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58440B1 -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440B1
KR102558440B1 KR1020230048515A KR20230048515A KR102558440B1 KR 102558440 B1 KR102558440 B1 KR 102558440B1 KR 1020230048515 A KR1020230048515 A KR 1020230048515A KR 20230048515 A KR20230048515 A KR 20230048515A KR 102558440 B1 KR102558440 B1 KR 10255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product
inventory
demand
peri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원
Original Assignee
박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원 filed Critical 박영원
Priority to KR102023004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4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존 식음료 공산품의 판매량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수요량을 기반으로 재고를 관리함으로써, 식음료 공산품의 재고를 최적화하여 유통 마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TRIBUTION PROCESSING OF FOOD AND BEVERAGE INDUSTRIAL PRODUCTS}
아래 실시예들은 기존 식음료 공산품의 판매량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수요량을 기반으로 재고를 관리함으로써, 식음료 공산품의 재고를 최적화하여 유통 마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캔음료, 라면, 페트(PET)병 음료, 주류, 과자류 등 다양한 식음료 공산품들이 물류망을 거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식음료 공산품들은 과일, 채소, 정육 등의 식료품 등에 비해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길어 재고로 저장/보관할 수 있는 기간이 길지만,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해 악성 재고가 늘어나는 경우 매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판매량(수요량)을 예측하여 악성재고를 줄일 필요성이 있으나, 종래에는 단순히 월별, 계절별, 명절이나 기념일 등의 변수 등만을 기반으로 경험칙에 기반하여 재고관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예측한 수요량과 실제 판매량이 상이하여 손실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았다.
KR 10-2327747 B KR 10-2514928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식음료 공산품의 재고 관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월별로 판매될 상품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주하여 재고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식음료 공산품인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입고 정보의 입고 가격을 기반으로, 제1 마진율을 적용한 상기 상품의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판매 처리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가 소정의 기간 이상 누적된 상품에 대해, 누적된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품을 다수개의 창고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재하는 상품 이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고는: 내부 온도가 -7℃ 내지 -2℃로 유지되는 냉동창고, 내부 온도가 0℃ 내지 10℃로 유지되는 냉장창고, 내부 온도가 15℃ 내지 25℃로 유지되며, 내부 상대 습도가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건조창고 및 별도의 공조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화물차가 접근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적재대를 포함하고,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향후 다수 개월간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향후 다수 개월을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의 네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합산한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이재 단계는: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1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적재대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2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3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3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1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4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8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는: 상기 품목별 수요량의 제1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 상기 제1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 상기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1 비율의 절반인 제2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품목별 단위부피당 제2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단위중량당 제3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창고의 면적 대비 여유 면적 비율인 가용 면적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수식으로 상기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 따라 산출되되, 상기 제1 수식은:
Figure 112023041436399-pat00001
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1 : 제1 비율, m2 : 제2 마진율, m3 : 제3 마진율, ra : 가용 면적 비율)
아울러,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월(month)을 '열'로, 상기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3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 상기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3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3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 및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중, 상기 주문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 내지 제14 예측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음료 공산품들을 군집화함으로써 서로 비슷한 판매 경향을 나타내는 상품들을 묶어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군집화된 상품들의 판매량 추이를 기반으로, 상품들의 향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군집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요량을 예측함으로써, 상품의 품목별 단일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에도 정확한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예측된 수요량에 비례한 소정의 비율(재고율) 내에서만 재고를 유지하여, 악성 재고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식음료 공산품의 품목별 저장 위치(창고)를 이재(이관, 이동)시킴으로써, 온도에 의한 상품 변질 등을 최소화하면서도 공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의 현재 적재 상태(가용 면적 비율)를 기반으로 재고율을 관리함으로써, 창고의 여유 공간 및 재고를 최적화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가 누적되지 않은 신규 상품에 대해서도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행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제1 군집별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규칙(Rule)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규칙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심층 학습(Deep Learning)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 학습의 기본 방법론의 특성상 Trial and Error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심층 학습의 경우 수십만 번의 반복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기는 불가능하여 대신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을 컴퓨터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식음료 공산품인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100); 상기 입고 정보의 입고 가격을 기반으로, 제1 마진율을 적용한 상기 상품의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200); 상기 상품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판매 처리하는 단계(S400); 상기 상품의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S500); 상기 주문 정보가 소정의 기간 이상 누적된 상품에 대해, 누적된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소정의 서버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컴퓨터는 관리자 단말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식음료 공산품인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100);에서는, 식음료 공산품(이하, '상품'이라 함)의 입고 정보, 즉 품목별 입고 가격, 입고 수량, 입고 날짜, 공급자 정보, 로트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입고 정보의 입고 가격을 기반으로, 제1 마진율을 적용한 상기 상품의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품의 품목별로 지정된 제1 마진율에 따라, 상기 입고 가격에 제1 마진율만큼의 금액을 더한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한다.
