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52B1 - 방광부피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방광부피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452B1 KR102551452B1 KR1020230020573A KR20230020573A KR102551452B1 KR 102551452 B1 KR102551452 B1 KR 102551452B1 KR 1020230020573 A KR1020230020573 A KR 1020230020573A KR 20230020573 A KR20230020573 A KR 20230020573A KR 102551452 B1 KR102551452 B1 KR 102551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der
- unit
- shape
- ultrasound image
- sco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5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measuring tissue layers, e.g. skin,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body or organic structures, e.g. tumours, calculi, blood vessels, nodu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32—Ultrasound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제1 제공부, 판단부, 계수부 및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공부는 방광의 제1 단면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는 제1 초음파 영상에 기초하여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제1 모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계수부는 제1 모양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를 제공할 수 있다. 산출부는 제1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에 따라 방광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방광의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모양계수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에 따라 방광의 부피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방광의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모양계수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에 따라 방광의 부피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이 방광에 충분히 고이게 되면 정상적인 사람은 방광에 배뇨를 할 만큼 소변이 충분히 채워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고, 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소변이 방광에 충분히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느끼지 못해 소변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의 수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광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모양계수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에 따라 방광의 부피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제1 제공부, 판단부, 계수부 및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공부는 방광의 제1 단면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제1 모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계수부는 상기 제1 모양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를 제공할 수 있다. 산출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및 상기 모양계수에 따라 상기 방광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제2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공부는 상기 방광의 제1 단면과 수직인 단면에 해당하는 제2 단면에 대한 제2 초음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및 상기 제2 초음파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광의 모양에 해당하는 모양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모양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를 제공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상기 제2 초음파 영상 및 상기 모양계수에 따라 상기 방광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점수부 및 제1 계수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수부는 상기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광의 모양들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유사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계수보조부는 상기 유사도 점수에 따라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기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부는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하는 상기 유사도 점수의 기준에 해당하는 기준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보조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판단부는 상기 제1 단면 및 상기 제2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절반으로 나누는 단면에 해당하는 제3 단면의 제3 초음파 영상에 따라 상기 방광의 모양에 해당하는 모양 보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보조점수부, 가중치부, 계산부 및 제2 계수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점수부는 상기 모양 보조정보에 따라 상기 방광의 모양들의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보조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가중치부는 상기 유사도 점수 및 상기 보조점수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계산부는 상기 유사도 점수 및 상기 보조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가중점수 및 제2 가중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계수보조부는 상기 제1 가중점수 및 상기 제2 가중점수에 따라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복수의 초음파 영상을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제1 초음파 영상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모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및 상기 제2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상기 방광의 폭 정보, 높이정보 및 길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상기 방광의 부피가 미리 정해진 기준부피 이상인 경우, 알림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방광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모양계수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에 따라 방광의 부피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알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알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2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제1 제공부(110), 판단부(200), 계수부(300) 및 산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공부(110)는 방광의 제1 단면(P1)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UI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방광의 단면은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광의 제1 단면(P1)은 시상면에 포함될 수 있고, 시상면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체에서 제1 면 방향(PD1)을 따라 형성되는 단면일 수 있다. 또한, 방광의 제2 단면(P2)은 수평면에 포함될 수 있고, 수평면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체에서 제2 면 방향(PD2)을 따라 형성되는 단면일 수 있다. 제1 단면(P1)과 제2 단면(P2) 사이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판단부(2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에 기초하여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제1 모양정보(MI1)를 제공할 수 있다. 사람마다 방광의 모양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광의 모양은 타원, 직육면체, 삼각기둥 및 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단부(200)는 인공지능 학습(270)을 통해서 초음파 영상 데이터 베이스(280)에 포함되는 방광 초음파 영상들(BU)을 학습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 데이터 베이스(280)로부터 제공되는 빅데이터를 학습한 판단부(200)는 제1 제공부(110)로부터 제1 단면(P1)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UI1)을 전달받으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제1 초음파 영상(UI1)에 포함되는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타원, 직육면체, 삼각기둥 및 구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모양정보(MI1)로 제공할 수 있다.
