와 연관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계수는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비례 상수로 작을수록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감소하여 강한 반발력으로 허리에 부담을 가하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 예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전체에서 탄성계수가 낮아지지 않고 지지부(500)의 전체 길이(L) 중 L/2위치에서 전술한 지지부(500)의 상측 단부와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과 만족도가 향상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지지력이 L/2위치에서 가장 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허리가 등받이부(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한 지지력의 세기가 강하게 작용하고, 연결부(300)를 경유하여 착좌부(100)로 갈수록 지지력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감소되도록 작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허리를 후방으로 기대지 않거나 기댈 경우 기대는 정도에 따라 지지력이 변화되어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요추 부분은 지지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고 허리에서 엉덩이의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감소되므로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가 유지될 때 불필요한 통증을 유발하지 않아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동일 두께로 연장되므로 두께 변화로 인한 강도 및 지지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고 무게도 감소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라운드 부(5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510)와,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라운드 부(52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520)와,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홈 형태의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510)는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520)는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접촉한 후에 후방으로 기댈 경우 소정의 지지력으로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510)의 제1 라운드 부(512)는 등받이부(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연장된 연결부(30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라운드 부(512)는 단면을 잘라서 바라볼 때 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태 중에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기대는 자세를 취할 경우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지지 분산하여 내구성 항상과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라운드 부(522)는 전술한 제1 라운드 부(512)와 함께 등받이부(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연결부(300)까지 연장된다.
또한 제2 라운드 부(522)는 원형 또는 타원형태 중에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응력(stress)을 지지 분산하여 내구성 항상과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연결부(300)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에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와 연장된 부분이 라운드 진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를 통해 제3 지지부(530)로 전달되는 응력을 지지 분산시킬 수 있다.
제3 지지부(530)는 제1,2 지지부(510, 5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된 반력 및 비틀림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기 위해 제3 라운드 부(532)가 가로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다양하게 사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아서 상기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기댈 경우 엉치뼈(H)의 상측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을 향해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위치까지 제3 지지부(530)가 연장되는 이유는 장시간 앉아 있는 사용자의 엉치뼈(H)에서 발생 가능한 통증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엉덩이는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엉덩이와 허리 및 등의 일부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엉치뼈(H)는 연결부(30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되거나 허리를 후방으로 기댈 경우에 허리의 좌우측이 들뜨지 않고 지지될 수 있어 엉치뼈(H)에 가해지는 통증 또는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3 라운드 부(532)와 연결되어 후면 영역을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획 리브(50)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 리브(50)는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의 후면 영역에서 중앙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구획 리브(50)는 후술할 패드부(40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획 리브(50)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보강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부(52)는 일 예로 다각의 허니컴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을 지지 분산시켜 내구성 향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상기 착좌부(100)의 전, 후, 좌, 우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이 각 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된 후에 분산되어 최초 가해진 응력 대비 감소된 상태로 확산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통해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응력 및 하중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52)는 전술한 다각 형태 이외에도 원형 또는 타원 형태 또는 다각과 원형이 결합된 형태로도 변경될 수 있다.
제1 보강부(52)는 상기 착좌부(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구획 리브(50)와 동일 높이로 돌출되어 있어 응력 및 집중 하중에 따른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엉덩이의 좌측과 우측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 보강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100)의 하면에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드부(400)는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고, 상기 착좌부(100)에 부착되는 제1 패드부(41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제2 패드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선단부에 부분 삽입되고, 제1 밸크로(411)가 형성된 커버부(412)와, 상기 제1 패드부(410)의 후단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500)를 경유한 타단에 상기 제1 밸크로(4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제2 밸크로(413)가 형성된 띠 형태의 밴드부(414)를 포함한다.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이 커버부(412)에 의해 부분 삽입되고 상면은 쿠션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하면과 접촉된다.
밴드부(414)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밴드가 사용되므로 착좌부(100)에 제1 패드부(410)를 설치할 때 제1 밸크로(411)에 제2 밸크로(413)가 부착될 경우 커버부(412)의 선단부를 연결부(300)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상기 커버부(412)기 착좌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구획 리브(50)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착좌부(100)와 등받이부(200) 및 연결부(300)에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밴드부(414)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밴드부(414)는 주로 천 재질이 사용되고, 사용자가 장기간 좌식 의자를 사용할 경우 마찰에 의해 마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예방되도록 구획 리브(50)에 삽입되므로 마모로 인한 문제점이 방지된다.
