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21B1 - Head band - Google Patents
Head b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8121B1 KR102548121B1 KR1020200109123A KR20200109123A KR102548121B1 KR 102548121 B1 KR102548121 B1 KR 102548121B1 KR 1020200109123 A KR1020200109123 A KR 1020200109123A KR 20200109123 A KR20200109123 A KR 20200109123A KR 102548121 B1 KR102548121 B1 KR 1025481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ead
- band
- wearer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5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7554 medic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밴드본체부, 지지밴드부, 조절밴드부를 포함하고, 지지밴드부가 착용자의 머리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헤드 밴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ody part, the support band part, and the control band part are included, and the support band part stably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head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it at two or more points,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for convenience in wearing. This provides a headband tha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착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헤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head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ban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wearer's head and improving wearing comfort.
일반적으로 용접면, 보안면, 안전모 또는 헬멧 등의 산업 안전 장비는 건설 및 토목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제품이고, 의료용 머리보호대, 안전모자 또는 의료용 헬멧 등은 의료용품으로서, 작업자 또는 착용자가 작업 수행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industrial safety equipment such as a welding face, safety face, safety helmet or helmet is a product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a medical head guard, safety hat or medical helmet is a medical product, and a worker or wearer performs work This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이 중 용접 마스크는 작업자가 용접 마스크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에 작업 수행 시 용접 모재가 작업자의 안면으로 튀는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시력 및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Among them, the welding mask can protect the eyesight and face of the worker from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welding base material splashes into the worker's face during work when the worker wears the welding mask on the head.
용접 마스크는 작업자의 안면을 용접면과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헤드 밴드로 이루어진다. 용접 마스크는 착용 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시력 및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는 용접면과 작업자의 머리에 차용되는 용접면을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elding mask consists of a welding surface for a worker's face and a headband for wearing on the worker's head. The welding mask includes a welding surface on which a see-through window is formed to protect the operator's eyesight and face from safety accidents when worn, and a head band provided therein to fix the welding surface on the worker's head.
이러한 헤드 밴드는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밴드본체부가 이마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머리 상의 전두부 및 후두부를 감싸도록 제1지지밴드 및 제2지지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 밴드에는 착용자의 후두부에 맞닿도록 길이조절레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조절레버는 밴드본체부의 단부에 길이조절밴드로 연결된다. 길이조정레버는 밴드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레버가 결합되어 있다.Such a head band includes a first support band and a second support band so that the band main body cover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head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ehead and covers the front and back of the head. The head band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lever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back, and the length adjustment lev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nd body with a length adjustment band. The length adjustment lever is coupled to the length adjustment lev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nd body.
길이조절레버는 그 내측면에 작업자의 후두부에 밀착되도록 상, 하, 좌, 우에서 중앙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쿠션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길이조절레버의 내측면에 쿠션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헤드 밴드의 착용 시 쿠션부재가 작업자의 후두부를 감싸줌으로써 헤드 밴드가 구비되는 용접 마스크의 착용 시 착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length adjustment lever has a cushion member concavely formed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operator on its inner surface. Since the cush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lever, the cushion member covers the back of the head of the operator when the operator wears the head ban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comfort when wearing the welding mask equipped with the head band.
