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612B1 -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5612B1 KR102575612B1 KR1020200124856A KR20200124856A KR102575612B1 KR 102575612 B1 KR102575612 B1 KR 102575612B1 KR 1020200124856 A KR1020200124856 A KR 1020200124856A KR 20200124856 A KR20200124856 A KR 20200124856A KR 102575612 B1 KR102575612 B1 KR 102575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hair
- black
- scalp
- extr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118 hair dy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3752 improving hair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4000090896 Nigell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6698 Nigell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4441 Prunus seroti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4000223977 Tuber melanospo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2777 Tuber melanospor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1412173 Rubus canescen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7215 black sesam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779 hair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08010076876 Kerat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2000011782 Kerat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14 cal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664 tensile strength of the hai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308 hair colo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102000010907 Cyclooxygen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10037462 Cyclooxyge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3972 Fibroblast growth factor 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385 Fibroblast growth factor 7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801007392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578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19530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321 erythema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037 cell 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 polyox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EQHJBNSCLWCAE-UHFFFAOYSA-N thymoquinone Chemical compound CC(C)C1=CC(=O)C(C)=CC1=O KEQHJBNSCLWC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2000015735 Beta-caten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60000903 Beta-cate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8914 Catenin bet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916173 Homo sapiens Catenin beta-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40844 Skin exfol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02100031181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23 RNA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29 RT q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4 cDNA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99 exfol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445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19 hair str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9 stop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4 viscosity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EYUIKBAABKQKQ-AFHBHXEDSA-N (+)-sesamin Chemical compound C1=C2OCOC2=CC([C@H]2OC[C@H]3[C@@H]2CO[C@@H]3C2=CC=C3OCOC3=C2)=C1 PEYUIKBAABKQKQ-AFHBHXEDSA-N 0.000 description 1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ZKSAVLVSZKNRD-UHFFFAOYSA-M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S1C(C)=C(C)N=C1[N+]1=NC(C=2C=CC=CC=2)=NN1C1=CC=CC=C1 AZKSAVLVSZKNR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198 Basidiomyc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928 Dys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IOFUWFRIANQPC-JKIFEVAISA-N Floxacillin Chemical compound N([C@@H]1C(N2[C@H](C(C)(C)S[C@@H]21)C(O)=O)=O)C(=O)C1=C(C)ON=C1C1=C(F)C=CC=C1Cl UIOFUWFRIANQPC-JKIFEVAI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70 Lipid metabolis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296 Prunus serot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USZGTFNYDARNI-UHFFFAOYSA-N Sesamol Natural products OC1=CC=C2OCOC2=C1 LUSZGTFNYDAR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2 Sof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89212 Tu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98 anagen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7 anthocya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0225 antihemorrhag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3 antimyco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1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78 catagen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18 desqua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EYUIKBAABKQKQ-UHFFFAOYSA-N epiasarinin Natural products C1=C2OCOC2=CC(C2OCC3C2COC3C2=CC=C3OCOC3=C2)=C1 PEYUIKBAABKQ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21 exogen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24 hair bright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00 hai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99 hair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74 