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19B1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8819B1 KR102538819B1 KR1020210127614A KR20210127614A KR102538819B1 KR 102538819 B1 KR102538819 B1 KR 102538819B1 KR 1020210127614 A KR1020210127614 A KR 1020210127614A KR 20210127614 A KR20210127614 A KR 20210127614A KR 102538819 B1 KR102538819 B1 KR 102538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unit
- dew point
- point temperature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과 하단공간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내에서, 상기 하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의 타측에 설치된 외기 전동댐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상호 혼합된 후에, 혼합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외기 전동댐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되, 상기 히팅부의 상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히팅부로 부터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히팅부를 통과한 혼합공기와 다시 혼합되도록 형성된 외기 제2전동댐퍼; 상기 상단공간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단공간에 물탱크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공간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에서 송풍부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상기 하단공간의 히팅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살균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실내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하우징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추가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살균부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발광하며,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 상기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와는 별도로, 상기 열교환부와 히팅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공기정화기능을 갖으며,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 살균기능을 부가시키며, 이와 동시에 가습장치가 내부에 설치되고, 대용량의 장치에서 일정위치의 토출구에서만 가습작동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공간의 노점온도를 항시 체크하고, 2개의 외기전동모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이를 통해, 설치공간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자동으로 공기를 살균하며, 정화시키며, 내부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housing whose interior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heat exchange unit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pace to cool the incoming outside air; a heat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 exchanging unit and heating the mixed air after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air motor damp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air heat-exchanged from the heat exchanging unit are mixed with each oth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door air damper to introduce outside air,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unit, and mix again with the mix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heating unit at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unit. damper; a blower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discharging heated or cooled outside air toward a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pace; A water tank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lower space, and the injection unit is install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in the compartment position,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housing, and is operated before the blower is driven, so that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er. Humidifying unit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a sterilization unit provided above the heating unit in the lower space and sterilizing harmful substances in supplied air by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i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is measured, and if the room i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is below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outdoor air electric damper or the outdoor air second electric damper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selectively opened to introduce additional outdoor air, thereby forming dew in the installation space. a control unit to prevent this; The sterilization unit is inserted and mounted inside a tubular body having a plurality of air permeation holes, and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that emits light by the control unit and sterilizes air; The outside air second electric damper is by the blow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Separately from the outdoor air damper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o supply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middle of the heating unit, to supply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heating unit; It relates to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It has an air purifying function, adds a sterilizing function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a humidify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and has an effect of enabling humidification to be operated only at a discharge port at a certain position in a large-capacity device.
In additio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always checked, and the two outdoor electric motors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automatically sterilize, purify, and supply air to prevent dew from forming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there i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실험실, 보관실, 정밀제어장치들, 서버장치들, 정밀제품 생산시설 등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물질의 변화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거주공간 내의 각종 거주자, 동식물, 물품들이 영향을 받는다.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various laboratories, storage rooms, precision control devices, server devices, and precision product production facilities as well as the space where people liv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various residents, animals and plants, and objects in the living space are affected by the change in temperature.
또한 온도와 함께 상대습도에 의한 영향도 크다. 즉, 실내거주자와 이곳에 보관되는 각종물품과 동식물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영향은 거주자의 생활의 쾌적성확보를 보장하는 것이며, 보관실의 경우 보관물품의 변질성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고가의 서화류, 책자, 반도체, 실험기구, 초정밀 제어장치들 등 무수히 많은 것들이 온도와 습도에 따라 어떤 것은 치명적인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long with temperature i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indoor residents and various articles and animals and plants stored there is to ensure the comfort of residents' lives, and in the case of storage rooms,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terioration of stored articles. In particular, innumerable things such as expensive paintings and calligraphic materials, books, semiconductors, experimental equipment, and ultra-precise control devices are set to act as factors of fatal change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humidity.
