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36699B1 - 납작만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납작만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99B1
KR102536699B1 KR1020220032462A KR20220032462A KR102536699B1 KR 102536699 B1 KR102536699 B1 KR 102536699B1 KR 1020220032462 A KR1020220032462 A KR 1020220032462A KR 20220032462 A KR20220032462 A KR 20220032462A KR 102536699 B1 KR102536699 B1 KR 10253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dumpling
roller
setting space
fi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동
Original Assignee
이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동 filed Critical 이은동
Priority to KR102022003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작만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본체의 일측 상부에서 투입방향으로 복수를 하향 배치하여 구비하는 반죽시트투입롤러(120)와, 반죽시트투입롤러(120)의 하측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구비하는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와, 2단계압출롤러(132)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배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되, 일 구간 상에는 벨트가 배제된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이송컨베이어(140)와, 이송컨베이어(140)의 상측에 배치하되 세팅공간부(141)의 상측에서 납작만두속을 단속적으로 배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세팅공간부(141) 사이에서 종동하도록 구비하여 개별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납작만두피를 커팅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이송컨베이어(140)의 하측에 배치하되 세팅공간부(141)에서 이송컨베이어(14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성형부(170)와, 반죽시트투입롤러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20~170)의 구동축을 상호 연계하여 동력을 일괄 공급하고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도출하도록 구비하는 중앙구동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납작만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FLAT DUMPLING}
본 발명은 납작만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몰드 성형 구조의 만두 제조장치와 차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납작만두에 최적화된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고기나 두부, 각종 채소 등을 버무린 속 재료와 이를 감싸도록 얇은 껍질로 형성된 만두피로 이루어진다.
만두는 재료나 형태, 조리법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컨대 조리법에 따라서는 찐만두, 군만두, 튀김만두, 물만두 등으로 구분하며, 형태에 따라서는 귀만두, 둥근만두, 미만두, 납작만두 등이 있다.
통상적인 만두의 제조방법은 밀가루와 그 밖에 물과 소금 등의 부재료 등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고 이를 롤러로 밀어 소정의 두께로 압착하며 원형으로 절단하여 만두피를 형성한다. 육류나 각종 채소류 등을 다져 혼합한 만두속을 형성하고 만두피로 만두속을 감싼 후 일정 형태로 밀봉하여 만두를 제조한다.
시판되는 만두는 대부분 자동화된 만두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바,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179791 호에는 사전에 준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만두속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만두속 가공수단과, 밀가루와 다량의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밀가루 반죽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만두속과 밀가루 반죽물을 성형수단의 성형기에 설치되는 공급부에 공급하고 성형수단의 호퍼와 공급부에 각각 공급된 만두속과 밀가루 반죽물이 성형기의 결합에 따라 만두형태로 성형되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6 - 0069873 호에는 반죽과 교반 구성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반죽의 강제 이송 시간동안 숙성 및 멸균 처리된 후 완숙 상태를 가지는 만두피를 제조하는 만두피제조부와, 만두피제조부로부터 제조 및 배출되는 만두피를 이송시키는 만두피이송부와, 만두피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1만두피와 제2만두피 사이에 정해진 간격으로 만두소가 정량 공급되도록 하는 만두소제공부와, 만두소가 공급된 제1만두피와 제2만두피의 가장자리 부위를 실링하고 정해진 크기로 절단하여 만두로 성형하는 만두성형부를 포함하는 만두 제조장치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03209 호에는 성형 롤러부와, 성형 롤러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절단 롤러부를 포함하고, 절단 롤러부는 성형 롤러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절단 롤러 바디와, 절단 롤러 바디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롤러부에 밀착되며 이송되는 만두 재료를 라운드지게 절단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절단부는 절단 롤러 바디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고, 복수의 절단부는 절단 롤러 바디의 축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되고, 만두 재료의 만두피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도록 절단 롤러 바디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만두피 부착부를 포함하는 만두 제조장치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179791 호 (2000.04.15)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6 - 0069873 호 (2016.06.17)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03209 호 (2019.07.25)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29831 호 (2005.11.22)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피제조부 및 만두속제조부를 구비하고, 통상적인 만두의 형태인 반원형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소정의 몰드 형태의 만두성형부를 이용하여 만두속을 감싸는 중심부를 두텁게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를 실링하고 잔여분은 절단하여 반원형의 만두를 제조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납작만두는 만두피와 만두속 전체를 얇은 두께로 납작하게 형성하여 특유의 독특한 식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만두 제조장치로는 납작만두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납작만두의 제조 공정 일부는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다.
