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53353B1 -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53B1
KR102553353B1 KR1020210104151A KR20210104151A KR102553353B1 KR 102553353 B1 KR102553353 B1 KR 102553353B1 KR 1020210104151 A KR1020210104151 A KR 1020210104151A KR 20210104151 A KR20210104151 A KR 20210104151A KR 102553353 B1 KR102553353 B1 KR 10255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connecting bar
glove box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028A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53B1/ko
Priority to DE202022104455.4U priority patent/DE202022104455U1/de
Priority to US17/881,857 priority patent/US12103498B2/en
Priority to CN202222076411.1U priority patent/CN218085316U/zh
Publication of KR2023002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horizontal swinging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상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을 갖는 커버와, 개방된 일면이 커버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커버의 개방된 정면을 기 설정된 회전 궤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측 양단과 커버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의 회전 궤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송 링크, 및 이송 링크의 회전력을 보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GLOVEBOX}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글로브 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에 위치하는 대시보드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탑승자(운전자, 동승자, 사용자 등 포괄)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사물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는 보통 힌지 축을 갖는 회전 타입과, 슬라이딩 타입 및 리드(Lid) 타입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 타입을 갖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하우징의 깊이가 깊을수록 하우징의 후방 상부 모서리가 대시보드의 내측 상면에 부딪힐 수 있기에, 안쪽에 유휴공간(unused and misused space)이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안쪽의 유휴공간을 다 사용할 수 있지만, 구조상 하우징을 인출할 때마다 탑승자의 무릎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인출량 제한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
리드 타입을 갖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하우징 자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우징의 안쪽에 물품을 넣거나 뺄 때 불편할 수 있다.
결국 다양한 형태를 갖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각 형태에 따라 부분적으로 단점이 존재하므로, 기존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조적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수납공간을 극대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상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을 갖는 커버; 개방된 일면이 커버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커버의 개방된 정면을 기 설정된 회전 궤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 양단과 커버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의 회전 궤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송 링크; 및 이송 링크의 회전력을 보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송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홀상에서 이송이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한다.
스토퍼는 하우징이 개방될 시, 하우징의 좌우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도록 가이드 홀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에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한 안착 돌기를 구비한다.
안착 돌기는 충격 완화가 가능한 연질의 고무 재질 혹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돌기는 스토퍼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 홀의 안착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송 링크는 커버의 내측 하부와 하우징의 외측 상부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채로 상호 수평한 위치에 지지점을 갖는 제1, 2 링크부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는 제1 커넥팅 바; 제1 커넥팅 바의 일단과 커버의 내측 하부를 연결하는 제1 힌지 축; 제1 커넥팅 바의 타단과 하우징의 외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1 가동 축; 및 제1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상에 돌출되어 제1 커넥팅 바를 탄성부재의 일단과 연결하는 링크 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제2 링크부는 제1 커넥팅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커넥팅 바; 제1 힌지 축과 이격된 채로 수평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커넥팅 바의 일단과 커버의 내측 하부를 연결하는 제2 힌지 축; 및 제2 커넥팅 바의 타단과 하우징의 외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가동 축을 포함한다.
제2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 양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중앙부에는 스토퍼가 돌출된다.
커버의 측벽상에는 탄성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커버 고정 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상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을 갖는 커버; 개방된 일면이 커버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커버의 개방된 정면을 기 설정된 회전 궤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 양단과 커버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의 회전 궤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송 링크; 및 이송 링크는 가이드 홀상에서 이송이 가능하며 하우징의 개방 회전 각도 제어가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한다.
스토퍼는 하우징이 개방될 시, 하우징의 좌우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도록 가이드 홀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에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한 안착 돌기를 구비한다.
커버와 하우징 간에 연결되어 하우징을 상기 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잠그는 락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로브 박스는 다양한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수납공간을 극대화하고 개선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글로브 박스는 기존에 비해 향상된 품질을 제공하고, 나아가 구조적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글로브 박스에서 측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글로브 박스에서 측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개폐 보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개폐 보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표시된 A의 부분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23은 도 21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25 및 도 26은 제7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글로브 박스(1000)는 대시보드상에서 보조석 방향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글로브 박스(1000)는 커버(1100), 하우징(1200), 이송 링크(1300), 락킹부재(1400) 및 탄성부재(1500)를 포함한다.
커버(110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서 빈 공간을 갖는다. 즉, 커버(1100)는 상면과 양측면 및 후면이 밀폐되어 있다. 이때, 커버(1100)는 양측면에 벽면을 이루는 측벽(1110)을 구비한다. 측벽(1110)에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1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200)은 커버(1100)의 빈 공간상에서 개방된 일면이 덮인 상태로 위치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다. 하우징(1200)은 기 설정된 이송 궤도를 통해 커버(1100)의 개방된 정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송 궤도란 커버(1100)의 측벽(1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1111)을 따라 회전하는 하우징(1200)의 이송 경로를 의미한다.
이송 링크(1300)는 하우징(1200)의 외측 양단과 커버(1100)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200)의 이송 궤도를 제공한다.
이송 링크(1300)는 하우징(120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송 링크(1300)는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의 일단(지지점)은 커버(1100)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의 타단은 하우징(1200)의 외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있으며, 제1 링크부(1310)의 일단과 제2 링크부(1320)의 일단은 상호 수평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제1 링크부(1310)의 타단과 제2 링크부(1320)의 타단은 후술될 제1, 2 커넥팅 바(1311, 1321)의 길이가 동일해도 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수평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는 상호 장착 각도가 달라서, 하우징(1200)의 오픈(개방)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건의 수납 및 인출 등이 쉬울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크부(1310)와 제2 링크부(1320)는 지지점을 커버(1100)의 하단부에 배치하고, 락킹부재(1400)를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잠금 상태에서의 하우징(1200)의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제1 링크부(1310)는 제1 커넥팅 바(1311), 제1 힌지 축(1312), 제1 가동 축(1313) 및 링크 고정 돌기(131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팅 바(1311)는 직선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 축(1312)은 제1 커넥팅 바(1311)의 일단과 커버(1100)의 내측 하부를 연결한다.
