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76631B1 -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31B1
KR102576631B1 KR1020210044363A KR20210044363A KR102576631B1 KR 102576631 B1 KR102576631 B1 KR 102576631B1 KR 1020210044363 A KR1020210044363 A KR 1020210044363A KR 20210044363 A KR20210044363 A KR 20210044363A KR 102576631 B1 KR102576631 B1 KR 10257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oset
port
housing
entr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562A (ko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렉스 filed Critical (주)그렉스
Priority to KR102021004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 장치의 하우징 하부면에 형성되며, 하우징 내부 공기를 현관으로 분사하는 분사구 및 실내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기하는 흡기구, 분사구 및 흡기구와 인접하도록 하우징 일측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배기구 및 급기구, 하우징과 벽장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벽장 급기관 및 벽장 배기관, 흡기구와 급기구 사이 및 분사구와 배기구 사이에 장착되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 흡기구 또는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하우징내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공기 순환 장치를 구성하되, 제1 댐퍼와 제2 댐퍼의 선택적 개폐 작동에 의해 공기 순환 장치의 작동 모드가 벽장내 공기 및 의류 등을 청정시키는 벽장 청정 모드 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에어 샤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는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Air Circulation Device for Cleaning of Entrance and Closet}
본 발명은 현관 및 벽장 내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 장치의 하우징 하부면에 형성되며, 하우징 내부 공기를 현관으로 분사하는 분사구 및 실내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기하는 흡기구, 분사구 및 흡기구와 인접하도록 하우징 일측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배기구 및 급기구, 하우징과 벽장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벽장 급기관 및 벽장 배기관, 흡기구와 급기구 사이 및 분사구와 배기구 사이에 장착되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 흡기구 또는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하우징내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공기 순환 장치를 구성하되, 제1 댐퍼와 제2 댐퍼의 선택적 개폐 작동에 의해 공기 순환 장치의 작동 모드가 벽장내 공기 및 수납품을 청정시키는 벽장 청정 모드 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에어 샤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는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봄철에 중국이나 몽고 내륙의 황토지역으로부터 발생한 흙먼지가 계절풍을 타고 날아오는 황사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주변국의 공업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화석 연료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내연기관 자동차의 보급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연소가스 속에 포함된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의 미세먼지가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어, 황사가 발생하지 않는 계절에도 스모그 현상이나 대기 중 오존 수치 증가 등이 발생하는 등 심화된 대기 오염에 따른 호흡기 질환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특히 대기 오염 물질 중 지름이 10㎛ 미만인 미세먼지의 경우, 크기가 매우 작아서 폐포 내부에 도달하거나, 폐포를 통과하여 혈중으로 유입되어 전신 순환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는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의 경증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기관지에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인체의 방어 작용을 방해하여 심혈관질환 및 자율신경계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등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함에 따라, 실외 활동시 오염된 대기 중에 노출된 신체나 의복에 붙은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실내 공기 청정도를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관에서 에어 제트를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붙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에어 샤워 장치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어 샤워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8997호(2021.01.22.등록)에서는 신발장 내부에 공기 청정기와 분사 노즐을 장착하여, 실외로부터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에어 제트를 분사하는 현관 에어 샤워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현관 에어 샤워 시스템은 공기청정기와 덕트가 신발장 내부 공간에 장착되기 때문에 신발장 내부 공간에 보관 가능한 신발의 수량이 감소하여 신발장 공간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현관 에어 샤워 시스템에서는 신발장 상부에 장착된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 및 의류에 붙은 이물질을 떨어뜨리면, 흡입구를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하게 된다.
분사노즐로부터 고속으로 분사된 공기는 제트(jet)를 형성하기 때문에,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 표면에 도달시 분사 방향이 굴절되거나 비산(飛散)되면서 분리된 이물질을 현관 내부 공간으로 퍼뜨리고, 현관 내부 공간으로 퍼진 이물질은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 효과에 의해 불규칙적인 운동을 하면서 현관과 연결된 실내 공간으로 쉽게 확산되었다.