이러한 관계로 본 발명자는 실내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공조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진행하여 오던 중, 실내의 습도가 온도와 함께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감안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한 냉난방 장치를 개발하였다. 특히 보관물의 변화를 막고자 습도를 제어하는 제습기능을 갖춘 냉난방장치를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제습을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콘덴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고자, 냉매의 일부를 실내로 재순환시켜 보조 열교환기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면서 응축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실내공기의 습도를 제거하도록 하였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 develop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ontrols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in the room, and while proceeding with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humidity in the room has a serious effect along with the temperature, the inventor developed an air condition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changes in stored materials, a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with a dehumidifying function that controls humidity was developed. Among them, in order to use the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ndense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for dehumidification, a part of the refrigerant is recycled to the room and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by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and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is removed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이러한 냉매의 응축열을 재사용하여 제습을 하는 것으로 막대한 에너지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외에 초정밀한 습도와 온도제어를 위하여 가습(加濕)의 필요성도 크게 대두하였다. 항온과 항습을 위해서는 제습도 중요하지만 역으로 가습도 함께 동작하여야 목적한 항온항습이 가능한 것이다.By reusing the condensation heat of the refrigerant for dehumidification, a huge energy saving effect was obtained. However, in addition to dehumidification, the need for humidification has also emerged for ultra-precise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 Dehumidification is important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ut conversely, humidification must also operate together to achieve the desire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항온항습기능과 함께,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정화기능을 겸하는 대용량의 항온항습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development of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that also serves a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unction and a purification function of air supplied to the room is urgently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정화기능을 갖으며,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 살균기능을 부가시키며, 이와 동시에 2개의 외기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켜서, 설치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대용량의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습을 위한 가습부를 내부에 설치하고, 이러한 가습작용이 항온항습장치의 모든 토출구를 통해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위치에서만 가습작용이 되도록 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설치공간 내의 노점온도를 항시 측정하여, 설치공간 내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신선외기를 외부에서 자동유입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add a sterilization function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o drive two outdoor air dampers, It relates to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that selectively introduces outside air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installation space. Rather, it is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utomatically introducing fresh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so that dew does not form in th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learned by way of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과 하단공간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공간내에서, 상기 하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의 타측에 설치된 외기 전동댐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상호 혼합된 후에, 혼합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외기 전동댐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되, 상기 히팅부의 상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히팅부로 부터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부와 히팅부를 통과한 혼합공기와 다시 혼합되도록 형성된 외기 제2전동댐퍼; 상기 상단공간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단공간에 물탱크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공간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에서 송풍부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상기 하단공간의 히팅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살균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실내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하우징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추가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살균부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발광하며,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 상기 열교환부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와는 별도로, 상기 열교환부와 히팅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the interior of which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heat exchange unit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pace to cool the incoming outside air; a heat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 exchanging unit and heating the mixed air after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air motor damp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air heat-exchanged from the heat exchanging unit are mixed with each oth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door air damper to introduce outside air,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unit, and mix again with the mix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heating unit at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unit. damper; a blower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discharging heated or cooled outside air toward a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pace; A water tank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lower space, and the injection unit is install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in the compartment position,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housing, and is operated before the blower is driven, so that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er. Humidifying unit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a sterilization unit provided above the heating unit in the lower space and sterilizing harmful substances in supplied air by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i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is measured, and if the room i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is below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outdoor air electric damper or the outdoor air second electric damper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selectively opened to introduce additional outdoor air, thereby forming dew in the installation space. a control unit to prevent this; The sterilization unit is inserted and mounted inside a tubular body having a plurality of air permeation holes, and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that emits light by the control unit and sterilizes air; The outside air second electric damper is by the blow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Separately from the outdoor air damper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o supply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middle of the heating unit, to supply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heating unit; It is to provide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을 갖으며,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 살균기능을 부가시키며, 이와 동시에 가습장치가 내부에 설치되고, 대용량의 장치에서 일정위치의 토출구에서만 가습작동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purifying function, adds a sterilizing function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a humidify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and the humidify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at the discharge port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large-capacity devi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happen.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설치공간의 노점온도를 항시 체크하고, 2개의 외기전동모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이를 통해, 설치공간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자동으로 공기를 살균하며, 정화시키며, 내부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checked, and the two outdoor electric motors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reby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purifying the air so that dew does not form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It has the effect of supplying intern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으며, 외기 전동댐퍼에 의하여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으며, 외기 제2전동댐퍼에 의하여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살균기능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1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sing an outdoor electric damper.