헤드 밴드는 제1지지밴드 및 제2지지밴드가 착용자 머리의 특정 부분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착용감이 저하되고, 제1지지밴드 및 제2지지밴드가 머리의 특정 부분만을 가압 및 압박함으로써 장시간 헤드 밴드의 착용 시 불쾌감 및 두통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head b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nds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a specific part of the wearer's head, which reduces the wearing comfort,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nds press and hold only a specific part of the head for a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discomfort and headache occurred when wearing the headba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헤드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headband that can stably support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head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it at two or more points, and can adjust the length to improve wearing comfort. want to do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tasks ar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멧에 결합 되고, 머리의 전면을 접촉 지지하는 전면지지부가 형성되는 밴드본체부; 상기 밴드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머리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밴드부; 및 상기 전면지지부를 마주보며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고, 머리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밴드부는, 상기 밴드본체부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단일의 지지밴드본체와; 상기 지지밴드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머리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헤드 밴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ody portion coupled to the helmet and formed with a front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front of the head; a support band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and body part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nd an adjustable band part facing the front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band body part,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wherein the support band part is a single unit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band body part. The support band body of; It provides a head band comprising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band body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t two or more poin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전면지지본체; 및 복수 개의 상기 전면지지본체를 연결하는 전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ont support body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t may include; and a plurality of front control units connecting the front suppor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지본체는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단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조절부는 상기 단절부가 형성되는 상기 전면지지본체의 소정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body is formed with a cut portion to op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adjust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ront support body where the cut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지본체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측부에 전면지지날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body may be formed with front support wings protruding on the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밴드본체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본체; 및 상기 이동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밴드본체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the moving body movable on the support band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coupled to the movable body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band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밴드부는,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는 조절밴드본체; 상기 조절밴드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밴드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후면조절본체; 머리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후면조절본체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후면조절본체와 상기 받침부를 이격시키는, 받침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and unit includes: a control band body coupled to the band body unit; a rear control body coupled to the control band body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trol band body; Support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and a support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between the rear adjusting body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separates the rear adjusting body from the supporting por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밴드는 접촉부가 단일의 지지밴드본체에 연결되고, 머리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헬멧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head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helmet by connecting the contact part to a single support band body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t two or more points.
또한, 지지본체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하고, 착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body is formed in an arch shap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wearer's head and improving wearing convenience.
또한,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서 이동되며,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지지밴드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act part is moved on the support band body,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nd body can be adjusted.
또한, 전면지지본체가 복수 개 구비되어 착용자의 머리의 전면을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ront support bodies are provided to stably contact and support the front of the wearer's head.
또한, 전면조절부로 인하여 전면지지본체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밴드본체부가 착용자의 머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front support body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due to the front control uni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nd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arer's head.
또한, 받침연결부로 인하여 후면조절본체와 받침부를 이격시키며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머리의 후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space by separating the rear adjusting body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wearer's head.