제1 가동 축(1313)은 제1 커넥팅 바(1311)의 타단과 하우징(1200)의 외측 상부를 연결한다.
제2 링크부(1320)는 제2 커넥팅 바(1321), 제2 힌지 축(1322), 제2 가동 축(1323) 및 가이드 돌기(1324)를 포함한다.
제2 커넥팅 바(1321)는 제1 커넥팅 바(1311)와 상이한 각도로 장착되어 회동한다. 예컨대, 제1 커넥팅 바(1311)의 장착 각도(α)와, 제2 커넥팅 바(1321)의 장착 각도(β)는 상이하고, 제1 커넥팅 바(1311)의 직선 길이(L1)와 제2 커넥팅 바(1321)의 직선 길이(L2)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의 이송 링크(1300)는, 후방의 유휴공간(unused and misused space)을 유효공간(effective space)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하우징(1200)의 오픈 회전 각도(γ)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물품의 수납 및/또는 인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커넥팅 바(1321)는 길이 방향 양단 사이에 후방으로 연장된 중앙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부에는 가이드 돌기(1324)가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1324)는 커버(1100)의 측벽(1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1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 축(1322)은 제1 힌지 축(1312)과 이격된 채로 수평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힌지 축(1322)은 제2 커넥팅 바(1321)의 일단과 커버(1100)의 내측 하부를 연결한다.
제2 가동 축(1323)은 제2 커넥팅 바(1321)의 타단과 하우징(1200)의 외측 상부를 연결한다.
락킹부재(1400)는 커버(1100)와 하우징(1200) 간에 연결되어 하우징(1200)을 커버(1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500)는 이송 링크(1300)의 회전력을 보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탄성부재(1500)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이송 링크(1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커버(110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500)의 일단은 커버(1100)의 측벽(1110) 내측에 돌출된 커버 고정 돌기(1112)에 결합된다. 즉, 커버 고정 돌기(1112)는 커버(1100)의 일면으로부터 이송 링크(13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된다.
탄성부재(1500)의 타단은 제1 커넥팅 바(1311)의 중앙부에 돌출된 링크 고정 돌기(1314)와 결합된다. 여기서, 링크 고정 돌기(1314)는 제1 커넥팅 바(1311)의 일면으로부터 커버(1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된다.
탄성부재(1500)는 하우징(1200)을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회전시킬 때, 탄성력을 이용해 탑승자로 하여금 적은 힘으로 하우징(120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1 힌지 축(1312)과 커버 고정 돌기(1112)를 잇는 가상선(1510)의 상부에 링크 고정 돌기(1314)가 위치할 경우, 하우징(1200)이 닫히는 과정 중에 탄성부재(1500)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멀어지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반대로, 제1 힌지 축(1312)과 커버 고정 돌기(1112)를 잇는 가상선(1510)의 하부에 링크 고정 돌기(1314)가 위치할 경우, 하우징(1200)이 개방되는 과정 중에 탄성부재(1500)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탄성부재(1500)는 탑승자로 하여금 하우징(1200)을 커버(1100)로부터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링크 고정 돌기(1314)와 가상선(1510)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1200)이 닫힌 상태일 때보다 열린 상태일 때 비교적 거리가 가깝다.
예를 들면, 탑승자는 하우징(1200)을 개방된 상태에서 닫을 때, 하우징(1200)을 링크 고정 돌기(1314)와 가상선(1510) 사이의 짧은 거리만큼만 들어 올린다. 이를 통해, 링크 고정 돌기(1314)가 가상선(1510)의 상부로 이동되고, 하우징(1200)은 탄성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커버(1100)를 폐쇄한다.
이와 반대로, 탑승자가 하우징(1200)이 닫힌 상태에서 하우징(1200)을 개방할 때, 링크 고정 돌기(1314)는 가상선(1510)의 하부로 이동되고, 하우징(1200)은 탄성부재(1500)에 의해 회전력이 감쇄되어 안전하게 커버(1100)를 개방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글로브 박스(10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글로브 박스(1000)는 하우징(1200)이 직선 및 회전 이동하며 커버(1100)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1200)은 이송 링크(1300)의 제1 힌지 축(1312)과 제2 힌지 축(1322)을 기준으로 가이드 홀(1111)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궤도를 갖는다.
이때, 제1, 2 가동 축(1313, 1323)은 하우징(120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커넥팅 바(1311)의 장착 각도(α)와 제2 커넥팅 바(1321)의 장착 각도(β)가 상이하고, 제1 커넥팅 바(1311)의 직선 길이(L1)와 제2 커넥팅 바(1321)의 직선 길이(L2)가 같거나 다를 경우, 글로브 박스(1000)는 하우징(1200)의 오픈 회전 각도(γ)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물품의 수납 및/또는 인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제1, 2 커넥팅 바(1311, 1321)의 장착 각도(α, β)와 각각의 직선 길이(L1, L2) 조건마다 하우징(1200)의 오픈 회전 각도(γ)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 상황에 맞게 해당 조건을 달리 적용하면 원하는 오픈 회전 각도(γ)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변경을 통해, 글로브 박스(1000)는 하우징(1200)의 돌출 길이(L3)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커넥팅 바(1321)의 장착 각도(β)를 제1 커넥팅 바(1311)의 장착 각도(α)보다 크게 하면 하우징(1200)의 오픈 회전 각도(γ)가 커질 수 있다.
상대적인 각도 크기를 떠나 제1, 2 커넥팅 바(1311, 1321)의 장착 각도(α, β)가 커질수록 하우징(1200)의 오픈 회전 각도(γ)는 커진다.
