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50944B1 -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44B1
KR102550944B1 KR1020230009924A KR20230009924A KR102550944B1 KR 102550944 B1 KR102550944 B1 KR 102550944B1 KR 1020230009924 A KR1020230009924 A KR 1020230009924A KR 20230009924 A KR20230009924 A KR 20230009924A KR 102550944 B1 KR102550944 B1 KR 10255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housing
male
coupl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만
설진환
Original Assignee
한국프레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레틀(주) filed Critical 한국프레틀(주)
Priority to KR102023000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메일커넥터에 제1 및 제2씰이 구비되고 메일커넥터에 제3씰이 구비됨으로써 커넥터 모듈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를 누름에 따라 고정돌기부가 결속 해제됨으로써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사이의 결속/해제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미국 공개 특허 공보 제2003/0176104 A1호는 SMB 연결체에 대한 FAKRA 표준 체계에 따른 플라스틱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커넥터를 유지하며 보호함과 동시에 플라스틱 하우징을 구비한 다른 커넥터와의 연결 작업을 위해 커넥터를 예비 위치시키는 플라스틱 하우징이 구비된다. 하우징은 또한 서로 대응되는 하우징들만이 함께 플러그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기계식 코딩(mechanical coding)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동축 커넥터용 플라스틱 하우징은 FAKRA 하우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차량 기술 분야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케이블은 일례로 전기 전도체에 기초한 동축 케이블이거나 이와 유사한 케이블이다.
인터페이스 영역(interface region), 즉 두 플라스틱 하우징 간의 기계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서 상보형 플러그와 협동하는 하우징의 축방향 영역에서 이러한 유형의 FAKRA 하우징의 기계적 크기는 2004년 10월 개정판인 DIN(독일 공업 규격, 이하 "DIN"이라 함) 표준 72594-1에 따른다.
이러한 DIN 표준 72594-1에 기재된 "도로용 차량 - 50Ω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50 RFI) - 1부: 크기 및 전기적 요건(Road vehicles - 50 Ohm radio frequency interface (50Ω -RFI) - part 1: Dimensions and electrical requirements)"이라는 부분에서는 도로 차량용 무선 주파수 적용 분야에 대해 50Ω (50Ω -RFI)의 임피던스를 갖는 인터페이스의 플러그와 커플러를 규정하고 있으며 차량 내외로의 통신을 보증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는 크기 및 전기적 요건과 특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상호 교환성을 보증하고 있다.
모든 유명 차량 제조업체에서는 제조시 이러한 표준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의 내용은 차량 표준 협회(FAKRA)에 의해 정해진다.
DIN 내의 차량 표준 협회(FAKRA)는 차량 산업 분야에 대한 표준에 대해서 지역적, 국가적 및 국제적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FAKRA의 담당 분야에는 도로용 차량이 내연 기관, 전기 모터 혹은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중 어떤 장치를 장착하였는지와는 무관하게 DIN 70010(농업용 트랙터 제외)에 따른 도로 차량의 호환성, 상호 교환성 및 안전성에 관한 모든 표준을 기안하는 분야가 포함된다.
FAKRA는 또한 이러한 도로용 차량[지자체 차량(municipal vehicle), 소방차 및 앰뷸런스 제외]의 차체에 대한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FAKRA는 또한 상술한 차량 및 차체에 대한 모든 장치의 표준화와 화물 컨테이너(ISO 컨테이너)의 표준화도 담당하고 있다.
표준화에 의해 차량 제조시 합리화 및 품질 보증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환경적 내구성도 촉진된다.
이러한 표준화는 또한 증가하는 차량 및 교통 안전성에 대해 현재의 기술 과학에 도움을 주게 되며 제조업체 및 사용자에게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파크라 커넥터에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의 (a)는 종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피메일쉘과 메일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b의 (b)는 종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피메일쉘과 메일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파크라 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10)과 메일하우징(20)이 상호 간에 암수 결합되며, 피메일하우징(10)에는 피메일쉘(11)이 결합되고 메일하우징(20)에는 메일쉘(21)이 결합된다.