또한, 받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로 인하여 받침연결부로 인한 착용자의 머리 후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uppor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for the back of the wearer's head due to the supporting connecting portion.
또한, 착용자가 헤드 밴드의 조임력을 완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레버부를 걸림돌기 측을 향해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줌으로써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earer wants to relieve the clamping force of the headband, the moving lever part is pressed toward the locking protrusion side in a one-touch manner, so that the contact part can be slid on the support band body,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부를 도시한 부 분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 위치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가 헬멧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head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injection view showing a fron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b to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and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art is fixed in position on the support ba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unit is moved on a support ba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d band is coupled to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if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n an embodiment is otherwise implement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assumed that films, regions, components, etc. are connected, not only are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other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This includes cases where it is connected indirectly. For example, when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specification, not only is the film, region, component, etc.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but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of 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부를 도시한 부 분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 위치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지지밴드본체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가 헬멧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head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injection view showing a fron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art is fixed in position on the support ba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unit is moved on a support ba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ing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d band is coupled to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a,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는, 밴드본체부(100), 지지밴드부(200), 조절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a, 11 and 12, the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본체부(100)는 헬멧(H)에 결합되는 것으로, 착용자 머리(5)의 전면, 즉, 이마 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전면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and 12,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부(110)는 헤드 밴드(1)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 구체적으로 이마 부분에 접촉 지지가 가능하도록 밴드본체부(100)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지지부(110)는 전면지지본체(111), 전면조절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본체(111)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병렬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이로 인하여 전면지지본체(111)가 단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에 접촉되는 지점이 늘어나 접촉 지지력이 향상되고, 착용자의 머리(5)에 착용되는 헤드 밴드(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compared to the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가 나란하게 병렬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 구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좌우 두상에 맞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본 발명에서는 전면지지본체(111)가 2개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면지지본체(111)가 2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wo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는 뒤에 설명할 전면조절부(11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단부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2 and 3, a plurality of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본체(111)는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단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본 발명에서 단절부(112)는 전면지지본체(111)의 중앙부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의 이마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도 3 기준)의 미리 설정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단절부(112)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의 각 단부는 뒤에 설명할 전면조절부(115)가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가 전면조절부(115)를 파지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전면지지본체(111)가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구체적으로 이마 영역에서 밀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ach end of the plurality of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본체(1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1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1 to 3, at least one
이에 더하여 외부 공기가 홀부(1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ventilation by allowing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지지본체(111)는 전면조절부(115)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3, the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날개(113)는 전면지지본체(1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좌우 방향) 기준으로 측부(도 3 기준 상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1 to 3 and 12,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날개(113)는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 기준 측부의 단부에서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즉 이마 영역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로 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지지본체(111)가 이마 영역에서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전면지지본체(111)와 이마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이에 더하여 전면지지날개(113)가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 기준 양측부(도 3 기준 상하 방향)에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머리(5)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지지부(110),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본체(111)가 임의로 틀어지는 것,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날개(113)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전면지지날개(113)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1 to 3, a plurality of