따라서, 착좌 상태인 탑승자의 무릎 걸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납 진입 범위를 넓히려면 위와 같이 제1, 2 커넥팅 바(1311, 1321)의 장착 각도(α, β)를 크게 하면 가능하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수납공간이 하방으로 쏠리면 하우징(1200)에 수납된 물품이 오픈 시 한꺼번에 쏟아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 조치의 일환 중 하나인 제2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실시예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2000)는 전술한 글로브 박스(1000)와는 다른 조건에서의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다.
특히, 제2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2000)는 하우징(2200)이 하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0도(degree)에 수렴하는 수평 각도의 개방 구조를 갖는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글로브 박스(1000)와의 중복된 구성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중복되는 구성을 기재할 수도 있다.
제1 커넥팅 바(2311)와 제2 커넥팅 바(2321)는 서로 동일한 길이와 각도로 장착되어 회동한다.
예컨대, 제1 커넥팅 바(2311)의 장착 각도(α')와 제2 커넥팅 바(2321)의 장착 각도(β')가 동일하고, 제1 커넥팅 바(2311)의 직선 길이(L1')와 제2 커넥팅 바(2321)의 직선 길이(L2')가 같은 조건일 경우, 글로브 박스(2000)는 후방의 유휴공간(unused and misused space)을 유효공간(effective space)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하우징(2200)이 상하 회전 없이 수평 각도로 전방(탑승자 방향)으로 하강하며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글로브 박스(2000)는 하우징(2200)이 회전 없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4)만큼 돌출되기 때문에, 탑승자가 수납공간에서 물품을 꺼낼 때 하우징(2200)을 개방하면 해당 물품이 아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다.
하우징(2200)은 이송 링크(2300)의 지지점을 커버(2100)의 하단부에 배치하고, 락킹부재(2400)를 커버(2100)와의 사이인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지지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글로브 박스(20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글로브 박스(2000)는 제1, 2 링크부(2310, 2320)의 제1, 2 커넥팅 바(2311, 2321)가 상호 장착 각도 및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하우징(2200)이 수평 방향으로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하우징(2200)은 이송 링크(2300)의 제1 힌지 축(2312)과 제2 힌지 축(2322)을 기준으로 가이드 홀(2111)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궤도를 갖는다.
제1, 2 가동 축(2313, 2323)은 하우징(120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호 동일한 높이에 위치함에 따라 회전을 하더라도 하우징(2200)의 일단이 하부로 쏠리지 않는다.
즉, 하우징(2200)은 가이드 홀(2111)을 따라 회전할 시, 초기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전방으로 하강하지만 전방 측이 아래로 쏠리지 않고 수평 형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글로브 박스(2000)는 하우징(1200)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적 메커니즘을 가짐에 따라, 수납공간이 하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제1 커넥팅 바(2311)의 장착 각도(α')와, 제2 커넥팅 바(2321)의 장착 각도(β') 및 제1 커넥팅 바(2311)의 직선 길이(L1')와 제2 커넥팅 바(2321)의 직선 길이(L2')는 동일하다.
이 경우, 글로브 박스(2000)는 하우징(2200)의 오픈 회전 없이 효과적으로 수납공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물품의 수납 및/또는 인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2200)과 커버(2100) 사이에서 장착되는 제1 커넥팅 바(2311)와 제2 커넥팅 바(2321)가 상호 동일한 각도 및 길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우징(2200)은 개방 시 하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로브 박스(2000)는 하우징(2200)의 돌출 길이(L4)를 최소화하여 착좌 상태인 탑승자의 무릎 걸림을 방지한다.
제3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3000)는 하우징(3200)의 수납공간 개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송 링크(3300)의 제1 커넥팅 바(3311)와 제2 커넥팅 바(3321)가 상대적으로 긴 직선의 바(bar)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커버(3100)는 상면과 양측면 및 후면이 밀폐되어 있다. 이때, 커버(3100)는 양측면에 벽면을 이루는 측벽(3110)을 구비한다. 측벽(3110)에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3111)이 형성된다.
이송 링크(3300)는 하우징(3200)의 외측 양단과 커버(3100)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3200)의 이송 궤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송 링크(3300)는 하우징(320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송 링크(3300)는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의 일단은 커버(310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 타단은 하우징(3200)의 외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있다.
제1 링크부(3310)의 일단과 제2 링크부(3320)의 일단은 상호 수평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는 상호 장착 각도가 달라서, 하우징(3200)의 오픈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건의 수납 및 인출 등이 쉬울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크부(3310)와 제2 링크부(3320)는 지지점을 커버(3100)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락킹부재(3400)를 수평 위치에 배치한다.
제1 링크부(3310)는 제1 커넥팅 바(3311), 제1 힌지 축(3312), 제1 가동 축(3313) 및 가이드 돌기(331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팅 바(3311)는 직선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 축(3312)은 제1 커넥팅 바(3311)의 일단과 커버(310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한다.
제1 가동 축(3313)은 제1 커넥팅 바(3311)의 타단과 하우징(3200)의 외측 하부를 연결한다.
가이드 돌기(3324)는 제1 커넥팅 바(3311)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3324)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제1 커넥팅 바(3311)와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3324)는 가이드 홀(3111)에 연결된 채로 노출되어 제1 커넥팅 바(3311)의 회전을 보조한다.
제2 링크부(3320)는 제2 커넥팅 바(3321), 제2 힌지 축(3322) 및 제2 가동 축(3323)을 포함한다.
제2 커넥팅 바(3321)는 제2 힌지 축(3322)에 의해 커버(3100)의 상단 지지점에 일단이 연결된다.
제2 커넥팅 바(3321)의 하단은 제2 가동 축(3323)에 의해 하우징(3200)의 하단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커넥팅 바(3311)의 장착 각도와 제2 커넥팅 바(3321)의 장착 각도는 상이하고, 제1 커넥팅 바(3311)의 직선 길이와 제2 커넥팅 바(3321)의 직선 길이도 상이하다.
