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461B1 -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461B1 KR102578461B1 KR1020220073921A KR20220073921A KR102578461B1 KR 102578461 B1 KR102578461 B1 KR 102578461B1 KR 1020220073921 A KR1020220073921 A KR 1020220073921A KR 20220073921 A KR20220073921 A KR 20220073921A KR 102578461 B1 KR102578461 B1 KR 1025784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washing space
- lid
- water
- clea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는, 소정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가 위치되는 제1세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 내에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세척유닛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액체용기의 뚜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세정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세척공간이 형성된 세척수조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조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뚜껑 세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 및 뚜껑을 별도로 자동 세척 가능하게 형성되는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많은 종류의 기호음료를 개발하고 즐기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체 상태인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액체용기, 예컨대, 컵, 병, 텀블러 등 다양한 형태의 액체용기 역시 널리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액체용기는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와, 액체가 본체 내부에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액체용기는 사람이 직접 입을 대고 내부의 음료를 섭취하는 특성 상 위생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액체용기는 그 형태가 세척하기 용이하지 않아 세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빠르게 세척을 수행할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제대로 세척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액체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 세척기는 다양한 규격의 액체용기를 세척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뚜껑을 함께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액체용기를 용이하게 자동 세척할 수 있으며, 또한 액체용기의 본체 및 뚜껑을 동시에 세척 가능한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는, 소정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가 위치되는 제1세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 내에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모듈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세척유닛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싱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행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하행정부, 상기 피스톤의 왕복 행정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가압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는, 소정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가 위치되는 제1세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 내에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세척유닛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액체용기의 뚜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세정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세척공간이 형성된 세척수조와, 상기 세척수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조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뚜껑 세척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노즐모듈은, 스팀 또는 세정수를 고압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상기 제1분사노즐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공기를 고압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투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 시 스팀 또는 세정수의 공급경로를 차단하고, 하부로 이동 시 스팀 또는 세정수의 공급경로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싱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행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하행정부, 상기 피스톤의 왕복 행정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가압하는 프레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세척공간에 스팀 및 세정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세척공간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제1세척공간 및 상기 제2세척공간에 수용된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세척유닛은 상기 제2세척공간 내에 위치된 뚜껑이 상기 제2세척공간 내에 유입된 세정수의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 부유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는,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를 세척하기 위한 용기 본체 세척유닛과, 액체용기의 뚜껑을 세척하기 위한 뚜껑 세척유닛이 함께 구비됨에 따라,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 및 뚜껑을 동시에 위생적으로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에 대해 스팀, 세정수, 건조공기를 통한 일련의 세척 프로세스를 진행하므로, 단순히 물만으로는 세척하기 어려운 오염물질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세척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함에 따라 액체용기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일회용 용기의 사용을 줄이도록 하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 및 뚜껑을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노즐모듈의 구조 및 노즐모듈과 관련된 부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용기 본체 세척유닛을 통해 용기 본체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을 통해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을 통해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 및 뚜껑을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노즐모듈의 구조 및 노즐모듈과 관련된 부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용기 본체 세척유닛을 통해 용기 본체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을 통해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을 통해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10) 및 뚜껑(20)을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는 용기 본체 세척유닛(100) 및 뚜껑 세척유닛(2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액체용기는 액체를 담는 용기 본체(10) 및 이와 같은 용기 본체(1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은 용기 본체 세척유닛(100)을 통해 용기 본체(10)를 자동 세척하고, 뚜껑 세척유닛(200)을 통해 뚜껑(20)을 별도로 자동 세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 세척유닛(100)은 제1하우징부(110), 노즐모듈(120) 및 프레싱모듈(13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부(110)는 소정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10)의 용기 본체(10)가 위치되는 제1세척공간(111)이 형성되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는 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노즐모듈(120)은 이와 같은 제1하우징부(110)의 제1세척공간(111) 하부에 구비되어, 제1세척공간(111)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10) 내에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노즐모듈(120)은 스팀 - 세정수 -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용기 본체(10)에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싱모듈(130)은 제1하우징부(110)의 제1세척공간(111) 상부에 구비되어, 제1세척공간(111)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10)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프레싱모듈(130)은 용기 본체(10)의 바닥부를 가압하여 용기 본체(10)가 노즐모듈(120)을 가압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노즐모듈(120)로부터 자동으로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노즐모듈(120)의 구조 및 노즐모듈(120)과 관련된 부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노즐모듈(120)은 제1분사노즐(121), 제2분사노즐(123) 및 지지부(123)를 포함한다.
