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696B1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696B1 KR102500696B1 KR1020210038244A KR20210038244A KR102500696B1 KR 102500696 B1 KR102500696 B1 KR 102500696B1 KR 1020210038244 A KR1020210038244 A KR 1020210038244A KR 20210038244 A KR20210038244 A KR 20210038244A KR 102500696 B1 KR102500696 B1 KR 1025006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beam
- partition wall
- vehicle
- beam unit
-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60R2019/182—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of light metal, e.g. extru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알루미늄 압출 빔으로 성형되는 범퍼 빔의 단면 중앙에, 전면과 후면을 가로 격벽과 연결하는 연결 격벽을 각각 추가하여 큰 중량 증가 없이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스태이를 통해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에 조립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상기 폐단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된다.A vehicle bumper beam unit is disclosed.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collision performance without a significant weight increase by adding a connecting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umper beam formed of an aluminum extruded beam. In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ssembled to the side member on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stay, with stays fasten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beam has a rectangular closed cross section, and the closed cross section Inside the cross-secti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ulkhead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losed cross-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ly extru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압출 빔으로 성형되는 범퍼 빔의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과 연결하는 연결 격벽을 추가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that improves collision performance by adding a connecting bulkhead connected to a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a bumper beam formed of an aluminum extruded beam. .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체 전,후방에 설치되는 완충유닛이다.In general, a bumper in a vehicle is a buffer unit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to promote the safety of passengers by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ture,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
이러한 범퍼는 차량의 전,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이 스태이와 연결되어 범퍼 빔 유닛을 구성하고, 이 범퍼 빔 유닛은 상기 스태이를 통하여 차체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다.In this bumper, bumper beams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stays to form a bumper beam unit, and the bumper beam unit is mounted to the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tay.
또한, 범퍼 빔의 전방에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가 배치되며, 범퍼커버가 상기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In addition, an energy absorber for absorbing an impact forc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umper beam, and a bumper cover is installed while surrounding the bumper beam and the energy absorb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범퍼 빔 유닛(100)은 알루미늄 압출 빔을 절단 및 곡률 성형하여 제작되는 범퍼 빔(101; 프론트 범퍼의 경우)과, 상기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103; 또는 크래쉬 박스)가 체결된 상태로,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조립된다. 1 and 2, the
이러한 범퍼 빔 유닛(100)은 범퍼 빔(101)의 내부 중앙에 충돌성능의 확보 및 강성 보강을 위해 가로 격벽(105)이 함께 압출 성형된다. In such a
그러나 종래의 범퍼 빔(101)은 알루미늄 압출 빔의 성형 시, 내부 중앙에 하나의 가로 격벽이 일체로 압출 성형되나, 차량의 정면충돌 시, 중앙부(C)로 가해지는 충격력이 범퍼 빔(101)의 양 방향으로 전달되는 바, 큰 충격력이 가해지면, 하나의 가로 격벽(105)이 있음에도 범퍼 빔(101)의 중앙부(C)에 집중되는 충격력에 의해 중앙부(C)의 꺽임 또는 변형 등이 크게 발생하여 정면충돌 성능을 악화시킨다. However, i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알루미늄 압출 빔으로 성형되는 범퍼 빔의 단면 중앙에, 전면과 후면을 가로 격벽과 연결하는 연결 격벽을 각각 추가하여 큰 중량 증가 없이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bumper beam unit that improves crash performance without a large weight increase by adding a connecting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the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umper beam formed of an aluminum extruded beam. do.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스태이를 통해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에 조립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상기 폐단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bumper beam unit assembled to a side member on a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stays with stays fasten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beam has a rectangular closed end. It is made of cotton, and inside the closed secti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losed 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respectively, and a vehicle bumper beam unit is provided that is integrally extruded. It can be.
상기 범퍼빔은 알루미늄 압출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mper beam may be made of an aluminum extruded beam.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ition wall may have a tri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by connecting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ition wall may have a tri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by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상기 범퍼빔은 일정 곡률로 곡률 성형될 수 있다.The bumper beam may be formed with a certain curvature.