전면지지날개(113)부가 복수 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구체적으로 이마 영역에 전면지지부(11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헬멧(H)에 결합되는 헤드 밴드(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날개(113)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에 헤드 밴드(1)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을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도 2의 A부분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 기준 양측부(도 2 기준 상하 방향)에 형성되는 각각의 전면지지날개(11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part A of FIG. 2, each of the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도 2 기준)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면지지날개(113)는 착용자의 이마 측에 접촉 가능하도록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도 2 기준)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면지지날개(113)는 착용자의 안면(顔面), 구체적으로 눈썹 등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2의 A부분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안구, 눈썹과 근접한 영역에서의 전면지지날개(113),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본체(111)의 하측(도 2 기준)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전면지지날개(113)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전면지지본체(111)의 상측(도 2 기준)에 형성되는 전면지지날개(113)로 착용자의 안면을 접촉 지지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눈썹, 안구 등이 전면지지날개(113)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part A of FIG. 2, the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조절부(115)는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를 연결하는 것으로, 전면조절본체(116), 전면조절레버(117)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nd 12,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조절부(115)는 단절부(112)가 형성되는 전면지지본체(111)의 소정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조절본체(116)는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전면조절레버(117)는 전면조절본체(116)와 중심을 공유하며, 전면조절본체(116)에 결합될 수 있다.3, the
본 발명에서는 전면지지본체(111)가 2개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전면조절본체(116)는 각각의 전면지지본체(111)의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단절부(112), 구체적으로 하나의 전면지지본체(111)의 단절부(112)가 형성되는 마주보는 각 단부 영역, 다른 하나의 전면지지본체(111)의 단절부(112)가 형성되는 마주보는 각 단부 영역, 총 4개의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조절본체(116)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전면지지본체(111)의 단절부(112)가 형성되는 4개의 지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이로 인하여 전면지지본체(111)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들뜸 없이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구체적으로 이마 영역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Due to this,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이에 더하여 착용자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조절부(115), 구체적으로 전면조절레버(117)를 파지하고, 착용자의 좌우(도 3 기준) 두상에 맞춰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wearer can hold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조절레버(117)는 전면조절본체(116)와 중심을 공유하는 것으로, 직선형의 바(bar)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착용자는 상기 바를 파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구체적으로 이마 영역에 밀착되는 전면지지본체(111)를 이마 영역으로부터 이격시켜 전면지지부(110),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본체(111)의 밀착 위치를 변경,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ile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gripping the ba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조절본체(116)가 'X'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의 사이에 전면조절본체(116)의 중심이 배치되고, 전면조절본체(1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가 조절되며 전면지지부(110)가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도 1, 도 2, 도 4a, 도 5, 도 6a 내지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200)는 밴드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밴드부(200)는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1, 2, 4a, 5, 6a to 6c, and 7a to 7c,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200)는 지지밴드본체(210), 접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1, 도 2, 도 4a, 도 5, 도 6a,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본체(210)는 밴드본체부(100)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단일로 형성될 수 있다. 1, 2, 4a, 5, 6a, and 7a, the
도 1, 도 2,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본체(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너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2, and 4a, the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4b, 도 4c, 도 4d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날개부(215)가 연장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ferring to FIGS. 4b, 4c, and 4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extending the
구체적으로 날개부(215)는 도 4b와 같이 지지밴드본체(210)의 전체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c와 같이 지지밴드본체(210)의 중앙부 소정 영역에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미리 설정되는 일 구간에서의 너비가 타 구간에서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에 더하여 도 4d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 개의 날개부(215)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referring to FIG. 4D , a plurality of
지지밴드본체(210)에 날개부(215)가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충격이 흡수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이에 더하여 도 4b 내지 도 4d의 날개부(215)가 지지부(238) 대신에 착용자의 머리를 접촉 지지하며,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접촉부(230)는 지지밴드본체(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접촉부(230)에 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에는 홀부(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홀부(1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된 날개부(215)에도 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4A , at least one
이에 더하여 외부 공기가 홀부(1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ventilation by allowing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도 4a, 도 6a 내지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에는 조절홈부(211)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조절홈부(211)에는 뒤에 설명할 걸림돌기(235)가 안착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6A to 6C, and 7A to 7C, a plurality of