상기 현관 에어 샤워 시스템에서는 현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신발장 하부에 위치하는데, 현관 내부로 흩어진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가라앉는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발장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 가능한 이물질의 흡입 비율이 크게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를 통해 여과 가능한 이물질의 여과 비율 또한 크게 감소하여 현관의 공기 청정도가 낮아졌다.
그리고 현관 에어 샤워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현관으로 진입시 입과 코 등의 호흡기 위치가 신발장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호흡기 위치에서는 현관 내부 공간으로 퍼진 이물질의 흡입 및 여과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호흡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이물질이 흡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현관의 측벽에는 신발이나 우산 등을 보관하는 신발장을 형성하고, 각 개별 실내에는 외투를 보관할 수 있는 옷장이나 붙박이장, 또는 드레스룸 등의 벽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외출 후 벽장 안에 보관된 신발이나 외투 등 붙어있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면서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현관 에어 샤워 장치와 더불어 벽장 내 공기 및 의류 등의 청정을 이룰 수 있는 공기 순환 장치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8997호 (2021.01.22.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댐퍼의 개폐 작동에 의해 공기 순환 장치의 가동 모드를 전환하여, 벽장 내 공기 및 의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실외 활동 후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공기 오염원의 실내 유입을 차단을 통한 실내 공기의 청정도 향상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 모드 전환을 위한 공기 순환 장치 댐퍼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 단가를 절감하고, 공기 순환 장치의 크기 감소에 따른 현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흡기 및 여과 효율을 높임으로써, 에어 샤워 모드 작동시 분사된 에어 제트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으로부터 분리된 후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 청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정에 설치되며 공기 순환 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 하우징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며, 하우징 내부 공기를 현관으로 분사하도록 현관의 천정에 배치되는 분사구, 하우징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며, 실내공간의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기하도록 분사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흡기구, 분사구와 인접하도록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며, 하우징 내부 공기를 벽장 내부로 배기하는 배기구, 흡기구와 인접하도록 하우징 타측에 형성되며, 벽장 내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구, 벽장에 형성되고, 벽장 급기관을 통해 배기구와 벽장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며, 분사 노즐이 장착된 벽장 급기구, 벽장 급기구와 이격 배치되도록 벽장에 형성되며, 벽장 배기관을 통해 급기구와 벽장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벽장 배기구, 흡기구와 급기구 사이에 장착되어, 흡기구 및 급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댐퍼, 분사구와 배기구 사이에 장착되어, 분사구 및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댐퍼, 분사구와 흡기구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흡기구 또는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배기구와 필터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내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공기 순환 장치를 구성하되, 공기 순환 장치는 급기구와 배기구를 통해 벽장내 공기 및 수납품을 청정시키는 벽장 청정 모드(M1), 또는 흡기구와 분사구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에어 샤워 모드(M2)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벽장 청정 모드(M1)에서는 제1 댐퍼의 작동에 의한 급기구의 개방 및 흡기구의 폐쇄, 제2 댐퍼의 작동에 의한 배기구의 개방 및 분사구의 폐쇄, 팬의 가동이 이루어지고, 에어 샤워 모드(M2)에서는 제1 댐퍼의 작동에 의한 흡기구의 개방 및 급기구의 폐쇄, 제2 댐퍼의 작동에 의한 분사구의 개방 및 배기구의 폐쇄, 팬의 가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샤워 