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34B1 -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034B1 KR102579034B1 KR1020180022222A KR20180022222A KR102579034B1 KR 102579034 B1 KR102579034 B1 KR 102579034B1 KR 1020180022222 A KR1020180022222 A KR 1020180022222A KR 20180022222 A KR20180022222 A KR 20180022222A KR 102579034 B1 KR102579034 B1 KR 102579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
- electronic device
- user
- hous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a combiner of particular shape, e.g. curvatu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ighter or better balanced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부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후방면을 포함하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사용자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면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기 전방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광 출력 부재,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렌즈, 및 상기 광 출력 부재와 상기 반 투명 렌즈 사이를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거울을 포함하는 광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형성되는 카메라 시야 범위(field of view of camera)의 제1 중심축이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전자 장치로서,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보통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라 불린다.
신체의 어느 일부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 또는 머리에 장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HMD), 스마트 안경 (smart glass), 스마트 시계 또는 밴드(smart watch, wristband), 콘텍트 렌즈형 장치, 반지형 장치, 신발형 장치, 의복형 장치, 장갑형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인체의 일부 또는 의복에 탈 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특히 HMD는 고글 형상 또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신체에 직접 착용됨에 따라,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 시야 범위가 사용자의 시야 범위 전체를 커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간의 주된 시야 방향과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야 방향을 가지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에 배치된 카메라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된 영상 출력 모듈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영상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의 제3 면에 배치된 회로 기판과, 그리고 상기 영상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상기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상부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후방면을 포함하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사용자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면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기 전방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광 출력 부재,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렌즈, 및 상기 광 출력 부재와 상기 반 투명 렌즈 사이를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거울을 포함하는 광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형성되는 카메라 시야 범위(field of view of camera)의 제1 중심축이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제1 광축 방향으로 제1 시야를 갖도록 배치된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지정된 범위로 기울어진 렌즈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빛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 착용 시, 사용자 신체에 의해 지지되는 전자 장치의 일정 영역에 하중을 집중하여 사용자의 체감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시야 범위가 사용자의 시야 범위를 모두 커버하여 사용자의 시야 범위 내에 위치한 모든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b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모듈과 반 투명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광 출력 부재로부터 출력된 시각 정보가 안구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b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모듈과 반 투명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광 출력 부재로부터 출력된 시각 정보가 안구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시스루(See-through) 또는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시 클로즈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시스루 기능은, 영상 출력 모듈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를 통하여 실제 외부의 사물과 영상 출력 모듈에서 출력된 가상의 대상 또는 사물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 사용자에게 시각적 제공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루 기능에 의하면, 실제로 보이는 사물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및 또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착용 부재(170),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140),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130), 하우징(11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영상 출력 모듈 (120) 및 기타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 덮개(150)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영상 출력 모듈(120)과, 하우징(110) 하부에 노출되는 반 투명 부재(122)와, 하우징(110) 후방으로 연장되는 착용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기판과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부품과 카메라 모듈(130)과 영상 출력 모듈(120)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전자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전면 덮개(15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하우징(110)의 양 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착용 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반 투명 부재(122)가 노출될 수 있다.