접촉부(23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5)가 서로 다른 조절홈부(211) 상에 안착, 이탈됨으로 인하여 접촉부(230)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접촉부(2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홈부(211)는 뒤에 설명할 걸림돌기(23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걸림돌기(235)가 면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6c,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본체(210)는 조절홈부(211)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조절홈부(211)가 형성되지 않는 제2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조절홈부(211)는 제1영역,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C and 7C , in the
도 6c를 참조하면 조절홈부(211)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곡면부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6C , the cross section of the adjusting
조절홈부(211)는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도 1, 도 2, 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230)는 지지밴드본체(210)에 연결되며 헤드 밴드(1)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이동본체(231), 지지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4a, and 5 to 7c,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본체(231)는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가능 한 것으로, 이동플레이트(232), 걸림부(233), 이동레버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플레이트(232)는 지지부(238)가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걸림부(233)는 일단부가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며, 조절홈부(211) 측(도 6c 기준 하측 방향)으로 걸림돌기(23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33)는 일단부가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향되는 걸림부(233)의 타단부는 상하 방향(도 6c 기준)으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다.Since one end of the engaging
평상 시에는 걸림부(2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5)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 형성되는 조절홈부(211)에 안착되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In normal times, the locking
착용자가 접촉부(230)를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향되는 걸림부(233)의 타단부를 상측(도 6c 기준)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235)를 조절홈부(211)로부터 이격시키고, 접촉부(230)를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wearer wants to move the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235)는 지지밴드본체(210)에 형성되는 조절홈부(211)에 안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to 7C , the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일 방향(도 7c 기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며, 타 방향(도 7c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When the
이로 인하여 착용자는 지지밴드본체(210)의 양측(도 7c 기준 좌우측)을 양손으로 누르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한 손으로 이동본체(231)를 눌러주면,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조여질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헤드 밴드(1)의 사용이 완료되고, 헤드 밴드(1)의 장착을 해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착용자가 이동레버부(237)를 걸림돌기(235) 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 인하여 조임 상태인 지지밴드본체(210) 상 접촉부(230)가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되며, 조임이 풀어지는 방향(도 7c 기준 중앙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wearer presses both sides of the support band body 210 (left and right sides in FIG. 7C) with both hands and pushes them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or presses the moving
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버부(237)는,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233),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걸림본체(234)에 형성되는 걸림헤드(236)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a, 5 to 7c, the moving
이동레버부(237)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걸림부(233), 구체적으로 걸림본체(23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동레버부(237)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걸림헤드(236)도 각각의 이동레버부(237) 측을 향해 복수 개가 걸림본체(234)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이동레버부(237)는 걸림부(233), 구체적으로 걸림본체(234)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에 안착 또는 이탈되도록 걸림부(233)를 가압 가능하다. The moving
도 6a 및 도 7a를 참조하면, 착용자는 이동레버부(237)를 걸림헤드(236) 측으로 누르면 걸림헤드(236) 및 걸림헤드(236)가 형성되는 걸림부(233)가 상측(도 7c 기준)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6A and 7A, when the wearer presses the moving
이동레버부(237)에는 걸림헤드(236)를 마주보는 일면 상에 홈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reference numeral not se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이로 인하여 착용자가 이동레버부(237)를 걸림헤드(236) 측으로 가압 시 걸림헤드(236)가 자연스럽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홈부를 따라 상측(도 7c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when the wearer presses the moving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와 마주보는 걸림헤드(236)의 일면도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 구체적으로 경사면과 마주보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ocking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로부터 이격됨으로 인하여 접촉부(230)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에서 원하는 위치로 접촉부(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locking
다시 말하여 접촉부(230)는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가 머리(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접촉부(2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33)는 걸림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본체(234), 걸림헤드(236)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걸림본체(234)는 일단부가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locking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헤드(236)는 이동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걸림본체(234)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동레버부(237)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a to 7c, the locking
걸림헤드(236)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레버부(237)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헤드(236)는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레버부(237)의 홈부와 마주보는 걸림헤드(236)의 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걸림헤드(236)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동레버부(237)와 접촉 시 안정적으로 걸림헤드(236)가 형성되는 걸림부(233)가 상측(도 7c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235)가 지지밴드본체(210)에 형성되는 조절홈부(211)에서 이격되며, 다른 조절홈부(211)로 이동되어 접촉부(230)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locking