상기 상품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는, 고객(도/소매상, 소비자 등)으로부터 상품의 품목별 주문 정보, 즉 판매 가격, 판매 수량, 판매 날짜, 주문자 정보, 로트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판매 처리하는 단계(S400);는,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출고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해당 상품이 상기 주문 정보만큼의 수량만큼 판매된 것으로 처리한다.
상기 상품의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S500);는, 상기 입고 정보 및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재고를 산출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다.
상기 주문 정보가 소정의 기간 이상 누적된 상품에 대해, 누적된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00);는 누적된 판매량(주문 정보)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향후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한다.
수요량을 예측하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후술한다.
상기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S700);는, 상품의 품목별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향후 판매될 수량(수요량)에 맞추어 재고로부터 부족한 분량 또는 그 분량의 일부분만큼을 발주하여 재고를 추가한다.
또한, 상기 상품을 다수개의 창고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재하는 상품 이재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이재 단계(S800)에서 이재되지 않는 나머지 품목들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었던 창고에 그대로 유지(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품을 다수개의 창고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재하는 상품 이재 단계(S800);는, 지정된 다수개의 창고들, 특히 서로 다른 온도/습도로 유지(공조)되는 창고들 사이에서 상품들을 이재(이관)시킨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이재 처리(이재 지시)된 상품은 AGV, 물류 로봇, 작업자 등에 의해 실물이 이재되도록 작업될 수 있다.
상기 창고는: 내부 온도가 -7℃ 내지 -2℃로 유지되는 냉동창고, 내부 온도가 0℃ 내지 10℃로 유지되는 냉장창고, 내부 온도가 15℃ 내지 25℃로 유지되며, 내부 상대 습도가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건조창고 및 별도의 공조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화물차가 접근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적재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창고는 상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가장 낮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되, 냉동으로 인한 음료 상품들의 병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지 -2℃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조 설비의 성능에 따라 온도 범위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창고는 곧 유통될 상품들이 냉동탑차/냉장탑차 등의 냉동/냉장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영상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건조창고는 상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습도만을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적재대는 화물차량이 접근하여 지게차나 작업자 등에 의해 상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실외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조 설비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조 설비 설치비용이나 공조 비용 등을 고려하면, 각 창고의 크기는 적재대 >= 건조창고 > 냉장창고 > 냉동창고 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물차량(냉동탑차, 냉장탑차를 포함)의 진출입 경로/적재대로부터의 거리는 건조창고 < 냉장창고 < 냉동창고 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00)는: 향후 다수 개월간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10); 상기 향후 다수 개월을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의 네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S620); 및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합산한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후 다수 개월간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10);에서는, 후술하는 군집화 알고리즘 기반의 품목별 수요량 예측 단계에 따라, 향후 1년간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향후 다수 개월을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의 네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S620);에서는, 예측된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소정의 기간마다 병합하여, 총 네 개의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한다.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합산한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S630);에서는, 예를 들어, 1월 내지 12월까지의 수요량이 예측된 경우, 1월 내지 3월, 4월 내지 6월, 7월 내지 9월, 10월 내지 12월을 각각 제1 기간, 제2 기간, 제3 기간 및 제4 기간으로 지정하고 각 월별 수요량을 합산한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이재 단계(S800)는: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1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적재대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2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3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3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1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4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8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1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적재대로 이재하는 단계;에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기간인 제1 기간에서의 수요량이 전체 기간의 수요량 대비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에 대해, 해당 품목의 재고를 이재시킨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의 수요량이 850 Box, 제2 기간의 수요량이 100 Box, 제3 기간의 수요량이 40 Box, 제4 기간의 수요량이 10 Box인 경우, 현재 재고량인 500 Box 중 40%인 200 