기본적으로 제1 커넥팅 바(3311)와 제2 커넥팅 바(3321)의 장착 각도는 약 45도(degree)를 상회하는 예각 범위이고, 그 각각의 직선 길이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길기 때문에 하우징(3200)의 오픈 회전 각도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클 수 있다.
또한, 제1, 2 커넥팅 바(3311, 3321)는 그 각각의 지지점이 커버(3100)의 측면 하단이 아닌 측면 상단에 위치하고, 가이드 홀(3111)의 범위 내에서 하우징(3200)이 이송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즉, 제1 커넥팅 바(3311)의 가이드 돌기(3314)가 하우징(3200)이 폐쇄된 상태인 가이드 홀(3111)의 시작점에서, 하우징(3200)이 개방된 상태인 가이드 홀(3111)의 끝점으로 갈수록, 제1, 2 커넥팅 바(3311, 3321)의 장착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제1, 2 커넥팅 바(3311, 3321)는 일정 지점까지 평평한 장착 각도를 유지하다가 가이드 돌기(3314)에 가이드 홀(3111)의 끝점에 다다를 때 하우징(3200)의 오픈 회전 각도를 급격히 증대하는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장착 각도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도, 글로브 박스(3000)는 하우징(3200)의 오픈 회전 각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물품의 수납 및/또는 인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힌지 축(3322)은 제1 힌지 축(3312)과 이격된 채로 수평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커넥팅 바(3321)의 일단과 커버(310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한다.
제2 가동 축(3323)은 제1 가동 축(3313)과 이격된 채로 제2 커넥팅 바(3321)의 타단과 하우징(3200)의 외측 하부를 연결한다.
글로브 박스(3000)는 제1 링크부(3300)의 회전을 유도하는 개폐 보조부(33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보조부(3330)는 이송 링크(3300)의 회전력을 보정하여 하우징(3200)의 개폐를 원활하게 돕는다.
예컨대, 개폐 보조부(3330)는 하우징(3200)의 개방 회전력을 감쇄하고, 하우징(3200)의 폐쇄 회전력을 증폭시킨다.
즉, 하우징(3200)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급격히 개방 속도가 빨라져 수납공간 내 물품이 쏟아질 수 있기 때문에, 개폐 보조부(3330)는 하우징(3200)의 개방 회전력을 감쇄한다.
이를 통해 개폐 보조부(3330)는 하우징(3200)의 수납공간 내 물품이 아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3200)이 폐쇄되는 과정에서, 개폐 보조부(3330)는 이송 링크(3300)의 회전력에 도움을 줘 하우징(3200)이 원활하게 초기 위치로 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개폐 보조부(3330)는 케이스(3331), 캠(3332), 지지 로드(3333) 및 스프링(3334)을 포함한다.
케이스(33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커버(3100)의 측벽(3110)상에서 가이드 홀(3111)의 중앙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케이스(3331)는 외측면상에 돌출되어 커버(3100)의 측벽(3110)상에서 볼팅(bolting)되어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3331a)을 구비한다.
캠(3332)은 케이스(3331)의 수용공간상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위치한다. 이러한 캠(3332)의 외측면상에는 캠 돌기(3332a)를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캠 돌기(3332a)는 역삼각형상을 가지며, 꼭지 부분이 완만한 챔퍼링(chamfering) 구조로 이루어진다.
캠(3332)은 기본적으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캠(3332)의 중심점에는 캠 홀(3333b)이 형성된다. 캠 홀(3333b)에는 제1 커넥팅 바(3311)의 제1 축 홀(3312a)에 연결되는 제1 힌지 축(3312)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3332)은 제1 힌지 축(33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힌지 축(3312)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로드(3333)는 캠(3332)의 회전에 따라 캠 돌기(3332a)와 맞닿아 케이스(3331) 내에서 수직으로 왕복 이동한다.
지지 로드(3333)의 일단은 케이스(3331)의 상측 내면에 접하고, 지지 로드(3333)의 타단은 케이스(3331) 내 하측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로드(3333)는 경사면(3333a)과 스프링 홀(3333b)을 갖는다.
경사면(3333a)은 지지 로드(3333)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3333a)은 상부에 배치된 캠(3332)의 회전에 따라 캠 돌기(3332a)와 맞닿음으로써, 케이스(3331) 내에서 지지 로드(333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그 이동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면(3333a)은 지지 로드(3333)의 상면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갈수록 상향 경사진다. 이러한 경사면(3333a)은 캠(3332)의 캠 돌기(3332a)가 개폐 목적에 맞게 좌우로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캠 돌기(3332a)와 맞닿은 채 캠(3332)의 회전 방향을 유도한다.
스프링 홀(3333b)은 스프링(3334)이 내장되는 부위이다.
스프링 홀(3333b)의 내측 중앙부에는 스프링(3334)의 좌굴(buckling)을 방지하는 좌굴방지 핀(3333c)이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좌굴방지 핀(3333c)은 지지 로드(3333)의 하단 중앙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지지 로드(3333)의 하단 중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탈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굴방지 핀(3333c)의 외주면은 스프링 홀(3333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스프링(3334)의 내주면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좌굴방지 핀(3333c)에는 스프링(3334)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3334)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지지 로드(3333)에 내장된다. 만약 지지 로드(3333)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시, 스프링(3334)은 인장/압축 과정을 통해 지지 로드(33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지지 로드(3333)는 캠(3332)의 캠 돌기(3332a)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후, 캠 돌기(3332a)가 만곡점을 지나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스프링(3334)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글로브 박스(3000)의 개폐 보조부(3330) 역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3200)이 개방될 때에는 캠 돌기(3332a)가 경사면(3333a)의 타단에 위치한 만곡부로 향함으로써 하우징(3200)의 개방 속도가 감쇄된다.
