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55866B1 -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66B1
KR102555866B1 KR1020220191024A KR20220191024A KR102555866B1 KR 102555866 B1 KR102555866 B1 KR 102555866B1 KR 1020220191024 A KR1020220191024 A KR 1020220191024A KR 20220191024 A KR20220191024 A KR 20220191024A KR 102555866 B1 KR102555866 B1 KR 10255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erilization
composition
cypress
c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흥
Original Assignee
(주)위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몬 filed Critical (주)위몬
Priority to KR102022019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성 오일을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전분 또는 당분이 함유된 곡물을 발효 및 증류시켜 제조된 곡물발효주정에 균일한 크기의 정육면체 형태로 제작된 복수의 편백나무큐브를 넣고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된 상기 곡물발효주정에 상기 오일혼합액 및 정제수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에 편백수와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헥산디올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2차 오일수분산액에 식용 무수구연산과 식물성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살균탈취조성물을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TERILIZING AND DEODORANT COMPOSITION USING NATURAL MATERIAL}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탈취력이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균 및 탈취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살균 탈취제들이 상업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살균 탈취제는 가정뿐만 아니라 의료, 환경, 농축산, 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살균 탈취제는 일반적으로 분무 가능한 형태로 사용되는데, 사람이나 동물에 접촉되더라도 유해성이 없어야 함은 당연하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1664호에는 광물분말을 이용한 무자극 천연 살균 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질소화합물, 황 화합물, 알데하이드 등 화합제재가 함유된 성분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사용할 경우 2차적인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악취물질의 제거효과가 짧아 장시간 사용 시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편백나무에 포함된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편백나무의 향과 피톤치드의 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편백나무에 포함된 성분이 원활하게 조성물에 흡수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어성초와 병풀에 함유된 영양소들의 손실이 없이 추출되어 혼합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성 오일을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전분 또는 당분이 함유된 곡물을 발효 및 증류시켜 제조된 곡물발효주정에 균일한 크기의 정육면체 형태로 제작된 복수의 편백나무큐브를 넣고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된 상기 곡물발효주정에 상기 오일혼합액 및 정제수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에 편백수와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헥산디올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2차 오일수분산액에 식용 무수구연산과 식물성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살균탈취조성물을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곡물발효주정 20중량부에 상기 편백나무큐브 0.5중량부를 투입하여 23~24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는 단계는, 상기 살균탈취조성물과 함께 상기 편백나무큐브를 상기 용기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는 단계는, 상기 살균탈취조성물과 상기 편백나무큐브를 100 : 1의 중량비로 상기 용기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큐브는, 상기 정육면체의 꼭짓점 각각에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큐브는, 상기 정육면체의 6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소정의 깊이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는, 파인유, 솔비톨, 유칼립투스오일을 혼합하여 탈취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 편백오일, 레몬오일, 티트리오일, 레몬글라스를 혼합하여 살균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탈취기능오일과 상기 살균기능오일을 혼합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는, 숙성된 상기 곡물발효주정과 상기 오일혼합액을 먼저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를 혼합하여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성초추출물 및 상기 병풀추출물은, 어성초 및 병풀 각각을 상온의 물과 함께 제각기 저온진공추출장치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성초추출물 및 상기 병풀추출물은, 어성초 및 병풀 각각을 물과 혼합하여 90~97도에서 중탕가열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조성물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편백나무에 포함된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편백나무의 향과 피톤치드의 향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편백나무가 균일한 크기의 큐브형태로 만들어져 복수개가 곡물발효주정이나 살균탈취조성물에 투입되므로 편백나무에 포함된 성분이 원활하게 조성물에 흡수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편백나무큐브의 꼭짓점 각각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므로 안전하게 투입될 수 있으며, 편백나무큐브의 각 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곡물발효주정이나 조성물이 홈부까지 투입되므로 편백나무에 포함된 성분이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어성초와 병풀이 저온추출방식으로 추출됨으로써 어성초와 병풀에 함유된 영양소들의 손실이 없이 추출되어 혼합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편백나무큐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편백나무큐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편백나무큐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분무식 살균탈취제나 손소독제, 가습기 살균용 첨가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살균탈취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살균탈취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S100), 숙성시키는 단계(S200),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300),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400),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S500) 및 용기에 담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S100)는 서로 다른 식물성 오일을 혼합하여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로, 탈취력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일과 살균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일을 각각 만들어 혼합함으로써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S110), 살균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S120) 및 교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S110)는 탈취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일을 만드는 단계로, 파인유, 솔비톨 및 유칼립투스오일을 혼합아여 만들 수 있다.