한편,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connection barrier rib may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by connecting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rier rib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barrier rib may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by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barrier rib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반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barrier rib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by connecting a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rier rib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반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barrier rib may connect a rear end of the transverse barrier rib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to have a semicirc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는 범퍼 빔이 내부 단면 중앙에서 가로 격벽의 양단이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됨으로 큰 중량 증가 없이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mper beam made of a rectangular closed cross section is integrally extruded by extruding both ends of a transverse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inner cross s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ulkheads, respectively, so that there is no collision without a large weight increas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erformance.
즉, 범퍼 빔은 내부 단면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전,후면에 연결되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반원형 등의 추가적인 폐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정면충돌 시, 충돌에너지를 고르게 분산시켜 밀림량 및 연구 변형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bumper beam,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ulkhead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on the inner cross section to form an additional closed section such as a triangle, square or semicircle, so that the collision energy is evenly distributed during a frontal collis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shedding and the amount of research deformation by dispersing.
특히, 정면충돌 시에는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해 중앙부의 충돌에너지를 2방향으로 분산하여 중앙부에 집중되는 것을 완화함으로써, 중앙부의 꺾임 및 변형량을 작게 하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rontal collision, the collision energy of the central part is dispersed in two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to relieve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par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bending and deformation of the central part, thereby improving crash performance.
또한, 이러한 충돌 성능의 향상으로 압출 빔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여 중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the thickness of the extruded beam can be variously changed to induce weight redu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RCAR CENTER BARRIER TEST)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에 따른 충돌에너지 흡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에 따른 범퍼 빔의 밀림량 및 영구 변형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RCAR CENTER BARRIER TEST)에 따른 응력 분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ront crash test (RCAR CENTER BARRIER TEST)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6 is a view showing a collision energy absorption path according to a front crash test of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able showing the displacement amount and the permanent deformation amount of the bumper beam according to the front crash test of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according to a front crash test (RCAR CENTER BARRIER TEST)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However,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was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10)은 기본적으로 범퍼 빔(1)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3)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스태이(3)를 통해 차체 측의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조립된다. 3 and 4,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 빔 유닛(10)에서, 상기 범퍼 빔(1)은 알루미늄 압축 성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압출 빔으로 이루어진다.In the
즉, 상기 범퍼 빔(1)은 직사각형의 폐단면(5)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상기 폐단면(5)은 내부의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7)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격벽(7)은 양단이 상기 폐단면(5)의 전면(5a)과 후면(5b)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11)(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된다. The closed
여기서, 상기 제1 연결 격벽(11)은 상기 가로 격벽(7)의 전단과, 상기 전면(5a)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5a)과 함께 삼각형 구조의 폐구간을 이룬다. Here, the first
또한, 상기 제2 연결 격벽(12)은 상기 가로 격벽(7)의 후단과, 상기 후면(5b)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5b)과 함께 삼각형 구조의 폐구간을 이룬다. In addition, the second
이러한 범퍼 빔(1)은 폐단면(5)의 내부에 가로 격벽(7)과 제1, 제2 연결 격벽(11)(12)이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 성형된 압출 빔으로 제조된 후, 별도의 곡률 성형기에서 일정 곡률(R)로 곡률 성형된다. After th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10)은 범퍼 빔(1)이 직사각 형상의 폐단면(5)의 내부에서, 가로 격벽(7)의 양단이 제1, 제2 연결 격벽(11)(12)을 통하여 폐단면(5) 내부의 전면(5a)과 후면(5b)에 일체로 연결되어 추가적인 폐구간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압출 빔으로 이루어져 스태이(3)를 통하여 차체에 연결함으로써, 정면충돌 성능을 향상시킨다. Therefore, in the vehicle
도 5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RCAR CENTER BARRIER TEST)의 개념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에 따른 충돌에너지 흡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ront crash test (RCAR CENTER BARRIER TEST)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nd FIG. 6 is a collision energy absorption path according to a front crash test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showing