반대로, 하우징(3200)이 폐쇄될 때에는 캠 돌기(3332a)가 만곡부를 지나 경사면(3333a)의 일단으로 향함으로써 하우징(3200)의 개방 속도를 증가시켜 탑승자로 하여금 하우징(3200)을 쉽게 닫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3200)은 개폐 보조부(3330)로 인하여 반자동으로 용이하게 수납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개폐 보조부(3330)는, 제1 링크부(3310)가 아닌 제2 링크부(3320)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2 링크부(3310, 3320)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개폐 보조부(3330)가 제1, 2 링크부(3310, 3320) 모두에 구현될 경우 하우징(3200)의 개방 회전 속도를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표시된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4000)는 하우징(42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나아가 하우징(4200)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스토퍼(4324) 구성을 채택한다.
스토퍼(4324)는 커버(4100)의 측벽(4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4111) 내에서 이송이 가능하고, 제2 링크부(4320)의 제2 커넥팅 바(4321)의 구간상에 커버(4100) 측으로 돌출된다.
스토퍼(4324)는 하우징(4200)이 개방될 시, 가이드 홀(4111)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4112)에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한 안착 돌기(4325)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 돌기(4325)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착 돌기(4325)는 스토퍼(4324)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스토퍼(4324)가 가이드 홀(4111)상에서 이송 시, 안착 홈(4112)에 안착할 수 있다.
안착 홈(4112)은 안착 돌기(4325)의 형상에 의해서 커버(4100)와의 조립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하우징(4200)이 폐쇄된 위치에 구현된다.
안착 돌기(4325)는 스토퍼(4324)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안착 홈(411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가령,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 돌기(4325)가 윗면이 아랫면보다 길이가 짧아 아랫면의 양단으로부터 윗면의 양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일 때, 안착 홈(4112)은 안착 돌기(4325)와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하우징(4200)이 커버(4100)로부터 개방되거나 폐쇄될 시, 안착 돌기(4325)는 가이드 홀(4111)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4112)에 안착됨으로써, 글로브 박스(4000)의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스토퍼(4324)는 하우징(4200)의 이송 모션에 대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글로브 박스(4000)가 오픈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좌우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안착 돌기(4325)는 연질의 고무 재질 혹은 실리콘 재질로 적용될 수 있고, 스펀지와 같은 완충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안착 돌기(4325)가 하방으로 연장된 스토퍼(4324)는, 하우징(4200)의 개방 각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하우징(42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비틀림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이송 링크(4300)는 그 자체에서도 하우징(42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즉, 이송 링크(4300)의 제2 링크부(4320)에 구성된 제2 커넥팅 바(4321)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홀(4111)의 주변인 측벽(4110)의 내측과 맞닿는 유동 방지 턱(4321a)이 돌출된다.
유동 방지 턱(4321a)은 제2 커넥팅 바(4321)가 'ㅗ'자 형상을 가질 때, 'ㅗ'자 중에서'ㅣ'자 수직 구간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또한, 유동 방지 턱(4321a)은 커버(4100)와 하우징(4200) 사이에 체결되는 제2 링크부(2320)와의 간격에 마련되기 때문에 그 간격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동 방지 턱(4321a)은 하우징(4200)이 개방될 시에도, 커버(410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탈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안착 돌기(4325)가 하방으로 연장된 스토퍼(4324)와, 유동 방지 턱(4321a)은 이송 링크(4300)의 작동 구간에서 커버(4100)를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하우징(4200)의 오픈 모션 동안 하우징(4200)이 지속적으로 좌우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4000)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스토퍼(4324) 및 유동 방지 턱(4321a)은 제2 링크부(4320)가 아닌 제1 링크부(4310)에 위치하거나 제1, 2 링크부(4310, 4320) 모두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스토퍼(4324) 및 유동 방지 턱(4321a)은 이송 링크(4300)가 아닌 커버(4100)와 하우징(4200)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42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때, 스토퍼(4324)는 하우징(4200)의 외측면에 별도로 돌출된 회전 돌기(미도시)로부터 커버(4100)으로 돌출되어 측벽(4110)의 가이드 홀(4111) 상에서 이송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5000)는 하우징(5200)이 비선형으로 작동하게 될 시, 초기 대비 종료 지점에서 회전 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속도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글로브 박스(5000)는 커버(5100), 하우징(5200), 이송 링크(5300), 락킹부재(5400) 및 댐퍼(5600)를 포함한다.
커버(510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된다. 커버(5100)의 측벽(51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5111)이 형성된다.
하우징(5200)은 개방된 일면이 커버(5100)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커버(5100)의 개방된 정면을 가이드 홀(5111)의 회전 궤도를 따라 이송되며 수납공간을 개폐한다.
이송 링크(5300)는 하우징(5200)의 외측 양단과 커버(5100)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5300)을 가이드 홀(5111)의 회전 궤도를 따라 이송시킨다.
락킹부재(5400)는 커버(5100)와 하우징(5200) 간에 연결되어 하우징(5200)을 커버(5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댐퍼(5600)는 커버(5100)와 하우징(5200) 사이에 배치되어, 피스톤 동작을 통해 하우징(5200)이 급격히 기울어질 때의 속도를 감쇄한다.
이러한 댐퍼(5600)는 댐퍼 본체(5610)와, 피스톤 로드(5610)를 포함한다.
댐퍼 본체(5610)는 커버(5100)의 측벽(511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5610)는 댐퍼 본체(5610)에 신축 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러한 피스톤 로드(5610)의 일단은 댐퍼 본체(5610)의 내부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5610)의 타단은 제2 커넥팅 바(5321)의 가이드 돌기(5324)와 연결된다.