특히, 납작만두는 만두피가 만두속을 감싸는 부위 역시 높은 밀착력을 확보하여 만두속이 터지거나 만두피가 벌어지는 현상을 배제하면서 전체적으로 탄력있고 차진 식감을 도출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균등한 품질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 상부에서 투입방향으로 복수를 하향 배치하여 구비하는 반죽시트투입롤러(120)와,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의 하측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구비하는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와,
상기 2단계압출롤러(132)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배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되, 일 구간 상에는 벨트가 배제된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이송컨베이어(14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상측에 배치하되 상기 세팅공간부(141)의 상측에서 납작만두속을 단속적으로 배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세팅공간부(141) 사이에서 종동하도록 구비하여 개별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납작만두피를 커팅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하측에 배치하되 상기 세팅공간부(141)에서 이송컨베이어(14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도록 구비하는 납작만두성형부(170)와,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20~170)의 구동축을 상호 연계하여 동력을 일괄 공급하고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도출하도록 구비하는 중앙구동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납작만두 전용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몰드 성형 구조의 만두 제조장치로 제조가 불가능한 납작만두 전용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공정 일부를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만두속 및 만두피의 공급, 커팅, 성형, 배출 공정 전반을 단일 장치에 의해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공정을 효율화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유의 독특한 형태 및 식감을 형성하는 납작만두의 제조에 최적화된 장치를 구성하여 만두피가 만두속을 감싸는 부위에 대하여 높은 밀착력을 확보하면서 만두속이 터지거나 만두피가 벌어지는 현상을 배제하여 전체적으로 탄력있고 차진 납작만두의 식감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반죽시트투입롤러 및 1,2단계압출롤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이송컨베이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납작만두속안착부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50~170)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반죽시트투입롤러 및 1,2단계압출롤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이송컨베이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납작만두속안착부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50~170)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통상적인 몰드 성형 구조의 만두 제조장치와 차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납작만두에 최적화된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재료의 투입방향에서 납작만두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방향으로 반죽시트투입롤러(120)와,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와, 이송컨베이어(140)와,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납작만두성형부(170)와, 상기 나열한 장치들에 동력을 공급하는 중앙구동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는 본체의 일측 상부에서 투입방향으로 복수를 하향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는 밀가루 등의 재료를 혼합한 반죽을 소정의 시트 상으로 마련한 반죽시트를 본체에 투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는 본체의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중력에 의해 반죽시트가 반죽시트투입롤러(120)를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하향 이송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반죽시트투입롤러(120)를 상호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후술하게 될 1단계압출롤러(131)를 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는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의 하측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는 상기 반죽시트를 납작만두피에 적합한 두께로 압출하여 후술하게 될 이송컨베이어(14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는 총 4개소에 압출롤러축(133,134)을 배치하며, 중앙구동제어부(180)와 연동하여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에 인접하는 1단계압출롤러(131)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2단계압출롤러(132)가 각각의 롤러세트를 수평 대칭으로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의 일측에는 각각의 롤러세트 간극을 조절하도록 간극조절수단(135,136)을 구비한다.
상기 간극조절수단(135,136)은 롤러세트의 간극으로 반죽시트를 2단계에 걸쳐 통과하면서 납작만두피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구비한다. 원활한 압출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간극조절수단(135,136)에 의해 상기 1단계압출롤러(131)의 간극은 상기 2단계압출롤러(132)의 간극보다 넓게 형성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40)는 상기 2단계압출롤러(132)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배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되, 일 구간 상에는 벨트가 배제된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4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을 따라서 수평으로 구비하여 성형 전의 납작만두피 및 성형 후의 납작만두피 잔여분을 투입 측에서 배출 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40)는 후술하게 될 납작만두속안착부(150) 및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납작만두성형부(170)가 위치하는 세팅공간부(141)를 중심으로, 상기 2단계압출롤러(132)의 하측 구간을 투입구간으로, 그 타측 구간을 배출구간으로 마련하며, 제1벨트축 내지 제4벨트축(142~145)과, 제1컨베이어 내지 제3컨베이어(146~148)를 포함한다.
