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53032B1 -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032B1
KR102553032B1 KR1020210033535A KR20210033535A KR102553032B1 KR 102553032 B1 KR102553032 B1 KR 102553032B1 KR 1020210033535 A KR1020210033535 A KR 1020210033535A KR 20210033535 A KR20210033535 A KR 20210033535A KR 102553032 B1 KR102553032 B1 KR 10255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iometric information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object u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50A (ko
Inventor
고병훈
권용주
노승우
문현석
안성모
엄근선
이종욱
이탁형
정명훈
최창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349,419 priority Critical patent/US12239422B2/en
Priority to CN202110767136.5A priority patent/CN114376515A/zh
Priority to EP21187666.9A priority patent/EP3988010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0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5/02241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small dimensions, e.g. adapted to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Dent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는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검출된 제 1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제 1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커버면을 기준으로 제 1기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제 2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APPARATUS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SENOSR FOR MESURING MULTI-SIGNAL}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의학 발달 및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의료기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병원이나 검사 기관에서 사용하는 중대형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개인이 소장 또는 휴대할 수 있는 소형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health care) 장치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의료기기는 크게 침습(invasive) 방식 기기와 비침습(noninvasive) 방식 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비침습(noninvasive) 방식 기기는 피검자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하게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측정한 결과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414호 (2019.10.22)
복수의 발광부가 배치된 생체정보 추정장치, 및 복수의 발광부가 배치된 다중신호 측정센서가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생체정보 추정장치는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검출된 제 1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제 1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커버면을 기준으로 제 1기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제 2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 이미지, 및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하면 제1 발광부를 구동하고,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한 상태이면, 제1 발광부를 오프(OFF)하고 제2 발광부를 온(ON)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광부에 의해 제2 광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제2 발광부를 구동하여 제2 광신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하여 힘센서에 의해 접촉힘이 측정되면, 측정된 접촉힘을 기초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는,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생체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상응하는 제2 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따라 제2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는, 복수의 생체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는, 심박, 산소포화도, 호흡 수, 중성지방, 혈압, 및 항산화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는,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검출된 제 1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반사부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기판을 기준으로 커버면과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수광부로 직접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 이미지, 및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광부에 의해 제2 광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판단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제2 발광부를 구동하여 제2 광신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하여 힘센서에 의해 접촉힘이 측정되면, 측정된 접촉힘을 기초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다중신호 측정센서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제 1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커버면을 기준으로 제 1기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제 2기판 상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광과 제 2광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다중신호 측정센서는,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다른 다중신호 측정센서는, 제 2기판은 중심에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이 수광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 2발광부는 투광 영역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다중신호 측정센서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반사부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기판을 기준으로 커버면과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수광부로 직접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가 배치된 생체정보 추정장치, 또는 다중신호 측정센서를 통해 생체정보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추정 환경을 가이드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그래프를 출력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 및 실제 접촉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d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생체정보 리스트에 관한 도면이다.
도 5e는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 및 실제 접촉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전자장치에 내장된 센서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추정장치(100)는 센서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피검체는 인체 내의 혈관 밀도가 높은 부위인 손가락, 발가락, 귀 등 인체의 말초 부위, 또는 요골 동맥과 인접한 손목 표면의 영역으로 모세혈이나 정맥혈이 지나가는 손목 상부 영역일 수도 있다. 센서부(110)는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및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및 형광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제1 광과 제 2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제2 광은 서로 다른 파장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는 제1 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제1 광이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되면 제 1광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제2 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제 2광이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되면 제 2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PTr), 이미지 센서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피검체가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힘센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맥파 진폭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손가락을 센서부의 커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누르는 힘을 점차 증가 또는 감소시킬 때 피검체에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힘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힘센서는 힘센서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10)는 면적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힘센서와 면적센서를 통해 획득된 힘과 접촉 면적을 통해 접촉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a 내지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도 1의 센서부(1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센서부(110)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310), 커버면(310)의 하단에 제1 기판(320)이 배치되고, 커버면(310)과 제1 기판(320) 사이에 제2 기판(3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320) 상에 제1 발광부(325)가 배치되고, 제2 기판(330) 상에 제2 발광부(335)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335)가 배치되는 제2 기판(330)이 제1 기판(320)에 비해 커버면(3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면(310)은, 제 1발광부(325)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투광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310)은 제 2기판(330)에 배치된 제 2발광부(335)가 조사한 제 2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투광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투광영역(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그 밖의 다각형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투광영역(312)은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커버 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2투광영역(312) 별로 별개의 커버로 밀폐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커버가 6개의 제 2투광영역(312)을 모두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면(310)은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과 제 2광이 수광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 3투광영역(3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310)의 제 1투광영역(311), 제 2투광영역(312), 및 제 3투광영역(313)을 제외한 커버면의 나머지영역은 불투광영역 일 수 있다.