모드(M2)는 센서를 통해 실외로부터 현관내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가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댐퍼의 개폐 작동에 의해 공기 순환 장치의 가동 모드를 전환하여, 벽장 내 공기 및 의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실외 활동 중 사용자의 신체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 오염원의 실내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벽장 급기구에 장착된 분사 노즐을 통해 벽장에 수납된 의류나 신발 등의 표면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벽장 급기관 및 벽장 급기구를 통한 벽장 내부의 순환을 통해 공기 청정을 수행함으로써, 벽장 내부 수납품의 탈취를 수행하고, 벽장 내부 공간을 적정 습도로 유지하여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 장치를 현관의 천정에 설치함으로써, 현관 내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벽장 청정 모드 또는 에어 샤워 모드 작동 전환을 위한 공기 순환 장치 댐퍼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공기 순환 장치의 단가를 절감하고, 공기 순환 장치의 크기 감소에 따른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 장치의 흡기구를 현관의 천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에어 샤워 모드 작동 과정에서 공기 순환 장치의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에어 제트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으로부터 분리된 후 비산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흡기 및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흡기구의 흡기 위치가 사용자의 호흡기와 근거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호흡기 주변의 비산된 이물질을 빠르게 제거함으로써, 호흡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로 흡수되는 이물질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공기 순환 장치의 에어 샤워 모드로의 작동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 순환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의 단면 구조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의 벽장 청정 모드(M1) 가동시 댐퍼의 개폐 작동 및 공기 순환 장치 내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의 에어 샤워 모드(M2) 가동시 댐퍼의 개폐 작동 및 공기 순환 장치 내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관(10)의 천정(1) 슬라브와 실내 마감재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공기 순환 장치(100)의 본체 케이스를 이루는 하우징(110)의 하부면이 현관(10)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다.
하우징(110) 하부면 일측에는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100)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여, 하우징(110) 내부 공기를 현관(10)으로 분사하는 분사구(120)가 형성되며, 하우징(110) 하부면 타측에는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100)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흡기하는 흡기구(130)가 형성된다.
이하 분사구(120)가 배치되는 방향을 일측 방향, 흡기구(130)가 배치되는 방향을 타측 방향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공기 순환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분사구(120)와 흡기구(130)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 공간으로 진입시, 분사구(120)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분사구(120)를 현관문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 일측면에는 하우징(110) 내부 공기를 벽장(20) 내부로 배기하는 배기구(140)가 형성되고, 하우징(110) 타측면에는 벽장(20) 내부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구(150)가 형성되며, 배기구(140)와 급기구(150)는 천정(1)의 슬라브와 실내 마감재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벽장(20)에는 분사 노즐이 장착된 벽장 급기구(210)와 벽장 배기구(220)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벽장 급기구(210)는 벽장 급기관(21)을 통해 배기구(140)와 연결되고, 벽장 배기구(220)는 벽장 배기관(22)을 통해 급기구(150)와 연결되어, 벽장(20) 내부 공간과 하우징(110)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벽장(20)은 현관(10)의 벽면에 형성되는 신발장, 개별 실내에 형성된 옷장이나 붙박이장, 또는 드레스룸 등을 포함한다.
흡기구(130)와 급기구(150) 사이에는 제1 댐퍼(160)가 장착되고, 분사구(120)와 배기구(140) 사이에는 제2 댐퍼(170)가 장착된다.