Box를 냉장창고로 이재하고, 40%인 200 Box를 건조창고로 이재하고, 20%인 100 Box를 적재대로 이재하여, 주문에 대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2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에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두 번째로 가까운 기간인 제2 기간에서의 수요량이 전체 기간의 수요량 대비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에 대해, 해당 품목의 재고를 이재시킨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의 수요량이 100 Box, 제2 기간의 수요량이 850 Box, 제3 기간의 수요량이 40 Box, 제4 기간의 수요량이 10 Box인 경우, 현재 재고량인 500 Box 중 60%인 300 Box를 냉장창고로 이재하고, 20%인 100 Box를 냉동창고로 이재하고, 20%인 100 Box를 건조창고로 이재하여, 주문에 대해 적절한 속도로 대응할 수 있고 상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3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3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1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에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세 번째로 가까운 기간인 제3 기간에서의 수요량이 전체 기간의 수요량 대비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에 대해, 해당 품목의 재고를 이재시킨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의 수요량이 40 Box, 제2 기간의 수요량이 100 Box, 제3 기간의 수요량이 850 Box, 제4 기간의 수요량이 10 Box인 경우, 현재 재고량인 500 Box 중 60%인 300 Box를 냉동창고로 이재하고, 30%인 150 Box를 냉장창고로 이재하고, 10%인 50 Box를 건조창고로 이재하여, 주문에 대해 대응하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더라도 상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4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8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에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가장 먼 기간인 제4 기간에서의 수요량이 전체 기간의 수요량 대비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에 대해, 해당 품목의 재고를 이재시킨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의 수요량이 10 Box, 제2 기간의 수요량이 100 Box, 제3 기간의 수요량이 40 Box, 제4 기간의 수요량이 850 Box인 경우, 현재 재고량인 500 Box 중 80%인 400 Box를 냉동창고로 이재하고, 20%인 100 Box를 냉장창고로 이재하여, 주문에 대해 대응하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더라도 상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S700)는: 상기 품목별 수요량의 제1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S710); 상기 제1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S720); 상기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1 비율의 절반인 제2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S730);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S730)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S740);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S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수요량의 제1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S710);에서는, 상품의 품목별로 지정된 제1 비율 또는 제1 수식에 의해 산출된 제1 비율을 기반으로, 품목별 수요량과 현재 재고의 차이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품목을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갱신한다.
상기 제1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S720);에서는, 발주한 수량만큼 입고된 수량을 반영하여, 재고를 갱신하고,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출고(배송) 처리 시킨다.
이후, 입고량 및 출고량을 기반으로 갱신되는 상품의 품목별 재고를 기반으로 후술하는 제3 발주 단계(S730), 제4 발주 단계(S740) 및 제5 발주 단계(S75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1 비율의 절반인 제2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S730);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S730)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S740);에서는, 상기 상품의 품목별 재고를 모니터링하여 그 재고가 제2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해당 품목을 추가 발주하고 재고를 갱신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수요량을 초과하지 않고 일정 수준(비율)의 재고가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상품의 수요량이 1000 Box이고 현재 재고량이 90 Box이며, 제1 비율이 20%인 경우, 현재 재고가 제2 비율(10%)인 100 Box 이하이므로 A 상품(품목)을 제1 비율(200 Box)만큼 추가로 발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서 누적 재고가 900 Box인 경우, 제1 비율만큼 발주하지 않고 누적 재고와 품목별 수요량의 차이 값인 100 Box만을 발주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S750);에서는, 이미 품목별 수요량 만큼을 모두 판매한 이후에는 재고를 별도로 확보하지 않고 주문이 들어올 때 이에 맞추어 발주함으로써 악성 재고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품목별 단위부피당 제2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단위중량당 제3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창고의 면적 대비 여유 면적 비율인 가용 면적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수식으로 상기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식은:
Figure 112023041436399-pat00002
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1 : 제1 비율, m2 : 제2 마진율, m3 : 제3 마진율, ra : 가용 면적 비율)
"상기 품목별 단위부피당 제2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m^3당 마진율을 상품의 품목별로 산출한다.
이에 따라, 상품의 품목별로 단위부피당 이익이 얼마인지를 품목별로 비교한 지수인 제2 마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품목별 단위중량당 제3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ton당 마진율을 상품의 품목별로 산출한다.
이에 따라, 상품의 품목별로 단위중량당 이익이 얼마인지를 품목별로 비교한 지수인 제3 마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창고의 면적 대비 여유 면적 비율인 가용 면적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창고의 전체 면적(m^2) 대비 현재 비어있는(상품을 적재/저장할 수 있는) 여유 면적(m^2)의 비율인 가용 면적 비율(0<ra<1)을 산출한다.