피메일쉘(11)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피메일하우징(10)과 메일하우징(20)의 결합시 피메일쉘(11)과 메일쉘(21) 상호 간은 단자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때, 파크라 커넥터는 피메일쉘(11)과 메일쉘(21)을 기준으로 결합되는데 피메일쉘(11)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단자결합부(12)가 형성되어 피메일쉘(11)과 메일쉘(21) 상호 간의 체결시 피메일쉘(11)의 단자결합부(12)가 메일쉘(21)의 일측 둘레면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며 단자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피메일쉘(11)과 메일쉘(21)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피메일쉘(11)의 결합 내측면이 메일쉘(21)의 결합 외측면을 가압하면서 접촉면 자체가 단자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파크라 커넥터의 경우 조립성 향상을 위해 피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쉘(11)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후에도 케이블 유동에 의해 피메일쉘(11)이 회전되면서 단자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케이블 유동이 지속되면서 단자가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 기능에서도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0612호 (2020.06.1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피메일커넥터에 제1 및 제2씰이 구비되고 메일커넥터에 제3씰이 구비됨으로써 커넥터 모듈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메일리테이너 메일리테이너가 각각, 피메일하우징 및 메일하우징에 내삽된 상태에서 잭과 플러그에 결합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 및 메일하우징으로부터 전기통신선이 구비된 잭 및 플러그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를 누름에 따라 고정돌기부가 결속 해제됨으로써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사이의 결속/해제를 쉽게 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기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통신을 수행하는 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1씰;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제1씰의 내측에 결합고정되는 피메일슬리브;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피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잭;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잭이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피메일리테이너;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피메일리테이너의 단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잭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2씰; 상기 잭의 타측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피메일인슐레이터; 및 상기 피메일인슐레이터에 내삽되는 피메일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는, 일측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내삽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2씰의 외주면 일부에 외삽되며 밀착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피메일터미널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터미널;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일터미널이 내삽되는 메일인슐레이터;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일인슐레이터가 내삽되고, 상기 잭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가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메일리테이너;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에 상기 플러그의 타측 단부가 내삽되는 메일슬리브; 및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슬리브의 타측이 내측에 결합고정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외주면 상부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외주면 상부에 상기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는, 일측 누름손잡이를 누르면 타측 걸림고리가 상향이동되고,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걸림고리와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잭은, 외주면에 상기 피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잭은,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릿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리테이너는, 내삽된 상기 잭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리테이너는, 상기 제2씰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속플랜지가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외주면에 상기 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리테이너는, 내삽된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메일커넥터에 제1 및 제2씰이 구비되고 메일커넥터에 제3씰이 구비됨으로써 커넥터 모듈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리테이너 메일리테이너가 각각, 피메일하우징 및 메일하우징에 내삽된 상태에서 잭과 플러그에 결합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 및 메일하우징으로부터 전기통신선이 구비된 잭 및 플러그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축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를 누름에 따라 고정돌기부가 결속 해제됨으로써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사이의 결속/해제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파크라 커넥터에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의 (a)는 종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피메일쉘과 메일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b의 (b)는 종래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피메일쉘과 메일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에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분리/결합을 위한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을 도 6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중 피메일커넥터에 대한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중 메일커넥터에 대한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에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분리/결합을 위한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을 도 6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중 피메일커넥터에 대한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중 메일커넥터에 대한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는 피메일커넥터(female-connector)와 메일커넥터(male-connector)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통신을 수행하는 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피메일커넥터(200)는, 피메일하우징(201);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1씰(203);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일측이 제1씰(203)의 내측에 결합고정되는 피메일슬리브(205);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일측이 피메일슬리브(205)로 내삽되는 잭(207);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잭(207)이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피메일리테이너(209);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 결합되되 피메일리테이너(209)의 단부와 결합되면서 잭(207)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2씰(211); 잭(207)의 타측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피메일인슐레이터(213); 및 피메일인슐레이터(213)에 내삽되는 피메일터미널(215);을 포함하고,
메일커넥터(300)는, 일측이 피메일하우징(201)에 착탈가능하게 내삽결합되고, 일측이 제2씰(211)의 외주면 일부에 외삽되며 밀착되는 메일하우징(301);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피메일터미널(215)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터미널(303);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메일터미널(303)이 내삽되는 메일인슐레이터(305);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메일인슐레이터(305)가 내삽되고, 잭(207)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307);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 구비되고 플러그(307)가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메일리테이너(309);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일측에 플러그(307)의 타측 단부가 내삽되는 메일슬리브(311); 및 메일하우징(301)의 내부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메일슬리브(311)의 타측이 내측에 결합고정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씰(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피메일커넥터(200)와 메일커넥터(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피메일커넥터(200)
피메일커넥터(200)는 피메일하우징(201), 제1씰(203), 피메일슬리브(205), 잭(207), 피메일리테이너(209), 제2씰(211), 피메일인슐레이터(213) 및 피메일터미널(215)을 포함한다.
피메일하우징(20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대략 박스 형상으로 제공된다.
피메일하우징(201)은, 외주면 상부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217)가 형성된다.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217)는, 후술할 메일하우징(301)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15)와의 상호작용으로 피메일커넥터(200)와 메일커넥터(300)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한다.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217)는, 누름손잡이(219)와 걸림고리(221)를 포함한다.
일측 누름손잡이(219)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타측 걸림고리(221)가 상향이동된다.