파인유(Pine Oil)는 소나무에서 채취한 향료로서, 특유의 향이 존재하여 정신을 맑게 하고 신경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및 탈취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비톨(Sorbitol)은 6가의 당알코올의 하나로 사과, 복숭아에 함유되어 있으며, 식품첨가물,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에서 착향제로 사용되고 있다.
유칼립투스오일(Eucalyptus Oil)의 원료가 되는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Eucalyptus)는 정서에 대한 냉각작용이 있으며 머리를 맑게 하고 정신집중에 도움을 주며 신경계를 강화한다. 또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 호흡기관의 염증을 완화시키고, 편두통에도 효과가 있으며, 공기 중 확산시 포도상구균을 제거하는 등 살균효과가 있고, 탈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살균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S120)는 살균력 강화와 함께 해충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오일을 만드는 단계로, 편백오일, 레몬오일, 티트리오일 및 레몬글라스를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편백오일은 편백나무에서 추출된 것으로 피톤치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피톤치드(phytoncide)는 나무가 해충과 병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천연 항균 물질이다. 이 물질은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여 스트레스 해소, 면역강화, 심폐기능 강화, 항균. 살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으며 아토피를 유발하는 집먼지 진드기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몬오일(Lemon Oil)은 정신을 맑게 하고 감정을 고양시켜 심신에 활력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트리오일(Tea Tree Oil)은 상쾌함과 활력을 주고, 강력한 살균효과와 항카타르(anticatarrhal)효과가 있어서 기침, 기관지염, 부비강염 등 호흡기 관련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몬글라스는 레몬향이 강한 허브로서 차나 요리의 향신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살균작용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집먼지 진드기, 벌레, 곰팡이를 퇴치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S130)는 S110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탈취기능오일과 S120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살균기능오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반하는 단계(S130)에서는 탈취기능오일과 살균기능오일을 혼합한 상태로 18~20도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8~2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교반할 경우에는 오일 뭉침 현상이 일어나면서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없고, 18~20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교반할 경우에는 식물성 오일류의 특성 상 향이 날아가 감소할 수 있고 부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S200)는 살균탈취조성물의 살균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곡물발효주정을 숙성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곡물발효주정은 전분 또는 당분이 함유된 곡물 등을 발효시켜 증류한 주정이며, 알코올농도 95도 이상의 발효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곡물발효주정은 증자 및 당화공정, 발효공정 및 증류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96~97도의 알코올분을 희석하여 알코올농도95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숙성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상술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곡물발효주정에 편백나무를 넣고 숙성시킴으로써 편백나무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같은 성분이 곡물발효주정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편백나무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항균, 탈취 등을 비롯하여 주지된 피톤치드의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숙성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편백나무에 함유된 피톤치드와 같은 성분이 곡물발효주정에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편백나무를 균일한 크기의 정육면체 형태로 절단한 복수의 편백나무큐브(10)를 곡물발효주정에 넣고 숙성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편백나무큐브(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로 절단됨으로써 곡물발효주정에 정확한 중량으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백나무큐브(10)는 한 변의 길이가 1cm를 갖는 정육면체 형태로 절단되면서 0.5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숙성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곡물발효주정20중량부에 편백나무큐브 0.5중량부를 투입할 수 있다. 즉, 곡물발효주정이 20리터일 경우에는 편백나무큐브(10) 1000개(500g)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숙성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편백나무큐브(10)를 투입한 상태로 23~24도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할 수 있다. 만약 23~24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숙성할 경우에는 편백나무에 함유된 성분 추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23~24도보다 높은 고온에서 숙성할 경우에는 곡물발효주정이 증발할 수 있다.
또한, 숙성시키는 단계(S200)가 완료된 후에는 편백나무큐브(10)가 곡물발효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큐브(10)는 도 3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를 이루는 꼭짓점 각각을 연마하여 라운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백나무큐브(10)는 꼭짓점부분이 매끈한 라운드부(11)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혼합용기나 포장용기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안전하게 파지하여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편백나무큐브(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의 6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13)는 편백나무큐브(10)의 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곡물발효주정이 편백나무의 중심 쪽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백나무에 함유된 성분을 원활하게 곡물발효주정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한편, 홈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백나무큐브(10)의 6면 각각에 제각기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면의 다른 홈부(13)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곡물발효주정을 편백나무의 중심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편백나무에 함유된 성분을 원활하게 곡물발효주정으로 흡수시킬 수도 있다.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300)는 상술한 숙성시키는 단계(S200)를 통해 숙성된 곡물발효주정과 전술한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S100)에 의해 만들어진 오일혼합액을 정제수와 함께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1차 오일분산액을 만드는 단계이다.