제1분사노즐(121)은 스팀 또는 세정수를 고압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세서 제1분사노즐(121)은 스팀 또는 세정수를 직상부로 분사하는 제1분사공(121a), 스팀 또는 세정수를 경사진 각도로 분사하는 제2분사공(121b), 스팀 또는 세정수를 수평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3분사공(121c)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분사노즐(122)은 제1분사노즐(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공기를 고압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23)는 복수 개가 제1분사노즐(121)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제1세척공간(111)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10)의 투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3)는 총 4개가 구비되어 제1분사노즐(121)에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본 실시예에 의해 지지부(123)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노즐모듈(120)은 제1하우징부(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 시 후술할 급수관(170, 도 4 참조)으로 유동되는 세정수 또는 스팀의 공급경로를 차단하고, 하부로 이동 시 급수관(170)으로 유동되는 세정수 또는 스팀의 공급경로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 노즐모듈(120)에는 상하 이동에 따른 물리적인 유로의 개폐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노즐모듈(12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유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개폐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노즐모듈(120)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공급원(140),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원(150) 및 건조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공기공급원(160)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용기 본체 세척유닛(100)을 통해 용기 본체(10)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싱모듈(130)은, 상하행정부(132), 유압공급부(133) 및 프레싱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행정부(132)는 제1하우징부(110)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이와 같은 실린더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행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유압공급부(133)는 피스톤의 왕복 행정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며, 프레싱부(131)는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되어,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 시 제1세척공간(111)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10)의 바닥부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1하우징부(110) 및 상기 제2하우징부(210)의 하부에는 제1세척공간(111)에 스팀 및 세정수를 공급하고, 제2세척공간(22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70)과, 제1세척공간(111) 및 제2세척공간(221)에 수용된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노즐모듈(120) 및 프레싱모듈(130)을 통해, 용기 본체(10)를 세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용기 본체(10)를 반전시킨 상태로 제1하우징부(110)의 제1세척공간(111)에 투입하고, 노즐모듈(120)의 지지부(122) 상에 안착시킨다.
이후 프레싱모듈(130)의 유압공급부(133)에 의해 상하행정부(132)의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프레싱부(131)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바닥부가 가압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바닥부가 가압됨에 따라 용기 본체(10)의 입구부는 노즐모듈(120)의 지지부(123)를 연속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노즐모듈(120) 전체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분사노즐(121)을 통해 1차적으로 스팀이 용기 본체(10)의 내측에 분사되어 고온에 의한 살균 세척이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고압의 세정수가 제1분사노즐(121)을 통해 분사되고, 최종적으로 제2분사노즐(122)을 통해 건조공기가 용기 본체(10)의 내측에 분사되어 세정수에 의한 세척 및 건조공기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노즐모듈(12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센싱 결과에 따라 자동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위의 세척 순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프레싱모듈(130)의 피스톤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전체 세척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다음으로는, 뚜껑 세척유닛(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뚜껑 세척유닛(200)은 제2하우징부(210), 세척수조(220) 및 초음파 진동자(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하우징부(210)는 제1하우징부(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세척수조(220)는 제2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액체용기의 뚜껑(20)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세정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세척공간(221)이 형성된다.
즉 제2세척공간(221)에는 액체용기의 뚜껑(20)이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관(170)을 통해 세정수가 유입됨에 따라 뚜껑(20)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배수관(180)을 통해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230)는 세척수조(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조(220)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함에 따라 제2세척공간(221)에 수용된 세정수를 소정 주파수로 진동시키며, 이를 통해 뚜껑(20)의 미세한 틈까지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뚜껑 세척유닛(200)은 제2세척공간(221) 내에 위치된 뚜껑(20)이 제2세척공간(221) 내에 유입된 세정수의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 부유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뚜껑 부유방지수단은 제한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세척공간(221)의 소정 높이에 고정이 가능한 부유방지커버(240)를 통해 뚜껑(20)의 부유를 방지하는 방식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부유방지커버(240)는 제2세척공간(221) 내에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제2세척공간(221)의 다양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부유방지커버(240)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2세척공간(221) 내에 유입된 세정수가 관통홀을 통해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유방지커버(240)의 고정을 위해 부유방지커버(240)의 둘레부에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부유방지커버(240)는 일측 변이 제2세척공간(221)의 대응되는 변보다 짧게 형성되고, 타측 변이 제2세척공간(221)의 대응되는 변에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짧은 변 측으로 손을 넣어 부유방지커버(240)를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200)을 통해 뚜껑(20)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뚜껑 세척유닛(200)을 통해, 뚜껑(20)를 세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액체용기의 뚜껑(20)을 세척수조(220)의 제2세척공간(221)에 투입하고, 부유방지커버(240)를 제2세척공간(221)의 원하는 높이에 끼워 세팅한다.
