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149B1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0149B1 KR102550149B1 KR1020210166403A KR20210166403A KR102550149B1 KR 102550149 B1 KR102550149 B1 KR 102550149B1 KR 1020210166403 A KR1020210166403 A KR 1020210166403A KR 20210166403 A KR20210166403 A KR 20210166403A KR 102550149 B1 KR102550149 B1 KR 102550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s
- unit
- discharging
- casing
- discharge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91—Configuration of solids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ink drain, crushing unit for pulverizing the food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and discharging the pulverized food; A storage unit having a solids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precipitated solids at the lower end and an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overflow water at the upper end while receiving and storing the pulverized food from the crushing unit; a bioreaction unit receiving overflow water through the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purifying it through a bioreaction,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A casing in which a solids inlet through which solids are introduced from the storage unit, a cake outlet through which dehydrated solid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moisture generated in the dehydration process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the casing is configured to perform rotational interlocking A dewatering unit including a screw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cake storage unit for inflowing and storing the dehydrated solids in the dehydration unit and drying them by a heat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고, 이렇게 배출되는 각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면서 처리토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 in each household, and storing and treating the food waste in each household.
일반적으로 디스포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여 하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것으로서, 근래에는 환경오염방지를 위하여 그 사용이 법률에 의해 제한되거나 금지되는 형편에 이르렀다.In general, the disposer is used to crush food waste and dispose of it as it is through the sewer, and in recent years, its use has been restricted or prohibited by law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한편, 최근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 수거하여 분쇄, 건조, 압축한 다음 유기질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친환경적 처리 방안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n eco-friendly treatment method is widely implemented in which food waste is separated, crushed, dried, and compressed, and then recycled as organic fertilizer.
그러나 이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 수거하는 것은 일손이 많이 가고 위생상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음식물 찌꺼기의 발생량이 많지 않은 가정에서는 디스포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고,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배출하는 방안이 시도됨으로써 다시금 디스포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since separating and collecting food waste requires a lot of labor and causes many hygiene problems, in households where there is not much food waste, food is pulverized using a disposer, dried using a dryer, etc., and then discharged. As a method of doing this is attempted, the need for a disposer is on the rise again.
종래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44132호에서는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하는 분쇄부; 내측에 상기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4132 discloses a crushing unit for receiving and crushing water and food waste from the outside; a body fram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crushing unit is disposed and forming a body protecting the crushing unit from the outside; and an extrusion unit disposed around the crushing unit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frame, receiving the food waste pulverized by the crushing unit from the crushing unit, dehydrating or compressing the food waste,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It propose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은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의 문제가 있어 그 적용성에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its applicability due to problems such as space utilization and noise when used in general hom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토록 하고, 별도의 장소에서 이렇게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생물반응 등에 의해 처리토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ach household pulverizes and discharges food waste, and treats the collected food waste in a separate place by dehydration, bioreaction, etc.,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nois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olving such problems.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이라함)은,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ttom of a sink drain, crushes food flowing through the drain, and discharges the ground food. a crushing unit; A storage unit having a solids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precipitated solids at the lower end and an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overflow water at the upper end while receiving and storing the pulverized food from the crushing unit; a bioreaction unit receiving overflow water through the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purifying the overflow water through a biological reaction,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A casing in which a solids inlet through which solids are introduced from the storage unit, a cake outlet through which dehydrated solid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moisture generated in the dehydration process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the casing is configured to perform rotational interlocking A dewatering unit including a screw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ke storage unit for drying by a heating means while introducing and storing the dehydrated solids in the dehydration unit.
하나의 예로 상기 저장부에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for supplying microbubbles therein, and a skimmer for guiding floating matter suspended by the microbubbles to the floating matter storage chamber.
하나의 예로 상기 케익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pipe connect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cake discharge port and having spiral blade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pressure pipe and discharging the dehydrated solids to the outside.
하나의 예로 상기 가압관에는 상기 케이싱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pressur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er pipe connecting the casing and the discharge pipe, and an inner pipe in which spiral blade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for rotational interlocking.
하나의 예로 상기 외관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에 상기 내관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protruding edg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rior, and the inner tube is rotatably built into both protruding edges.
하나의 예로 상기 스크류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로 구성되는 파쇄돌기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crushing protrusion composed of a rotation pin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spiral w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in is further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screw.
하나의 예로 상기 케이싱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 하부에는 수분낙하부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분낙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스크류의 날개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in the casing, a moisture falling portion formed of a mesh network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where the solids inlet is formed, and a moisture storage portion configured to store moisture that has fallen through the moisture fal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isture falling portion, and the mois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rim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ing of the screw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alling part.