상기 제2 패드부(420)는 등받이부(200)의 전면에 탈부착 되며 일 예로 상기 제2 패드부(420)의 후면과 상기 등받이부(200)의 전면에 형성된 밸크로를 통해 서로 간에 부착된다. 제2 패드부(420)는 제1 패드부(410)와 함께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와 접촉되어 쿠션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구획 리브
100 : 착좌부
200 : 등받이부
300 : 연결부
400 : 패드부
410, 420 : 제1,2 패드부
500 : 지지부
502 : 개구부
510 : 제1 지지부
520 : 제2 지지부
530 : 제3 지지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에서부터 상기 지지부(500)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된 개구부(50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500)는 연장된 전체 길이를 L이라 할 때 상기 개구부(502)의 폭 방향 길이는 L/2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개구부(502)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낮아지고,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된 제1 지지부(510)와,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된 제2 지지부(520)와,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지부(530)는 가로 방향에서 수평 하게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엉치뼈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3 라운드 부(532)와 연결되어 후면 영역을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획 리브(50)가 구비되며, 상기 구획 리브(50)는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의 후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구획 리브(5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보강부(52)가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의 후면 중앙 위치에서 좌우 양측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기능성 좌식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00)와 등받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된 기능성 좌식 의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에 형성된 길이가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기능성 좌식 의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각각 동일 크기를 갖고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로 지지가 이루어지는 기능성 좌식 의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동일 두께로 연장된 기능성 좌식 의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510)에는 소정의 곡률로 제1 라운드 부(5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520)에는 소정의 곡률로 제2 라운드 부(522)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지지부(530)에는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아서 상기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기댈 경우 엉치뼈의 상측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52)는 상기 착좌부(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구획 리브(50)와 동일 높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50A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588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7459 2021-08-13
KR1020210107459 202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98A KR20230025298A (ko) 2023-02-21
KR102588832B1 true KR102588832B1 (ko) 2023-10-16

Family

ID=851999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50A KR102588832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52A KR102588833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63A KR102588834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51A KR102661446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52A KR102588833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63A KR102588834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KR1020210117151A KR102661446B1 (ko) 2021-08-13 2021-09-02 기능성 좌식 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4) KR102588832B1 (ko)
CN (1) CN118076264A (ko)
WO (1) WO202301799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468B2 (ja) * 1993-12-27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2286614B1 (ko) * 2021-01-21 2021-08-11 주식회사 이랜시스 자세교정돌기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체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356A (en) * 1988-07-27 1990-01-09 Chromcraft Furniture Corp. Chair shell
DE10331947A1 (de)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KR200383823Y1 (ko) * 2005-02-04 2005-05-10 김해영 좌골 안착식 의자용 매트 및 좌골 안착식 의자
US9049936B2 (en) * 2011-01-14 2015-06-09 Currier Plastics Integral coccyx and lumbar support system
WO2015080231A1 (ja) * 2013-11-29 2015-06-04 株式会社 Mtg 姿勢保持具
JP3196468U (ja) * 2014-12-26 2015-03-12 信豪健康器材股▲ふん▼有限公司 座位姿勢補助装置
KR101815183B1 (ko) * 2016-12-28 2018-01-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크 방지용 방석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KR200493915Y1 (ko) *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좌식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468B2 (ja) * 1993-12-27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2286614B1 (ko) * 2021-01-21 2021-08-11 주식회사 이랜시스 자세교정돌기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301A (ko) 2023-02-21
KR102588833B1 (ko) 2023-10-16
KR20230025298A (ko) 2023-02-21
KR102661446B1 (ko) 2024-04-29
KR102588834B1 (ko) 2023-10-16
WO2023017996A1 (ko) 2023-02-16
KR20230025300A (ko) 2023-02-21
KR20230025299A (ko) 2023-02-21
CN118076264A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2703B1 (en) Chair
US4529247A (en) One-piece shell chair
KR101582872B1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53084B2 (ja) 座席用の快適表面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KR102353586B1 (ko) 기능성 좌식의자
JP2000093250A (ja) 椅子等の身体支持装置
KR102588832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1054032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310862B1 (ko) 좌식의자
US12108877B2 (en) Seating device with a reclining function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100280388B1 (ko) 좌판과 분리형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CN218922149U (zh) 一种可调节腰部靠垫
CN212698226U (zh) 分布式脊柱减震椅
KR100826960B1 (ko) 요람형 좌대
KR101330022B1 (ko)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JP2022111788A (ja) 椅子
JP6198758B2 (ja) ソファ
CN113384102A (zh) 椅背框扭动结构
JP2016144490A (ja) ソファ
JPH04110563U (ja) 座席用背凭れ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