이후 제2세척공간(221)에 세정수를 공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세정수의 수위는 부유방지커버(240)보다 높아지게 되고, 뚜껑(20)은 부유방지커버(240)에 의해 세정수 상에 부유되지 않고 일정 높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자(230)를 통해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세척을 수행하게 되며, 세척 완료 후 제2세척공간(221)으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하여 전체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한편 제2세척공간(221)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수위 감지 결과에 연동하여 세정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7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뚜껑 부유방지수단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에 있어서, 뚜껑 세척유닛(200)을 통해 뚜껑(20)을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뚜껑 부유방지수단은 세척수조(220)의 내측 모서리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부유방지유닛(2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 8 및 도 9는 세척수조(220)의 상부 일부를 자른 나머지 하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부유방지유닛(250)은 세척수조(220)의 제2세척공간(221) 내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51)와, 일단부가 이와 같은 고정부재(251)에 수평하게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가 길게 연장되는 부유방지부재(25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부유방지부재(252)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세척수조(220)의 내면에는 수위감지센서(26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2세척공간(221)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수위가 점차 높아지는 과정에서 수위감지센서(260)가 세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까지 도달한 것으로 센싱하게 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유방지유닛(250)의 부유방지부재(252)를 제2세척공간(22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부유방지부재(252)의 타단부는 뚜껑(20)의 상부를 막아 해당 위치에서 더 이상 부유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며, 이후 세정수의 수위가 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자(230)를 통한 세척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 부유방지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용기 본체
20: 뚜껑
100: 용기 본체 세척유닛
110: 제1하우징부
111: 제1세척공간
120: 노즐모듈
121: 제1분사노즐
122: 제2분사노즐
123: 지지부
130: 프레싱모듈
131: 프레싱부
132: 상하행정부
133: 유압공급부
140: 세정수공급원
150: 스팀공급원
160: 건조공기공급원
170: 급수관
180: 배수관
200: 뚜껑 세척유닛
210: 제2하우징부
220: 세척수조
221: 제2세척공간
230: 초음파 진동자
240: 부유방지커버
250: 부유방지유닛
251: 고정부재
252: 부유방지부재
20: 뚜껑
100: 용기 본체 세척유닛
110: 제1하우징부
111: 제1세척공간
120: 노즐모듈
121: 제1분사노즐
122: 제2분사노즐
123: 지지부
130: 프레싱모듈
131: 프레싱부
132: 상하행정부
133: 유압공급부
140: 세정수공급원
150: 스팀공급원
160: 건조공기공급원
170: 급수관
180: 배수관
200: 뚜껑 세척유닛
210: 제2하우징부
220: 세척수조
221: 제2세척공간
230: 초음파 진동자
240: 부유방지커버
250: 부유방지유닛
251: 고정부재
252: 부유방지부재
Claims (7)
- 삭제
- 삭제
- 소정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용기의 용기 본체가 위치되는 제1세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 내에 스팀, 세정수 또는 건조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기 제1세척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세척유닛;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액체용기의 뚜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세정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세척공간이 형성된 세척수조와, 상기 세척수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조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뚜껑 세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 세척유닛은 상기 제2세척공간 내에 위치된 뚜껑이 상기 제2세척공간 내에 유입된 세정수의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 부유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 부유방지수단은 상기 세척수조의 내측 모서리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부유방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방지유닛은,
상기 세척수조의 상기 제2세척공간 내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수평하게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가 길게 연장되는 부유방지부재; 및