2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sing a second electric damper for outdoor air.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n air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being implemented and practiced in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lso,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 "left", "right", "lateral", etc. are on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devices. O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does not indicate or imply that an element simply must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and in the appended claims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significance or significanc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11)과 하단공간(12)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하우징(10);A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20);A
상기 열교환부(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4)의 타측에 설치된 외기 전동댐퍼(6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열교환부(20)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상호 혼합된 후에, 혼합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30);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되, 상기 히팅부(30)의 상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히팅부(30)로 부터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통과한 혼합공기와 다시 혼합되도록 형성된 외기 제2전동댐퍼(65);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door air
상기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40);a
상기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40)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50);The
상기 하단공간(12)의 히팅부(30)의 상측에 마련되며,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살균부(80);a sterilization unit (80) provided above the heating unit (30) of the lower space (12) and sterilizing harmful substances in supplied air by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삭제delete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추가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70);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 the
상기 살균부(80)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81)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발광하며,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82)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65)는 상기 송풍기(40)에 의하여 ,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30)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와는 별도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30)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he outside air second
또한, 상기 가습부(50)는In addition, the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51);a
상기 물탱크(51)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공간(12)에 직립설치되는 가습호스(52);a humidifying
상기 가습호스(52)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중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연결관(53);a connecting
상기 연결관(53)의 단부에서 연결관(53)과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구획위치(13)에 수평설치되어, 상단공간(11)을 향해 넓은 면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54)가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55);At the end of the
상기 연결관(53) 및 분사부(55)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온역할을 하는 보온부(56);a warming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It is made including.
또한, 상기 분사부(55)는 In addition, the
상기 하우징(10)의 토출구(15) 전체 공간 중,Of the entire space of the
사전설정된 위치에서만 가습공기(B)가 전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So that the humidified air (B) can be exclusively discharged only at the preset location,
상기 구획위치(1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외기전동댐퍼에 의하여 노점온도를 제어하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by two electric damp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ompartment position (13).
또한, 상기 제어부(70)는In addition, the
상기 하우징(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It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 노점온도 측정센서(71)에서 측정신호를 전달받아,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I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from the dew poin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항온항습장치는 하우징, 열교환부(20), 히팅부(30), 송풍부(40), 가습부(50),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외기 제2전동댐퍼(65), 제어부(70)를 포함한다.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공간(11)과 하단공간(12)으로 내부가 구획되는 대용량의 함체이다.The
이러한 하우징(10)은 하단공간(12) 일측(설치공간을 향하는 전면) 하단에 설치공간 내 실내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구(14)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공간(11) 일측 상단에는 수평의 토출구(15)를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흡입구(14)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후술될 열교환부(20) 및 히팅부(30), 가습부(50) 등을 통해, 가열 또는 냉각 또는 습도가 조절되어 토출구(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진다.In this
상기 열교환부(20)는 전술된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는 증발기의 역할이며, 이러한 열교환부(2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The
상기 히팅부(30)는 상기 열교환부(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4)의 타측에 설치된 외기 전동댐퍼(6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열교환부(20)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상호 혼합된 후에, 혼합공기를 가열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또한, 외기 제2전동댐퍼(65)를 별도로 마련하여,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의 하측에 설치하여, 외기를 유입시키되, 상기 히팅부(30)의 상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히팅부(30)로 부터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통과한 혼합공기와 다시 혼합되도록 형성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utdoor air