이처럼 걸림고리(221)가 상향이동되면 메일하우징(201)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15)가 걸림고리(221)로부터 이탈되면서 고정돌기부(315)와 걸림고리(221)의 결속이 해제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피메일커넥터(200)와 메일커넥터(3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씰(203)은,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제1씰(203)은 중앙에 전기통신선이 삽입되는 관통공(223)이 형성된다.
제1씰(203)은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피메일커넥터(200)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물론, 제1실(203)이 삽입되는 위치의 피메일커넥터(200) 내주면에도 제1씰(203) 외주면의 요철과 맞물리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피메일슬리브(205)는,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일측이 제1씰(203)의 내측에 결합고정된다.
피메일슬리브(205)의 일측 외주면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플랜지(225)가 형성된다.
이러한 피메일슬리브(205)의 결합플랜지(225)는, 제1씰(203)의 내측에 경방향 외측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227)에 끼워져 결합된다.
잭(207)은,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일측이 피메일슬리브(205)로 내삽된다.
잭(207)은, 외주면에 피메일슬리브(205)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29)가 돌출형성된다.
잭(207)은,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릿(231)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된다.
잭(207)은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홈(233)이 함몰형성된다.
고정홈(233)은 스토퍼(229)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피메일리테이너(209)는,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잭(207)이 내삽관통하여 결합된다.
피메일리테이너(209)는, 내삽된 잭(207)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233)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235)가 돌출형성된다.
도면들에서는 후크(235)가 상호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피메일리테이너(209)는, 후술할 제2실(21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237)에 끼움결합되는 결속플랜지(239)가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씰(211)은, 피메일하우징(201)의 내부에 결합되되 피메일리테이너(209)의 단부와 결합되면서 잭(207)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실(211)은 내주면에 결합홈(237)이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이 결합홈(237)에 피메일리테이너(209)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239)가 끼워짐으로써 피메일리테이너(209)와 결합된다.
피메일인슐레이터(213)는, 잭(207)의 타측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피메일인슐레이터(213)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경부와 소경부로 형성될 수 있다.
피메일터미널(215)은, 피메일인슐레이터(213)에 내삽된다.
피메일터미널(215)은, 피메일인슐레이터(213)의 대경부와 소경부의 경계턱에 지지되는 날개(241)를 가질 수 있다.
피메일터미널(215)은, 후술할 메일터미널(303)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삽입된 메일터미널(303)의 일부분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핑거(243)를 가질 수 있다.
메일커넥터(300)
메일커넥터(300)는, 메일하우징(301), 메일터미널(303), 메일인슐레이터(305), 플러그(307), 메일리테이너(307), 메일슬리브(311) 및 제3씰(313)을 포함한다.
메일하우징(301)은, 일측이 피메일하우징(201)에 착탈가능하게 내삽결합되고, 일측이 제2씰(211)의 외주면 일부에 외삽되며 밀착된다.
메일하우징(301)의 일측 외주면엔 회전방지날개(317)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방지날개(317)는, 피메일하우징(201)이 형성된 회전방지날개결합홈(245)에 삽입결합된다.
메일하우징(301)의 외주면 상부에는 고정돌기부(315)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부(315)의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메일터미널(303)은,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피메일터미널(215)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일터미널(303)은, 후술할 메일인슐레이터(305)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319)에 지지되는 날개(321)를 가질 수 있다.
메일터미널(303)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일인슐레이터(305)는,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메일터미널(303)이 내삽된다.
메일인슐레이터(305)는 피메일인슐레이터(213)와 동축 상에서 맞물리며 지지된다.
플러그(307)는,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메일인슐레이터(305)가 내삽되고, 잭(207)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플러그(307)는, 외주면에 후술할 메일슬리브(311)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323)가 돌출형성된다.
플러그(307)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홈(325)이 함몰형성된다.
고정홈(325)은 스토퍼(323)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메일리테이너(309)는,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 구비되고 플러그(307)가 내삽관통하여 결합된다.
메일리테이너(309)는, 내삽된 플러그(307)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25)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327)가 돌출형성된다.
도면들에서는 후크(327)가 상호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메일슬리브(311)는, 메일하우징(301)의 내부에서 일측에 플러그(307)의 타측 단부가 내삽된다.
메일슬리브(311)의 타측 외주면에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플랜지(329)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일슬리브(311)의 결합플랜지(329)는, 후술할 제3씰(313)의 내측에 경방향 외측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331)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3씰(313)은, 메일하우징(301)의 내부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메일슬리브(311)의 타측이 내측에 결합고정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한다.
제3씰(313)은 중앙에 전기통신선이 삽입되는 관통공(333)이 형성된다.