탑승자가 락킹부재(5400)를 해제한 후 하우징(5200)을 커버(5100)로부터 분리하여 수납공간을 개방할 시, 하우징(5200)은 이송 링크(5300)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댐퍼(5600)의 피스톤 로드(5610)가 가이드 돌기(5324)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하부로 늘어남으로써, 댐퍼(5600)는 하우징(5200)의 급격한 기울기 변화를 제한하고, 나아가 하강 속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댐퍼(5600)는 커버(5100)의 측벽(5110)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지만, 제5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500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댐퍼(5600)가 커버(5100)의 측벽(5110)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댐퍼 본체(5610)는 제1 링크부(5310) 및 제2 링크부(53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5620)는 하우징(5200)의 외측면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댐퍼 본체(5610)가 제1 링크부(5310)에 연결될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5620)가 하우징(5200)의 외측면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하우징(5200)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커버(5100) 측으로 돌출된 별도의 회전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는 가이드 홀(5111)의 궤도에 따라 이송되고 피스톤 로드(56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댐퍼 본체(5610)가 제1 링크부(5310)에 연결되되, 피스톤 로드(5610)는 가이드 돌기(5324)에 연결되어 스토로크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댐퍼 본체(5610)가 제2 링크부(5320)의 제2 힌지 축(5322)에 연결될 경우, 피스톤 로드(5620)는 하우징(5200)의 외측면 하단부에 커버(5100) 측으로 돌출된 별도의 회전 돌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스트로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 예로서, 댐퍼(5600)는 커버(5100)의 전방부와 하우징(5200)의 전방부 사이를 이을 수도 있다. 이때, 댐퍼(5600)는 커버(5100)의 전방부 상, 하단 측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비례하여 하우징(5200)의 전방부 상, 하단 측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6000)는 스토퍼(6324)를 감싸는 탄성체(6325)를 통해 하우징(6200)이 개방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충격을 흡수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글로브 박스(6000)는 커버(6100), 하우징(6200), 이송 링크(6300) 및 락킹부재(6400)를 포함한다.
커버(610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6110) 외측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로드 연결부(6210)와, 측벽(6110) 외측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6111)을 포함한다.
가이드 홀(6111)은 회전 궤도상 시작점(후방 측)에 비해 끝점(전방 측)의 폭이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 홀(6111)의 궤도상에는 가이드 홀(6111)의 끝점으로 갈수록 가변되어 하우징(6200)의 개방 속도를 감쇄하는 탄성체(6325)가 위치한다.
가이드 홀(6111)은, 가변적으로 구성되어 하우징(620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체(6325)와의 갭을 유지하고, 하우징(62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탄성체(6325)와 오버랩된다. 이때, 탄성체(6325)는 가이드 홀(6111)의 끝점에 진입하여 오버랩된다. 즉, 탄성체(6325)는 가이드 홀(6111)과 오버랩됨으로써 하우징(6200)의 개방 속도를 낮춰 오픈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하우징(6200)은 개방된 일면이 커버(6100)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6200)은 커버(6100)의 개방된 정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송 링크(6300)는 하우징(6200)의 외측 양단과 커버(6100)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6200)을 가이드 홀(6111)의 회전 궤도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송 링크(6300)는 상호 이격된 채로 커버(6100)와 하우징(6200) 사이를 잇는 제1, 2 링크부(6310, 63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6310)와 제2 링크부(6320)의 일단은 커버(6100)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6310)와 제2 링크부(6320)의 타단은 하우징(6200)의 외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부(6310)와 제2 링크부(6320)는 지지점을 커버(6100)의 하단부에 배치한다.
제1 링크부(6310)와 제2 링크부(6320)는, 락킹부재(6400)를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잠금 상태에서의 하우징(6200)에 대한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제1 링크부(6310)는 제1 커넥팅 바(6311), 제1 힌지 축(6312) 및 제1 가동 축(6313)을 포함한다.
제1 커넥팅 바(1311)는 직선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커버(6100)의 측벽(6110)상에 예각 범위 내로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힌지 축(6312)은 제1 커넥팅 바(6311)의 일단과 커버(6100)의 내측 하부를 연결한다.
제1 가동 축(6313)은 제1 커넥팅 바(6311)의 타단과 하우징(6200)의 외측 상부를 연결한다.
제2 링크부(6320)는 제2 커넥팅 바(6321), 제2 힌지 축(6322), 제2 가동 축(6323) 및 스토퍼(6324)를 포함한다.
제2 커넥팅 바(6321)는 제1 커넥팅 바(631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장착되어 회동한다.
제2 커넥팅 바(6321)는 길이 방향 양단 사이에 후방으로 연장된 중앙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부에는 스토퍼(6324)가 돌출된다.
스토퍼(6324)는 커버(6100)의 측벽(6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6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6324)는 탄성체(6325)에 의해 감싸진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6111)은 그 폭이 가변적이어서 하우징(6200)이 폐쇄 상태에서는 탄성체(6325)와 일정 갭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6200)의 초기 개방 시에는 탄성체(6325)로 하여금 하우징(6200)의 낙하속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다만, 가이드 홀(6111)은 끝점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탄성체(6325)가 일정 구간을 지난 후에는 탄성체(6325)와의 갭이 감소하여 탄성체(6325)와 가이드 홀(6111) 간에 오버랩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이송 링크(630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하우징(6200)은 탄성체(6325)와 가이드 홀(6111) 간의 오버랩으로 인하여 개방 속도가 감소된다.
제2 힌지 축(6322)은 제1 힌지 축(6312)과 이격된 채로 수평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힌지 축(6322)은 제2 커넥팅 바(6321)의 일단과 커버(6100)의 내측 하부를 연결한다.
제2 가동 축(6323)은 제2 커넥팅 바(6321)의 타단과 하우징(6200)의 외측 상부를 연결한다.