착용 부재(170)는 사용자의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70)는 하우징(110)의 양 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착용 부재(170)는 다양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착용 부재(170)는 탄성을 가지는 스트랩(straps)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부재(170)는 이마 또는 사용자 얼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안착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부재(172)는 착용 부재(1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착용 부재(170)의 내측(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부재(172)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스폰지, 패브릭 또는 이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쿠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부재(172)는 착용 부재(17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하우징(110)의 전방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130)이 전방에 위치한 사물 또는 대상이 촬영 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전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에는 개구를 둘러싸는 카메라 영역(153)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의 하나 이상의 개구 주변부에는 카메라 영역(153)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영역(153)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둘러싸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하우징(1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게(facing)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 투명 부재(122)는 영상 출력 모듈(120)과 일체형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반 투명 부재(122)는 영상 출력 모듈(120)과 별개의 부재로 하우징(110)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 투명 부재(122)는 영상 출력 모듈(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투명 및/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 투명 부재(122)를 통해 전방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반 투명 부재(122)를 통해, 영상 출력 모듈(120)이 출력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다.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되는 시각 정보는, 반 투명 부재(122)를 통과하여 전달되는 시각 정보와, 반 투명 부재(122)에 반사 및/또는 굴절되어 전달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를 통과하여 전달되는 시각 정보는 사용자의 전방에 관련된 시각 정보일 수 있으며, 반 투명 부재(122)에 의해 굴절 및/또는 반사되는 시각 정보는 영상 출력 모듈(120)에 의해 출력되는 시각 정보일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단면도이다. 도 2b의 A-A'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부에는 브라켓(140)과, 기판과, 카메라 모듈(130)과, 영상 출력 모듈(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복수의 전자 부품을 구비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방 및/또는 상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전면 덮개(15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에 결합되거나,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면과, 하부면(112)과, 상부면과 하부면(112)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은 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하부면(112)과 후방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상부면과 상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0)의 상기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은 프레임과 덮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기 소자, 부품 및 모듈(예: 카메라 모듈(130) 또는 영상 처리 모듈(120) 등)은 프레임에 배치되거나, 프레임에 배치된 브라켓(예: 도 2a 내지 도2c의 140)에 배치될 수 있다. 덮개(예: 도 3의 상부 덮개(160) 및/또는 전방 덮개(150))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프레임에 배치된 다양한 전기 소자, 부품 및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도 2c를 참조하면, 브라켓(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0)은 전방을 향하는 제1 면(142)과 상부를 향하는 제2 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144)은 제1 면(14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면(144)은 제1 면(142)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방면(11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면(144)의 전방 단부는 제1 면(142)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면의 후방 단부는 후방면과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면(142)은 하부면(11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144)은 하부면(11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142)과 제2 면(144)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0)의 하부면(112)과 브라켓(140)의 제1 면(142)은 수직하게 연결되고, 및 하우징(110)의 하부면(112)과 브라켓(140)의 제2 면(144)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브라켓(140)과 하우징(11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위치, 구조 또는 모양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면(144)은 하부면(112)과 상부 덮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144)의 전방 단부는 제1 면(142)과 연결되고 제2 면(144)의 후방 단부는 후방면(114)과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2 면(144)은 후방면(11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덮개(150) 또는 하우징(110)의 전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2 면(144)의 전방부는 하부면(112)의 전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브라켓(140)은 전체적으로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1 면(142)에는 카메라 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2 면(144)에는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1 면(142)과 하우징(110)의 후방면(114) 사이에는 영상 출력 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30)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1301, 1302, 130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브라켓(140)의 제1 면(142)에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130)는 전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영상 출력 모듈(120)(120)은, 브라켓(140)의 제2 면(144)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의 일부는 브라켓(140)의 제2 면(144)과 하우징(110)의 하부면(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의 나머지 일부는 하우징(110) 하부면(112) 아래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은, 광 출력 부재(124)와, 광 전달 부재(126)와, 반 투명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부재(124)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부재(124)는 도 2c를 기준으로 영상 출력 모듈(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전달 부재(126)은 광 출력 부재(124)와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부재(122)와 광 출력 부재(124)와 반 투명 부재(122)를 광학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된 빛을 반 투명 부재(122)로 전달할 수 있다. 