하나의 예로 상기 가압테두리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이 형성되는 솔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a brush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brushes are formed is further configured on a part of the pressing edg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 food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the above device.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토록 하고, 별도의 장소에서 이렇게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생물반응 등에 의해 처리토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dvantage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noise by allowing food waste to be pulverized and discharged in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collected in this way to be treated by dehydration, bioreaction, etc. in a separate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 구성으로 저장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탈수부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가압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탈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orage unit as on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watering unit in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ssure pip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6 is a parti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watering unit in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example shown in FIG. 6 .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2); 상기 분쇄부(2)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31)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32)이 형성되는 저장부(3); 상기 월류수배출라인(32)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5); 상기 저장부(3)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411)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412)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461)이 형성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42)를 포함하는 탈수부(4); 상기 탈수부(4)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61)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2)는 각 가정 등에 설치되는 구성에 해당하고, 이렇게 복수의 분쇄부(2)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저장부(3) 및 탈수부(4)에 의해 처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crushing
우선 분쇄부(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분쇄부(2)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싱크대 저부에 음식물 분쇄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분쇄부(2)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First, the
상기 저장부(3)는 상기 분쇄부(2)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31)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3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The storage unit 3 receives and stores the pulverized food from the crushing
이러한 저장부(3)는 예로 아파트 등에서 복수의 가정에 구비된 분쇄부(2)에서 분쇄된 음식물들이 모여서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저장된 분쇄된 음식물이 상기 저장부(3)에서 저장되면서 비중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1차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을 후단의 탈수부(4)로 고형물배출라인(31)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형물배출라인(31)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당연히 펌프가 구성되어 고형물배출라인(31)을 통해 고형물이 탈수부(4)로 전달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storage unit 3 collects and stores food crushed in the crushing
도 2에서는 저장부(3)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34)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35)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부유물저장챔버에는 부유물배출라인(33)이 더 구성된다. 상기 부유물배출라인(33)은 상기 탈수부(4)의 고형물유입구(411)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배출라인(33)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의 경우도 탈수부(4)에서 탈수과정을 거쳐 케익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2 shows an example of the storage unit 3,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미세기포발생장치(34)는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세기포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저장부(3)에서도 호기반응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며 이렇게 1차적으로 정화된 처리수가 후단의 생물반응부(5)로 유입되도록 하여 2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처리수가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방류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상기 생물반응부(5)는 상기 월류수배출라인(32)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생물반응부(5)에는 월류수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생물반응조(51)와 상기 생물반응조(51) 내부에 구성되어 폭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산기관(53)이 구성되고, 상기 생물반응조(51)에는 정화처리가 이루어진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라인(511)이 구성된다. 또한 생물반응부(5)에는 상기 생물반응조(51)로 호기성 미생물을 저장하면서 공급하는 미생물저장조(52)가 더 구성되도록 한다. The bioreactor 5 is configured to receive overflow water through the overflow
이와 같은 구성의 생물반응부(5)의 생물반응에 의한 정화처리 작동기작은 공지의 작동기작으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operation mechanism of purification treatment by biological reaction of the bioreactor 5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 well-known operation mechanism,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생물반응조(51)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탈수부(4)에서 탈수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도 유입되도록 하여 생물반응에 의한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process in the dehydration unit 4 described below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탈수부(4)는 상기 저장부(3)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411)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412)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461)이 형성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watering unit 4 includes a
상기 케이싱(4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형물유입구(411)에서 상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탈수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케이싱(41)에서 하방향으로 유도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분낙하부(45)를 통해 수분저장부(46)로 배출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스크류(42)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연동을 하며 회전몸체(421)와 나선형의 날개(422)로 구성된다. Although the