상기 세팅공간부(141)는 후술하게 될 납작만두속안착부(150) 및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납작만두성형부(17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중심부에서 상, 하로 동축선상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세팅공간부(141)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140)는 상기 제1컨베이어 내지 제3컨베이어(146~148)로 분리 구동하도록 구성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상기 이송컨베이어(140) 상에서 좌, 우측 2개소에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후술하게 될 납작만두속안착부(150)의 안착실린더부(154)와, 납작만두속커팅부의 원형커터(161) 역시 좌, 우측 2개소에 마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벨트축 내지 제4벨트축(142~145)은 메인프레임(110) 상에서 수평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벨트축 및 제4벨트축(142,145)에 비해, 세팅공간부(14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벨트축 및 제3벨트축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해당 구간에서 납작만두피에 보다 높은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46)는 상기 제1벨트축 및 제2벨트축(142,143)에 결합하고 투입구간에서 납작만두피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세팅공간부(141)로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46)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길이 방향 중심부 상에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술하게 될 제2컨베이어(147)와 분리되는 투입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컨베이어(146)는 상기 제1벨트축 및 제2벨트축(142,143)의 중심부에 양단을 권취하여 구동하면서 세팅공간부(141)로 투입되는 납작만두피의 중앙부를 안착하여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47)는 상기 제3벨트축 및 제4벨트축(144,145)에 결합하고 배출구간에서 납작만두피 잔여분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세팅공간부(141)에서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47)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길이 방향 중심부 상에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46)와 분리되는 배출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컨베이어(147)는 상기 제3벨트축 및 제4벨트축(144,145)의 중심부에 양단을 권취하여 구동하면서 세팅공간부(141)에서 커팅 후 배출되는 납작만두피 잔여분의 중앙부를 안착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컨베이어(148)는 상기 제1벨트축 및 제4벨트축(142,145)에 결합하고 납작만두피의 양측단부에 접촉하여 전체구간에서 연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컨베이어(148)는 상기 제1컨베이어(146) 및 제2컨베이어(147) 사이를 분리하는 세팅공간부(141)에 간섭을 배제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전체구간에 대한 연속성을 부여하여 납작만두피의 양측단부를 안착하여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상기 이송컨베이어(140) 상에서 좌, 우측 2개소에 형성하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제3컨베이어(148)를 제1벨트축 및 제4벨트축(142,145)의 양단부와 중심부의 3개소에 귄취하여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상측에 배치하되 상기 세팅공간부(141)의 상측에서 납작만두속을 단속적으로 배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는 메인프레임(110)의 중앙부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납작만두피에 납작만두속을 일정 간격으로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투입호퍼(151)와, 압송스크류(153)와, 안착실린더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호퍼(151)는 교반스크류(152)를 내장하고 납작만두속을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투입호퍼(151)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단 개구를 통해 준비된 납작만두속을 수용하고 하단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압송스크류(153)는 상기 투입호퍼(151)의 배출구에 결합하여 납작만두속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압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압송스크류(153)는 수평 관체 형상으로 구비하고 내부에 스크류를 회전하여 납작만두속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안착실린더부(154)로 압출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140) 상에 세팅공간부(141)를 좌, 우측 2개소에 형성하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압송스크류(153) 및 안착실린더부(154) 역시 좌, 우측 2개소에 형성하여 납작만두속을 2개소에서 동시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착실린더부(154)는 상기 압송스크류(153)의 배출구에 결합하고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향해 연직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안착실린더부(154)에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압송스크류(153)를 통해 안착실린더부(154)로 압출되는 납작만두속을 단속적으로 정량 압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실린더부(154)는 상기 압송스크류(153)와 함께 좌, 우 2개소에 배치하므로, 세팅공간부(141)를 통과하는 납작만두피의 좌, 우측에 동시에 납작만두소를 안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납작만두피커팅부(160)는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세팅공간부(141) 사이에서 종동하도록 구비하여 개별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납작만두피를 커팅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납작만두피커팅부(160)는 메인프레임(110)의 중앙부에서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중심으로 상, 하로 종동하면서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납작만두피를 성형 전에 개별 