계수부(300)는 제1 모양정보(MI1)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MC)를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200)로부터 제1 모양정보(MI1)가 전달되면, 계수부(300)는 제1 모양정보(MI1)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양정보(MI1)가 타원인 경우, 타원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는 0.81일 수 있고, 제1 모양정보(MI1)가 직육면체인 경우, 직육면체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는 0.89일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삼각기둥에 대한 모양계수(MC)는 0.66일 수 있고, 구형에 대한 모양계수(MC)는 0.52일 수 있다. 모양계수(MC)는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하기 위해 산출부(4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산출부(4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부(4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으로부터 산출되는 방광의 폭 정보(W), 높이정보(H)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광의 폭 정보(W)에 해당하는 방광의 폭은 제1 길이(L1)이고, 방광의 높이정보(H)에 해당하는 높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모양정보(MI1)는 구형일 수 있고, 구형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는 0.52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부(400)는 제1 길이(L1), 제2 길이(L2) 및 0.52에 기초하여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방광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200)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MI)에 기초하여 모양계수(MC)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방광부피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제2 제공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공부(120)는 방광의 제1 단면(P1)과 수직인 단면에 해당하는 제2 단면(P2)에 대한 제2 초음파 영상(UI2)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2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에 기초하여 방광의 모양에 해당하는 모양정보(M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판단부(200)는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서 초음파 영상 데이터 베이스(280)에 포함되는 방광 초음파 영상들(BU)을 학습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 데이터 베이스(280)로부터 제공되는 빅데이터를 학습한 판단부(200)는 제1 제공부(110) 및 제2 제공부(120)로부터 제1 단면(P1) 및 제2 단면(P2)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을 전달받으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에 포함되는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타원, 직육면체, 삼각기둥 및 구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모양정보(MI)로 제공할 수 있다.
계수부(300)는 모양정보(MI)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MC)를 제공할 수 있다. 산출부(4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 제2 초음파 영상(UI2)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부(400)는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으로부터 산출되는 방광의 폭 정보(W), 높이정보(H), 길이정보(L)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광의 폭 정보(W)에 해당하는 방광의 폭은 제1 길이(L1)이고, 방광의 높이정보(H)에 해당하는 높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고, 방광의 길이정보(L)에 해당하는 길이는 제3 길이(L3)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모양정보(MI1)는 타원일 수 있고, 타원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는 0.81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부(400)는 제1 길이(L1), 제2 길이(L2), 제3 길이(L3) 및 0.81을 곱하여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수부(300)는 점수부(310) 및 제1 계수보조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수부(310)는 모양정보(MI)에 기초하여 방광의 모양들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유사도 점수(YP)를 산출할 수 있다. 판단부(200)가 제공하는 모양정보(MI)에 따라 방광의 모양이 타원인지 구형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유사도 점수(YP)를 이용하여 방광의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유사도 점수(YP)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차이점수 이하인 경우, 모양정보(MI)가 명확하기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에 기초하여 판단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모양정보(MI)에 따르면, 타원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1 유사도 점수(YP)는 40점일 수 있고, 직육면체와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2 유사도 점수(YP)는 15점일 수 있다. 또한, 삼각기둥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3 유사도 점수(YP)는 10점일 수 있고, 구형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4 유사도 점수(YP)는 35점일 수 있다. 