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832B1 -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5832B1 KR102535832B1 KR1020210001873A KR20210001873A KR102535832B1 KR 102535832 B1 KR102535832 B1 KR 102535832B1 KR 1020210001873 A KR1020210001873 A KR 1020210001873A KR 20210001873 A KR20210001873 A KR 20210001873A KR 102535832 B1 KR102535832 B1 KR 1025358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elevator car
- sensor
- elevator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 카(elevator car)의 하부와 승강장 바닥 내측 벽면에 센서부를 형성함으로써 승강기 카의 승,하강 동작시 승강장 바닥과 승강기 카 바닥 사이의 단차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예방토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승강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승강기 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기센서(magnetic sensor), 레이저센서(laser sensor) 또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착상감지센서와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와 마주 하도록 승강장의 바닥면 내측 벽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상기 착상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Magnet), 거울(mirr),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측정 대상물인 마크(marker)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홈이 형성된 내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기 카 내부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내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홈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장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외부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착상감지센서가 마크의 정상 감지 또는 비정상 감지에 따라 상기 내부 LED 및 외부 LED의 적색 또는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sensor unit on the lower part of an elevator car and the inner wall of a platform floor, when a level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latform floor and the elevator car floor during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elevator car, It relates to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prevents an accident by recognizing the user. In the elevator alerting device, the configuration is a magnetic sensor and a laser sensor (magnetic sensor, laser sensor ( A landing detection sensor formed by either a laser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and a plurality of landing detection sensor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or of the platform to face each landing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sensor unit composed of a marker, which is a measurement object formed of any one of a magnet, a mirror, or metal or plastic,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re is a level difference with the floor of the platform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sensor unit; Internal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grooves that are mounted through an inner frame with grooves and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inside the elevator car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display unit mounted through the formed external frame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ed or green light emission of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according to the normal detection or abnormal detection of the mark by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 카(elevator car)의 하부와 승강장 바닥 내측 벽면에 센서부를 형성함으로써 승강기 카의 승,하강 동작시 승강장 바닥과 승강기 카 바닥 사이의 단차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예방토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sensor unit on the lower part of an elevator car and the inner wall of a platform floor, when a level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latform floor and the elevator car floor during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elevator car, It relates to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prevents an accident by recognizing the user.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垂直通路)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기 위해 엘리베이터(elevator)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is used to move people or goods up and down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side a vertical passage inside a building.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며,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자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승강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부와,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승강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se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use, and move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building, an elevator car that moves passengers or cargo, a motor unit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power, and A hoisting machine, a mechanical part that allows the elevator car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utton operation, and an elevator that controls the mechanical part according to the elevator user's button operation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operate smoothly and stably.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승강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차도어가 구비되고,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승강구에는 상기 차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엘이베이터 사용자를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구 도어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ar is provided with a car door tha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a car door that opens and clos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to allow elevator users to get on and off the floor is installed at the doorway of each floor platform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승강기 카의 차도어 측 바닥면 및 승강구도어 측 바닥면 끝부분에는 각각 실이 설치된다.In addition, sea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door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respectively.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컨트롤러의 오동작과 같은 비정상 동작이나 또는 신축건물인 경우 양생과정에서 수축 및 비틀림 등에 의해 승강기 카와 승강장 사이에 높이 차가 발생시 주의를 환기시키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하차할 경우 발 등이 단차진 부분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elevators do not have a device that alerts elevator users when a height difference occurs between an elevator car and a platform due to abnormal operation such as a malfunction of the controller or contraction and twisting in the curing process in the case of a new building.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often occurred where the feet were tripped on the stepped part.