여기서, 정제수는 희석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3회 이상의 여과를 거친 초순수 UV살균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300)에서는 곡물발효주정과 오일혼합액을 먼저 혼합한 후, 정제수를 추가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오일혼합물과 정제수를 먼저 혼합하게 되면 조성물 용액이 혼탁해질 우려가 있다.
이때,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300)에서는 곡물발효주정, 오일혼합액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400)는 전술한 S300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1차 오일수분산액에 편백수와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헥산디올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이다.
편백수는 편백나무 잎과 줄기를 증류추출하여 포집한 것을 유수분리기를 통해 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피톤치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항균, 탈취 등을 비롯하여 주지된 피톤치드의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어성초추출물은 어성초에서 우려나온 추출물을 말하며, 병풀추출물은 병풀에서 우려나온 추출물을 말한다.
어성초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하여 어성초로 불리며, 해독작용(항균)과 소염작용(살균)에 효능이 있다. 구체적으로 어성초는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증강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어성초의 독특한 냄새성분인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noylacetaldehyde)는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가진다. 또한, 어성초에는 쿠에르치트린(Quercitr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쿠레르치트린은 혈액순환을 개선 및 청혈작용을 하며, 여드름 및 아토피 개선효과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어성초는 장속을 깨끗하게 하는 정장작용이 있어서 변비에도 좋고, 체내에 축적된 중금속 독을 해독시키는 해독작용도 할 수 있다.
병풀은 인도양 마다가스카르 섬에 서식하는 식물로 한국에서는 병을 치유하는 식물이라는 '병풀'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항염, 항균 및 피부재생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어성초추출물과 병풀추출물은 저온추출방식 또는 고온추출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온추출방식은 어성초 및 병풀에 포함된 영양소들을 파괴하지 않고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어성소 및 병풀 각각을 상온의 물과 함께 저온진공추출장치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시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어성초추출물 및 병풀추출물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저온진공추출장치는 농축액의 추출분야에 널리 알려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온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할 경우에는 추출용량은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추출할 수 있으나 추출물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추출물의 향이 상대적으로 진하게 추출될 수 있다.
고온추출방식은 어성초 및 병풀을 각각 고온에서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으로, 어성초 및 병풀을 물과 혼합하여 90~97도에서 중탕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어성초추출물 및 병풀추출물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온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할 경우에는 추출용량을 상대적으로 대량으로 추출할 수 있다.
헥산디올은 정식 명칭이 1-2 헥산디올로서 방부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1-2 이하이드록시헥산으로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헥산디올을 다른 방부제와 달리 독성이 거의 없고 물과 잘 섞이며, 보습력과 항균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보습성분 중 하나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를 채워서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수분 보유량을 상대적으로 적지만 상대적으로 피부에 잘 흡수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S400)에서는 1차 오일수분산액과 편백수,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헥산디올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혼합한 후 5분간 교반하여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S500)는 상술한 S400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2차 오일수분산액에 식용 무수구연산과 식물성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무수구연산(citric acid)은 함수구연산을 가열해서 물을 증발시킨 것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구연산이며,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성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S500)에서는 2차 오일수분산액에 식용 무수구연산과 식물성 글리세린을 혼합한 후, 18~20도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S500)에서는 필요에 따라 살균탈취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살균탈취조성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에 담는 단계(S600)는 S500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살균탈취조성물을 포장용기에 담아서 완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용기에 담는 단계(S600)에서는 살균탈취조성물과 함께 전술한 편백나무큐브(10)를 포장용기에 투입함으로써 편백나무의 향과 피톤치드 성분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때, 살균탈취조성물과 편백나무큐브(10)는 100 : 1의 중량비로 포장용기에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탈취조성물이 500ml로 포장용기에 투입될 경우에는 0.5g의 편백나무큐브(10) 10개(5g)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살균탈취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데, 몇 가지를 예시하면 분무식 살균탈취제는 물론, 손소독제, 가습기 살균용 첨가제로도 사용이 유용하며, 물티슈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살균탈취조성물이 분무식 살균탈취제나 가습기 살균용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흡입되더라도 건강에 이상이 발생될 우려는 없고, 오히려 어성초추출물 및 병풀추출물을 비롯한 천연 원료들에 의해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편백나무가 균일한 크기의 큐브형태로 만들어져 복수개의 편백나무큐브(10)가 곡물발효주정이나 포장용기에 투입되므로, 편백나무에 포함된 피톤치드와 향이 원활하게 조성물에 흡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S200 : 숙성시키는 단계