상기 송풍부(40)는 전술된 하우징(10)의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송풍부(40)에 의하여 흡입구(14)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14)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와 외기 제2전동댐퍼(65)에 의하여 외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이를 정라하면,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65)는 상기 송풍기(40)에 의하여 ,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30)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와는 별도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30)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는 것이다.The
If this is correct, the outside air second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30)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노점온도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By the outside air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65)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30)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노점온도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indoor dew point temperature by supplying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가습부(50)는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n the
물론, 상기 송풍부(40)의 작동전에 가습부(50)가 먼저 가동되어 송풍부(40)가 공기를 흡입하는 공간 내에 수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송풍부(40)와 가습부(50)가 동시에 가동되어, 실내로 물기가 그대로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Of course, the
이를 위한 가습부(50)는 가습용으로 사용될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공간(12)에 직립설치되는 폴리 내열호스인 가습호스(52), 상기 가습호스(52)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중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동재질의 연결관(53), 상기 연결관(53)의 단부에서 연결관(53)과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구획위치(13)에 수평설치되어, 상단공간(11)을 향해 넓은 면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54)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동재질의 분사부(55), 상기 연결관(53) 및 분사부(55)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온역할을 하는 보온부(56)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에서 전술된 가습부(50)의 구성 중, 상기 분사부(55)는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13)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At this time,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분사부(55)는 하우징(10)의 토출구(15) 전체 공간 중, 사전설정된 위치(좌측과 우측의 2개로 구획을 나눴을 경우, 좌측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것인지, 우측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 것인지)에서만 가습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위치(13)에서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도록 한다.The
이로써, 일실시예로, 도 3에서처럼 우측에서는 온습도 조절된 공기(A)만 전용으로 토출되는 곳이라면, 좌측에서는 가습공기(가습부(50)가 구동되면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B)만 전용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온습도 조절된 공기(A)와 가습공기(B)가 상호간 영향을 받지않고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us,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if on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A) is exclusively discharged on the right side, only humidified air (air containing water vapor while the
또한, 상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는 제어부(70)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제어부(70)는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의 노점온도를 온도센서, 또는 노점온도센서 등 노점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71)를 이용해 측정하여,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벽 등에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side air
여기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전동댐퍼(60)를 개방하면,He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outdoor air
하단에 위치한 열교환부(20)에 의하여 냉각제습된 공기는 히팅부(30)를 통과하면서, 재열되며, 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에 의한 외기와 상호 혼합되어서, 공기의 노점온도가 조절되는 기능을 담당하며,The air cooled and dehumidified by the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65)를 개방하면,As shown in FIG. 2, when the second
하단에 위치한 열교환부(20)에 의하여 냉각제습된 공기는 외기와 상호 혼합되며, 온도와 습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측에 위치한 히팅부(30)에 의하여 재열되어 온도만 증가하게 되어서, 공기의 공기의 노점온도가 조절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The air cooled and dehumidified by the
상기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기준은 시간별, 계절별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이며, 실내의 노점온도를 온도센서, 또는 노점온도센서 등 노점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71)를 이용해 측정하여,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 개방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벽 등에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riterion for selectively opening the outdoor air
히팅부(30)를 통과하면서, 재열되며, 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에 의한 외기와 상호 혼합되어서, 공기의 노점온도가 조절되는 기능을 담당하며,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제어부(70)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설치되어 측정센서(71)로부터 측정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측정센서(71)는 본 발명 대용량 항온항습장치의 외주연에 설치되거나, 또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가 설치치된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다. The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Also, as shown in Figure 5,
살균부(80)는 상기 하단공간(12)의 히팅부(30)의 상측에 마련되며,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81)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발광하며,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t is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여기서,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81)의 내부에 통과되므로, 공기의 공급속도를 지연시키면서, 자외선램프(82)에 의하여 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function of steriliz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supplied by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supplied air passes through the
공기가 살균되는 기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of sterilizing air is incr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하우징 11:상단공간