또, 종래에는 승강구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는 승강기 카가 승강구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거나 어렵기 때문에 승강기 카가 승강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승강구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승강로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elevator car is located in the hoistway without opening the hoistway doo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elevator car is not located in the hoistway, the opening of the hoistway door causes an accident in which the elevator user falls to the floor of the hoistway. There was a problem with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운행시 정전이나 기타 사고로 승강기 카가 승강로에 멈춰서는 경우에도 승강구에 승강기 카가 위치하고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승강구도어를 강제로 개방하여 확인해야 하는 위험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elevator car stops in the hoistway due to a power outage or other accident during elevator operation,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levator car is located in the hoistway or not.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카와 승강장 바닥 사이에 소정 단차 발생시 이를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lert devi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recognizing an elevator user when a predetermined step occurs between an elevator car and a platform flo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승강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승강기 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기센서(magnetic sensor), 레이저센서(laser sensor) 또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착상감지센서와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와 마주 하도록 승강장의 바닥면 내측 벽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상기 착상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Magnet), 거울(mirr),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측정 대상물인 마크(marker)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홈이 형성된 내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기 카 내부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내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홈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장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외부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착상감지센서가 마크의 정상 감지 또는 비정상 감지에 따라 상기 내부 LED 및 외부 LED의 적색 또는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aler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ar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heck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platform. A landing detection sensor formed of any one of a magnetic sensor, a laser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and a plurality of landing detection sensor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or of the platform so as to face each landing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Upon arrival, a marker, which is a measurement object formed of any one of a magnet, a mirror, or metal or plastic, that can measure whether or not there is a step with the floor of the platform depending on whether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or not. ) and a sensor unit composed of; Internal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grooves that are mounted through an inner frame with grooves and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inside the elevator car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display unit mounted through the formed external frame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ed or green light emission of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according to the normal detection or abnormal detection of the mark by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승강기 카의 바닥과 승강구 바닥 사이에 단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탑승 및 하차시 발 등이 단차진 부분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splay unit that can check whether there is a step between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and the floor of the hoistway, thereby alerting the elevator us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which the feet stumble on the stepped part when getting on and off. has a preventive effect.
또, 본 발명은 승강구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승강기 카가 승강구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n elevator user's fall accident by making it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levator car is located in the hoistway without opening the hoistway door.
또한, 승강기 카가 승강로에 멈춰서는 경우에도 승강구에 승강기 카가 위치하고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구도어를 강제로 개방하여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편함과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elevator car stops in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levator car is located in the hoistway or not, so there is no need to forcibly open the hoistway door to check, thereby preventing inconvenience and dang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LED 및 외부 LED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착상감지센서와 마크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내부 LED 및 외부 LED에 녹색 빛이 발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착상감지센서와 마크가 상호 일부분만 마주하는 경우 내부 LED 및 외부 LED에 적색 빛이 발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착상감지센서와 마크가 상호 엇갈림 되어 상호 마주하지 않는 경우 내부 LED 및 외부 LED에 적색 빛이 발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착상감지센서의 1개만 마크의 1개와 일치하고 다른 1개의 착상감지센서와 1개의 마크는 상호 엇갈림 되어 상호 마주하지 않는 경우 내부 LED 및 외부 LED에 적색 빛이 발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of FIG. 1 are combined.