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조절홈부(211)는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조절홈부(211)에 안착되도록 조절홈부(211)를 향해 하측(도 7c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래칫(ratchet)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4a, 5 to 7c,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절홈부(211)가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주보며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조절홈부(211)에 안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측(도 7c 기준)으로 돌출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8)는 이동본체(231)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 측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4a, 5 to 7c,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8)는 지지본체(239a), 지지연결부(239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본체(239a)는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에 접촉가능한 것이고, 지지연결부(239b)는 지지본체(239a)와 접촉부(2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도 4a,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본체(239a)와 지지연결부(239b)에는 홀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본체(239a)와 지지연결부(239b)에 홀부(1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5 , a
이에 더하여 외부 공기가 홀부(1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ventilation by allowing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지지본체(239a)가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본체(231)의 양측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지지밴드부(200)가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지지밴드본체(210)가 단일로 형성되고, 단일의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 기준 이동본체(231)의 양측에 지지본체(239a)가 각각 연결되어 2이상의 지점에서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접촉 지지함으로 인하여,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고, 안정적으로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239a)는 머리(5)를 마주보는 일면(도 5 기준 하면)이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감쌀 수 있으며, 착용자가 편안하게 헤드 밴드(1), 구체적으로 지지밴드부(200)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5,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239a)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본 발명에서는 지지본체(239a)가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즉 이동본체(231)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연결되어 4개의 지지부(238)가 착용자의 머리(5)를 4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2개, 3개, 5개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four
도 1, 도 2,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300)는 전면지지부(110)를 마주보며 밴드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머리(5)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1, 2, and 8 to 12, the
조절밴드부(300)는 조절밴드본체(310), 후면조절본체(330), 받침부(350), 받침연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밴드부(300)는 밴드본체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 상에서 접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절밴드본체(310)는 밴드본체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밴드본체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8 to 11, the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조절본체(330)는 조절밴드본체(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조절밴드본체(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면조절본체(330)에 회전이 가능한 레버가 설치되어, 착용자가 레버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조절밴드본체(31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8 to 11, the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절밴드본체(310)가 2 이상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부분이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중첩되는 영역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인하여 조절밴드본체(310)의 길이를 조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부(350)는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후면조절본체(33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35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에 밀착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to 11 , the supporting
받침부(350)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받침부(350)에는 중앙부에 관통홀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부(351)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공기가 관통홀부(351)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 through-
이에 더하여 관통홀부(351)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받침연결부(370)에 의하여 형성되는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이 위치하게 되고, 관통홀부(351)가 형성되는 받침부(350)에 보다 적은 힘을 가해도 받침부(350)가 조절밴드본체(31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받침연결부(370)가 안정적으로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50)는 관통홀부(351)가 형성되는 주변을 따라 홀부(1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홀부(1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support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50)가 중앙부에 관통홀부(351)가 형성되는 중공 타입(type)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 모양에 맞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연결부(370)는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연결부(37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371)가 형성될 수 있고, 받침연결부(37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받침부(35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연결부(370)의 내부 공간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하여 착용자가 고개를 움직일 때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The operating principle and effect of the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는 밴드본체부(100), 지지밴드부(200), 조절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12 , the
착용자는 용접 등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헬멧(H)을 착용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 구체적으로 밴드본체부(100)는 헬멧(H)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5)에 착용될 수 있다. The wearer wears a helmet (H) to protect from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during work such as welding. The head b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도 2,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헬멧(H)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2에서 헬멧(H)을 생략한 헤드 밴드(1)가 착용자의 머리(5)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12,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lmet H is coupled to a