커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형커터(161)와, 커터종동수단(164)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커터(161)는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에 구비하는 안착실린더부(154)와 동축선 상에 장착하여 납작만두속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원형커터(161)는 안착실린더부(154)에서 배출되는 납작만두속을 중심으로 납작만두피를 원형으로 커팅하도록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실린더부(154)는 상기 압송스크류(153)와 함께 좌, 우 2개소에 배치하므로, 상기 원형커터(161) 역시 안착실린더부(154)와 동축선 상에서 좌, 우측 2개소에 구비하며, 소정의 커터거치대(162) 상에 좌, 우측 원형커터(161)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터종동수단(164)은 중앙구동제어부(180)와 연동하는 편심수단(163)에 결합하는 직선바 형상으로 구비하여 원형커터(161)를 세팅공간부(141)를 향해 종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커터종동수단(164)은 상기 원형커터(161)를 결합하는 커터거치대(162)의 양측에 일단을 결합하고, 타단은 편심수단(163)에 결합한다. 편심수단(163)은 편심축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구동수단 설치를 배제하고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커터종동수단(164)과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교번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납작만두속의 안착, 납작만두피의 커팅 동작이 순차로 반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납작만두성형부(1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하측에 배치하되 상기 세팅공간부(141)에서 이송컨베이어(14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납작만두성형부(170)는 상기 세팅공간부(141)에서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납작만두피를 반원형으로 납작하게 압착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와, 두께조절수단(175,176)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는 상기 세팅공간부(141)의 하측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는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에 의해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커팅되는 납작만두피의 중심부를 절첩선으로 반원형으로 납작하게 압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는 총 4개소에 압착롤러축(173,184)을 배치하며, 중앙구동제어부(180)와 연동하여 상기 세팅공간부(141)에 인접하는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가 각각의 롤러세트를 수평 대칭으로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두께조절수단(175,176)은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 각각의 수평 간극을 제어하여 납작만두의 성형 두께를 조절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두께조절수단(175,176)은 롤러세트의 간극으로 납작만두피를 2차에 걸쳐 통과하면서 반원형으로 압착되는 납작만두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 각각의 간극은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에 구비하는 안착실린더부(154) 및 상기 납작만두피커팅부(160)에 구비하는 원형커터(161)와 상, 하 동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상태로 커팅된 납작만두피를 각각의 간극을 통해 반원형으로 절첩함과 동시에 납작하게 압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두께조절수단(175,176)에 의해 납작만두피가 압착 과정에서 터지지 않으면서 견고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께조절수단(175,176)에 의해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의 간극은 상기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의 간극보다 넓게 형성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중앙구동제어부(180)는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20~170)의 구동축을 상호 연계하여 동력을 일괄 공급하고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도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중앙구동제어부(180)는 원동모터(181)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각종 기어 및 체인 구동계를 메인프레임(110)의 각 부에 배치하여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 전반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20~170) 내에서 대략 4개소의 압출롤러축(133,134), 제1벨트축 내지 제4벨트축(142~145), 편심수단(163), 4개소의 압착롤러축(173,184), 및 기타 각종 구동장치를 장착하는바, 상기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장치들을 연계하여 일괄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납작만두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반죽시트 투입공정, 1단계 및 2단계 납작만두피 압출공정, 납작만두피 이송공정, 납작만두속 안착공정, 납작만두피 커팅공정, 납작만두 성형공정을 포함한 일련의 공정을 순차로 반복 실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우선, 반죽시트투입롤러(120)에 준비된 반죽시트를 올려놓으면, 중력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면서 반죽시트가 1단계압출롤러(131)로 투입된다.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1단계압출롤러(131)의 롤러세트 간극으로 반죽시트가 통과하면서 1단계로 압출이 이루어지고, 그 하측에 배치되어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2단계압출롤러(132)의 롤러세트 간극으로 재차 연속적으로 반죽시트가 통과하여 목적하는 두께로 납작만두피를 압출한다.
압출되는 납작만두피는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140)에 의해 수평 이송된다. 제1컨버이어 및 제3컨베이어(148)에 각각 납작만두피의 중앙부 및 양측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투입구간에서 세팅공간부(141)로 수평 이송된다.
납작만두속안착부(150)의 투입호퍼(151)에 준비된 납작만두속을 투입하면 교반스크류(152)가 회전하면서 압송스크류(153)로 배출하고, 압송스크류(153)는 납작만두속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안착실린더부(154)로 압송한다.