hem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95 identification t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686 lign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08 lign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92 lign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65 lin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0145 linim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55 mann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01 mesenchymal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30 micr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140 morus nigra fruit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11 nigella sativ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927 pas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37 past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75 phyto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4 pigment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067 polydi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19 pore blockag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58 preventing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2 sequeste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RMHCMWQHAXTOR-CMOCDZPBSA-N sesamin Natural products C1=C2OCOC2=CC([C@@H]2OC[C@@]3(C)[C@H](C=4C=C5OCOC5=CC=4)OC[C@]32C)=C1 VRMHCMWQHAXTOR-CMOCDZPB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7 telogen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효능이 있고, 발모 촉진, 손상모발보호, 모발 인장 강도 등 다양한 두피, 모발 보호 효능이 있으며, 아울러 염모 지속력, 새치 커버능 또한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효능이 있고, 발모 촉진, 손상모발보호, 모발 인장 강도 등 다양한 두피, 모발 보호 효능이 있으며, 아울러 염모 지속력, 새치 커버능 또한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신체적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듦에 따라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와 마찬가지로 두피, 모발에도 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인간의 머리에는 보통 평균적으로 100,000개의 성모가 있으며, 이들은 생장기 (anagen), 퇴행기 (catagen), 휴지기 (telogen), 탈모기(exogen)의 주기적인 변화를 하면서 생성, 소멸을 반복한다. 머리카락은 하루에 80∼100개 정도가 정상적으로 빠지며 빠진 자리에는 새로운 모발이 형성되게 된다. 탈모란 머리카락이 새로 나는 숫자보다 빠지는 숫자가 많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탈모의 원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유전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노화에 의한 두피 세포의 퇴화, 모근에 공급되는 영양소의 부족, 두피 지방질 과다로 인한 산소공급 부족,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두피 질환에 의한 염증과 모공 폐쇄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노화에 따라 호르몬 변화가 생기면서 머리카락의 굵기가 가늘어지고, 피지 생성을 감소시켜서 모발이 푸석푸석해질 수 있고, 모근의 색소 세포를 줄어들게 하여 흰머리를 만든다. 이와 같이 탈모 현상이나 흰머리의 생성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증상으로 인식되나 최근 현대인들의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수면부족, 과로,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유아, 청소년 등 불특정 다수에게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머리카락은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태양광선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뿐 아니라 미적, 이성적인 매력을 제공해 준다. 탈모와 흰머리는 미관상 좋지 않고, 외모도 경쟁력으로 인식되는 현대인들에게는 자신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모발 관련 문제는 무엇보다 두피 건강이 중요하다. 따라서 두피의 자극과 염증을 감소시켜, 두피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여 탈모를 방지할 뿐 아니라 흰머리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자극 완화 효능이 있는 두피 건강 증진용 모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보호, 두피 보습, 두피 진정, 두피 각질 관리 등 두피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상기 방법에 따른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보호, 특히, 손상 모발 보호 또는 개선을 위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발색 증진, 새치 커버, 염모 지속력 증진 등을 포함하는 염모용 조성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목적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또는 블랙체리열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 및 갈릭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유효성분은 다음을 포함한다:
(1) 검은깨추출물(Sesamum Indicum (Sesame) Seed Extract)
검은깨(Sesamum Indicum)는 모발 강화에 도움을 주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고, 리그난 성분인 세사민, 세사몰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뛰어난 항산화 효과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있다.
(2)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Morus Nigra Fruit Extract)
검은뽕나무(Morus Nigra)는 다른 멀베리 종류에 비해 수용성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노화 방지, 콜레스테롤 감소, 항산화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타민 C와 단백질, 섬유질, 철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로 해소, 감기 예방, 피부 미용, 변비 예방, 빈혈 완화 등에도 도움을 준다.
(3) 검은서양송로추출물(Tuber Melanosporum Extract)
담자균류에 속하는 송로(알버섯)와는 전혀 다른 버섯이며 한국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주로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지의 떡갈나무 숲 땅속에 자실체를 형성하며 지상에서는 발견하기 힘들다. 나무뿌리 근처의 땅속에서 8~30cm 정도로 자라며 나뭇가지가 뻗어 있는 둘레를 지나서는 결코 볼 수 없다.
(4) 블랙커민씨추출물(Nigella Sativa Seed Extract)
블랙커민씨의 티모퀴논 성분은 '천연 항염제' 역할을 한다. 티모퀴논은 다양한 염증성 화학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 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을 제거한다. 염증 매개체인 IL1·IL6와 염증을 일으키는 체내 COX-2(사이클로옥시게나제-2) 효소를 억제해 염증을 예방한다.
(5) 블랙체리열매추출물(Prunus Serotina (Wild Cherry) Fruit Extract)
블랙체리는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골다공증, 빈혈에 좋고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있다.