도 3a에는 커버면(310)이 제 2기판(330)과 같은 형태의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면(310)의 형태는 제 2기판(330)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면 중심에서 일정 범위는 수평하고 그 이후부터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상일 수도 있다.
제 1발광부(325)는 제 1기판(320) 상에 배치된다. 제 1발광부(325)가 조사한 제 1광은 커버면(310)의 제 1투광영역(311)을 통과하여 피검체에 도달할 수 있다. 제 1발광부(3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는 제 1발광부(325)의 광원이 4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원의 개수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발광부(325)는 제 2발광부(335)보다 커버면을 기준으로 더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발광부(325)가 조사하는 제 1광은 제 2발광부(335)가 조사하는 제 2광보다 더 긴 광경로를 갖게 된다. 이때, 제 1광은 산란광의 형태로 피검체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제 1기판(320)은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이 수광부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4투광영역(3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기판(320)은 생략될 수 있다. 제 1발광부(325)는 제 2기판(330)의 제 2발광부(335)와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커버면(310)은 제 1발광부가 피검체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별도의 투광영역(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10)는 제 1광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프리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산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발광부(325)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은 산란부(미도시)를 통해 산란광의 형태로 피검체로 조사될 수 있다.
제 2발광부(335)는 제 2기판(330) 상에 배치된다. 제 2발광부(335)가 조사한 제 2광은 커버면(310)의 제 2투광영역(312)를 통과하여 피검체에 도달할 수 있다. 제 2발광부(335)는 제 5투광영역(331)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는 제 2발광부(335)의 광원이 6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원의 개수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제 2기판(330)은 중심에 제 1발광부(325)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제 5투광영역(3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5투광영역(331)을 통해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이 수광부(360)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커버면(310)의 제 3투광영역(313), 제 1기판(320)의 제 4투광영역(321), 및 제 2기판(330)의 제 5투광영역(331)은 모두 같은 크기의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3투광영역(313). 제 4투광영역(321), 및 제 5투광영역(331)은 서로 다른 모양이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는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을 수광부(360) 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광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기판(320)과 수광부(36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3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35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PTr), 이미지 센서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힘센서(370)는 수광부(36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면(310)과 제 2기판(330) 사이, 또는 제 1기판(320)과 제 2기판(330) 사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에는 도 3a와 달리 커버면(310), 제 1기판(320), 및 제 2기판(330)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면(310), 제 1기판(320), 및 제 2기판(33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와 달리 커버면(310), 제 1기판(320), 및 제 2기판(340)은 각각 서로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기판(33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커버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센서부(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410), 커버면(410)의 하단에 배치되는 기판(420), 기판(420)의 일면 예컨대 커버면(410)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며 반사부(450)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430), 기판(420)의 타면 예컨대 커버면(410) 방향의 면에 배치되며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440),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부(4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20)을 기준으로 커버면(410)과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수광부(480)로 직접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는 격벽(460)이 수광부(480)가 배치된 지지면(485) 에서부터 형성되어 커버면(410)까지 원통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면(410)은 기판(420)에 배치된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부(450)에 의해 반사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투광영역(4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면(410)은 기판(420)에 배치된 제 2발광부(440)가 조사한 제 2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투광영역(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투광영역(4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투광영역(412)은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커버 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2투광영역(412) 별로 별개의 커버로 밀폐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커버가 4개의 제 2투광영역(412)을 모두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면(410)은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이 수광부(480)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제 3투광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투광영역(4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460)에 의해 둘러 쌓여진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기판(420)은 커버면(4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430)와, 제 2발광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판(420)의 일면에는 제 1발광부(430)가 배치되고, 기판(420)의 타면에는 제 2발광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a의 기판(420)은 커버면(410)과 같은 형태의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판(420)의 형태는 커버면(410)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커버면(410), 및 기판(420)의 형태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기타 다각형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판(420)은 반사부(450)로부터 반사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4투광영역(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투광영역(421)의 중앙에는 격벽(460)이 통과될 수 있다. 