안착실린더부(154)는 납작만두속을 정량씩 단속적으로 이송컨베이어(140)의 세팅공간부(141)를 향해 배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컨베이어(14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 2개소에 세팅공간부(141), 압송스크류(153) 및 안착실린더부(154)를 구비하므로, 납작만두피 상에 2개소에 동시에 납작만두속이 안착된다.
납작만두피커팅부(160)의 커터종동수단(164)이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수단(163)에 의해 직선운동하여 커터거치대(162)를 종동하면, 커터거치대(162)에 결합되고 안착실린더부(154)와 동축선 상에서 종동하는 원형커터(161)는 납작만두속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납작만두피를 커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컨베이어(14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 2개소에 세팅공간부(141), 압송스크류(153) 및 안착실린더부(154), 원형커터(161)를 구비하므로, 2개소에 동시에 납작만두피가 커팅된다.
커팅된 부위를 제외한 납작만두피 잔여분은 제3컨베이어(148)에 의해 세팅공간부(141)를 통과하며, 상기 제2컨베이어(147) 및 제3컨베이어(148)에 각각 납작만두피의 중앙부 및 양측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세팅공간부(141)에서 배출구간으로 수평 이송된다.
한편, 커팅된 납작만두피는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중심부 부터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의 롤러세트 간극으로 진입하여 통과하면서 반원형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1차로 압착이 이루어지며, 그 하측에 배치되어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의 롤러세트 간극으로 재차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목적하는 두께로 납작만두를 압착하여 성형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기존에 통상적인 몰드 성형 구조의 원형 만두 제조장치로 제조가 불가능한 납작만두 전용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공정 일부를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일련의 납작만두 제조공정 전반을 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균일한 품질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작만두 제조장치는 만두속 및 만두피의 공급, 커팅, 성형, 배출 공정 전반을 단일 장치에 의해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공정을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메인프레임 120: 반죽시트투입롤러
131: 1단계압출롤러 132: 2단계압출롤러
133,134: 압출롤러축 135,136: 간극조절수단
140: 이송컨베이어 141: 세팅공간부
142~145: 제1벨트축 내지 제4벨트축
146~148: 제1컨베이어 내지 제3컨베이어
150: 납작만두속안착부 151: 투입호퍼
152: 교반스크류 153: 압송스크류
154: 안착실린더부 160: 납작만두피커팅부
161: 원형커터 162: 커터거치대
163: 편심수단 164: 커터종동수단
170: 납작만두성형부 171: 제1납작만두압착롤러
172: 제2납작만두압착롤러 173,174: 압착롤러축
175,176: 두께조절수단 180: 중앙구동제어부
181: 원동모터

Claims (5)

  1. 본체의 일측 상부에서 투입방향으로 복수를 하향 배치하는 반죽시트투입롤러(120)와,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120)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1단계압출롤러(131) 및 2단계압출롤러(132)와,
    상기 2단계압출롤러(132)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배치하여 벨트를 구동하되, 일 구간 상에는 벨트가 배제된 세팅공간부(141)를 형성하는 이송컨베이어(14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상측에 배치하되 세팅공간부(141)의 상측에서 납작만두속을 납작만두피 상에 단속적으로 배출하는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세팅공간부(141) 사이에서 종동하여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납작만두피를 커팅하는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의 하측에 배치하되 세팅공간부(141)에서 이송컨베이어(14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는 납작만두성형부(170)와,
    상기 반죽시트투입롤러 내지 납작만두성형부(120~170)의 구동축을 상호 연계하여 동력을 일괄 공급하고 회전 또는 직선운동을 도출하는 중앙구동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와, 납작만두피커팅부(160)와, 납작만두성형부(1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40)에 형성하는 세팅공간부(141)의 상, 하측에서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40)는,
    메인프레임(110) 상에 수평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중앙구동제어부(180)에 의해 구동하는 제1벨트축(142), 제2밸트축(143), 제3밸트축(144), 제4벨트축(145)과,
    제1벨트축(142) 및 제2벨트축(143)에 양단을 결합하여 투입구간을 형성하고 납작만두피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세팅공간부(141)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46)와,
    제3벨트축(144) 및 제4벨트축(145)에 양단을 결합하여 배출구간을 형성하고 납작만두피 잔여분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세팅공간부(141)에서 배출하는 제2컨베이어(147)와,
    제1벨트축(142) 및 제4벨트축(145)에 양단을 결합하여 전체구간에서 납작만두피의 양측단부에 접촉하여 연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하는 제3컨베이어(148)를 포함하고,
    상기 납작만두성형부(170)는,