도 2, 도 12를 참조하면, 밴드본체부(100)는 헬멧(H)에 결합되고, 머리(5)의 전면(도 2 기준 좌측)을 향해 형성되는 전면지지부(110)가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즉 이마 영역에 밀착되고, 머리(5)의 상부는 지지밴드부(200)에 의해 접촉 지지되고, 머리(5)의 후면, 즉 후두부 측은 조절밴드부(300)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2 and 12,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면지지부(110)는 전면지지본체(111), 전면조절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지지본체(111)가 복수 개 형성되므로 인하여 단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1 to 3, the
이에 더하여 복수 개의 전면지지본체(111)가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헤드 밴드(1),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부(110)가 착용자의 머리(5)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착용자의 머리(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지지본체(111)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좌우 방향)의 양측단부(도 3 기준 상하단부)에는 전면지지날개(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 Referring to FIGS. 2 and 3,
전면지지날개(113)가 길이 방향 전면지지본체(11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구체적으로 전면지지부(110)가 이마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지지본체(11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절부(112)에 전면조절부(115), 구체적으로 전면조절본체(116)가 연결되고, 착용자는 전면조절본체(116)와 결합되는 전면조절레버(117)를 파지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머리(5)의 전면, 즉 이마 영역에서 전면지지본체(111)의 위치를 착용자의 머리(5) 형상에 맞게 위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도 1, 도 2, 도 4a. 도 5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밴드부(200)는 머리(5)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밴드본체(210), 접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 Figure 2, Figure 4a. 5 to 7C, the
접촉부(230)는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가능하며, 착용자의 머리(5)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헤드 밴드(1)에 결합되는 헬멧(H)의 하중을 2이상으로 분산시키며 착용자에게 발생되는 피로감을 저감시키고,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는 조절홈부(211)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조절홈부(211)가 형성되지 않는 제2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접촉부(230)에 의해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to 7C , the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저복부, 구체적으로 이동본체(231)에 형성되는 걸림부(233), 구체적으로 걸림돌기(235)가 조절홈부(211) 상에 안착되며 위치 고정되고, 이로 인하여 지지밴드본체(210)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a to 6c,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착용자는 이동플레이트(232)에 연결되는 이동레버부(237)를 마주보는 걸림부(233), 구체적으로 걸림헤드(236) 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헤드(236)가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를 따라 상측 방향(도 7c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to 7C , the wearer may press the moving
걸림헤드(23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본체(234)의 일면(도 7c 기준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5)가 지지밴드본체(210)에 형성되는 조절홈부(211)로부터 이격되며, 접촉부(230), 구체적으로 이동본체(231)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이동본체(231)가 지지밴드본체(210)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조절홈부(211)가 형성되는 제1영역과 조절홈부(211)가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의 길이가 변하게 되고, 지지밴드부(200)의 길이가 착용자의 머리(5)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As the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 또는 상기 홈부와 마주보는 걸림헤드(236)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동레버부(237)에 형성되는 홈부와 걸림헤드(236)가 접촉 시 안정적으로 걸림헤드(236)의 상하 방향 (도 7c 기준)운동이 가능하다.Since the groove formed in the moving
도 2, 도 4a,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8), 구체적으로 지지본체(239a)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머리(5) 형상에 대응되고, 착용자의 머리(5)를 감싸며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2, 4a, and 5, the
도 1, 도 2,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밴드부(300)는 조절밴드본체(310), 후면조절본체(330), 받침부(350), 받침연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1, 2, and 8 to 12, the
착용자는 후면조절본체(330)를 조작하여 조절밴드본체(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 즉 후두부는 받침부(350)에 접촉 지지되고, 착용자의 머리(5)와 접촉되는 받침부(350)의 일면은 TPU 등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인하여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ear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받침부(35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부(351)가 형성되고,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에는 받침연결부(370)가 배치되며, 굴곡부(371)가 형성되는 받침연결부(370)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받침연결부(37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고개 움직임 시 받침연결부(370)에 형성되는 공간만큼 고개의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이에 더하여 받침부(35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351)로 인하여 전면이 판 형상으로 막혀있는 것에 비하여 착용자가 고개를 움직일 때 받침연결부(37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됨에 따른 탄성 변형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front surface being blocked in a plate shape due to the through-
도 9,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연결부(37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371)로 인하여 후면조절본체(330)와 받침부(350) 사이 간격이 착용자가 고개를 움직임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5)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9 and 11, due to at least one
도 1, 도 2,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밴드본체부(100), 지지밴드부(200), 조절밴드부(300)에는 각각 홀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1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 등 작업 시 착용자의 머리(5)에서 발생하는 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1, 2, and 12 , a
이에 더하여 외부 공기가 홀부(1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머리(5)에 전달되도록 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ventilation by allowing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1)는 용접면이 형성되는 헬멧 외에도 안전모, 보안면, 의료용 제품(실드), 자전거 및 스포츠용 헬멧,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헤드셋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 헤드 밴드 H: 헬멧
5: 머리 10: 홀부
100: 밴드본체부 110: 전면지지부
111: 전면지지본체 112: 단절부
113: 전면지지날개 115: 전면조절부
116: 전면조절본체 117: 전면조절레버
200: 지지밴드부 210: 지지밴드본체
211: 조절홈부 215: 날개부
230: 접촉부 231: 이동본체
232: 이동플레이트 233: 걸림부
234: 걸림본체 235: 걸림돌기
236: 걸림헤드 237: 이동레버부
238: 지지부 239a: 지지본체
239b: 지지연결부 300: 조절밴드부
310: 조절밴드본체 330: 후면조절본체
350: 받침부 351: 관통홀부
370: 받침연결부 371: 굴곡부1: Headband H: Helmet
5: head 10: hollow part
100: band body 110: front support
111: front support body 112: disconnection
113: front support wing 115: front control unit
116: front control body 117: front control lever