12: 하단공간 13: 구획위치
14:흡입구 15: 토출구
20:열교환부 30: 히팅부
40:송풍부 50:가습부
51: 물탱크 52:가습호스
53:연결관 54: 분사구
55:분사부
60: 외기 전동댐퍼 65:외기 제2전동댐퍼
70:제어부 71:측정센서
80: 살균부 81: 관체
82: 자외선램프
10: housing 11: upper space
12: lower space 13: compartment location
14: intake port 15: discharge port
20: heat exchange unit 30: heating unit
40: blowing unit 50: humidifying unit
51: water tank 52: humidifying hose
53: connector 54: nozzle
55: injection unit
60: outside air electric damper 65: outside air second electric damper
70: control unit 71: measuring sensor
80: sterilization unit 81: tube body
82: ultraviolet lamp
Claims (4)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공간(12) 내에서, 상기 하단공간(12)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4)에 대응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20);
상기 열교환부(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4)의 타측에 설치된 외기 전동댐퍼(6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열교환부(20)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상호 혼합된 후에, 혼합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30);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되, 상기 히팅부(30)의 상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히팅부(30)로 부터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통과한 혼합공기와 다시 혼합되도록 형성된 외기 제2전동댐퍼(65);
상기 상단공간(11)에 설치되어,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상단공간(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5)를 향해 배출시키는 송풍부(40);
상기 하단공간(12)에 물탱크(51)가 설치고정되되,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상, 하단공간(11, 12)사이의 공간인 구획위치(13)에서 송풍부(40) 방향을 향해 상향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40) 구동전 작동됨으로써 송풍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50);
상기 하단공간(12)의 히팅부(30)의 상측에 마련되며, 노점온도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시키는 살균부(80);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의 노점온도를 측정하여, 하우징(10)이 설치된 실내가 노점온도 이하인 경우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추가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 내의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어부(70);
상기 살균부(80)는 다수개의 공기 투과홀이 형성된 관체(81)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발광하며,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82)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제2전동댐퍼(65)는 상기 송풍부(40)에 의하여 , 상기 열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히팅부(30)의 중간으로 추가 외기를 공급하는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와는 별도로, 상기 열교환부(20)와 히팅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히팅부(30)의 상측으로 추가외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A housing 10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and the interior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11 and a lower space 12;
A heat exchange unit 20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12 of the housing 10 to correspond to the inlet 14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pace 12 to cool the incoming outside air;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 exchange unit 20 and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ir electric damper 6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14, the air exchanged with heat from the heat exchange unit 20 is mixed with each other, Heating unit 30 for heating the mixed air;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door air electric damper 60 to introduce outside air, and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unit 30 to heat the heat exchange unit 20 and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unit 30. A second outdoor air damper 65 formed to be mixed again with the mixed air passing through the unit 30;
a blower 40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11 to discharge heated or cooled outside air toward the outlet 15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pace 11;
The water tank 51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lower space 12, and the spraying part 55 is a blowing part in the compartment position 13,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paces 11 and 12 of the housing 10. (40) a humidifying unit (50) installed upward in the direction and operating before driving the blowing unit (40) to adjust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lowing unit (40);
a sterilization unit (80) provided above the heating unit (30) of the lower space (12) and sterilizing harmful substances in supplied air by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 the housing 10 is installed is measured, and if the room where the housing 10 is installed is below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outdoor air motorized damper 60 or the outdoor air second motorized damper 65 for adjust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selectively opened. a control unit 70 to prevent dew formation in the installation space by introducing additional outside air;
The sterilization unit 80 is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tube body 81 having a plurality of air permeation holes, and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82 that emits light by the control unit 70 and sterilizes air;
The outside air second electric damper 65 is by the blower 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 Apart from the outdoor air motor damper 60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for supplying additional outdoor air to the middle of the heating unit 30,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unit 30 does not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20 and the heating unit 30. to supply additional outdoor air;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made.