이때, 투광영역 중 격벽의 내부공간을 통해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이 수광부(480)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제 1발광부(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20)의 일면에 배치되고 반사부(450)로 제 1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기판의 일면은 커버면(410)과 반대방향의 면, 즉 커버면(410)을 기준으로 더 멀리 이격된 면 일 수 있다. 제 1발광부(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는 제 1발광부(430)의 광원이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원의 개수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반사부(450)는 기판(420)을 기준으로 커버면과 반대방향의 지지면(485)에 배치되며,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450)는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기판(420)의 제 4 투광영역(421)으로 반사시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조사되게끔 할 수 있다. 이때 제 1발광부(430)가 조사하는 제 1광은 제 2발광부(440)가 조사하는 제 2광보다 더 긴 광경로를 갖게되어, 산란광의 형태로 피검체로 조사될 수 있다.
제 2발광부(440)는 기판(420)의 타면에 배치되고,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기판(420)의 타면은 커버면(410) 방향의 면, 즉 커버면(410)을 기준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면 일 수 있다. 제 2발광부(4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는 제 2발광부(440)의 광원이 4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원의 개수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는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을 수광부(480) 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제 1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480), 및 피검체가 커버면(410)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4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470)의 하단에 위치한 지지면(485)에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4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PTr), 이미지 센서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는 반사부(450)와, 수광부(480)가 동일한 지지면(485)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반사부(450)는 수광부(480)와 상이한 별개의 지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450)가 배치된 지지면은 수광부(480)가 배치된 지지면 보다, 커버면을 기준으로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힘센서(490)는 수광부(48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면(410)과 기판(420) 사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부는 도 4a와 달리 기판(420)을 기준으로 커버면(410)과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제 2반사부(452)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반사부(451), 제 1반사부(451)로부터 반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2반사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반사부(451)는 제 1발광부(430)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제 2반사부(452)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제 2반사부(452)는 제 1반사부(451)로부터 반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 2반사부(452)는 제 1반사부(451)로부터 반사된 제 1광을, 기판(420)의 제 4투광영역(421)으로 반사시켜 제 1광이 피검체 방향으로 조사되게끔 할 수 있다. 이때 제 1발광부(430)가 조사하는 제 1광은 제 2발광부(440)가 조사하는 제 2광보다 더 긴 광경로를 갖게되어, 산란광의 형태로 피검체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제 1반사부(451)와 제 2반사부(452)는 기판(420)을 기준으로 커버면(410)과 반대방향의 지지면(48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반사부(451)와 제 2반사부(45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지지면(485)에 배치되어 평행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도 다른 지지면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추정장치(100)에 프로세서(120)가 내장된다.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와 전기적, 기구적 또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제 1발광부, 제 2발광부 및 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체정보 추정요청이 수신되고 피검체가 센서부(110)의 커버면에 접촉하면, 센서부(110)의 제 1발광부의 광의 세기, 광의 지속시간, 및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힘 센서에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1발광부, 제 2발광부 및 힘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가 수신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이나,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의 증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전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밴드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0.4~10Hz의 밴드 패스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제 2광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기반의 제 2광신호의 재구성을 통해 보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치의 컴퓨팅 성능이나 측정 정확도, 생체정보 추정 목적, 사용자의 측정 부위, 피검체의 온도, 습도, 센서부의 온도 등의 다양한 측정 환경에 따라 그 밖의 다양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검출된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는 심박, 산소포화도, 호흡 수, 중성지방, 혈압, 동맥 경화도, 피부 나이, 혈관 노화도, 혈당, 전해질, 카르티노이드, 체수분, 단백질, 알코올 및 항산화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4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발광부가 제 2발광부 보다 커버면을 기준으로 더 멀리 이격되어 있거나, 제 1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됨으로 인하여, 제 1광은 제 2광보다 더 긴 광경로를 갖게 되며, 그에 따라 제 1광은 산란광의 형태로 피검체로 조사된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의 수광부에 의해 검출된 제 1광신호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제 2광신호를 기초로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검출된 제 1광신호, 및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이미지, 및 측정된 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의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1광신호의 세기, 이미지 데이터, 지문 데이터 등을 기초로 접촉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접촉이미지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여부, 