광 출력 부재(126)는 일례로,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와 같이 빛을 출력하는 다양한 광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광 전달 부재(126)는 광 출력 부재(124)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광 전달 부재(124)는 일 예시로서, 광 전달 부재(124)는 거울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거울 및/또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 전달 부재(126)은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반 투명 부재(122)로 반사 및/또는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또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 투명 부재(122)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안구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하우징(110) 하부면(11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 투명 부재(122)는 소정의 투과율과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반 투명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반 투명 렌즈의 투과율이 높을수록 반 투명 렌즈를 통과하여 안구로 전달되는 외부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반 투명 렌즈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영상 출력 부재(124)에서 출력되어 안구로 전달되는 영상의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2c를 참조하면, 영상 출력 모듈(120)은, 브라켓(140), 후방면(114) 및 하부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내부 공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 투명 부재(122)는 영상 출력 모듈(1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으로 영상 출력 모듈(120) 및/또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30) 또는 영상 출력 모듈(120)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1)는 영상 처리 모듈 및/또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 모듈과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성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선은 브라켓(140)의 제1 면(142) 또는 제2 면(1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은 브라켓(140)의 제2 면(144)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은 제2 면(144) 위에 배치되는 제1 기판(182)과 제1 기판(182) 위에 배치되는 제2 기판(18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브라켓(140)의 제2 면(144)과 상부 덮개(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84) 위에는 배터리(18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터리(186)는 착용 부재(17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86)는 전자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경우 배터리(186)는 사용자의 이마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배터리(186)가 상부에 배치되면, 배터리(186)가 전자 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배터리(186) 무게에 따른 무게감과 같은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40)의 제1 면(1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41)은 카메라 모듈(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301)는 제1 면(142)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카메라 모듈(1302)와 제3 카메라 모듈(1303)는 제1 카메라 모듈(1301)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2 면(144)은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에 의해 브라켓(140)과 전자 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감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140)의 제2 면(144)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다른 전기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140)의 제2 면(144)과 상부 덮개(160) 사이에는 기판과 배터리(186)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하부면(112)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3)에는 영상 출력 모듈(12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은 일부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의 일부는 개구(113)와 브라켓(140)의 제2 면(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의 나머지 일부는 개구(113)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부터 하우징(110)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를 통해 영상 출력 모듈(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아래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영상 출력 모듈(120)은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부재(122)를 포함하는 일체형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반 투명 부재(122)는 하우징(110)의 하부면(112) 개구(113)를 통해 하우징(1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하부면(112)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모듈(120)에서 생성된 영상(또는 빛)이 하우징(110)의 아래에 위치한 반 투명 부재(122)로 전달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영상 출력 모듈(120)의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된 영상(또는 빛)은 하나 이상의 광 전달 부재(126)을 거쳐 반 투명 부재(122)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전달 부재(126)는 하나 이상의 거울 또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전달 부재(126)의 개수, 종류 또는 배치 각도 등은 영상 출력 모듈(120) 내부의 광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우징(110) 또는 상부 덮개(160)에는 기판과 배터리(186)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를 통해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고 하우징(110) 내부 온도를 낮춰 전자 장치(10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하우징(110)에 후크와 같은 방식의 물리적 결합 또는 자석이나 전자석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전면 덮개(150)와 하우징(110)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하우징(110)의 하부면(112)과 대응되는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외부의 빛이 카메라 모듈(130)에 도달 할 수 있도록 개구(151)이 형성 될 수 있다. 전면 덮개는 카메라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151)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151)는 카메라 모듈(130)의 개수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의 하나 이상의 개구(151) 주변부에는 카메라 영역(153)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영역(153)은 하나 이상의 개구(151)를 둘러싸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의 내부에 개구(151)가 위치됨으로써, 개구(151)를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윈도우(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52)는 전자 장치(10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152)는 다양한 재질, 패턴 및/또는 컬러로 이루어져 전자 장치(10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윈도우(152)는 전면 덮개(150)의 개구(151)를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130)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의 빛은 윈도우(152)를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130)의 카메라 렌즈로 전달될 수 있다. 윈도우(152)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윈도우(152)는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유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라믹은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투명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52)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52) 투과율을 조절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면, 영상 출력 모듈(120)의 광 출력 부재(124)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152)는 카메라 모듈(130)이 배치되는 전방 덮개(150)의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전방 덮개(150)의 표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반 투명 부재(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로 입사되는 외부의 광은 윈도우(152)의 투과율에 따라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152)는 카메라 모듈(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반 투명 부재(12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투과율을 가지고 제2 영역은 제1 투과율과 다른 제2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은 