(6) 갈릭산(Gallic Acid)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탄닌이 가수분해 되어 생기며, 식물의 각 부분에 널리 유리상태로 존재한다. 몰식자산이라고도 불리며 사진의 염료, 청색 잉크의 제조 외에는 지혈제로 쓰인다.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비만, 항산화, 고혈압, 항균, 항염, 혈당 조절, 이상지혈증, 간기능 보호 등 굉장히 많은 효능이 밝혀져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함유하는 경우, 함량에 특별한 제한없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 항염 효능, 발모 촉진, 손상 모발 보호, 모발 인장 강도 증진, 두피 보습, 두피 각질 제거, 새치 커버, 염모 지속력, 두피 진정 등의 효능을 가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 또는 "함유하는"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발현하기 위한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을 함유한 조성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증진의 효과가 있음을 통해 항산화 효능, COX-2 발현 감소에 따른 항염증 효과, 발모 개선 효과, 손상 모발 보호, 모발 인장 강도 개선, 두피 보습, 두피 각질 감소, 새치 커버능, 염모 지속력 증진, 두피 홍반량 감소 확인을 통한 두피 진정 등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이들 유효성분의 둘 이상의 조합이 효능을 가짐을 확인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들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 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갈릭산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기술분야에 속한 다양한 방법 또는 용매를 통해 수득할 수 있고, 실시예에 제시된 열수추출물 만으로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일 예로써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피하, 정맥, 근육,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적용 분야 또한 의약품, 의약외품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효능이 있고, 발모 촉진, 손상모발보호, 모발 인장 강도 등 다양한 두피, 모발 보호 효능이 있으며, 아울러 염모 지속력, 새치 커버능 또한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손상 모발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후 시험대상자의 모발 표면을 촬영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 인장 강도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보습력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각질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후, 두피 부위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 색상 밝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후, 모발 촬영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모 지속력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홍반량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후 두피 촬영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후 시험대상자의 모발 표면을 촬영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 인장 강도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보습력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각질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후, 두피 부위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 색상 밝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후, 모발 촬영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모 지속력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홍반량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후 두피 촬영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검은깨 250g, 검은뽕나무열매 50g, 검은서양송로 50g, 블랙커민씨 50g 및 블랙체리열매 250g을 정제수에 충분히 세척한 후 각각 20L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6~8시간, 65~90℃로 감압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각각의 열수 추출물과 갈릭산을 하기의 조성비와 같이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모유두세포 내 무자극 효과 확인 시험
먼저 실시예 1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모유두세포에서 처리 농도 별 독성에 의한 자극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하는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10 % FBS(Fetal Bovine Serum), 1 % Antibiotic-Antimycotic이 함유된 MSCM(Mesenchymal Stem Cell Medium)과 함께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5 % CO2, 37℃의 조건인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정제수를 첨가한 대조군과 시험물질인 조성물을 최종 1, 5, 10 %인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어 5 mg/mL MTT(3-(4, 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well에 4 μL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반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 100 μL씩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 10 % 농도별 처리 시 대조군 대비 세포생존률이 모두 100 % 이상으로 피부세포 내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모유두세포의 증식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모유두세포에 자극의 유발 가능성이 낮고 무해하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부터 항산화 효과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생성의 억제로 인한 항산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DPPH assay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탄올 400 μL에 0.1 mM DPPH 용액 500 μL와 대조군 및 시험물질인 조성물을 100 μL씩 첨가하였다. 각 시료들을 혼합한 후 실온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농도별 처리 시 대조군 대비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COX-2 발현 감소에 따른 항염증 효과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양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HaCaT 세포를 96-well plate에 분주한 후,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UVB 조사를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대조군과 시험물질인 조성물을 세포에 처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COX-2의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 법을 수행하였으며, 그 시험 순서는 다음과 같다.
RNA isolation과 cDNA합성을 위해 SuperPrep™celllysis&RTKitforqPCR(TOYOBO,Cat.SCQ-101)을 사용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한 번 세척하고, 50 μL cell lysis mixture 를 넣고 5분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을 첨가하였다. RT reaction mixture 32 μL에 앞서 추출한 lysate 8 μL를 첨가하고 PCR을 이용하여 37 ℃ 15분, 50 ℃ 5분, 95 ℃ 5분 조건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합성한 cDNA를 template로 하고, Thunderbird™SYBRqPCRMix(TOYOBO,Cat.QPS-201)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primer는 Qiagen사의 QuantiTect primer assays (GAPDH; Cat. QT01192646, COX-2; Cat. QT00040586)이며 시료의 COX-2 mRNA 발현량은 GADPH로 정량하였다. Real-time qPCR 조건은 먼저 95 ℃ 1분 반응 후, 1 사이클 당 94 ℃ 15초, 60 ℃ 30초, 72 ℃ 30초로 하여 총 40 사이클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농도별 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UVB 처리) 대비 COX-2의 mRNA 발현양이 감소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모유두세포 내 발모 개선 관련 유전자 확인 시험
실시예 1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발모 개선 효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CTNNB1(β-Catenin), KGF(Keratinocyte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유전자 발현양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를 96-well plate에 분주한 후,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대조군과 시험물질인 조성물을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β-Catenin, KGF, VEGF의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 법을 수행하였으며, 그 시험 순서는 다음과 같다.