제1 수식으로 상기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수식을 기반으로, 현재 어떤 품목의 재고를 확보했을 때 유지비용 대비 이익이 최적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비율은 ra값이 0.3 이하이고, 제2 마진율 및 제3 마진율 값이 각각 0.1 내지 0.2 사이일 때, 상기 제1 수식에 따라 0.45 이하의 범위에서 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10)는: 월(month)을 '열'로, 상기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S6101);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S6102);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S6103);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S6104);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S6105);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S6106);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S6107);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3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S6108); 상기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S6109);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S6110);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3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3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S6111);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S6112);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S6113); 및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S6114);를 포함할 수 있다.
월(month)을 '열'로, 상기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S6101);에 따라 생성된 제1 행렬의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행렬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스프레드시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S6102);에서는, 상기 제1 행렬을 군집화하며, 제1 행렬에 포함된 상품별 판매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들을 군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비슷한 판매량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A 제품과 B 제품은 서로 같은 군집에 소속될 수 있다.
도 5에는 각 상품별(품목별)로 산출된 클러스터가 표기되어 있다.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S6103);에서는 다수개 생성된 제1 군집들 각각에 대하여, 각 제1 군집에 속하는 상품들의 월별 판매량(작년 1년간의 데이터 또는 n년간 누적된 평균 데이터)을 평균하여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번 군집에 속하는 A, B, C 상품의 1월 판매량이 각각 30, 50, 70이었다면, 0번 군집의 1월 평균 판매량이 50으로 산출되며, 이러한 산출 과정을 각 군집별로 및 각 월별로 반복하게 된다.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S6104);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군집별로 산출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각 제1 군집마다 보간하여 각 제1 군집에 대한 제1 함수들을 생성한다.
상기 제1 군집별로 생성된 상기 제1 함수에 따른 그래프가 도 6 (a)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산출된 제1 함수들을 각 군집별로 각각 미분하여, 월별 판매량의 변화율인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S6105);에서는, 어떤 기간(수개월)에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즉 월별 판매량이 감소 추세에 있는 제1 기간들을 각 군집별로 추출하고, 제1 기간이 존재하는 제1 군집들을 제2 군집으로 지정한다.
다시말해, 월별 판매량이 감소하지 않는 제1 군집은, 제2 군집으로 지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S6106);에서는, 상기 제1 기간들과 동일한 기간 동안에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즉 월별 판매량이 증가 추세에 있는 제1 군집들을 제3 군집들로 지정한다.
다시말해, 상기 제2 군집에 포함되는 상품들의 유행이 다했거나 계절 등의 특성에 따라 월별 판매량이 감소하는 동안에, 이와는 반대로 유행이 시작하거나 계절 등의 특성에 따라 월별 판매량이 증가하는 군집을 제3 군집들로 추출한다.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S6107);에서는, 추출된 제2 군집들 및 제3 군집들 중, 서로 연관관계가 있는 군집들을 서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도 6 (a)에 도시된 제1 군집들 중 일부 제1 군집들만을 표기한 도 6 (b)에서, 주황색으로 표기된 제2 군집이 5월에서 6월 사이의 기간동안에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고, 이와는 반대로 연두색으로 표기된 제3 군집이 5월에서 6월 사이의 기간동안에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주황색 제2 군집과 연두색 제3 군집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3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S6108);에서는, 매칭된 군집들의 제1 월별 변화율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가지는지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기울기)이 -15이고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이 3인 경우, 제3 비율은 3/-15 = -1/5 = -0.2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비율은 매칭된 어느 쌍의 제2 군집의 판매량 감소에 비해 제3 군집의 판매량 증가가 어느 정도의 비율을 가지는지를 설명하는 값으로, 어떤 제2 군집의 판매량이 매우 급격하게 감소할 때 그에 매칭된 제3 군집의 판매량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이(제3 비율)를 기반으로 제3 군집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S6109);에서는, 금년도(산출 시점으로부터 1년 전까지의 데이터) 실제 판매량을 상품의 품목별로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읽어온다.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S6110);에서는,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이번달(산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데이터 또는 지난달 데이터 또는 월말인 경우 이번달 데이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으로 지정한다.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3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3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S6111);에서는, 어떤 군집의 유행이 종료할 때 새로이 유행이 시작되는 군집인 제3 군집에 대하여, 제3 군집과 매칭된 제2 군집에 대해 산출된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에 상기 제3 비율(의 절댓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500개로 산출되었고, 제3 군집의 이번달 판매량이 300개로 산출되었을 때, 제3 군집의 제2 군집에 대한 제3 비율 값이 -0.7인 경우, 상기 제1 예상 판매량은 500*0.7인 350개를 상기 300개에 더한 값인 650개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S6112);에서는, 매칭된 다른 군집이 존재하지 않아 유행의 추이를 파악하기 어려운 군집들인 제4 군집에 대해 수요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군집의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이번달(산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데이터 또는 지난달 데이터 또는 월말인 경우 이번달 데이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으로 지정한다.