카메라 모듈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반 투명 부재(122)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도록 제1 투과율과 제2 투과율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152)는 카메라 모듈(130)을 덮지 않으며 반 투명 부재(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152)는 반 투명 부재(122)로 입사되는 외부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194)과, 소리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 모듈(197)과,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모듈(198)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드 모듈(192)과, 거리나 깊이 측정을 위한 근접 센서(19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194)과 터치 패드 모듈(192)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194)은 USB(universal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US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USB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장치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외부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터치 패드 모듈(19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 직접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30)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32) 시야 범위와 사용자 시야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101)는 반 투명 부재(122)를 통과하는 사용자의 시야 범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되는 삼각형은 각각 카메라의 시야 범위와 사용자의 시야 범위(102)이고, A와 B로 도시되는 직선은 카메라의 시야 범위와 사용자의 시야 범위(102)의 중심선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시야 범위가 전면 방향보다 아래를 향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101)는 사용자 시야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사용자 시야 범위(102)의 중심선과 카메라 모듈(130) 시야 범위(101)의 중심선이 전면 방향보다 아래를 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30)과 반 투명 부재(122)는, 사용자 시야 범위(102)의 중심선과 카메라 모듈(130) 시야 범위(101)의 중심선은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30)과 반 투명 부재(122)는, 카메라 모듈(130) 시야 범위(101)의 중심선이 사용자 시야 범위(102)의 중심선 보다 더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 시야 범위(101)의 중심선과 사용자 시야 범위(102)의 중심선은 전방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32)의 시야 범위(101)에 위치하는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물체에 대한 정보를 광 발생 부재(124)를 통해 시각 정보로 출력하고, 출력된 시각 정보를 하나 이상의 렌즈 및/또는 거울을 포함하는 광 전달 부재(126)을 거쳐 반 투명 부재(1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101) 내에 위치한 물체에 반사된 외부 광은 전면 덮개(150)에 형성된 개구(151) 또는 윈도우(152)를 거쳐 카메라 모듈로 입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15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반 투과성 반 투명 부재(122)를 통해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볼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반 투명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방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제1 시각 정보와 제1 시각 정보와 관련된 제2 시각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1 시각 정보는, 반 투명 렌즈를 통과하여 안구로 전달되고 사용자 시야 범위 내의 사용자 전방에 관한 것이며, 제2 시각 정보는 영상 출력 모듈(120)에서 출력된 시야 정보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시각 정보는 카메라 모듈(130)에서 획득한 시야 범위 내의 제1 시각 정보에 관하여 편집되거나 가공된 추가의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101)는 사용자의 시야 범위(102)를 모두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시야 범위 내에 위치하는 모든 물체를 인식하고 사용자에게 물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L1과 L2는 각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101)가 사용자의 시야 범위(102)를 커버할 수 잇는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영상 출력 모듈(120과 반 투명 부재(12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된 시각 정보가 안구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 영상 출력 모듈(120)의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 투명 부재(122)로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20)는 하나 이상의 렌즈 및/또는 거울을 포함하는 광 전달 부재(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 및/또는 거울은 광 출력 부재(124)와 반 투명 부재(122)를 광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 투명 부재(122)의 전방면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안구와 대면하는 반 투명 부재(122)의 후방면(114)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는(122)는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반 투명 부재는 반 투명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출력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터와 같은 빛을 방출하는 광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부재(124)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시각 정보(220)는 반 투명 부재(122)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안구로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외부 광에 의해 전달되는 제1 시각 정보(210)는 반 투명 부재(12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안구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되는 제1 시각 정보(210)와 제2 시각 정보(220)가 형성되는 이미지 영역(1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사용자의 안구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이미지 영역(123)의 상부가 하부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30)는 수직선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하우징(110) 전방면 또는 전면 덮개(150)에 형성된 개구(151)는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의 하부 내측벽은 카메라 모듈(130)의 시야 범위를 차단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 투명 부재(122)는 수직선에 대해 제2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각도는 제1 각도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부재(122)는, 사용자 시야 범위가 인간의 주 시야 범위와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안구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투명 부재(122)가 전면 방향에 수직한 수직 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 내의 전자 장치(801)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는 제 1 네트워크(8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력 장치(850), 음향 출력 장치(855), 표시 장치(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가입자 식별 모듈(896), 또는 안테나 모듈(8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8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860) 또는 카메라 모듈(8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8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8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8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823)은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8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메모리(8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842), 미들 웨어(844) 또는 어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860)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8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8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장치(8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855), 또는 전자 장치(8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8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898)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898 또는 제 2 네트워크 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8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8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input and output),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899)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외부의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2,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802, 804, or 8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8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836) 또는 외장 메모리(8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8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10: 하우징