상기 부유방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조의 내면에는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세척공간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수위가 점차 높아지는 과정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세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까지 도달한 것으로 센싱하게 될 경우, 각 부유방지유닛의 상기 부유방지부재가 상기 제2세척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가 제어됨에 따라, 각 부유방지부재의 타단부가 액체용기의 뚜껑의 상부를 막아 해당 위치에서 더 이상 부유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며, 이후 세정수의 수위가 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통한 세척 과정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은,
스팀 또는 세정수를 고압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상기 제1분사노즐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공기를 고압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투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로 이동 시 스팀 또는 세정수의 공급경로를 차단하고, 하부로 이동 시 스팀 또는 세정수의 공급경로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행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하행정부;
상기 피스톤의 왕복 행정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제1세척공간에 반전된 상태로 구비된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가압하는 프레싱부;
를 포함하는,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세척공간에 스팀 및 세정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세척공간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제1세척공간 및 상기 제2세척공간에 수용된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921A KR102578461B1 (ko) | 2022-06-17 | 2022-06-17 |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921A KR102578461B1 (ko) | 2022-06-17 | 2022-06-17 |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8461B1 true KR102578461B1 (ko) | 2023-09-14 |
Family
ID=8801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3921A KR102578461B1 (ko) | 2022-06-17 | 2022-06-17 |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846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756U (ko) | 2015-04-21 | 2016-10-31 | 아바전자 주식회사 | 컵자동 세척기 |
KR101970520B1 (ko) * | 2018-12-10 | 2019-04-19 | 김훈 | 텀블러 세척 장치 |
KR102048655B1 (ko) * | 2019-04-24 | 2019-11-25 | 김홍성 | Dsa전극을 이용한 개인용 컵 자동 살균세척장치 |
KR20210064507A (ko) * | 2019-11-25 | 2021-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220068491A (ko) * | 2020-11-19 | 2022-05-26 | 이동하 | 외부세척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
-
2022
- 2022-06-17 KR KR1020220073921A patent/KR1025784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756U (ko) | 2015-04-21 | 2016-10-31 | 아바전자 주식회사 | 컵자동 세척기 |
KR101970520B1 (ko) * | 2018-12-10 | 2019-04-19 | 김훈 | 텀블러 세척 장치 |
KR102048655B1 (ko) * | 2019-04-24 | 2019-11-25 | 김홍성 | Dsa전극을 이용한 개인용 컵 자동 살균세척장치 |
KR20210064507A (ko) * | 2019-11-25 | 2021-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220068491A (ko) * | 2020-11-19 | 2022-05-26 | 이동하 | 외부세척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0406B1 (ko) | 외부세척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 |
MX2008001930A (es) | Metodo y aparato para la limpieza automatizada de equipos de embotellado. | |
KR200193804Y1 (ko) | 생수통 세척장치 | |
KR102578461B1 (ko) |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 |
US20090013874A1 (en) | Beverage Making Device | |
US20180290189A1 (en) | Chemical jug washer and disposal assembly | |
CN113245330B (zh) | 饮用水水桶清洗方法及清洗设备 | |
KR20120042042A (ko) | 생수통 세척방법 및 장치 | |
EP1694179B1 (en) | A beverage making device | |
CN111850923B (zh) | 一种超声波洗涤装置及控制方法 | |
KR20040087763A (ko) | 자동 수납기능을 갖는 컵 세척기 | |
KR102410403B1 (ko) |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텀블러 관리장치 | |
KR100604381B1 (ko) | 음식물 세척기 | |
JPS63286124A (ja) | 食器洗浄器 | |
KR200295646Y1 (ko) | 젖병 세척기 | |
KR200435361Y1 (ko) | 컵 세척기 | |
KR102637030B1 (ko) | 다목적 컵 세척기 | |
KR101304925B1 (ko) | 변기용 소독액 자동 투입장치 | |
CN209404685U (zh) | 一种喷淋式清洗器 | |
JP7522296B2 (ja) | 容器洗浄システム付き飲料用ディスペンサ | |
KR102395273B1 (ko) | 용기 자동 세척장치 | |
KR20200141692A (ko) | 음료 준비 장치 | |
KR200159322Y1 (ko) | 식기세척기의 세제 투입장치 | |
CN215287938U (zh) | 一种饮料灌装机溢流自动回收装置 | |
CN220757727U (zh) | 双氧水自动喷雾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