이때, 급기구(150)는 흡기구(130)와 인접하는 위치의 하우징(110) 타측면에 배치되고, 서보모터에 연결된 제1 댐퍼(160)의 회전축은 흡기구(130) 및 급기구(150)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10) 타측 방향의 본체 케이스 면(surface)이 교차하는 내측 모퉁이에 형성되는데, 제1 댐퍼(160)의 작동 방향에 따라 흡기구(130) 개방 및 급기구(150) 폐쇄, 또는 급기구(150) 개방 및 흡기구(130) 폐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배기구(140)는 분사구(120)와 인접하는 위치의 하우징(110) 일측면에 배치되고, 서보모터에 연결된 제2 댐퍼(170)의 회전축은 분사구(120) 및 배기구(140)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10) 일측 방향의 본체 케이스 면(surface)이 교차하는 내측 모퉁이에 형성되는데, 제2 댐퍼(170)의 작동 방향에 따라 분사구(120) 개방 및 배기구(140) 폐쇄, 또는 배기구(140) 개방 및 분사구(120) 폐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분사구(120) 및 흡기구(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필터(180)가 장착되고, 배기구(140) 및 필터(180) 사이에는 팬(190)이 장착되는데, 팬(190)의 가동에 의해 타측 방향에서 일측 방향으로의 하우징(110)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흡기구(130) 또는 급기구(15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180)에 의해 여과된 후, 분사구(120) 또는 배기구(140)를 통해 배출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100)는 벽장(20)내 공기 및 의류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청정시키는 벽장 청정 모드(M1), 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현관(10)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샤워 모드(M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벽장 청정 모드(M1)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댐퍼(160)의 작동에 의해 급기구(150)의 개방 및 흡기구(130)의 폐쇄가 이루어지고, 제2 댐퍼(170)의 작동에 의해 배기구(140)의 개방 및 분사구(120)의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벽장(20) 내부 공간과 하우징(110) 내부 공간이 벽장 급기관(21) 및 벽장 배기관(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2 댐퍼(160,170)의 선택적 개폐 작동이 완료되면 팬(190)의 가동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110) 내 공기 이동이 발생하게 되며, 벽장 배기구(220)를 통해 배출된 벽장(20) 내부의 공기가 벽장 배기관(22) 및 급기구(15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180)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미세면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필터(18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청정 공기는 배기구(140)로 배출되어, 벽장 급기관(21) 및 분사 노즐이 장착된 벽장 급기구(210)를 통해 벽장(20) 내부 공간으로 재공급되면서 벽장(20) 내부의 공기 청정을 수행하게 되며, 벽장 급기구(210)에 장착된 분사 노즐을 통해 의류나 신발 등 벽장(20) 내부에 수납된 수납품 표면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벽장(20)은 수납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문이 장착되어 밀폐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옷장이나 신발장의 경우 우천시 착용하여 습기를 흡수한 의류나 신발을 내부에 보관하게 되면, 벽장(20) 내부에 높은 습도의 밀폐 환경이 조성되면서 냄새가 발생하기 쉬운데, 벽장 급기관(21) 및 벽장 급기구(210)를 통해 벽장(20) 내부의 공기 청정을 수행함으로써, 수납품의 탈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벽장(20) 내부 공간을 적정 습도로 유지하여 냄새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벽장 청정 모드(M1) 작동시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100)를 통해 현관(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형성된 벽장(20) 내부 공기 및 의류 등의 이물질 및 냄새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순환 장치(100)의 생산 단가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벽장 급기관(21)와 벽장 급기구(210) 및 하우징(110)을 천정(1)의 슬라브와 실내 마감재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공기 순환 장치(100)의 설치 공간 면적 감소에 따른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어 샤워 모드(M2)에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댐퍼(160)의 작동에 의해 흡기구(130)의 개방 및 급기구(150)의 폐쇄가 이루어지고, 제2 댐퍼(170)의 작동에 의해 분사구(120)의 개방 및 배기구(140)의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현관(10) 내부 공간과 하우징(110) 내부 공간이 분사구(120) 및 흡기구(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2 댐퍼(160,170)의 선택적 개폐 작동이 완료되면 팬(190)의 가동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110) 내 공기 이동이 발생하게 되며, 흡기구(130)를 통해 흡기된 현관(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180)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미세면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필터(18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분사구(120)로 분사되며, 분사구(120)로부터 고속 분사된 공기는 에어 샤워 제트(air shower jet)를 형성하여, 현관(10)으로 진입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복 등에 붙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면서 에어 샤워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분사구(120)로부터 분사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 표면에 도달한 에어 샤워 제트는 신체나 의복 표면과 이루는 입사 각도에 따라 분사 방향이 굴절되거나 비산(飛散)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굴절 또는 비산된 에어 샤워 제트와 함께 현관(10) 내부 공간으로 흩어질 수 있다.