여기서, 차이점수는 7점이라고 하면, 제1 유사도 점수(YP)인 40점과 제4 유사도 점수(YP)인 35점 사이의 차이는 5점이므로 차이점수 7점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계수부(300)는 모양정보(MI)에 따라 모양계수(MC)를 결정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고, 아래의 제1 계수보조부(320)를 이용하여 모양계수(MC)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계수보조부(320)는 유사도 점수(YP)에 따라 모양계수(MC)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수부(300)는 기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부(330)는 모양계수(MC)를 산출하는 유사도 점수(YP)의 기준에 해당하는 기준점수(RP)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점수(RP)는 30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계수보조부(320)는 기준점수(RP)보다 높은 모양정보(MI)의 유사도 점수(YP)에 따라 모양계수(MC)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준점수(RP) 30점 이상인 방광의 모양은 타원 및 구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계수보조부(320)는 타원의 모양계수(MC)인 0.81에 40/(40+35)를 곱한 제1 계수 및 구형의 모양계수(MC)인 0.52에 35/(40+35)를 곱한 제2 계수를 합하여 모양계수(MC)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11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판단부 및 계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판단부(200)는 보조 판단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판단부(210)는 제1 단면(P1) 및 제2 단면(P2)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절반으로 나누는 단면에 해당하는 제3 단면의 제3 초음파 영상(UI3)에 따라 방광의 모양에 해당하는 모양 보조정보(SM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면(P1)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UI1), 제2 단면(P2)에 대한 제2 초음파 영상(UI2)을 이용하여 방광의 모양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판단부(210)로 제공되는 제3 단면을 이용하여 방광의 모양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단면은 제1 단면(P1) 및 제2 단면(P2) 사이의 각도를 절반으로 나누는 단면일 수 있다. 보조 판단부(210)는 제3 단면에 상응하는 제3 초음파 영상(UI3)에 기초하여 방광의 모양을 보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양 보조정보(SM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수부(300)는 보조점수부(350), 가중치부(360), 계산부(370) 및 제2 계수보조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점수부(350)는 모양 보조정보(SMI)에 따라 방광의 모양들의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보조점수(SP)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3 초음파 영상(UI3)에 상응하는 모양 보조정보(SMI)에 따르면 방광의 모양이 타원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1 보조점수(SP1)는 80점일 수 있고, 구형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제2 보조점수(SP2)는 20점일 수 있다.
가중치부(360)는 유사도 점수(YP) 및 보조점수(SP)에 적용되는 가중치(WT)를 결정할 수 있다. 계산부(370)는 유사도 점수(YP) 및 보조점수(SP)에 가중치(WT)를 적용하여 제1 가중점수(WP1) 및 제2 가중점수(WP2)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점수(YP)에 적용되는 제1 가중치(WT)는 1일 수 있고, 보조점수(SP)에 적용되는 제2 가중치(WT)는 0.5일 수 있다. 도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가중점수(WP1)는 제1 가중점수_타원 및 제1 가중점수_구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가중점수_타원은 40점*1=40점일 수 있고, 제1 가중점수_구형은 은 35점*1=35점일 수 있다. 제2 가중점수(WP2)는 제2 가중점수_타원 및 제2 가중점수_구형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가중점수_타원은 80점*0.5=40점일 수 있고, 제2 가중점수_구형은 20*0.5=10점일 수 있다.
제2 계수보조부(380)는 제1 가중점수(WP1) 및 제2 가중점수(WP2)에 따라 모양계수(MC)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원에 대한 모양계수(MC)는 0.81일 수 있고, 구형에 대한 모양계수(MC)는 0.52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중점수_타원 및 제2 가중점수_타원의 합은 80점일 수 있고, 제1 가중점수_구형 및 제2 가중점수_구형의 합은 45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계수보조부(380)가 제공하는 모양계수(MC)는 타원 및 구형의 모양계수(MC)를 제1 가중점수(WP1) 및 제2 가중점수(WP2)로 가중평균한 값인 0.81*80/(80+45)+0.52*45/(80+45)=0.706일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의 방광부피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알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부(400)는 측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450)는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으로부터 방광의 폭 정보(W), 높이정보(H) 및 길이정보(L)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음파 영상(UI1) 및 제2 초음파 영상(UI2)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방광의 폭 정보에 해당하는 방광의 폭은 제1 길이(L1)이고, 방광의 높이정보에 해당하는 높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고, 방광의 길이정보에 해당하는 길이는 제3 길이(L3)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모양정보(MI1)는 타원일 수 있고, 타원에 상응하는 모양계수(MC)는 0.81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부(400)는 제1 길이(L1), 제2 길이(L2), 제3 길이(L3) 및 0.81을 곱하여 방광의 부피(BV)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알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방광의 부피(BV)가 미리 정해진 기준부피 이상인 경우, 알림신호(A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방광에 소변이 기준부피 이상 채워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알림신호를 간병인의 스마트폰에 전달함으로써 환자의 소변배출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부피 측정장치(10)는 방광의 초음파 영상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판단부(200)로부터 생성되는 방광의 모양정보(MI)에 기초하여 모양계수(MC)를 산출하고, 초음파 영상 및 모양계수(MC)에 따라 방광의 부피(BV)를 계산함으로써 방광에 포함되는 소변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방광부피 측정장치 110: 제1 제공부
120: 제2 제공부 200: 판단부
300: 계수부 400: 산출부
120: 제2 제공부 200: 판단부
300: 계수부 400: 산출부