락킹부재(6400)는 커버(6100)와 하우징(6200) 간에 연결되어 하우징(6200)을 커버(6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글로브 박스(6000)는 하우징(6200)의 개방 속도를 보정하기 위해 댐퍼(6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6600)는 댐퍼 본체(6610)와, 피스톤 로드(6620)를 포함한다.
댐퍼 본체(6610)는 하우징(6200)의 외측벽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6620)는 댐퍼 본체(6610)와 로드 연결부(6210) 사이를 잇는다. 이러한 피스톤 로드(6620)는 댐퍼 본체(6610)로부터 스트로크되어 하우징(6200)의 개방 속도를 제어한다.
한편, 스토퍼(6324)는 하우징(6200)과 커버(6100)와의 체결면에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의 스토퍼(6324)는 하우징(6200)으로부터 커버(6100) 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홀(6111)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6200)의 회전력을 보정하는 탄성체(6325)는 스토퍼(6324)를 감싼 상태로 스토퍼(6324)와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제7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개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서의 글로브 박스(7000)는 커버(7100), 하우징(7200), 이송 링크(7300) 및 댐퍼(7600)를 포함한다.
커버(710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된다. 커버(7100)의 측벽(71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7111)이 형성된다.
하우징(7200)은 개방된 일면이 커버(7100)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다.
하우징(7200)은 커버(7100)의 개방된 정면을 가이드 홀(7111)의 회전 궤도를 따라 이송되며 수납공간을 개폐한다.
이송 링크(7300)는 하우징(7200)의 외측 양단과 커버(7100)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7300)을 가이드 홀(7111)의 회전 궤도를 따라 이송시킨다.
댐퍼(7600)는 커버(7100)와 이송 링크(7300) 사이에 연결되어, 피스톤 동작을 통해 하우징(7200)이 급격히 기울어질 때의 속도를 감쇄한다.
이때, 댐퍼(7600)는 하우징(7200)의 폐쇄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초기 개방 구간에서는 길이 신축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만 한다.
하지만, 댐퍼(7600)는 기 설정된 말기 개방 구간에서는 스트로크 증가를 통해 댐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7600)는 댐퍼 본체(7610)와, 피스톤 로드(7620)를 포함한다.
댐퍼 본체(7610)는 커버(7100)의 측벽(7111)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7620)는 댐퍼 본체(7610)와 커버(7100)의 측벽(7111) 사이에 연결되고, 댐퍼 본체(7610)로부터 스트로크되어 하우징(7200)의 개방 속도를 제어한다.
댐퍼(7600)는 하우징(7200)의 개방 시, 회전 시작 지점부터 회전 종료 지점까지 증가하는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요컨대, 댐퍼(7600)는 하우징(7200)이 완만히 회전하는 구간에서는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착된 위치에서 제자리 회전만 하고, 피스톤 로드(7620)의 스트로크 증가는 없다.
반면에, 댐퍼(7600)는 하우징(7200)이 일정 구간을 지나 오픈되면서 개방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구간에서는 피스톤 로드(7620)의 스트로크 증가가 시작되면서 댐핑력이 발생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우징(7200)이 폐쇄된 상태 또는 초기 개방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7620)의 스트로크(L5, L6)는 약 10mm이고, 하우징(720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7620)의 스트로크(L7)는 4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0: 글로브 박스(제1 실시예)
1100: 커버 1110: 측벽
1111: 가이드 홀 1112: 커버 고정 돌기
1200: 하우징 1300: 이송 링크
1310: 제1 링크부 1311: 제1 커넥팅 바
1312: 제1 힌지 축 1313: 제1 가동 축
1314: 링크 고정 돌기 1320: 제2 링크부
1321: 제2 커넥팅 바 1322: 제2 힌지 축
1323: 제2 가동 축 1324: 가이드 돌기
1400: 락킹부재 1500: 탄성부재
1510: 가상선
2000: 글로브 박스(제2 실시예)
2100: 커버 2110: 측벽
2111: 가이드 홀 2112: 커버 고정 돌기
2200: 하우징 2300: 이송 링크
2310: 제1 링크부 2311: 제1 커넥팅 바
2312: 제1 힌지 축 2313: 제1 가동 축
2314: 링크 고정 돌기 2320: 제2 링크부
2321: 제2 커넥팅 바 2322: 제2 힌지 축
2323: 제2 가동 축 2324: 가이드 돌기
2400: 락킹부재 2500: 탄성부재
2510: 가상선
3000: 글로브 박스(제3 실시예)
3100: 커버 3110: 측벽
3111: 가이드 홀 3200: 하우징
3300: 이송 링크 3310: 제1 링크부
3311: 제1 커넥팅 바 3312: 제1 힌지 축
3312a: 제1 축 홀 3313: 제1 가동 축
3314: 가이드 돌기 3320: 제2 링크부
3321: 제2 커넥팅 바 3322: 제2 힌지 축
3323: 제2 가동 축 3330: 개폐 보조부
3331: 케이스 3331a: 연결 브래킷
3332: 캠 3332a: 캠 돌기
3332b: 캠 홀 3333: 지지 로드
3333a: 경사면 3333b: 스프링 홀
3333c: 좌굴방지 핀 3334: 스프링
3400: 락킹부재
4000: 글로브 박스(제4 실시예)
4100: 커버 4110: 측벽
4111: 가이드 홀 4112: 안착 홈
4200: 하우징 4300: 이송 링크
4310: 제1 링크부 4311: 제1 커넥팅 바
4312: 제1 힌지 축 4313: 제1 가동 축
4320: 제2 링크부 4321: 제2 커넥팅 바
4321a: 유동 방지 턱 4322: 제2 힌지 축
4323: 제2 가동 축 4324: 스토퍼
4325: 안착 돌기 4400: 락킹부재
5000: 글로브 박스(제5 실시예)
5100: 커버 5110: 측벽
5111: 가이드 홀 5200: 하우징
5300: 이송 링크 5310: 제1 링크부
5311: 제1 커넥팅 바 5312: 제1 힌지 축
5313: 제1 가동 축 5320: 제2 링크부
5321: 제2 커넥팅 바 5322: 제2 힌지 축
5323: 제2 가동 축 5324: 가이드 돌기
5400: 락킹부재 5600: 댐퍼
5610: 댐퍼 본체 5620: 피스톤 로드
6000: 글로브 박스(제6 실시예)
6100: 커버 6110: 측벽
6111: 가이드 홀 6200: 하우징
6210: 로드 연결부 6300: 이송 링크
6310: 제1 링크부 6311: 제1 커넥팅 바
6312: 제1 힌지 축 6313: 제1 가동 축
6320: 제2 링크부 6321: 제2 커넥팅 바
6322: 제2 힌지 축 6323: 제2 가동 축
6324: 스토퍼 6325: 탄성체
6400: 락킹부재 6600: 댐퍼
6610: 댐퍼 본체 6620: 피스톤 로드
7000: 글로브 박스(제7 실시예)
7100: 커버 7110: 측벽
7111: 가이드 홀 7200: 하우징
7300: 이송 링크 7310: 제1 링크부
7311: 제1 커넥팅 바 7312: 제1 힌지 축
7313: 제1 가동 축 7314: 가이드 돌기
7320: 제2 링크부 7321: 제2 커넥팅 바
7322: 제2 힌지 축 7323: 제2 가동 축
7400: 락킹부재 7600: 댐퍼
7610: 댐퍼 본체 7620: 피스톤 로드

Claims (10)

  1.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상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을 갖는 커버;
    개방된 일면이 상기 커버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상기 커버의 개방된 정면을 기 설정된 회전 궤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 양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 궤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송 링크; 및
    상기 이송 링크의 회전력을 보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홀상에서 이송이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이 개방될 시, 상기 하우징의 좌우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가이드 홀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에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한 안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홀의 안착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인 글로브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돌기는