120: 영상 출력 모듈 130: 카메라 모듈
122: 반 투명 부재 124: 광 출력 부재
140: 브라켓 150: 전방 덮개
101: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 102: 사용자 시야 범위
210: 제1 시각 정보 220: 제2 시각 정보
120: 영상 출력 모듈 130: 카메라 모듈
122: 반 투명 부재 124: 광 출력 부재
140: 브라켓 150: 전방 덮개
101: 카메라 모듈 시야 범위 102: 사용자 시야 범위
210: 제1 시각 정보 220: 제2 시각 정보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갖는 전면 및 제2 개구부를 갖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에 배치된 카메라;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면에 배치된 영상 출력 모듈;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영상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의 제3 면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영상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상기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배치된 반투과성 렌즈를 포함하는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성 렌즈는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성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축과 나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축을 향해 기울어진 광 축을 갖도록 다른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시야 범위(FOV)는 상기 반투과성 렌즈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시야 범위(FOV)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제3 면의 아래에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위치되고, 위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배치되고,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부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며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후방면 및 전방이 개방되는 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면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착용부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기 전방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광 출력 부재,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반 투명 렌즈, 및 상기 광 출력 부재와 상기 반 투명 렌즈 사이를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거울을 포함하는 광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형성되는 카메라 시야 범위(field of view of camera)의 제1 중심축이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반 투명 렌즈는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 투명 렌즈는,
상기 반 투명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의 시야 범위(field of view of user)의 제2 중심축이 상기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축과 상기 제2 중심축이 서로 나란하거나, 또는 전방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시야 범위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 범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 투명 렌즈는 사용자의 안구와 대면하는 제1 면이 오목하게 만곡된 오목렌즈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 투명 렌즈에는 이미지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 영역은 상기 반 투명 렌즈에 의해 반사된 광 및/또는 상기 반 투명 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착용시 상기 배터리는 사용자의 이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고, 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제1 광축 방향으로 제1 시야를 갖도록 배치된 카메라;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지정된 범위로 기울어진 반투과성 렌즈;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반투과성 렌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빛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광축 방향이 상기 전면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투과성 렌즈는 상기 전면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축 방향보다 더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제1 시야 범위는, 사용자 시야 범위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는 제2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222A KR102579034B1 (ko) | 2018-02-23 | 2018-02-23 |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EP19757171.4A EP3735609B1 (en) | 2018-02-23 | 2019-02-22 |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
CN201980014771.7A CN111742253A (zh) | 2018-02-23 | 2019-02-22 | 头戴式电子装置 |
PCT/KR2019/002185 WO2019164324A1 (en) | 2018-02-23 | 2019-02-22 |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
US16/284,406 US10989924B2 (en) | 2018-02-23 | 2019-02-25 |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222A KR102579034B1 (ko) | 2018-02-23 | 2018-02-23 |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814A KR20190101814A (ko) | 2019-09-02 |
KR102579034B1 true KR102579034B1 (ko) | 2023-09-15 |
Family
ID=676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222A KR102579034B1 (ko) | 2018-02-23 | 2018-02-23 |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89924B2 (ko) |
EP (1) | EP3735609B1 (ko) |
KR (1) | KR102579034B1 (ko) |
CN (1) | CN111742253A (ko) |
WO (1) | WO20191643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05186B2 (en) * | 2018-05-03 | 2021-02-02 | Htc Corporatio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
US11567323B2 (en) * | 2019-12-01 | 2023-01-31 | Vision Products, Llc | Partial electronic see-through head-mounted display |
CN110895370B (zh) * | 2019-12-06 | 2021-11-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头戴式设备 |
KR20210144340A (ko) * | 2020-05-22 | 2021-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헤드 마운팅 장치 |
TWI788259B (zh) * | 2021-08-03 | 2022-12-21 |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209655A1 (en) * | 2015-01-20 | 2016-07-21 | Roy Riccomini |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protective visor |
US20160282628A1 (en) * | 2010-12-03 | 2016-09-29 | Esight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ptic real time video system |
CN206497255U (zh) | 2017-02-14 | 2017-09-15 | 毛颖 | 增强现实显示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2097B2 (ja) * | 1994-04-15 | 2004-10-27 | ソニー株式会社 | 視覚装置 |