Claims (10)
- 방광의 제1 단면에 대한 제1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제1 제공부;
상기 방광의 제1 단면과 수직인 단면에 해당하는 제2 단면에 대한 제2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제2 제공부;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및 상기 제2 초음파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광의 모양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모양정보를 제공하는 판단부;
상기 모양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모양계수를 제공하는 계수부; 및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상기 제2 초음파 영상 및 상기 모양계수에 따라 상기 방광의 부피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모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광의 모양들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유사도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부; 및
상기 유사도 점수에 따라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하는 제1 계수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하는 상기 유사도 점수의 기준에 해당하는 기준점수를 제공하는 기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단면 및 상기 제2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절반으로 나누는 단면에 해당하는 제3 단면의 제3 초음파 영상에 따라 상기 방광의 모양에 해당하는 모양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모양 보조정보에 따라 상기 방광의 모양들의 각각과 유사한 정도에 해당하는 보조점수를 산출하는 보조점수부;
상기 유사도 점수 및 상기 보조점수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결정하는 가중치부;
상기 유사도 점수 및 상기 보조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가중점수 및 제2 가중점수를 산출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가중점수 및 상기 제2 가중점수에 따라 상기 모양계수를 산출하는 제2 계수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복수의 초음파 영상을 인공지능 학습하여 상기 제1 초음파 영상에 상응하는 제1 모양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영상 및 상기 제2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상기 방광의 폭 정보, 높이정보 및 길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광부피 측정장치는,
상기 방광의 부피가 미리 정해진 기준부피 이상인 경우, 알림신호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부피 측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573A KR102551452B1 (ko) | 2023-02-16 | 2023-02-16 | 방광부피 측정장치 |
US18/436,792 US20240277310A1 (en) | 2023-02-16 | 2024-02-08 | Bladder volume meas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573A KR102551452B1 (ko) | 2023-02-16 | 2023-02-16 | 방광부피 측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1452B1 true KR102551452B1 (ko) | 2023-07-05 |
Family
ID=8715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0573A KR102551452B1 (ko) | 2023-02-16 | 2023-02-16 | 방광부피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77310A1 (ko) |
KR (1) | KR102551452B1 (ko)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0168A (ja) * | 2001-12-28 | 2003-07-08 | Jun Koyama | 尿失禁予防システム並びにセンサーパッド設計装置及び尿失禁予防機器 |
KR20070105097A (ko) | 2006-04-25 | 2007-10-30 |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
JP2009279435A (ja) * | 2002-08-09 | 2009-12-03 | Diagnostic Ultrasound Europe Bv | 膀胱体積の超音波瞬時測定 |
JP2010527277A (ja) * | 2007-05-16 | 2010-08-12 | ベラ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高調波撮像を使用する膀胱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11183142A (ja) * | 2010-02-09 | 2011-09-22 | Nagasaki Univ | 非侵襲尿量推定センサユニット、非侵襲尿量推定装置及び排尿管理システム |
JP2012101104A (ja) * | 2004-08-27 | 2012-05-31 | Verathon Inc | 超音波画像内の体腔液を定量化および分類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JP2016539683A (ja) * | 2014-01-28 | 2016-12-2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被検者の膀胱容量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KR20170066322A (ko) * | 2014-08-26 | 2017-06-14 | 오츠카 메디칼 디바이시스 가부시키가이샤 | 초음파 소변량 측정 기구, 및 초음파 소변량 측정 기구를 사용한 소변량 관리 데이터 발생 및 디스플레이 방법 |
KR20180005812A (ko) * | 2016-07-07 | 2018-01-17 |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 방광내 요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JP2018528041A (ja) * | 2015-07-27 | 2018-09-27 | ユニヴァーシティ・オブ・セントラル・ランカシャー | 膀胱ステータス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KR20200094233A (ko) * | 2019-01-29 | 2020-08-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속과 잔뇨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배뇨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20200128871A (ko) * | 2019-05-07 | 2020-11-17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방광부피 계측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
2023
- 2023-02-16 KR KR1020230020573A patent/KR1025514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2-08 US US18/436,792 patent/US2024027731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0168A (ja) * | 2001-12-28 | 2003-07-08 | Jun Koyama | 尿失禁予防システム並びにセンサーパッド設計装置及び尿失禁予防機器 |