현관(10) 내부 공간으로 흩어진 미세먼지 등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은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 효과에 의해 불규칙적인 운동을 하면서 현관(10) 내 공간에서 오랜 시간 동안 부유하게 되는데, 현관(10)의 천정(1)에 위치하는 흡기구(130)를 통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곧바로 흡입함으로써, 이물질의 흡입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필터(180)를 통한 이물질 여과 효과 또한 크게 향상시켜 현관(10)의 공기 청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은 보행을 통해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신체 및 의류 표면에 에어 샤워 제트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게 되므로, 흡기구(130)와 공기 순환 장치(100) 사용자의 호흡기 위치가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호흡기 주변 공간으로 비산된 이물질을 빠르게 흡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흡수되는 이물질의 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장 청정 모드(M1) 또는 에어 샤워 모드(M2)간 작동 모드 변환은 제1 댐퍼(160) 및 제2 댐퍼(170)의 개폐 각도 전환에 의해 이루어지며, 하나의 제1 댐퍼(160) 및 제2 댐퍼(170)로 흡기구(130)와 급기구(150), 분사구(120)와 배기구(14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공기 순환 장치(100) 댐퍼 구성과 작동을 단순화함으로써, 공기 순환 장치(100)의 단가를 절감하고, 댐퍼 개폐 가동 중 오작동을 방지하며, 공기 순환 장치(100)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였을때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도면 미도시)를 공기 순환 장치(100)에 부가함으로써,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10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벽장(20)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거나, 현관(10)을 청소하는 등 사용자가 실내로부터 현관(10)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순환 장치(100)의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불필요한 에어 샤워 제트의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거나,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는 사용자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 또는 실내로부터 현관(10)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실외 방향과 실내 방향을 향하는 2개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실외 방향의 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먼저 인식하면 사용자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이 이루어지고, 실내 방향의 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먼저 인식하면 사용자가 실내로부터 현관(10)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정 10: 현관
20: 벽장 21: 벽장 급기관
22: 벽장 배기관 100: 공기 순환 장치
110: 하우징 120: 분사구
130: 흡기구 140: 배기구
150: 급기구 160: 제1 댐퍼
170: 제2 댐퍼 180: 필터
190: 팬 210: 벽장 급기구
220: 벽장 배기구

Claims (3)

  1. 천정(1)에 설치되며 공기 순환 장치(100)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100)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며, 하우징(110) 내부 공기를 현관(10)으로 분사하도록 현관(10)의 천정에 배치되는 분사구(120);
    하우징(110)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간과 공기 순환 장치(100)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며, 실내공간의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흡기하도록 분사구(110)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흡기구(130);
    분사구(120)와 인접하도록 하우징(110) 일측에 형성되며, 의류를 보관하는 벽장(2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공기 청정 후 의류를 보관하는 벽장(20) 내부로 배기하는 배기구(140);
    흡기구(130)와 인접하도록 하우징(110) 타측에 형성되며, 의류를 보관하는 벽장(20) 내부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구(150);
    의류를 보관하는 벽장(20) 상측에 형성되고, 벽장 급기관(21)을 통해 배기구(140)와 벽장(20)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며, 분사 노즐이 장착된 벽장 급기구(210);
    벽장 급기구(210)와 이격 배치되도록 벽장(20) 상측에 형성되며, 벽장 배기관(22)을 통해 급기구(150)와 벽장(20) 내부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벽장 배기구(220);
    흡기구(130)와 급기구(15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 하측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흡기구(130) 및 급기구(1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댐퍼(160);
    분사구(120)와 배기구(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 하측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분사구(120) 및 배기구(1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댐퍼(170);