    세팅공간부(141)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롤러세트를 상, 하 2개소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와,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 각각의 수평 간극을 제어하여 납작만두의 성형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수단(175,176)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납작만두압착롤러(171) 및 제2납작만두압착롤러(172) 각각의 간극은, 납작만두속안착부(150)에 구비하는 안착실린더부(154) 및 납작만두피커팅부(160)에 구비하는 원형커터(161)와 상, 하 동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납작만두속이 안착된 상태로 커팅된 납작만두피를 각각의 간극을 통해 절첩과 동시에 압착하여 납작만두를 성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작만두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작만두속안착부(150)는,
    교반스크류(152)를 내장하고 납작만두속을 수용하도록 구비하는 투입호퍼(151)와,
    투입호퍼(151)의 배출구에 결합하여 납작만두속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압송하도록 구비하는 압송스크류(153)와,
    압송스크류(153)의 배출구에 결합하고 상기 세팅공간부(141)를 향해 납작만두속을 단속적으로 정량 압출하여 납작만두피 상에 안착하도록 구비하는 안착실린더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작만두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작만두피커팅부(160)는,
    납작만두속안착부(150)에 구비하는 안착실린더부(154)와 동축선 상에 장착하여 납작만두속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원형커터(161)와,
    중앙구동제어부(180)와 연동하는 편심수단(163)에 결합하는 직선바 형상으로 구비하여 원형커터(161)를 세팅공간부(141)를 향해 종동하도록 구비하는 커터종동수단(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작만두 제조장치.
  5. 삭제
KR1020220032462A 2022-03-16 2022-03-16 납작만두 제조장치 Active KR10253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62A KR102536699B1 (ko) 2022-03-16 2022-03-16 납작만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62A KR102536699B1 (ko) 2022-03-16 2022-03-16 납작만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699B1 true KR10253669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62A Active KR102536699B1 (ko) 2022-03-16 2022-03-16 납작만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6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791Y1 (ko) 1999-07-02 2000-04-15 김영자 만두제조장치
KR20030000209A (ko)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0529831B1 (ko) 2003-12-15 2005-11-22 주식회사 꼬마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5653A (ko) * 2014-12-01 2016-06-09 권경순 만두 제조장치
KR20160069873A (ko) 2014-12-09 2016-06-17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254460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791Y1 (ko) 1999-07-02 2000-04-15 김영자 만두제조장치
KR20030000209A (ko)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0529831B1 (ko) 2003-12-15 2005-11-22 주식회사 꼬마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5653A (ko) * 2014-12-01 2016-06-09 권경순 만두 제조장치
KR20160069873A (ko) 2014-12-09 2016-06-17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254460B1 (ko) * 2020-09-15 2021-05-21 씨제이제일제당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0069A (en) Apparatus for forming dough shells
CA1218902A (en) High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lled edible products
US4647468A (en) Apparatus for forming filled edible products without waste
US4689236A (en) Method for forming edible products having an inner portion enveloped by a dissimilar outer portion
US6024554A (en) Dough sheeting apparatus
CN204742401U (zh) 一种云吞成型机
CN1075242A (zh) 连续生产带馅甜点心的方法和设备
CN110959642A (zh) 一种夹心面饼生产设备
CN209950229U (zh) 一种蛋挞酥皮制作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EP01307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dible products having an inner portion enveloped by a dissimilar outer portion
US5375509A (en) Dough ball preparation table
US3603270A (en) Machine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KR101774194B1 (ko) 곡물가공식품 분할용 절단기
KR20160122366A (ko) 텔레스코픽 식품 성형 장치
US4719117A (en) High production method for forming filled edible products
KR20090040503A (ko) 반제품 속재료를 포함한 식품재료 외피를 자동으로둘둘마는 식품기계
KR102536699B1 (ko) 납작만두 제조장치
CN217065205U (zh) 一种多功能面条自动加工设备
US6322345B1 (en) Apparatus for forming edible bakery paste
CN209965096U (zh) 一种蛋挞自动制作装置
CN2203038Y (zh) 食用锅巴成型机
US5272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US5182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US20220039399A1 (en) Dough Strip Shaping Member Having A Cutting Device
CN209903629U (zh) 矿料自动切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