RNA isolation과 cDNA합성을 위해 SuperPrepTMcelllysis&RTKitforqPCR(TOYOBO,Cat.SCQ-101)을 사용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한 번 세척하고, 50 μL cell lysis mixture를 넣고 5분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을 첨가하였다. RT reaction mixture 32 μL에 앞서 추출한 lysate 8 μL를 첨가하고 PCR을 이용하여 37 ℃ 15분, 50 ℃ 5분, 95 ℃ 5분 조건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합성한 cDNA를 template로 하고, ThunderbirdTMSYBRqPCRMix(TOYOBO,Cat.QPS-201)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primer는 Qiagen사의 QuantiTect primer assays (GAPDH; Cat. QT01192646, β-Catenin; QT00057134, KGF; Cat. QT01194676, VEGF; Cat. QT00013783)이며 시료의 CTNNB1, KGF, VEGF mRNA 발현양은 GADPH로 정량하였다. Real-time qPCR 조건은 먼저 95 ℃ 1분 반응 후, 1 사이클 당 94 ℃ 15초, 60 ℃ 30초, 72 ℃ 30초로 하여 총 40 사이클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농도별 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CTNNB1, KGF, VEGF의 유전자 발현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발모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손상 모발 보호 확인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손상 모발 보호 측정은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표 6) 사용 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시험대상자의 모발을 채취한 후 표면을 촬영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이 함유된 샴푸 사용 후 손상 모발 보호 측정 결과, 모발 손상도 육안평가 점수가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4주 후 각각 2.6, 11.0 % 감소하였다 (도 1 및 도 2).
실험예 6: 모발 인장강도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 인장 강도 측정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시험대상자의 모발을 채취한 후 Neo-TRIBO(FCMS17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 사용 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모발 강도(모발이 끊어지기 직전의 최대 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씩 진행하였고, 3회 측정한 평균 값을 모발 인장 강도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인장 강도의 단위는 N이며, 측정 값과 모발 인장 강도 정도는 비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이 함유된 샴푸 사용 후 모발 인장 강도 측정 결과, 모발 인장 강도 측정 값이 샴푸 사용 전에 비해 샴푸 사용 2, 4주 후 각각 4.7, 10.6 % 증가하였다 (도 3).
실험예 7: 두피 보습력 확인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보습력 측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두피 보습력 측정은 Corneometer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의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두피 부위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두치 보습력 평가 자료료 사용하였다. 측정된 두피 수분 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측정 값과 두피 수분 함유량은 비례한다.
샴푸 사용 후 두피 보습력 측정 결과, 두피 수분 함유량 측정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각각 32, 20, 24 % 증가하였다(도 4).
실험예 8: 두피각질개선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각질개선력 측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두피 각질 측정은 접착력이 있는 특수 테이프인 Corneofix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두피 부위의 각질을 채취하여 Visioscan VC98로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의 평균 각질 지수 (D.I: Desquamation Index)를 각질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고, 측정된 각질 분석 값의 단위는 %이다. 분석값과 두피 각질은 비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 사용 후 두피 각질 측정 결과, 두피 각질 분석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직후, 사용 2주 후 및 4주 후 각각 17, 21 14 % 감소하였다(도 5).
실험예 9: 새치커버력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새치커버력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인모 다발에서 10회 샴푸 새치 커버력 측정은 Chromameter CR400을 사용하여 시험 제품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5회 후 및 사용 10회 후 새치모의 밝기(L value)를 측정하였다.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새치 커버력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변수는 L value 값으로 측정 값과 모발 색상의 밝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감소할수록 새치 커버력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 사용 후 인모 다발에서 10회 샴푸 새치 커버력 측정 결과, 새치모의 모발 밝기 측정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직후, 5회 후 및 10회 후 각각 7.5, 12.2, 18.5 % 감소하였다(도 6 및 도 7).
실험예 10: 염모지속력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모지속력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인모 다발에서 10회 (일반 샴푸)세정 후 염모 지속력 측정은 고해상도 디지털카메카(DSLR)를 사용하여 인모 다발을 사진 촬영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 사용 전과 샴푸를 10회 사용한 후 샴푸 염모력을 일반 샴푸와 비교하여 염모지속력을 확인하였다.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부석 프로그램인 Image pro plus로 모발의 일정 부위를 지정하여 Intensity 값을 분석하였다. Intensity 분석값과 모발 색상 정도는 비례하므로 Intensity 값이 낮게 유지될수록 염모 지속력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 사용 후 인모 다발에서 10회 (일반 샴푸) 세정 후 염모 지속력 측정 결과, 모발의 Intensity 분석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10회 후 44% 및 일반 샴푸 1회, 5회, 10회 세정 후 각각 42, 42, 41 %모두 감소하였다 (도 8 및 도 9).