도 5를 참조하면, 범퍼 빔 유닛(10)의 정면 충돌 시험은 충돌 베리어(20)에 대하여 범퍼 빔 유닛(10)을 10 KPH의 속도로 정면 충돌시켜 INT 밀림량과(Intrusion) DEF 밀림량(Deflection) 및 영구 변형량을 도출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rontal crash test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빔(101)의 충돌에너지 흡수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의 충돌에너지 흡수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 6, Figure 6 (a) shows the collision energy absorption path of the
도 6의 (a)(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은 폐단면(5)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E)가 전면(5a)을 통하여 상면(5c) 및 하면(5d)과 함께, 중앙에서 제1 연결 격벽(11)과 가로 격벽(7) 및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후면(5b)으로 전달되어 충돌에너지(E)의 흡수경로가 전체적으로 안정성을 갖는다. As can be seen in (a) (b) of FIG. 6, compared to the
도 7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에 따른 범퍼 빔의 밀림량 및 영구 변형량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의 전방 충돌 시험(RCAR CENTER BARRIER TEST)에 따른 응력 분포도이다.7 is a table showing the displacement amount and permanent deformation amount of a bumper beam according to a front crash test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front crash test (RCAR CENTER BARRIER TEST) of the bumper beam uni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은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에 비하여 중량이 오히려 작음에도 불구하고, 변형량의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이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에 비하여, 범퍼 빔의 밀림량(INT)(DEF)과 영구 변형량이 현저히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lthough the weight of the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은 중앙부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로 인해 부분적으로 꺾임 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은 중앙부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가 제1, 제2 연결 격벽(11)(12)에 의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분산되어 중앙부에 충격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여 중앙부의 꺾임 및 변형량을 작게 하며, 이에 따라 전방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8, the
즉, 차량의 정면 충돌 시험에서, 범퍼 빔(101)(1)의 중앙부에서의 응력 분포가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에서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개선된 충돌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in a frontal crash test of a vehicle, the stress distribution at the center of the bumper beam 101 (1)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이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빔(101)(1)에 대한 응력 분포 상, 종래 기술의 범퍼 빔(101)은 중앙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1)은 응력이 중앙부의 주변으로 넓게 분포되어 전달되는 양상으로부터 기인한다.This is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bumper beam 101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10)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중량이 작음에도 정면 충돌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바, 압출 빔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여 충돌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성능 범위에서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vehicle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 빔 유닛(10)과 비교하여, 상기 범퍼 빔(21)은 알루미늄 압축 성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압출 빔으로 이루어지는 점이 동일하다. Compared to the
즉, 제2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21)은 직사각형의 폐단면(25)의 내부에서,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27)의 양단을 상기 폐단면(25)의 전면(25a)과 후면(25b)에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연결 격벽(28)(29)이 각각 상기 전,후면(25a)(25b)과 함께 사각형 구조의 폐구간을 이루어는 차이점이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범퍼 빔 유닛과 비교하여 제1, 제2 연결 격벽(28)(29)의 형상에만 차이자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only in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에 적용되는 범퍼 빔의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beam applied to a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 빔 유닛(10)과 비교하여, 상기 범퍼 빔(31)은 알루미늄 압축 성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압출 빔으로 이루어지는 점이 동일하다. Compared to the
즉, 제3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31)은 직사각형의 폐단면(35)의 내부에서,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37)의 양단을 상기 폐단면(35)의 전면(35a)과 후면(35b)에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연결 격벽(38)(39)이 각각 상기 전,후면(35a)(35b)과 함께 반원형 구조의 폐구간을 이루어는 차이점이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빔 유닛은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범퍼 빔 유닛(10)과 비교하여 제1, 제2 연결 격벽(38)(39)의 형상에만 차이자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vehicle bumper beam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only in the shape of the first an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s easily chang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recognizing that they are equivalent Includes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10: 범퍼 빔 유닛
1,21,31: 범퍼 빔
3: 스태이
5,25,35: 폐단면
7,27,37: 가로 격벽
11,28,38: 제1 연결 격벽
12,29,39: 제2 연결 격벽10: bumper beam unit
1,21,31: bumper beam
3: stay
5,25,35: closed section
7,27,37: transverse bulkhead
11, 28, 38: first connection bulkhead
12,29,39: second connection bulkhead
Claims (9)
상기 범퍼 빔은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상기 폐단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In a vehicle bumper beam unit assembled to a side member on the body side through the stays with stays fasten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beam is made of a rectangular closed section, and inside the closed section, both ends of a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losed 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respectively, and integrally extruded. becomes,
The first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to have a tri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Vehicle bumper beam unit made of a tri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by connecting the lower side.