US6011653A (en) | 1996-03-11 | 2000-01-04 | Seiko Epson Corporation | Head-mounted display |
JP2010056661A (ja) | 2008-08-26 | 2010-03-11 | Olympus Corp | 頭部装着型映像取得表示装置 |
US9632315B2 (en) * | 2010-10-21 | 2017-04-25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one or more fresnel lenses |
US8781794B2 (en) | 2010-10-21 | 2014-07-15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free space reflective optical surfaces |
US8625200B2 (en) | 2010-10-21 | 2014-01-07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one or more reflective optical surfaces |
EP2499962B1 (en) * | 2011-03-18 | 2015-09-09 | SensoMotoric Instruments Gesellschaft für innovative Sensorik mbH | Optic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t least one parameter of at least one eye wherein an illumination characteristic is adjustable |
US20130050069A1 (en) * | 2011-08-23 | 2013-02-28 | Sony Corporation, A Japanese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providing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
US9311883B2 (en) * | 2011-11-11 | 2016-04-1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calibration of a flexible mixed reality device |
US8836768B1 (en) | 2012-09-04 | 2014-09-16 | Aquifi, Inc. | Method and system enabling natural user interface gestures with user wearable glasses |
US9619911B2 (en) * | 2012-11-13 | 2017-04-11 | Qualcomm Incorporated | Modifying virtual object display properties |
US9908048B2 (en) * | 2013-06-08 | 2018-03-06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transparent mode and non-transparent mode in a head mounted display |
US8958158B1 (en) * | 2013-12-03 | 2015-02-17 | Google Inc. | On-head detection for head-mounted display |
US9859607B2 (en) * | 2014-08-18 | 2018-01-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of electronic device |
CN104898276A (zh) * | 2014-12-26 | 2015-09-09 |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 头戴式显示装置 |
US20160223818A1 (en) | 2015-02-04 | 2016-08-04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Image display device |
JP2016145960A (ja) * | 2015-02-04 | 2016-08-1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 |
WO2017100074A1 (en) * | 2015-12-11 | 2017-06-15 | Osterhout Group, Inc. | Head-worn computer display systems |
US9721928B1 (en) * | 2016-04-28 | 2017-08-01 | Nxp Usa, Inc. | Integrated circuit package having two substrates |
US10425636B2 (en) * | 2016-10-03 | 2019-09-2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tomatic detection and correction of binocular misalignment in a display device |
KR102386132B1 (ko) * | 2017-03-30 | 2022-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장치 |
US10510137B1 (en) * | 2017-12-20 | 2019-12-17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Head mounted display (HMD) apparatus with a synthetic targe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
-
2018
- 2018-02-23 KR KR1020180022222A patent/KR1025790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2-22 EP EP19757171.4A patent/EP3735609B1/en active Active
- 2019-02-22 CN CN201980014771.7A patent/CN111742253A/zh active Pending
- 2019-02-22 WO PCT/KR2019/002185 patent/WO2019164324A1/en unknown
- 2019-02-25 US US16/284,406 patent/US1098992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282628A1 (en) * | 2010-12-03 | 2016-09-29 | Esight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ptic real time video system |
US20160209655A1 (en) * | 2015-01-20 | 2016-07-21 | Roy Riccomini |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protective visor |
CN206497255U (zh) | 2017-02-14 | 2017-09-15 | 毛颖 | 增强现实显示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35609B1 (en) | 2024-11-06 |
US20190265480A1 (en) | 2019-08-29 |
WO2019164324A1 (en) | 2019-08-29 |
CN111742253A (zh) | 2020-10-02 |
US10989924B2 (en) | 2021-04-27 |
KR20190101814A (ko) | 2019-09-02 |
EP3735609A1 (en) | 2020-11-11 |
EP3735609A4 (en) | 202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9034B1 (ko) |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1493763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radiating member | |
EP4215976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niature camera | |
US20170090557A1 (en) | Systems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a Side-Mounted Optical Sensor | |
KR20190119892A (ko) | 복수의 하우징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장치 | |
US11947728B2 (en) |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function based on hand ges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KR20210156613A (ko) | 증강 현실 글라스 및 그 동작 방법 | |
US20220413308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image | |
US1180962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ye-tracking of user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reof | |
US11693477B2 (en) | Lens clip for receiving user lens and head mounte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user lens is inserted into lens clip | |
US11808942B2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multiple focal points for light outputted from display | |
KR20220100143A (ko) |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모션 센서를 이용한 입력 구조물 | |
KR20220058194A (ko)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 |
KR20200032467A (ko) | 외부 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526172B1 (ko) |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 |
EP4137871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 |
KR20210130485A (ko) |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동작 방법 | |
EP4350420A1 (en) | Lens assembly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 disposed on first len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US20240046530A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
US20240046578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virtual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4375797A1 (en) | Wearable device comprising speaker | |
US20240073508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KR20240069549A (ko)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
KR20240028262A (ko) |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40043031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착용 상태 감지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