실험예 11: 두피 진정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두피 진정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두피(붉은기) 진정 측정은 Mexameter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샴푸 사용 전, 샴푸 사용 2주 후 두피 부위의 홍반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홍반량의 단뒤는 E.I(Erythema index)이며 3회 측정한 평균 값을 두피(붉은기) 진정 효과 평가 자료료 사용하였다. 측정 값과 두피 홍반량은 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낮아질수록 두피(붉은기) 진정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 사용 후 두피(붉은기) 진정 측정 결과, 두피 홍반량 측정 값이 샴푸 사용 전에 비해 샴푸 사용 2주 후 14.6 % 감소하였다 (도 10 및 도 1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블랙체리열매추출물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염증 완화를 위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관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보습, 두피 각질 개선 또는 두피 진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관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 모발 보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새치 커버를 위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모 지속력 증진을 위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삭제
- 검은깨추출물, 검은뽕나무열매추출물, 검은서양송로추출물, 블랙커민씨추출물, 또는 블랙체리열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 및 갈릭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856A KR102575612B1 (ko) | 2020-09-24 | 2020-09-24 |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856A KR102575612B1 (ko) | 2020-09-24 | 2020-09-24 |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0959A KR20220040959A (ko) | 2022-03-31 |
KR102575612B1 true KR102575612B1 (ko) | 2023-09-06 |
Family
ID=8093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856A Active KR102575612B1 (ko) | 2020-09-24 | 2020-09-24 |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56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737B1 (ko) * | 2022-08-12 | 2023-09-07 | 주식회사 신도피앤지 | 이온결합에 의해 착색효과를 향상시킨 모발 염색 및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
CN115645313B (zh) * | 2022-09-27 | 2023-10-27 | 苏州猫尔科技有限公司 | 一种发丝修护组合物及其应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855B1 (ko) * | 2006-10-26 | 2007-06-14 | 광덕신약 주식회사 |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WO2014173635A1 (en) * | 2013-04-23 | 2014-10-30 | Unilever N.V. | A topical composition for hair growth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4718A (ko) * | 2001-05-02 | 2002-11-11 | 박의석 | 발모촉진과 탈모 예방 및 두피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헤어토닉의 제조 방법 |
US8962041B2 (en) | 2013-02-12 | 2015-02-24 |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hair quality using blackberry extract |
-
2020
- 2020-09-24 KR KR1020200124856A patent/KR1025756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855B1 (ko) * | 2006-10-26 | 2007-06-14 | 광덕신약 주식회사 |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WO2014173635A1 (en) * | 2013-04-23 | 2014-10-30 | Unilever N.V. | A topical composition for hair growth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손상모케어 리즈케이 알블랙 샴푸 &헤어에센스로 해요!, 네이버 블로그(2020.09.09.) 1부.* |
컬러 쉴드 샴푸 손상모발과 염색을 자주하는 헤어에 딱!, 네이버 블로그(2019.09.2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0959A (ko) | 2022-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75103B2 (ja) |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 |
EP3203981B1 (fr) | Activite deglycation d'une combinaison d'un extrait de salvia miltiorrhiza et de niacine et/ou de niacinamide | |
US20140356468A1 (en) |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 |
EP3618802B1 (fr) | Utilisation d'un extrait de nephelium lappaceum pour augmenter la fermeté de la peau et/ou des muqueuses | |
KR20130088912A (ko) |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WO2012172199A1 (fr) |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 |
KR102575612B1 (ko) |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 |
KR102311987B1 (ko) |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29343B1 (ko) |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EP3541478B1 (fr) | Utilisation cosmétique, nutraceutique ou pharmaceutique préférentiellement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feuilles de la plante lansium domesticum pour diminuer la pigmentation de la peu et/ou des annexes cutanées | |
EP1877034B1 (fr) | Utilisation de polyphenols de cacao pour la regulation du cycle cellulaire dans le traitement des hyperkeratinisations | |
WO2020127888A2 (en) | Urban darkening skin composition and formulation | |
KR102126840B1 (ko) | 무궁화 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무궁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조성물 | |
US20080081085A1 (en) | Herbal composition for maintaining/caring the skin around the eye,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 |
KR101541470B1 (ko) |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
EP3801778B1 (fr) | Utilisation d'un extrait de bixa orellana | |
KR102056620B1 (ko) |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FR3091162A1 (fr) | Utilisation cosmétique et/ou nutraceutique d'un extrait d'écorce d'Eperua falcata | |
KR20230140853A (ko) |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 |
EP2699227B1 (fr) | Complexe d'extraits végétaux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 |
EP4009940B1 (fr) | Nouvelle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epilobium angustifolium | |
JPH08268863A (ja) | チロシナーゼ生合成促進剤及び頭髪用化粧料並びに日焼け用化粧料 | |
KR102467403B1 (ko)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76799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 함유 피부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 |
EP2811977B1 (fr) | Utilisation d'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