접촉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촉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접촉 이미지로부터 특징점, 예컨대 지문 중심점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특징점이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접촉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되는 접촉 힘의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지 여부, 접촉 힘의 측정시간, 또는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접촉 힘이 임계시간 이상 측정되는지 여부 등을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되는 접촉 힘의 값이 임계범위 내에서, 임계시간 이상 측정되며,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조건을 하나 이상 만족할 때 피검체의 접촉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조건은 다양하게 미리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의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접촉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지문 중심점이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측정되는 접촉 힘의 값이 임계범위 내에서 임계시간 이상 측정되는 경우,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의 적합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접촉 이미지를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커버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미도시)와 함께 커버면 상에서 피검체 예컨대 손가락 끝마디를 정상적으로 접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예컨대 손가락 모양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미도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피검체를 커버면에 정상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유도하는 텍스트 객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측정된 힘을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접촉 힘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접촉 힘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그래프를 출력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5a는 손가락으로 초기 접촉힘을 조절하는 측정 초기 상태의 화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초기 접촉힘이 정상 범위로 들어온 이후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정의된 기준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Fa, Fb)와, 힘 센서로부터 수신된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10, 511)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하한(Fa) 및 상한(Fb)은 선이나 연속적인 점, 원, 타원형, 다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10, 511)는 원, 타원형, 다각형, 십자 표시, 화살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측정 초기에 기준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하한(Fa) 및 상한(Fb)을 수평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힘 센서로부터 수신된 초기 접촉 힘이 기준 접촉 힘의 하한(Fa) 및 상한(Fb)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접촉힘의 하한(Fa) 미만인 경우이거나, 또는 초기 접촉힘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하한 객체(Fa)의 아래에 실제 접촉 힘에 대한 그래픽 객체(5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센서부를 누르는 힘을 조절하여 실제 접촉힘이 기준 접촉힘의 정상 범위로 들어오는 경우 하한 객체(Fa) 및 상한 객체(Fb) 내부의 실제 접촉 힘의 상응하는 위치에 실제 접촉 힘에 대한 그래픽 객체(51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접촉 힘의 변화가 나타나도록 실제 접촉 힘에 대한 그래픽 객체가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상 범위 밖의 실제 접촉 힘에 대한 그래픽 객체(510)와 정상 범위 내의 실제 접촉 힘에 대한 그래픽 객체(511)는 서로 다른 모양이나 색깔 등으로 서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측정 초기에 실제 접촉힘이 정상 범위로 들어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을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도 5a와 같이 수평으로 배열된 기준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Fa. Fb)를 점차 우상향으로 굽어지는 모습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Fa, Fb)는 생체정보가 측정되는 시간 동안의 기준 접촉힘의 변화에 따라 우상향 또는 우하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1광신호, 및/또는 접촉 힘을 기초로 생체정보 추정의 적합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경우, 제 1발광부를 오프(OFF)하고, 제 2발광부를 온(ON)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제 2광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2광신호의 광 강도(light intensity), 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2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를 계산하고, 계산된 신호 대 잡음비가 허용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제 2발광부를 구동하여 제 2광신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판단결과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광신호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제 2광신호에서 특징(feature)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미리 정해진 생체정보 추정모델에 적용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특징은 제 2광신호의 진폭이 최대 또는 최소 지점의 진폭값, 힘/압력, 시간, 또는 제 2광신호의 1차, 2차 미분신호 파형의 극소점/극대점에 해당하는 시간, 진폭, 또는, 제2 광신호 파형의 전체 또는 부분 면적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체정보 추정모델은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 로그값, 회귀식 등 특별히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선형 또는 비선형 결합 함수식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은 수신된 제2 광신호 및 측정된 힘을 기초로 오실로메트리 포락선을 획득하고, 획득된 오실로메트리 포락선으로부터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실로메트리 포락선에서 최대 피크 지점의 진폭값, 최대 피크 지점의 접촉 압력 값, 최대 피크 지점의 진폭 값 대비 소정 비율(예: 0.5~0.7)에 해당하는 좌우 진폭 지점의 접촉 압력값을 혈압 추정을 위한 특징으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특징이 획득되면 미리 정의된 혈압 추정 모델을 적용하여 혈압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일 예로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접촉 힘을 기초로 복수의 생체정보 중에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20)가 측정된 접촉 힘을 기초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c는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530)에 관한 그래픽 객체 및 실제 접촉 힘(531, 532)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생체정보 추정 요청이 수신되면 전술한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 판단 전 또는 후에 도 5c와 같이 복수의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힘을 가이드 하는 그래프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접촉이미지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되면 도 5c와 같은 그래프를 출력하고, 측정된 접촉 힘을 기초로 복수의 생체정보 중에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제 1그래픽 객체(53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힘 센서에 의해 실제 접촉 힘이 실시간 측정되면 측정된 접촉 힘을 나타내는 제 2그래픽 객체(531,532)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각 생체정보의 기준 힘(530)은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정의된 고정 값일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미리 수신될 수 있다. 