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S6113);에서는, 다른 군집과의 관계가 판별되지 않았으므로 작년의 판매량 변화율을 기반으로 올해의 판매량 변화율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 달 예상 판매량인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S6114);에서는, 매칭된 제3 군집들에 대해 산출된 제1 예상 판매량들과, 매칭되지 않은 제4 군집들에 대해 산출된 제2 예상 판매량들의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모든 제1 군집들에 대한 수요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600)는: '상기 상품 중, 상기 주문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S6104) 내지 제14 예측 단계(S6114)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규 상품'이란, 기존에 판매된 이력이 전혀 없어서 기존의 판매 추이 등의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하고, 이에 따라 해당 신규 상품이 어느 군집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상품을 의미한다.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 이외의 상품인 기존 상품들의 제1 군집들 각각에 대해 소정의 제1 태그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음료 위주의 상품들이 포함된 군집에는 #과일, #생과일, #사과, #포도, #복숭아, #탄산 등의 제1 태그가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태그들은 전술한 입고 정보나 판매 정보 등을 기반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 중 기존에 판매된 이력이 충분한 제1 기존 상품들의 사진을 상기 입고 정보 또는 판매 정보로부터 취득하거나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상품들의 제품명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등의 SNS로부터 게시물의 내용, 태그, 댓글 및 첨부된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품의 사진인 제2 이미지 및 제품과 관련한 태그인 제2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적합하거나 정확도가 낮은 데이터 등은 소정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제거되거나, 데이터 분류 작업자에 의해 직접 분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에서는, 상품들의 이미지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이미지를 학습하여 소정의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의 제2 이미지와 가장 비슷한 이미지(외관)를 가지는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한다.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소속된 제1 군집을 제5 군집으로써 지정한다.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에서는, 상품들의 텍스트(태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태그를 학습하여 소정의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의 제2 태그와 가장 비슷한 태그(설명, 제품 특징 등)를 가지는 제1 군집인 제6 군집을 추출한다.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지난달 판매량으로 추정하여 대입한다.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상품을 제6 군집에 소속시킨다(별도로 K-Means Clustering 등을 수행하지 않고, 군집 데이터를 직접 입력/지정/수정한다).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S6104) 내지 제14 예측 단계(S6114)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추정된 상기 신규 상품의 지난달 판매량과, 추정된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제6 군집)을 기반으로 전술한 수요량 예측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누적된 판매량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한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00 :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S200 :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300 :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400 : 판매 처리하는 단계
S500 :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
S600 :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S610 :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S6101 : 제1 예측 단계
S6102 : 제2 예측 단계
S6103 : 제3 예측 단계
S6104 : 제4 예측 단계
S6105 : 제5 예측 단계
S6106 : 제6 예측 단계
S6107 : 제7 예측 단계
S6108 : 제8 예측 단계
S6109 : 제9 예측 단계
S6110 : 제10 예측 단계
S6111 : 제11 예측 단계
S6112 : 제12 예측 단계
S6113 : 제13 예측 단계
S6114 : 제14 예측 단계
S620 : 네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S630 :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S700 :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
S710 : 제1 발주 단계
S720 : 제2 발주 단계
S730 : 제3 발주 단계
S740 : 제4 발주 단계
S750 : 제5 발주 단계
S800 : 상품 이재 단계

Claims (3)

  1. 삭제
  2.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식음료 공산품인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입고 정보의 입고 가격을 기반으로, 제1 마진율을 적용한 상기 상품의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판매 처리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가 소정의 기간 이상 누적된 상품에 대해, 누적된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을 다수개의 창고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재하는 상품 이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고는:
    내부 온도가 -7℃ 내지 -2℃로 유지되는 냉동창고,
    내부 온도가 0℃ 내지 10℃로 유지되는 냉장창고,
    내부 온도가 15℃ 내지 25℃로 유지되며, 내부 상대 습도가 50% 내지 60%로 유지되는 건조창고 및
    별도의 공조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화물차가 접근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적재대를 포함하고,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향후 다수 개월간의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향후 다수 개월을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의 네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품목별 월별 수요량을 합산한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이재 단계는: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1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4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적재대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2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2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3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6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3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제3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10%를 상기 건조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기간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전체 기간 대비 제4 기간의 수요량이 80% 이상인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80%를 상기 냉동창고로 이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이재 대상 품목의 재고 중 20%를 상기 냉장창고로 이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3.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식음료 공산품인 상품의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입고 정보의 입고 가격을 기반으로, 제1 마진율을 적용한 상기 상품의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판매 처리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재고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가 소정의 기간 이상 누적된 상품에 대해, 누적된 상기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는:
    상기 품목별 수요량의 제1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
    상기 제1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
    상기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1 비율의 절반인 제2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품목별 단위부피당 제2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품목별 단위중량당 제3 마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창고의 면적 대비 여유 면적 비율인 가용 면적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수식으로 상기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에 따라 산출되되,
    상기 제1 수식은:
    Figure 112023057358175-pat00003
    인,
    (r1 : 제1 비율, m2 : 제2 마진율, m3 : 제3 마진율, ra : 가용 면적 비율)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KR1020230048515A 2023-04-13 2023-04-13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255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515A KR102558440B1 (ko) 2023-04-13 2023-04-13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515A KR102558440B1 (ko) 2023-04-13 2023-04-13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440B1 true KR102558440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515A Active KR102558440B1 (ko) 2023-04-13 2023-04-13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74B1 (ko) * 2023-07-31 2023-12-27 주식회사 폴로클럽 의류 품목별 판매량 데이터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84141B1 (ko) 2024-03-04 2024-07-11 주식회사 주원유업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775677B1 (ko) 2024-03-22 2025-03-12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식자재 및 생활용품의 진열 배치 및 재고 관리를 위한 수요 예측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47B1 (ko) 2021-07-30 2021-11-17 이석용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요예측모델 기반의 콜드체인을 통해 유통되는 식품의 유통기한과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13734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4928B1 (ko) 2022-11-25 2023-03-30 주식회사 앤리치 블록체인 기반 식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34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7747B1 (ko) 2021-07-30 2021-11-17 이석용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요예측모델 기반의 콜드체인을 통해 유통되는 식품의 유통기한과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4928B1 (ko) 2022-11-25 2023-03-30 주식회사 앤리치 블록체인 기반 식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74B1 (ko) * 2023-07-31 2023-12-27 주식회사 폴로클럽 의류 품목별 판매량 데이터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84141B1 (ko) 2024-03-04 2024-07-11 주식회사 주원유업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775677B1 (ko) 2024-03-22 2025-03-12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식자재 및 생활용품의 진열 배치 및 재고 관리를 위한 수요 예측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440B1 (ko)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565551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item storage strategy
Tiwari et al. Two-warehouse inventory model for non-instantaneous deteriorating items with stock-dependent demand and inflation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KR20210121990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제품 통합 및 중복제거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55760A1 (en) Training a classification model using labeled training data that does not overlap with target classific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model
KR102452440B1 (ko) 전자 장비의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40054191A1 (en) Freshness scoring for perishables
KR102556922B1 (ko)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2229720B2 (en) Creation and arrangement of items in an online concierge system-specific portion of a warehouse for order fulfillment
US20250209083A1 (en) Accounting for item attributes when selecting items satisfying a query based on item embeddings and an embedding for the query
KR102533258B1 (ko) 인공 신경망을 활용한 냉동식품의 효율적인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8780B1 (ko)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수출입 항공 물류를 위한 자동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40054503A1 (en) Transparency scoring for perishables
US12321959B2 (en) Strategic and tactical intelligence in dynamic segmentation
US11748339B2 (en) Anonymization of query information while retaining query structure and sizing information
CN11904797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仓储管理方法及系统
Ren et al. Anticipatory shipping versus emergency shipment: data-driven optimal inventory models for online retailers
US2023018633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ally estimating order sizes
Postan Application of Semi-Markov Drift Processes to Logistical Systems Modeling and Optimization
Siddiqui et al. Case Fill Rate Prediction
Topçu et al. Improving Replenishment for Retail: Utilizing Planogram Information
Prastiya et a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Optimization of Forecasting Material Inventory: English
Liu Warehouse and inventory management
El Raoui et al. On the gen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for a perishable food distribution problem
Rana Supply chain optimization using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