특히 상기 탈수부(4)는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케익배출구(412)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41)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432-2)가 형성되는 가압관(43)과, 상기 가압관(43)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4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dewatering unit 4 is connected to the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관(43)에는 상기 케이싱(41)과 배출관(44)을 연결하는 외관(431)과, 상기 외관(431)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432-2)가 형성되는 내관(4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케이싱(41), 상기 외관(431) 및 상기 배출관(44)은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구성의 단부에 구성되는 플랜지의 부착에 의해 체결이 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탄성재질의 가스켓이 게재되도록 하여 수밀성이 담보되도록 체결됨이 타당하다. 각 플랜지 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볼트결합 등에 의해 고정이 될 수 있다. Although the
상기 외관(431)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431-1)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431-1)에 상기 내관(432)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Protruding edges 43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rior 431, and the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테두리(431-1)는 상기 케이싱(41)의 케익배출구(412) 및 상기 배출관(44)과 연하도록 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관몸체(432-1)의 두께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돌출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41), 상기 내관몸체(432-1) 및 상기 배출관(44)은 내주연이 연하도록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돌출된 부분에 케익이 침적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protruding edge 431-1 is in contact with the
상기 내관(432)은 관형의 내관몸체(432-1)와 상기 내관몸체(432-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선날개(432-2)로 구성된다. The
바람직하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날개(432-2)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의 직경(d)은 상기 회전몸체(421) 끝단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42)에 의해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의 전체면적이 상기 나선날개(432-2)에 의해 접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diameter (d) of the hollow formed by the spiral blades 432-2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이렇게 구성되어 상기 내관(432)은 상기 외관(431)의 내주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432)은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이 상기 나선날개(432-2)를 가압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이에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에 상기 나선날개(432-2)가 가압력을 주어 탈수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고 스크류(42)의 공회전을 제어토록 하는 것인데, 상기 내관(432)이 고정된 구조일 경우 케익이 너무 견고하게 고화되어 스크류(42)에 회전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이 상기 나선날개(432-2)를 가압함으로써 내관(432)의 회전연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회전연동에 의해 케익이 계속적으로 가압관(43) 외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탈수와 탈수된 케익의 배출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al blades 432-2 apply pressure to the cake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균형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다양한 공지의 구조에 의해 상기 내관(432)의 회전을 어느 정도 제어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탈수와 탈수된 케익의 배출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this balance, the rotation of the
이에 더하여 상기 스크류(42)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423-1)과 상기 회전핀(423-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423-2)로 구성되는 파쇄돌기(423)가 더 구성된 예가 제시된다.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상기 파쇄돌기(423)는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케익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 2나선날개(423-2)의 회전에 의해 케익의 중앙부에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관(43)에 의해 배출되는 케익의 탈수효율을 높임으로써 더욱 경화가 되는데 이러한 경화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관(432)에 있어 나선날개(432-2)의 회전에 의해서도 케익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쇄돌기(423)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파쇄돌기(423)는 케익을 중앙부에서 파쇄시키면서 외측에서 케익의 페이스트가 헐거워지도록 함으로써 배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rushing
또한 상기 케이싱(41)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411)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45)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45) 하부에는 수분낙하부(45)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46)가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e
케이싱(41)에서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탈수작업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상기 케이싱(41)의 경사구배에 의해 수분낙하부(45)로 유도되고, 유도된 수분은 상기 수분낙하부(45)를 통해 수분저장부(46)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Moisture discharged in the dewatering operation process by the rotation of the
상기 수분저장부(461)에는 수분배출라인(461) 및 하단부에 침적된 고형물배출라인(462)이 구성된다. The
특히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분낙하부(45)에 대향하는 위치(422-1)에서 스크류(42)의 날개(422)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423)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가압테두리(423)의 구성에 의해 수분낙하부(45)에서 고형분(S)이 수분낙하부(45)의 메쉬에 침적됨 없이 케이싱(41)의 상방향으로 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가압테두리(423)의 탄성에 의해 수분낙하부(45)의 메쉬를 메우면서 회전함에 따라 고형분이 메쉬에 침적됨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By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에 더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테두리(423)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424-1)이 형성되는 솔부(424)가 더 구성되어 스크류(42)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솔부(424)가 상기 수분낙하부(45)에 접하면서 회전시 복수의 솔(424-1)이 수분낙하부(45)의 메쉬를 관통하여 메쉬에 침적된 고형분(S)을 수분저장부(461)로 탈리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이렇게 탈리된 고형분(S)은 수분저장부(461)에서 침적되어 고형분배출라인(4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olid content (S) desorbed in this way is deposit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되어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이 도모되는 것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eas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is promoted.
상기 탈수부(4)를 거쳐 탈수된 고형분(케익)은 후단의 케익저장부(6)로 유입되며, 케익저장부(6)에서는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61)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한다. 즉 케익저장부(6)에서 케익의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solid content (cake) dehydrated through the dehydration unit 4 flows into the cake storage unit 6 at the rear, and the cake storage unit 6 supplies and stores the dehydrated solids while drying by the heating means 61 let it do That is, the cake is completely dried in the cake storage unit 6.