200: support band part 210: support band body
211: control groove part 215: wing part
230: contact part 231: moving body
232: moving plate 233: hooking part
234: locking body 235: locking protrusion
236: locking head 237: moving lever part
238:
239b: support connection part 300: control band part
310: control band body 330: rear control body
350: supporting part 351: through hole part
370: support connection portion 371: bent portion
Claims (1)
상기 밴드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머리의 상부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밴드부; 및
상기 전면지지부를 마주보며 상기 밴드본체부에 결합되고, 머리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밴드부는, 상기 밴드본체부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단일의 지지밴드본체와; 상기 지지밴드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머리의 상부를 2이상의 지점에서 접촉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밴드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밴드본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각각은 머리의 상부에 접촉 지지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와 상기 이동본체를 연결하는 지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지지연결부에 의해서만 상기 이동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들 각각의 상기 지지본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머리의 상부에 접촉 지지하며
상기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연결부에는 홀부가 형성되는, 헤드 밴드.A band body coupled to the helmet and formed with a front support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front of the head;
a support band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band body part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nd
An adjustable band part facing the front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band body part,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e support band unit includes a single support band body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band body unit;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band body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t two or more points;
The contact part includes a moving body mov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band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and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includes a support bod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head and a support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nd the movable body,
The support body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only by the support connection part,
The support bod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hea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head band having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123A KR102548121B1 (en) | 2019-06-14 | 2020-08-28 | Head b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058A KR102151712B1 (en) | 2019-06-14 | 2019-06-14 | Head band |
KR1020200109123A KR102548121B1 (en) | 2019-06-14 | 2020-08-28 | Head ban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058A Division KR102151712B1 (en) | 2019-06-14 | 2019-06-14 | Head b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3303A KR20200143303A (en) | 2020-12-23 |
KR102548121B1 true KR102548121B1 (en) | 2023-06-28 |
Family
ID=8699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123A Active KR102548121B1 (en) | 2019-06-14 | 2020-08-28 | Head b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81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8615B1 (en) * | 2021-11-02 | 2024-01-05 | Zedel | ADJUSTABLE HEAD CIRCLE FOR HELMET AND HELMET COMPRISING SUCH A HEAD CIRCLE |
KR102537398B1 (en) * | 2022-09-07 | 2023-05-30 |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 Movable ultrasonic stimulator b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146B1 (en) * | 2014-05-15 | 2016-02-15 | 주식회사 오토스윙 | Head cushion device for head band of welding mask |
KR101932245B1 (en) * | 2017-06-26 | 2018-12-24 | 박한철 | Head band |
-
2020
- 2020-08-28 KR KR1020200109123A patent/KR1025481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146B1 (en) * | 2014-05-15 | 2016-02-15 | 주식회사 오토스윙 | Head cushion device for head band of welding mask |
KR101932245B1 (en) * | 2017-06-26 | 2018-12-24 | 박한철 | Head ba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3303A (en) | 2020-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712B1 (en) | Head band | |
KR101594145B1 (en) | Head band device with functional cushion case | |
KR102548121B1 (en) | Head band | |
US9949522B2 (en) | Suspensio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suspension system of a safety helmet | |
US9907348B2 (en) | Functional headband having integral cushion band | |
EP3154385B1 (en) | Headgear for protective headwear | |
JP5797754B2 (en) | Tightening unit for protective helmet support band | |
CN101820786B (en) | Head suspension headband | |
CN101426388B (en) | Head suspensiom system and headgear that have an adjustable visor anid method of adjusting same | |
KR102130875B1 (en) | Anti-release protective helmet, in particular for sporting use | |
TWI481353B (en) | Helmets face lining | |
US20220039499A1 (en) | Skull mounting system for headgear and headgear with skull mounting system | |
CN113576089B (en) | Protective helmet with intermediate piece for changing the centre of gravity and assembly | |
DE112015002284T5 (en) | Functional / multipurpose headband for a headband | |
KR20210150156A (en) | Protector for welding | |
US11612206B2 (en) | Detachable pad fastening structure of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me | |
US20210153588A1 (en) | Anti-off device, and protective hat having the same | |
FI71657C (en) | Safety helmet. | |
US10149509B2 (en) | Ergonomic occipital triangular cushion pad for head bands | |
CN210301403U (en) | Welding mask | |
KR102296424B1 (en) | Headrest band for hard hat and hard hat with the same | |
JP5753673B2 (en) | Inner cap and inner cap assembly | |
KR102416455B1 (en) | Apparatus of preventing separation of cap | |
KR20190014169A (en) | Support pads for headband | |
WO2024218266A1 (en) | Protecting device for protecting the front of the head of a we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61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7105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