상기 가습부(5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공간(12)에 직립설치되는 가습호스(52);
상기 가습호스(52)의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중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연결관(53);
상기 연결관(53)의 단부에서 연결관(53)과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구획위치(13)에 수평설치되어, 상단공간(11)을 향해 넓은 면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54)가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55);
상기 연결관(53) 및 분사부(55)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온역할을 하는 보온부(5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ying unit 50
a water tank 51 in which water is stored;
a humidifying hose 52 connected to the water tank 51 and installed upright in the lower space 12;
a connecting pipe 53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hose 52, having a curved portion formed at the middle, and capable of bending;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53, it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compartment position 13 in a form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pipe 53,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installed so that steam can be sprayed toward the upper space 11 over a wide area. a spraying portion 55 in which 54 is formed;
a warming part 56 that serves to keep warm by wrapping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ipe 53 and the spraying part 55;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분사부(55)는
상기 하우징(10)의 토출구(15) 전체 공간 중,
사전설정된 위치에서만 가습공기(B)가 전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위치(1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jection part 55 is
Of the entire space of the discharge port 15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humidified air (B) can be exclusively discharged only at the preset location,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ompartment position (13).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 노점온도 측정센서(71)에서 측정신호를 전달받아, 노점온도조절용 상기 외기 전동댐퍼(60) 또는 외기 제2전동댐퍼(65)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노점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대용량 항온항습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ler 70 is
It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10,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from the dew poin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71)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controlling whether the outdoor air electric damper (60) or the outdoor air second electric damper (65) for controll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driven. and a large-capac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having a dew poi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7614A KR102538819B1 (en) | 2021-09-28 | 2021-09-28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7614A KR102538819B1 (en) | 2021-09-28 | 2021-09-28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132A KR20230045132A (en) | 2023-04-04 |
KR102538819B1 true KR102538819B1 (en) | 2023-06-01 |
Family
ID=8592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7614A Active KR102538819B1 (en) | 2021-09-28 | 2021-09-28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881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4274A (en) | 2002-04-05 | 2003-10-15 | Kajima Corp |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air conditioning system |
US20200217525A1 (en) | 2017-10-05 | 2020-07-09 | Denso Corporation | Humidity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7865B1 (en) | 2001-08-10 | 2004-04-27 | 주식회사 에이알 |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quipment added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2021
- 2021-09-28 KR KR1020210127614A patent/KR1025388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4274A (en) | 2002-04-05 | 2003-10-15 | Kajima Corp |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air conditioning system |
US20200217525A1 (en) | 2017-10-05 | 2020-07-09 | Denso Corporation | Humidity contro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132A (en) | 2023-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0716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integrated ventilation unit | |
CN205878336U (en) | Combined tuber pipe formula indoor set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 |
JP7285410B2 (en) |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CN107327945A (en) | A kind of air-conditioning | |
WO2007091813A1 (en) |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 |
CN212431075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CN101285607A (en) | air conditioner | |
KR102538819B1 (en)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air purification and dew point controlling function | |
KR101565068B1 (en) | Air circulation device having control function of ventilator | |
KR102535605B1 (en)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with two electric damper for dew temperature controlling | |
KR100530387B1 (en) | Air-conditioner recycling heat of condensation | |
KR101563696B1 (en) | Humid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 |
KR102013123B1 (en) | Multi ceiling-mounted thermo-hygrostat | |
KR200421625Y1 (en) |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 |
KR100569548B1 (en) | Air conditioner | |
CN216868674U (en) |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102648691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747220B2 (en) | Biological breeding equipment | |
KR102311100B1 (en) | Large capacity thermo-hygrostat | |
JP7281616B2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2006448B1 (en) | Ventilating apparatus of indoor air | |
JP5314118B2 (en) | One-span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
CN222703446U (en) | A new fan | |
KR100511689B1 (en) | Air-conditioner of energy saving type having a function of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 |
CN219177866U (en) | Air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