또는, 각 생체정보의 기준 힘(530)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각 사용자별로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건강상태, 나이, 성별 등의 특성 정보나 기존의 측정 데이터, 예컨대, 각 사용자의 측정 공간, 측정 시점,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및 사용자 별 피검체의 면적 등을 기초로 캘리브레이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이 속하는 기준 힘에 해당하는 생체정보를 추정할 생체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실제 측정된 접촉 힘이 특정 구간에서 임계시간 이상 측정되거나, 특정 구간에서 시간에 따라 접촉 힘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에만 해당 구간의 생체정보를 추정할 생체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이 D구간(F3~F4)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532)가 해당 구간(D) 상에 출력되고, D구간에 해당하는 산소 포화도가 추정할 생체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접촉 힘이 D구간(F3~F4)에서 임계시간 이상 측정되거나, D구간(F3~F4) 내에서 시간에 따라 접촉 힘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에만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산소 포화도로 결정할 수 도 있다.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이 임계시간 이상 B구간(F1~F2), C구간(F2~F3), D구간(F3~F4), 및 E구간(F4~F5) 중 어느 하나에서 측정되지 않거나, B구간(F1~F2), C구간(F2~F3), D구간(F3~F4), 및 E구간(F4~F5) 중 어느 하나의 구간 내에서 시간에 따라 접촉 힘이 점차 증가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동잡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생체정보의 재측정을 요구하거나, 사용자에게 구간 B, C, D, 및 E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서 임계시간 이상 서서히 힘을 증가시키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이 A구간(0~F1)에 있는 경우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제 2그래픽 객체(531)를 A 구간 상에 표시하고, 이때, 추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접촉 힘을 증가시키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5d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생체정보 리스트에 관한 도면이다. 도 5e는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 및 실제 접촉 힘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생체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를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생체정보 추정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에 도 5d와 같은 추정 가능한 생체정보 리스트(54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생체정보 리스트(540)에서 산소 포화도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산소 포화도를 추정할 생체정보로 결정하고, 도 5e와 같이 산소 포화도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의 기준 힘은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도 5c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출력된 그래프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산소 포화도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50)를 표시하고, 힘 센서에 의해 실제 접촉 힘이 측정되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51)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인 산소 포화도에 대한 기준 힘(구간 D, F3~F4)에 비하여 사용자의 실제 접촉 힘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추정할 생체정보의 기준 힘에 해당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접촉 힘 위치에서 기준 힘으로 이동하도록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추가 그래픽 객체, 또는 더 힘을 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파이팅", "힘을 내세요"와 같은 텍스트 그래픽 객체(552)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51)를 특이한 모양(예: 별표, 삼각형)으로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색상(예: 빨간색), 선의 굵기 등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실제 접촉 힘의 크기, 및 산소 포화도의 기준 힘의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얼마만큼의 힘을 더 인가해야 하는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측정된 접촉 힘을 기초로 결정된 추정할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상응하는 제 2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따라 제 2발광부의 파장, 전류 세기, 및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정보 추정장치(200)는 센서부(110), 프로세서(120), 저장부(210), 출력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 및 프로세서(120)에 대하여는 도 1, 도 3a 내지 4b, 및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 중복되지 않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저장부(210)는, 생체정보 추정을 위한 기준 정보, 센서부(110) 및/또는 프로세서(120)의 처리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건강 상태 등의 사용자 정보, 손가락의 접촉위치 등과 같은 정상 접촉 상태, 광원의 구동 조건, 기준 접촉 힘 또는, 생체정보 추정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저장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접촉위치를 포함하는 접촉상태, 접촉 힘 등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추정 값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체정보 추정 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 추정 경과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경고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음성, 햅틱 장치와 같은 비시각적인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접촉상태, 접촉힘, 생체정보 추정값에 대한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생체정보 추정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23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결과 등을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외부 기기로 하여금 사용자를 위한 생체정보 이력 관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 생체정보 이력 및 건강 상태 모니터링 결과의 출력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을 포함하며, 커프형 혈압 측정 장치를 포함한 의료 기관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통신부(2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생체정보 추정에 필요한 생체정보 추정 모델, 사용자의 특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3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추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2의 생체정보 추정장치(100,200)에 의해 수행되는 일 실시예 이다.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여 제 1광신호를 검출하고(610), 피검체와 커버면 사이의 힘을 측정할 수 있다(620).