    충격 완화가 가능한 연질의 고무 재질 혹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글로브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인 글로브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링크는
    상기 커버의 내측 하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채로 상호 수평한 위치에 지지점을 갖는 제1, 2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인 글로브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제1 커넥팅 바의 일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 하부를 연결하는 제1 힌지 축;
    상기 제1 커넥팅 바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1 가동 축; 및
    상기 제1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상에 돌출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연결하는 링크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글로브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제1 힌지 축과 이격된 채로 수평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팅 바의 일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 하부를 연결하는 제2 힌지 축; 및
    상기 제2 커넥팅 바의 타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가동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 양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중앙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돌출되는 것인 글로브 박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측벽상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커버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글로브 박스.
  8.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내장되며, 측벽상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아치 형상의 가이드 홀을 갖는 커버;
    개방된 일면이 상기 커버에 덮인 상태로 수납 가능하며, 상기 커버의 개방된 정면을 기 설정된 회전 궤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 양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 양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 궤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송 링크; 및
    상기 이송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홀상에서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 회전 각도 제어가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홀의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안착 홈에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안착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글로브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하우징이 개방될 시, 상기 하우징의 좌우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는 것인 글로브 박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하우징 간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잠그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KR1020210104151A 2021-08-06 2021-08-06 글로브 박스 KR10255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51A KR102553353B1 (ko) 2021-08-06 2021-08-06 글로브 박스
DE202022104455.4U DE202022104455U1 (de) 2021-08-06 2022-08-04 Handschuhfach
US17/881,857 US12103498B2 (en) 2021-08-06 2022-08-05 Glove box
CN202222076411.1U CN218085316U (zh) 2021-08-06 2022-08-08 杂物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51A KR102553353B1 (ko) 2021-08-06 2021-08-06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28A KR20230022028A (ko) 2023-02-14
KR102553353B1 true KR102553353B1 (ko) 2023-07-07

Family

ID=8448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51A KR102553353B1 (ko) 2021-08-06 2021-08-06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103498B2 (ko)
KR (1) KR102553353B1 (ko)
CN (1) CN218085316U (ko)
DE (1) DE202022104455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355B1 (ko) * 2021-08-06 2023-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KR102553354B1 (ko) * 2021-08-06 2023-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KR20230022025A (ko) * 2021-08-06 2023-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011Y1 (ko) * 1994-07-26 1998-07-15 전성원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JP3481369B2 (ja) * 1995-09-27 2003-12-22 豊和化成株式会社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KR0132628Y1 (ko) * 1996-03-20 1998-12-15 김영귀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1998005409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글로브 박스의 오디오 테이프 수납구조
FR2936463B1 (fr) * 2008-09-26 2010-10-01 Faurecia Interieur Ind Boite a gants pour vehicule automobile
JP6154353B2 (ja) * 2014-04-30 2017-06-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103498B2 (en) 2024-10-01
CN218085316U (zh) 2022-12-20
DE202022104455U1 (de) 2023-01-25
KR20230022028A (ko) 2023-02-14
US20230044080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354B1 (ko) 글로브 박스
KR102553353B1 (ko) 글로브 박스
KR102553356B1 (ko) 글로브 박스
KR102553357B1 (ko) 글로브 박스
KR20230022027A (ko) 글로브 박스
KR102553355B1 (ko) 글로브 박스
EP0771971B1 (en) Pivoting gear damper
CN101618693B (zh) 托盘防打开装置
JP7081450B2 (ja)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KR20230022025A (ko) 글로브 박스
JP7136987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US9233785B2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storage device
JP7050539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および車体構造
KR100405376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0397828B1 (ko) 승강기구
KR20060018118A (ko) 덮개 개폐 기구
JP2008068637A (ja) 車両用物入装置
KR19990021489A (ko) 승객 보호용 크래쉬 패드의 볼스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