제3씰(313)은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메일커넥터(300)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물론, 제3씰(313)이 삽입되는 위치의 메일커넥터(300) 내주면에도 제3씰(313) 외주면의 요철과 맞물리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메일커넥터에 제1 및 제2씰이 구비되고 메일커넥터에 제3씰이 구비됨으로써 커넥터 모듈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하우징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를 누름에 따라 고정돌기부가 결속 해제됨으로써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 사이의 결속/해제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피메일커넥터
201 : 피메일하우징
203 : 제1씰
205 : 피메일슬리브
207 : 잭
209 : 피메일리테이너
211 : 제2씰
213 : 피메일인슐레이터
215 : 피메일터미널
217 :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
219 : 누름손잡이
221 : 걸림고리
223 : 관통공
225 : 결합플랜지
227 : 결합홈
229 : 스토퍼
231 : 슬릿
233 : 고정홈
235 : 후크
237 : 결합홈
239 : 결속플랜지
241 : 날개
243 : 핑거
245 : 회전방지날개결합홈
300 : 메일커넥터
301 : 메일하우징
303 : 메일터미널
305 : 메일인슐레이터
307 : 플러그
309 : 메일리테이너
311 : 메일슬리브
313 : 제3씰
315 : 고정돌기부
317 : 회전방지날개
319 : 단턱
321 : 날개
323 : 스토퍼
325 : 고정홈
327 : 후크
329 : 결합플랜지
331 : 결합홈
333 : 관통공

Claims (8)

  1. 전기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통신을 수행하는 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1씰;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제1씰의 내측에 결합고정되는 피메일슬리브;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피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잭;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잭이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피메일리테이너;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피메일리테이너의 단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잭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2씰;
    상기 잭의 타측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피메일인슐레이터; 및
    상기 피메일인슐레이터에 내삽되는 피메일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는,
    일측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내삽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2씰의 외주면 일부에 외삽되며 밀착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피메일터미널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터미널;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일터미널이 내삽되는 메일인슐레이터;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일인슐레이터가 내삽되고, 상기 잭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가 내삽관통하여 결합되는 메일리테이너;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측에 상기 플러그의 타측 단부가 내삽되는 메일슬리브; 및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슬리브의 타측이 내측에 결합고정되며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씰;을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리테이너는,
    내삽된 상기 잭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한쌍의 후크가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리테이너는,
    상기 제2씰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속플랜지가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외주면 상부에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외주면 상부에 상기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락킹/언락킹누름걸쇠부는,
    일측 누름손잡이를 누르면 타측 걸림고리가 상향이동되고,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걸림고리와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외주면에 상기 피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릿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외주면에 상기 메일슬리브로 내삽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리테이너는,
    내삽된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KR1020230009924A 2023-01-26 2023-01-26 커넥터 모듈 KR10255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24A KR102550944B1 (ko) 2023-01-26 2023-01-26 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24A KR102550944B1 (ko) 2023-01-26 2023-01-26 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944B1 true KR102550944B1 (ko) 2023-07-04

Family

ID=8715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24A KR102550944B1 (ko) 2023-01-26 2023-01-26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9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53A (ja) * 1994-03-07 1995-09-19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1233202A (ja) * 1998-02-12 1999-08-27 Harness Syst Tech Res Ltd コネクタ
JP2000286017A (ja) * 1999-04-01 2000-10-13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340291A (ja) * 1999-05-27 2000-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3007818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강아이엔씨 커넥터
KR20200070612A (ko) 2018-12-10 2020-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53A (ja) * 1994-03-07 1995-09-19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1233202A (ja) * 1998-02-12 1999-08-27 Harness Syst Tech Res Ltd コネクタ
JP2000286017A (ja) * 1999-04-01 2000-10-13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340291A (ja) * 1999-05-27 2000-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3007818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강아이엔씨 커넥터
KR20200070612A (ko) 2018-12-10 2020-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8607B2 (en) Sealed connector system
JP5255650B2 (ja) 同軸プラグコネクタ
KR10169957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142895B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KR101121900B1 (ko) 커넥터
CN104718669B (zh) 头部组件
CA2739735C (en) Hf angle plug connector
CA2741628C (en) Hf plug connector
US7988455B2 (en) Co-axial plug-in-insertion connector having a coding housing
JP2009505117A (ja) Fakraハウジングを有する光学データ伝送ケーブル
US920958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627870B1 (ko) 커넥터 조립체
US9799983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550944B1 (ko) 커넥터 모듈
US20090318021A1 (en) Ultraminiature coax connector
KR101482973B1 (ko) 고주파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구조
KR101394065B1 (ko) 고주파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구조
CN212908160U (zh) 车用插头电连接器及车用插座电连接器
CN209747799U (zh) 用于同轴连接器的安装套筒、用于同轴连接器的壳体组件及同轴连接器
CN110061390B (zh) 一种防错紧固型密封接插件
CN220382376U (zh) 一种fakra防水线端公头连接器
EP3376597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wire to wire connector
KR20230146837A (ko) 동축 커넥터
KR20210135431A (ko) 고주파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