다음, 검출된 제 1광신호, 및 측정된 힘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30).
이때, 검출된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 이미지, 및 상기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640)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여 제 1광신호를 다시 검출하고(610), 피검체와 커버면 사이의 힘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620)
판단결과(640),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경우, 제 2발광부를 통해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여 제 2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650).
다음, 검출된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60). 이때, 검출된 제 2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670)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제 2발광부를 통해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여 제 2광신호를 다시 검출할 수 있다(650).
판단결과(670), 생체정보 추정에 적합한 경우, 생체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680).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밴드형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본체(710) 및 스트랩(7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710)는 전자 장치(700)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및 생체정보 추정을 위한 센서부(730)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710) 또는 스트랩(720)의 내부에는 각종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스트랩(720)은 본체(71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720)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720)은 서로 분리된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의 일단부는 각각 본체(710)의 양측에 연결되고,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은 자석 결합, 벨크로(velcro) 결합, 핀 결합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트랩(720)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밴드 형태와 같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710)의 상면에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4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30)는 도 1 내지 4b에서 설명한 센서부의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710)의 측면에 버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피검체가 접촉할 때, 피검체에 의해 가해지는 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730)는 전자 장치(700)의 일반적인 기능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실행, 디스플레이(740)의 GUI 조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는 전자장치에 내장된 센서부(7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센서부(730)는 하우징(7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730)는 하우징(750)의 내부 또는 하우징(750)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발광부(752), 제 2발광부(753), 집광부(754), 수광부(755), 및 힘센서(75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50)은 일부분이 버튼 형태로 본체(71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우징(750)은 손가락이 올려져 접촉되는 커버면(7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710) 내부에서 지지체(760)가 하우징(750)의 주변과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서 하우징(75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체(760)가 본체(710) 내부에서 하우징(750)을 감싸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우징(750)이 본체(7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추가 구조물이 하우징(750) 또는 본체(710) 내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생체정보 추정장치 110: 센서부
120: 프로세서 210: 저장부
220: 출력부 230: 통신부
310, 410: 커버면 320: 제 1기판
330: 제 2기판 325: 제 1발광부
335: 제 2발광부 350, 470: 집광부
360, 480: 수광부 370, 490: 힘센서
311, 411: 제 1투광영역 312, 412: 제 2투광영역
313, 413: 제 3투광영역 321, 421: 제 4투광영역
331: 제 5투광영역 420: 기판
460: 격벽 450: 반사부
451: 제 1반사부 452: 제 2반사부
485: 지지면 710: 본체
720: 스트랩 730: 센서부
740: 디스플레이 750: 하우징
760: 지지체

Claims (25)

  1.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검출된 제 1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제 1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커버면을 기준으로 제 1기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제 2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상기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상기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 이미지, 및 상기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하면 제1 발광부를 구동하고, 상기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한 상태이면, 제1 발광부를 오프(OFF)하고 제2 발광부를 온(ON)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제2 광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제2 발광부를 구동하여 제2 광신호를 다시 획득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하여 상기 힘센서에 의해 접촉힘이 측정되면, 측정된 접촉힘을 기초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생체정보에 상응하는 제2 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파장, 전류 세기 및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생체정보 각각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제 접촉 힘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생체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상응하는 제2 발광부의 구동 조건에 따라 제2 발광부를 제어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생체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힘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 산소포화도, 호흡 수, 중성지방, 혈압, 및 항산화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인 생체정보 추정장치.