상기 범퍼 빔은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상기 폐단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In a vehicle bumper beam unit assembled to a side member on the body side through the stays with stays fasten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beam is made of a rectangular closed section, and inside the closed section, both ends of a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losed 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respectively, and integrally extruded. becomes,
The first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to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A vehicle bumper beam unit made of a rectang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by connecting the lower side.
상기 범퍼 빔은 직사각형의 폐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단면의 내부에는 단면 중앙에 가로 격벽의 양단이 상기 폐단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제2 연결 격벽을 통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제1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전단과, 상기 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과 함께 반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 격벽은 상기 가로 격벽의 후단과, 상기 후면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여 상기 후면과 함께 반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유닛.In a vehicle bumper beam unit assembled to a side member on the body side through the stays with stays fastened to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The bumper beam is made of a rectangular closed section, and inside the closed section, both ends of a horizontal bulkhea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losed 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itions, respectively, and integrally extruded. becomes,
The first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to have a semicirc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ition wall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A vehicle bumper beam unit made of a semicircula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by connecting the lowe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244A KR102500696B1 (en) | 2021-03-24 | 2021-03-24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244A KR102500696B1 (en) | 2021-03-24 | 2021-03-24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2996A KR20220132996A (en) | 2022-10-04 |
KR102500696B1 true KR102500696B1 (en) | 2023-02-16 |
Family
ID=8360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8244A KR102500696B1 (en) | 2021-03-24 | 2021-03-24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069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62373A1 (en) * | 2015-07-21 | 2020-08-20 | Magna International Inc. | Bumper bea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504A (en) * | 1993-09-08 | 1995-03-28 | Kobe Steel Ltd | Bumper form member |
KR20170073137A (en) * | 2015-12-18 | 2017-06-28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2021
- 2021-03-24 KR KR1020210038244A patent/KR1025006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62373A1 (en) * | 2015-07-21 | 2020-08-20 | Magna International Inc. | Bumper be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2996A (en) | 202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8076B1 (en) | Bumper beam assembly for vehicle | |
KR102691483B1 (en) | Front support for vehicle | |
KR102552505B1 (en) | Load distrbuting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198600B1 (en) | Stiffener unit for vehicle | |
JP2019130972A (en) | Frame structure of vehicle front part | |
JP2015104972A (en) | Impact absorption member | |
KR101495885B1 (en) | a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 |
KR100932672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102500696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US5810426A (en) | Arrangement for absorbing vehicle collision energy | |
KR101435418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JP2007210441A (en) | Energy absorbing material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with the same | |
KR20120029947A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s | |
JP7088085B2 (en) | Vehicle load absorbing member | |
KR101424529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102456470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KR100997375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CN107662566B (en) | Anticollision roof beam assembly and vehicle | |
KR102588953B1 (en) | Front lower crash body-structure of vehicle | |
JP7570263B2 (en) | Vehicle bumper unit | |
KR101336589B1 (en) | Upper stiffener for automotive bumper | |
KR101137257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1372814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20090059193A (en) |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 |
KR20120076412A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