3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green light is emitted from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when the implant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mark coincid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when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and the mark face each other only partial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when the implant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mark are crossed and do not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at only one of the implantation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incides with one of the marks, and the other implantation detection sensor and one mark are crossed and do not face each other. Red light on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is light-emitting stat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Her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in all the drawings below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unique commonly used meaning. to be interpreted a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100)는 센서부(110)와 표시부(120) 및 제어부(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상기 센서부(110)는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와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와 마주 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정 대상물인 마크(marker)(112)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마크(112)는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와 마크(112)는 어느 하나는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마크(112)는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However, one of the plurality of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기센서(magnetic sensor)로 형성되거나, 레이저센서(laser sensor) 또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성질 등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높이(두께)가 10mm를 이루는 복수 개가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Here, a plurality of
예컨대,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높이(두께)가 10mm를 이루는 복수 개가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호 50mm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 착상감지센서(111)의 상호 간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약간 가감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훼손을 방지하고 먼지나 기타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하우징이나 커버(미도시)를 통해 매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마크(112)는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시 상기 착상감지센서(111)의 감지여부에 따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의 단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각 착상감지센서(111)의 높이(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마크(112)는 상기 착상감지센서(111)가 자기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자력을 영구적으로 잃지 않는 영구자석과 같은 마그네트(Magne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착상감지센서(111)가 레이저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레이저를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mir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착상감지센서(111)가 근접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예: 적외선)을 방출하며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기 위해 감응을 받는 물체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러한 구성의 상기 착상감지센서(111)와 마크(112)로 구성되는 센서부(110)는 승강기 카(200)가 승강로(미도시)를 따라 승,하강시 착상감지센서(111)가 각 층의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형성된 마크(112)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된다.In the
이때, 상기 착상감지센서(111)와 마크(112)가 상호 동일한 위치에서 마주하게 되면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는 복수 개 마크(112)를 모두 감지하는 경우 동일하게 작동되어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시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 단차가 없이 정상적인 착상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정상 착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그러나, 상기 승강기 카(200)가 오동작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 단차를 형성하여 도착하게 되면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는 각 마크(112)와 엇갈림 되거나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각 마크(112)를 원활하게 감지하지 못하므로 비정상 착상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상기 표시부(120)는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 및 승강장(300)의 바닥면(승강구 측)(31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내부 LED(Light Emitting Diode)(121) 및 외부 LED(122)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내부 LED(121)는 승강기 카(200)의 선단 바닥면(210)에 설치되며 홈(221)이 형성된 내부 프레임(220)을 통해 장착된다.Here, the
또, 상기 외부 LED(122)는 승강장(300)의 선단 바닥면(310)에 설치되며 홈(321)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320)을 통해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내부 프레임(220) 및 외부 프레임(320)은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내구성이 좋고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는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시 정상 착상시에는 녹색 빛을 발광하고,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시 비정상 착상시에는 적색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는 LED 어레이 기판(미도시)과, 발광층 기판(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예컨대, 상기 LED 어레이 기판은 복수의 LED를 매트릭스 상으로 배치하여 구비한 것으로, 외부에 설치한 구동 회로(미도시)로부터 구동 신호를 내부 LED(121)와 외부 LED(122)에 공급하고, 내부 LED(121)와 외부 LED(122)를 개별적으로 온 및 오프 구동하여 점등 및 소등시키기 위한 배선을 설치한 배선 기판(미도시) 위에, 복수의 LED를 배치한 것이다.For example, the LED array substrate is provid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Ds in a matrix, and supplies a driving signal from an external driving circuit (not shown) to the
그리고, 상기 발광층 기판은 상기 LED 어레이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내,외부 LED(121),(122)로부터 방사되는 여기광에 의하여 여기되어, 녹색과 적색으로 각각 파장 변환하는 복수의 발광층(미도시)을 나란히 구비한 것으로, 투명 기판(미도시)과 적색, 녹색에 대응하는 발광층과, 발광층을 둘러싼 격벽(미도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layer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LED array substrate, and is excited by the excitation light emitted from the internal and
상기 격벽은 적색과 녹색에 대응하는 발광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barrier rib is formed to surround light emitting layers corresponding to red and green.