  13. 사용자의 피검체로부터 제 1광신호 및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검출된 제 1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광신호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반사부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커버면과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상기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상기 수광부로 직접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광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촉 이미지, 및 상기 힘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피검체의 접촉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추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접촉상태를 기초로 생체정보의 추정 적합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접촉상태를 조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제2 광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2 광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기초하여 생체정보 추정 적합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생체정보 추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상기 제2 발광부를 구동하여 제2 광신호를 다시 획득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하여 상기 힘센서에 의해 접촉힘이 측정되면, 측정된 접촉힘을 기초로 추정하고자 하는 생체정보를 결정하는 생체정보 추정 장치.
  20.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제 1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커버면을 기준으로 제 1기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한 제 2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상기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상기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과 제 2광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 및 제 2광을 수광부 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판은
    중심에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이 수광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발광부는,
    상기 투광 영역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24. 피검체와 접촉하는 커버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반사부로 제 1광을 조사하는 제 1발광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체로 제 2광을 조사하는 제 2발광부;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커버면과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을 피검체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제1 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1광신호, 및 상기 제 2광에 기초하여 피검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제 2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피검체가 상기 커버면에 접촉할 때, 피검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광부로부터 조사된 제 1광이 상기 수광부로 직접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다중신호 측정센서.

KR1020210033535A 2020-10-22 2021-03-15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 Active KR10255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49,419 US12239422B2 (en) 2020-10-22 2021-06-16 Apparatus for estimating biological-information and sensor for measuring multi-signal
CN202110767136.5A CN114376515A (zh) 2020-10-22 2021-07-07 用于估计生物信息的设备和用于测量多信号的传感器
EP21187666.9A EP3988010A1 (en) 2020-10-22 2021-07-26 Apparatus for estimating biological-information and sensor for measuring multi-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83 2020-10-22
KR20200137683 2020-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50A KR20220053450A (ko) 2022-04-29
KR102553032B1 true KR102553032B1 (ko) 2023-07-07

Family

ID=8142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35A Active KR102553032B1 (ko) 2020-10-22 2021-03-15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230A (ko) 2022-09-16 202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40097265A (ko) 2022-12-20 202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학적 특징 정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333B1 (ko) * 2017-10-31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생체정보 측정 장치 케이스
KR102487058B1 (ko) * 2017-11-17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544669B1 (ko) 2018-04-12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50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0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surface pressure and blood volume
US11982618B2 (en) Method of calibrating optical sensor, optical sensor,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102697427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54351A (ko) 생체 성분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2301412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bio-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2758584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40331B1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추정 지원 장치
KR102773553B1 (ko) 심박 지표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553032B1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다중신호 측정센서
KR20220030089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90035234A (ko) 생체 성분 추정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122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and bio-signal measuring sensor
KR102605900B1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630393B1 (ko)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US12239422B2 (en) Apparatus for estimating biological-information and sensor for measuring multi-signal
EP424987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ptical-based force
EP41081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EP40231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220012581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68694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광 센서
KR20210151525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US122957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EP42013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lood pressure, and sensor for estimating the same
KR20220150804A (ko) 바이오마커 농도 추정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09181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