S300 : 1차 오일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S400 :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S500 :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S600 : 용기에 담는 단계
10 : 편백나무큐브
11 : 라운드부
13 : 홈부

Claims (11)

  1.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성 오일을 적어도 2종 이상 혼합하여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전분 또는 당분이 함유된 곡물을 발효 및 증류시켜 제조된 곡물발효주정에 균일한 크기의 정육면체 형태로 제작된 복수의 편백나무큐브를 넣고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된 상기 곡물발효주정에 상기 오일혼합액 및 정제수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에 편백수와 어성초추출물, 병풀추출물, 헥산디올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2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2차 오일수분산액에 식용 무수구연산과 식물성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살균탈취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살균탈취조성물을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는,
    파인유, 솔비톨, 유칼립투스오일을 혼합하여 탈취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
    편백오일, 레몬오일, 티트리오일, 레몬글라스를 혼합하여 살균기능오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탈취기능오일과 상기 살균기능오일을 혼합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곡물발효주정 20중량부에 상기 편백나무큐브 0.5중량부를 투입하여 23~24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는 단계는,
    상기 살균탈취조성물과 함께 상기 편백나무큐브를 상기 용기에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는 단계는,
    상기 살균탈취조성물과 상기 편백나무큐브를 100 : 1의 중량비로 상기 용기에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큐브는,
    상기 정육면체의 꼭짓점 각각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큐브는,
    상기 정육면체의 6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소정의 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오일수분산액을 만드는 단계는,
    숙성된 상기 곡물발효주정과 상기 오일혼합액을 먼저 혼합한 후, 상기 정제수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추출물 및 상기 병풀추출물은,
    어성초 및 병풀 각각을 상온의 물과 함께 제각기 저온진공추출장치에 투입하여 추출액을 얻은 후,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추출물 및 상기 병풀추출물은,
    어성초 및 병풀 각각을 물과 혼합하여 90~97도에서 중탕가열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의해 제조된 살균탈취조성물.
KR1020220191024A 2022-12-30 2022-12-30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5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024A KR102555866B1 (ko) 2022-12-30 2022-12-30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024A KR102555866B1 (ko) 2022-12-30 2022-12-30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66B1 true KR102555866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1024A KR102555866B1 (ko) 2022-12-30 2022-12-30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109A (ko) * 2006-05-17 2007-11-21 강석철 방향제 조성물 및 방향제 패키지
KR200481418Y1 (ko) * 2015-03-10 2016-09-29 김정현 편백나무 옹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KR20170130213A (ko) * 2016-05-18 2017-11-28 정소원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898060B1 (ko) * 2017-06-22 2018-09-12 이래마케팅(주)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3154A (ko) * 2019-01-28 2020-08-05 김정주 한방 여성청결제
KR20210123801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휴메어 해조 정유 및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109A (ko) * 2006-05-17 2007-11-21 강석철 방향제 조성물 및 방향제 패키지
KR200481418Y1 (ko) * 2015-03-10 2016-09-29 김정현 편백나무 옹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KR20170130213A (ko) * 2016-05-18 2017-11-28 정소원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898060B1 (ko) * 2017-06-22 2018-09-12 이래마케팅(주)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3154A (ko) * 2019-01-28 2020-08-05 김정주 한방 여성청결제
KR20210123801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휴메어 해조 정유 및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Nowak et al. Clove oil—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4094977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CN110613632A (zh) 一种富含透明质酸或其盐的宠物洗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2337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축산 악취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164689B1 (ko) 저온찜통, 6단 냉각장치 및 저온진공압력탱크를 이용한 에센셜워터 및 에센셜오일 추출방법, 이를 이용한 에멀젼워터의 제조방법
KR101296091B1 (ko) 편백 기능성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30613B (zh) 一种抗菌缓解疲劳的天然植物精油洗脚液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2555866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8127B1 (ko) 측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소독제 제조방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3618B1 (ko) 버섯 균사체의 발효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00135576A (ko)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84963B (zh) 鸡皮果树专用植物杀菌剂及其生产方法
KR20070074025A (ko) 녹차편백김치제조방법
KR20050034271A (ko) 천연 추출물, 나노실버 및 천연 에센셜오일을 함유한항균제 조성물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