상기 가온수단(61)은 열선 등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warming means 61 can be applied to various known technologies such as hot wir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본 발명의 장치 2 : 분쇄부
3 : 저장부 4 : 탈수부
5 : 생물반응부 6 : 케익저장부1: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grinding unit
3: storage unit 4: dehydration unit
5: biological reaction unit 6: cake storage unit
Claims (9)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가 더 구성되고,
상기 케익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압관에는 상기 케이싱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에 상기 내관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되고,
상기 스크류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로 구성되는 파쇄돌기가 더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 하부에는 수분낙하부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분낙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스크류의 날개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가 구성되고,
상기 가압테두리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이 형성되는 솔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crushing uni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ink drain, crushing food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and discharging the crushed food;
A storage unit having a solids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precipitated solids at the lower end and an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overflow water at the upper end while receiving and storing the pulverized food from the crushing unit;
a bioreaction unit receiving overflow water through the overflow water discharge line, purifying it through a bioreaction,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A casing in which a solids inlet through which solids are introduced from the storage unit, a cake outlet through which dehydrated solid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water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moisture generated in the dehydration process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the casing is configured to perform rotational interlocking A dewatering unit including a screw to;
A cake storage unit for inflowing and storing the dehydrated solids in the dehydration unit and drying them by a heating means;
the storage unit,
A micro-bubble generator for supplying micro-bubbles therein and a skimmer for inducing the suspended matter suspended by the micro-bubbles into the floating matter storage chamber are further configured,
A pressure pipe connect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cake discharge port and having spiral blades formed on an inner periphery,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pressure pipe and discharging the dehydrated solids to the outside are further included,
The pressurized pipe includes an outer pipe connecting the casing and the discharge pipe, and an inner pipe in which spiral blade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in rotational interlocking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Protruding edg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rior, and the inner tube is rotatably built into both protruding edges,
At the end of the screw, a crushing protrusion composed of a rotation pin protruding from the center and a second spiral blad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in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casing, a moisture falling portion formed of a mesh n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where the solids inlet is formed, and a moisture storage portion configured to store moisture that has fallen through the moisture fal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isture falling portion. At the opposite position, the wing of the screw is formed with a pressure rim of elastic material at the end,
Food waste dispos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rush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rushes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pressing edge.
A food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03A KR102550149B1 (en) | 2021-11-29 | 2021-11-29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03A KR102550149B1 (en) | 2021-11-29 | 2021-11-29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559A KR20230079559A (en) | 2023-06-07 |
KR102550149B1 true KR102550149B1 (en) | 2023-07-03 |
Family
ID=8676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6403A KR102550149B1 (en) | 2021-11-29 | 2021-11-29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014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6373A (en) * | 2007-03-30 | 2008-10-16 |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 Garbage disposal system |
KR100937519B1 (en) * | 2009-07-29 | 2010-01-19 | 박대식 | Screw assembly |
KR101209907B1 (en) * | 2012-05-25 | 2012-12-11 | (주) 대성이앤비 | Apparatus to reduce amount of food waste |
KR101751489B1 (en) * | 2016-07-08 | 2017-06-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Food waste multi process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4003A (en) * | 2000-11-01 | 2002-05-08 | 황부연 | Water purifier system |
KR20040103852A (en) * | 2004-11-12 | 2004-12-09 | 고정순 | A multi-functional food-waste treatment apparatus of sink-sticking type |
KR101443819B1 (en) * | 2012-07-24 | 2014-09-26 | 하이에나 (주) | Dehydrating device for solid material |
KR102446483B1 (en) | 2019-10-14 | 2022-09-23 | (주)비바 | An Appratus for Disposal of Food Garbage |
-
2021
- 2021-11-29 KR KR1020210166403A patent/KR1025501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6373A (en) * | 2007-03-30 | 2008-10-16 |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 Garbage disposal system |
KR100937519B1 (en) * | 2009-07-29 | 2010-01-19 | 박대식 | Screw assembly |
KR101209907B1 (en) * | 2012-05-25 | 2012-12-11 | (주) 대성이앤비 | Apparatus to reduce amount of food waste |
KR101751489B1 (en) * | 2016-07-08 | 2017-06-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Food waste multi proces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559A (en) | 2023-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7339B2 (en) |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821571B1 (en) | System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 |
KR20100004590A (en) | Canister for receiving food waste | |
US20150040779A1 (en) | Screw press dewatering device using shearing blade | |
TWI537066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organic waste | |
KR980000664A (en) | Food Waste Joint Treatment System | |
JP2008246373A (en) | Garbage disposal system | |
KR102550149B1 (en)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 |
KR101881005B1 (en) | A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 |
JP2004322074A (en) | Dehydrator | |
KR101449642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KR20080035128A (en) | Stock farm waste water and waste matter purify system | |
KR101581259B1 (en) | Apparatus removing and dry of adulterated thing using microwave | |
JP2002136960A (en) | Garbage treatment apparatus | |
KR20100041234A (en) | A compression dehydrator for waste | |
KR20150117776A (en) | apparatus for treating excretion of livestock | |
KR20110025465A (en) | Food and trash dehydration system | |
JP4183845B2 (en) | 厨 芥 Treatment system | |
JPH0910617A (en) | Garbage disposal apparatus | |
KR200245093Y1 (en) | A Garbage disposer | |
KR102681657B1 (en) |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for food waste | |
KR200165321Y1 (en) | Apparatus for evaporating garbage | |
JPH09240802A (en) | Garbage disposer | |
KR100395853B1 (en) | The separator | |
KR102559752B1 (en) | multi-stage filtering type solid material reclai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