즉, 상기 격벽은 적색과 녹색에 대응하는 발광층을 서로 격리하는 것으로, 투명한,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로 구성된다. That is, the barrier rib isolates the light emitting layers corresponding to red and green from each other,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for example, photosensitive resin.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내,외부 LED(121),(122)는 상기 승강기 카(200)가 목적층을 향해 승,하강하여 상기 착상감지센서(111)가 목적지 층의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형성된 마크(112)의 정상감지 또는 비정상 감지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로 송신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적색 또는 녹색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The internal and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착상감지센서(111)가 마크(112)의 정상 착상 감지 또는 비정상 착상 감지에 따라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의 적색 또는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가 복수 개의 마크(112)와 모두 마주하는 경우, 상기 승강기 카(200)와 승강장(300)의 바닥면(210),(310)은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착상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정상 착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되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가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가 복수 개의 마크(112) 중 1개와 마주하거나, 2개가 모두 일부분만 마주하거나 2개 모두 마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기 카(200)와 승강장(300)의 바닥면(210),(310)은 단차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비정상 착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되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가 적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착상감지센서(111)의 감지신호와 승강기 카(200)의 층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의 구동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제어부(13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alert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의 환기장치가 설치된 승강기 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을 원하는 층을 선택하게 되면 승강기 카(200)가 승강로(미도시)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여 원하는 층의 승강장(3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a user selects a floor to which a user wants to move using an elevator car equipped with an ale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가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마크(112)와 각각 마주하거나 상호 엇갈림될 수 있다.When the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원하는 층의 승강장(300)으로 이동하여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이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 단차가 없이 정상적인 착상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착상감지센서(111)는 도착한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마크(112)와 상호 바르게 마주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이때,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는 각 마크(112)를 모두 감지하게 되므로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정상 착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가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Also, the
다음, 상기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는 제어부(130)의 정상 착상 제어 신호에 의해 모두 녹색으로 발광된다.Next, both the
이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200)를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사용자들은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사이에 단차가 없음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As a result, users getting on or off the
반대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 카(200)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원하는 층의 승강장(300)으로 이동하여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과 단차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는 각 마크(112)와 상호 엇갈림 되거나, 각 착상감지센서(111)가 각 마크(112)와 상호 마주하지 않게 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5 to 7, the
즉,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가 각 마크(112)와 상부로 상호 엇갈림 되거나 하부로 상호 엇갈림되거나, 2개의 착상감지센서(111) 중 어느 하나만 2개의 마크(112)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거나, 2개의 착상감지센서(111) 모두가 2개의 마크(112) 모두와 상호 마주하지 않게 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이때,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111)는 각 마크(112)를 원활하게 감지하지 못하므로 비정상 착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30)에 송신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가 적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Also, the
다음, 상기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는 제어부(130)의 비정상 착상 제어신호에 의해 모두 적색으로 발광된다.Next, both the
이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200)를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사용자들은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사이에 단차가 있음을 인지하거나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호출을 하거나 기타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ly, users getting on or of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에 설치된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가 적색으로 발광되는 경우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사이에 단차가 있거나 승강구(미도시)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승강기 카의 운행 중 정전이 발생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못해 승강기 카(200)가 정지되면 탑승객을 승강기 카(200)로부터 승강장(300) 측으로 안전하게 탈출시켜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상기 승강기 카(200)의 바닥면(210)과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사이에 단차가 없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승강기 카(200)가 정지하게 되면 관리자가 승강장(300) 도어(도면부호 미도시)와 승강기 카(200)의 도어(도면부호 미도시)를 개방하여 승객을 손쉽게 탈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그러나, 승강기 카(200)가 승강장(300)가 아닌 승강로(도면부호 미도시)에 위치하는 경우 비상 전원 또는 수동으로 승강기 카(200)를 승강장(300)으로 이동시켜야 한다.However, when the
이때, 상기 승강기 카(200)에 설치되어 있는 착상감지센서(111)가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설치된 마크(112)를 감지시 내부 LED(121) 및 외부 LED(122)가 녹색으로 발광 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승강기 카(200)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도 정전 발생시 승강기 카(300)를 가까운 승강구(200) 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 승강기 카(300)의 착상 레벨을 조정하여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alerting elevator users through such an action, and at the same time,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manager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the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착상감지센서(111)와 마크(112) 중 어느 하나는 승강기 카(200)의 하부에 각각 장착하고, 다른 하나는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각각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착상감지센서(111)의 감지력을 배가하여 정확성이 향상됨은 물론 센서부의 설치 위치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elevator attention ale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또, 상기 제어부(130)를 상기 승강기 카(200)에 장착되는 착상감지센서(111)의 감지신호와 승강기 카(200)의 층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의 구동신호를 제어하거나, 상기 승강장(300)의 바닥면(310) 내측 벽면에 각각 형성되는 착상감지센서(111)의 감지신호와 승강기 카(200)의 층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의 구동신호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부(120)의 내부 LED(221) 및 외부 LED(222)의 제어를 다변화하여 승강장(300) 측에서 승강기 카(200)의 내부 LED(221)와 승강장(300)의 외부 LED(222) 발광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 110 : 센서부