    분사구(120)와 흡기구(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며, 흡기구(130) 또는 급기구(15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80);
    배기구(140)와 필터(18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110)내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팬(190); 및
    사용자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 또는 실내로부터 현관(10)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판별 가능하도록 센서를 구성되되, 센서는 실외 방향과 실내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배치함으로써, 실외 방향을 향하는 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먼저 인식하면 사용자가 실외로부터 현관(10)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이 이루어지고, 실내 방향을 향하는 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먼저 인식하면 사용자가 실내로부터 현관(10)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 샤워 모드(M2)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비되는 2개의 센서;
    로 공기 순환 장치(100)를 구성하되,
    공기 순환 장치(100)는 급기구(150)와 배기구(140)를 통해 벽장(20)내 공기 및 수납품을 청정시키는 벽장 청정 모드(M1), 또는 흡기구(130)와 분사구(120)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현관(10)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에어 샤워 모드(M2)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며,
    벽장 청정 모드(M1)에서는 제1 댐퍼(160)의 작동에 의한 급기구(150)의 개방 및 흡기구(130)의 폐쇄, 제2 댐퍼(170)의 작동에 의한 배기구(140)의 개방 및 분사구(120)의 폐쇄, 팬(190)의 가동이 이루어지고,
    에어 샤워 모드(M2)에서는 제1 댐퍼(160)의 작동에 의한 흡기구(130)의 개방 및 급기구(150)의 폐쇄, 제2 댐퍼(170)의 작동에 의한 분사구(120)의 개방 및 배기구(140)의 폐쇄, 팬(190)의 가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샤워 모드(M2)는 센서를 통해 실외로부터 현관(10)내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44363A 2021-04-06 2021-04-06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Active KR10257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363A KR102576631B1 (ko) 2021-04-06 2021-04-06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363A KR102576631B1 (ko) 2021-04-06 2021-04-06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562A KR20220138562A (ko) 2022-10-13
KR102576631B1 true KR102576631B1 (ko) 2023-09-08

Family

ID=8359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363A Active KR102576631B1 (ko) 2021-04-06 2021-04-06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426B1 (ko) * 2023-11-07 2024-07-05 (주)대양이티에스 공동주택의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071A (ja) * 2003-05-09 2004-11-25 Inax Corp 2室暖房システム
KR200488804Y1 (ko) * 2017-12-05 2019-03-21 (주) 그렉스 가정용 외부 먼지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95A (ko) * 2016-04-04 2017-10-13 (주) 프렉코 드레스룸용 제습기
KR102208997B1 (ko) 2019-04-03 2021-01-28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071A (ja) * 2003-05-09 2004-11-25 Inax Corp 2室暖房システム
KR200488804Y1 (ko) * 2017-12-05 2019-03-21 (주) 그렉스 가정용 외부 먼지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562A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37762U (zh) 一种具有除湿和清洗功能的空气净化装置
CN107435964A (zh) 一种防止油烟逃逸的风幕系统
CN205747062U (zh) 一种防止油烟逃逸的风幕系统
CN104879838B (zh) 一种具有多种工作模式的空气处理器
CN107726467A (zh) 一种具有除螨功能的智能型空气净化器
KR101604777B1 (ko) 흡연부스
CN108443975A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5897261U (zh) 厨房空气净化系统
CN207716558U (zh) 一种带有自清洁功能的空气净化器
KR102576631B1 (ko)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CN208526171U (zh) 一种净化效果好的空气粉尘处理装置
CN205747212U (zh) 一种具有加湿作用的柜式空气净化器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CN108716730A (zh) 一种雨林自然生态过滤的立式新风系统净化器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CN209295222U (zh) 一种厨房室内空气净化系统
CN107184148A (zh) 吸尘器及其控制方法
CN108507110A (zh) 一种防霾净化窗
CN208555308U (zh) 一种风淋室的对流除尘装置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CN110456653B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家居装置
CN208059089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09317330U (zh) 一种烟尘净化一体机
CN107504531A (zh) 一种高效率的油烟机
KR20090071693A (ko)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