JP2009279435A (ja) * | 2002-08-09 | 2009-12-03 | Diagnostic Ultrasound Europe Bv | 膀胱体積の超音波瞬時測定 |
JP2012101104A (ja) * | 2004-08-27 | 2012-05-31 | Verathon Inc | 超音波画像内の体腔液を定量化および分類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KR20070105097A (ko) | 2006-04-25 | 2007-10-30 |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
JP2010527277A (ja) * | 2007-05-16 | 2010-08-12 | ベラ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高調波撮像を使用する膀胱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11183142A (ja) * | 2010-02-09 | 2011-09-22 | Nagasaki Univ | 非侵襲尿量推定センサユニット、非侵襲尿量推定装置及び排尿管理システム |
JP2016539683A (ja) * | 2014-01-28 | 2016-12-2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被検者の膀胱容量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KR20170066322A (ko) * | 2014-08-26 | 2017-06-14 | 오츠카 메디칼 디바이시스 가부시키가이샤 | 초음파 소변량 측정 기구, 및 초음파 소변량 측정 기구를 사용한 소변량 관리 데이터 발생 및 디스플레이 방법 |
JP2018528041A (ja) * | 2015-07-27 | 2018-09-27 | ユニヴァーシティ・オブ・セントラル・ランカシャー | 膀胱ステータス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KR20180005812A (ko) * | 2016-07-07 | 2018-01-17 |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 방광내 요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KR20200094233A (ko) * | 2019-01-29 | 2020-08-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속과 잔뇨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배뇨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20200128871A (ko) * | 2019-05-07 | 2020-11-17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방광부피 계측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277310A1 (en) | 2024-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helps et al. | Accuracy and intraobserver variability of simulated cervical dilatation measurements | |
Poston et al. | The accuracy of ultrasound in the measurement of changes in bladder volume | |
Ishimoto et al. | A study of spermatozoan swimming stability near a surface | |
KR102243969B1 (ko) | 방광부피 계측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
Morais et al. | Morphometric study for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runk transverse surface area to assess human drag force on water | |
Christiansen et al. | Consensus-based semi-quantitative ultrasound scoring system for gout lesions: Results of an OMERACT Delphi process and web-reliability exercise | |
KR102551452B1 (ko) | 방광부피 측정장치 | |
Van Sickle et al. | The effect of escalating feedback on the acquisition of psychomotor skills for laparoscopy | |
Schmidt et al. | Competency assessment in seni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for core ultrasound skills | |
JPS58115490A (ja) | パタン間距離計算装置 | |
JP2020137974A (ja) | 超音波プローブ用ナビゲー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ナビゲート表示装置 | |
Milios et al. | Sonification of range information for 3-D space perception | |
Liao et al. | Theoretical tools to analyze anorectal mechanophysiological data generated by the Fecobionics device | |
KR102624462B1 (ko) | 방광부피 측정장치 | |
de Souza et al. | Inferior vena cava ultrasound in children: comparing two common assessment methods | |
Naemi et al. | A “hydrokinematic” method of measuring the glide efficiency of a human swimmer | |
Polak et al. | Doppler velocity estimates of internal carotid artery stenosis: angle correction parallel to the color doppler lumen versus parallel to the artery wall | |
Rupflin | Sharp quantitative rigidity results for maps from $ S^ 2$ to $ S^ 2$ of general degree | |
Kato et al. | Villous tree model with active contractions for estimating blood flow conditions in the human placenta | |
Gevaerd Martins et al. | Impact of maternal body mass index on the accuracy of third trimester sonographic estimation of fetal weight | |
Bibrowicz et al. | Tilt and mobility of the hip girdle in the sagittal and frontal planes in healthy subjects aged 19–30 years | |
Allen | Standardised Radiological Pelvimetry (Part III) | |
Akdogan et al. | Renal artery doppler findings in the patients with polyhydramnios before and after the conservative treatment | |
US12016731B2 (en) | Ultrasound credentialing system | |
Sawada et al. | Development of a novel tool for assessing deformation and hardness of real organs: Pressure measuring grasper (PME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