111 : 착상감지센서 112 : 마크(marker)
120 : 표시부 121 : 내부 LED
122 : 외부 LED 130 : 제어부
200 : 승강기 카 210 : 바닥면
220 : 내부 프레임 221 : 홈
300 : 승강장 310 : 바닥면
320 : 외부 프레임 321 : 홈100: elevator warning device 110: sensor unit
111: landing detection sensor 112: mark
120: display unit 121: internal LED
122: external LED 130: control unit
200: elevator car 210: floor surface
220: inner frame 221: groove
300: platform 310: floor
320: outer frame 321: groove
Claims (5)
승강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이루도록 승강기 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기센서(magnetic sensor), 레이저센서(laser sensor) 또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착상감지센서와 상기 각 착상감지센서와 마주 하도록 승강장의 바닥면 내측 벽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상기 착상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승강장의 바닥면과의 단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Magnet), 거울(mirr),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측정 대상물인 마크(marker)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홈이 형성된 내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기 카 내부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내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홈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승강장의 선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승강기 카가 승강장에 도착시 정상 착상 또는 비정상 착상 여부에 따라 녹색 또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외부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착상감지센서가 마크의 정상 감지 또는 비정상 감지에 따라 상기 내부 LED 및 외부 LED의 적색 또는 녹색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In the elevator alert system,
A magnetic sensor, laser sensor, or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heck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platform A landing detection sensor formed of one of the landing detection sensors and a plurality of landing detection sensor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or surface of the platform to face each landing detection sensor. A sensor unit composed of a mark that is a measurement object formed of any one of a magnet, a mirror, or metal or plastic to measure whether or not;
Internal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grooves that are mounted through an inner frame with grooves and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inside the elevator car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display unit mounted through the formed external frame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to emit green or red l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or car arrives at the platform;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ed or green light emission of the internal LED and the external LED according to the normal detection or abnormal detection of the mark by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Elevator ale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873A KR102535832B1 (en) | 2021-01-07 | 2021-01-07 |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873A KR102535832B1 (en) | 2021-01-07 | 2021-01-07 |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680A KR20220099680A (en) | 2022-07-14 |
KR102535832B1 true KR102535832B1 (en) | 2023-05-23 |
Family
ID=8240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873A KR102535832B1 (en) | 2021-01-07 | 2021-01-07 |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583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3354A (en) | 2009-09-16 | 2011-03-31 | Hitachi Ltd | Elevato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3011U (en) | 2009-09-18 | 2011-03-2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Elevator sill having led lamp |
KR101708668B1 (en) | 2016-12-29 | 2017-02-22 | (주)신일승강기 |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door |
KR20190079399A (en) * | 2017-12-27 | 2019-07-05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 Level detecting and alarm device of a platform |
-
2021
- 2021-01-07 KR KR1020210001873A patent/KR1025358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3354A (en) | 2009-09-16 | 2011-03-31 | Hitachi Ltd | Elevato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680A (en) | 2022-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6581B2 (en) | Landing door proximity warning system | |
US6550585B2 (en) |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 |
JP4885975B2 (en) | Elevator equipment | |
US11505427B2 (en) |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 |
JP2013220895A (en) |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 |
EP1833747B1 (en) | Elevator safety systems | |
US6302240B1 (en) | Auxiliary safety lift device for the cab of an elevator | |
JP2014097874A (en) | Elevator boarding detection system | |
KR20050045910A (en) | Door restrictor | |
KR101331125B1 (en) | Preven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vator for falling accident | |
KR102535832B1 (en) | attention device for elevator | |
EP3159295B1 (en) | Service alarm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 |
KR101147069B1 (en) |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of an Elevator | |
KR102245816B1 (en) |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 |
JPH07228459A (en) | Threshold step reporting device and door closure reporting device for elevator | |
KR101324093B1 (en) |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vator entrance | |
US20190389695A1 (en) | Elevator system | |
JP2019099299A (en) | Elevator landing door safety device, driving method of elevator landing do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 |
KR100965389B1 (en) | Underground elevator | |
KR20230038829A (en) | Stage Equipment Elevation System | |
JP5781181B1 (en) | Elevator control system | |
KR100638754B1 (en) |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 |
JP2016011196A (en) | Elevator | |
KR102530062B1 (en) |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 |
JP7449494B2 (en) |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