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012B1 -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 Google Patents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9012B1 KR102509012B1 KR1020200104887A KR20200104887A KR102509012B1 KR 102509012 B1 KR102509012 B1 KR 102509012B1 KR 1020200104887 A KR1020200104887 A KR 1020200104887A KR 20200104887 A KR20200104887 A KR 20200104887A KR 102509012 B1 KR102509012 B1 KR 102509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water
- treated
- mixing pipe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혼합관의 둘레에 다수의 기체가 흡입되는 통로가 분산되어 제작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기체의 확산이 수중에서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수중 기체확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면에서부터 고랑형상으로 내부의 통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일측결합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일측결합부재가 기체흡입홈을 외측에서 덮음으로써, 기체가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derwater gas diffus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gases is sucked is dispersed around a gas mixing pipe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nd the gas can be diffused more smoothly in the water accordingly. do. In the present invention,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a gas intake groove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in a furrow shap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as mixing pipe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one-side coupling member, By covering the gas intake groove from the outside, the coupling member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gas is suck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등에 사용되는 수중 기체확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처리하여 오존, 라디칼 물질 등이 포함된 기체를 오염수의 수중에 확산시켜 오염물질을 산화 및 분해시키는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그러한 기체를 물에 포함시켜 살균력을 가진 살균수를 제조하는 살균수 제조장치, 공기기포를 수중에 확산시켜 수중의 오염물질을 부유시킴으로써 제거하는 하수처리시설 등, 수중에 기체를 확산시키는 작용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수중 기체확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gas diffuser used in a plasma water treatment device, etc., and more particularly, a plasm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oxidizes and decomposes contaminants by diffusing gas containing ozone, radical substances, etc. into contaminated water through plasma treatment. , a sterilizing wa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produces sterilizing water with sterilizing power by including such a gas in water, a sewage treatment facility that diffuses air bubbles into water to float and removes pollutants in water, etc. It relates to an underwater gas diffuser that can be used in necessary devices.
공업폐수 등 오염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방법으로써, 공기를 플라즈마처리하여 오존, 라디칼 물질 등을 포함시킨 기체를 미세기포형태로 수중에 확산시킴으로써, 오염수를 정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As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such as industrial wastewater and removing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plasma treatment of air and diffusion of gas containing ozone and radical substances into the water in the form of fine bubbles is used to treat contaminated water. Methods of purification are known.
도 1은 그와 같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2424호에 기재된 것이다.1 relates to a device for treating water as described above, and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2424.
도 1을 참고하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공기를 통과시켜 처리하는 플라즈마처리기(1)와, 그 플라즈마처리기(1)에서 처리되어 생성된 기체를 수중에 확산시키는 기체확산기(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it includes a plasma processor 1 that generates plasma and passes air through the plasma processor 1, and a
플라즈마처리기(1)에서는 유전체관(2)의 주위에 감긴 코일형상의 방전극(3)에서 플라즈마방전이 발생하고,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코일형상의 방전극(3)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플라즈마처리가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오존, 라디칼물질 등이 포함된 기체가 생성된다.In the plasma processor 1, a plasma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coil-
생성된 기체는 연결관(9)을 통해 기체확산기(6)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오염수의 수중에서 확산될 수 있고, 수중에 확산된 기체는 오염수의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산화, 분해시킴으로써, 정화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generated gas flows into the
도 2는 상기 기체확산기(6)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기체확산기(6)는, 유동하는 단면적이 감소하여 좁아진 유로(7a)를 가진 기체혼합관(7)에서, 오염수의 유동속도가 현저히 증가함에 의해 압력강하가 동반되고, 그 압력강하는 기체흡입공(8)을 통하여 기체가 수중으로 자연흡입되도록 한다.In the
기체흡입공(8)을 통하여 자연흡입된 기체는 오염수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미세버블의 형태로 수중에 혼합되어 오염수와 함께 유동하면서 확산이 이루어진다.The gas naturally sucked through the gas suction hole 8 is mixed in the water in the form of fine bubbles at the time of moving to the contaminated water, and diffusion occurs while flowing with the contaminated water.
위의 구성을 살펴보면, 처리대상수인 오염수가 통과하고 다수의 기체흡입공(8)이 형성된 기체혼합관(7)은, 곡면인 외주면 둘레를 따라 미세하게 관통된 다수의 기체흡입공(8)으로 인해 그 제작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Looking at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즉, 관체 형상으로서 곡면인 기체혼합관(7)의 둘레에 다수의 기체흡입공(8)을 미세한 직경으로 각각 드릴링 등으로 가공하고 다수의 지점에 분산시켜야 하므로, 통상의 공작기계에서 가공이 까다롭고 제작의 효율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since a plurality of gas intake holes 8 with a fine diameter are processed by drilling or the like and dispersed at multiple points around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혼합관의 둘레에 다수의 기체가 흡입되는 통로가 분산되어 제작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기체의 확산이 수중에서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수중 기체확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process of distributing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gases are sucked around the gas mixing pipe can be made more easily, and the diffusion of the gas accordingly It is to provide an underwater gas diffus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underwat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내부에 처리대상수통로가 형성된 관상의 기체혼합관과,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홈에 연결된 처리대상수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상기 처리대상수유로를 연통시켜 처리대상수를 유동시키는 일측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면에서부터 고랑형상으로 상기 처리대상수통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결합부재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덮음으로써, 상기 처리대상수통로 및 처리대상수유로를 통한 처리대상수의 연속적 유동 시,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부에서 기체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통해 흡입되어 처리대상수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gas mixture pipe having a water passage to be treated therein,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gas mixture pipe is inserted, and a treatment target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inside. A water flow path is formed, and a one-side coupling member for flowing the water to be treated by communicating the water flow path to be treated with the water flow path to be treat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t one end of the mixing pipe, a gas suction groove connect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gas mixing pipe to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n a furrow shape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one-side coupling member is formed. By covering the gas suction groove, whe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inuously flows through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and the water to be treated, the gas is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gas mixing pipe through the gas suction groove and mixed with the water to be treated.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상기 기체흡입홈이,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 중, 외주면에 상기 기체혼합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외측홈부와, 전면에 상기 외측홈부와 연속되도록 경로가 꺾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연통되는 내측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th such that the gas intake groove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s mixing pi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and the outer groove on the front surface. It is formed by being bent to include an inner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상기 기체흡입홈이,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기체흡입홈은,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하나의 회전방향을 따라 편향된 상태로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에 연결됨으로써, 기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처리대상수에 진입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s suction groov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nd the plurality of gas suction grooves form a cross section of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s a standard, another feature is that gas enters the water to be treated in a spiral shape by being connected to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a biased state along one rotational direction.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내부에 처리대상수통로가 형성된 관상의 기체혼합관과,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연결되는 처리대상수유로와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처리대상수유로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된 일측결합부재와, 상기 기체혼합관을 감싸고 상기 기체혼합관과의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공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는, 고랑형상이 외면에서부터 전면을 통해 상기 처리대상수통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결합부재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덮음으로써,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부의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gas mixture pipe having a water passage to be treated therein, a water passage to be treated connected to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nd one end of the gas mixture pipe being inserted. Preferably, one side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nd a cover member having a gas supply hole for surrounding the gas mixing pipe and supplying gas to a space between the gas mixing pipe,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a gas suction groove connected to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from an outer surface through a front surface, and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one side coupling member is formed. By covering the gas intake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ssage for sucking gas from the outside of the gas mixing tube into the insid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 상기 기체혼합관의 중간부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흡입홈은, 상기 머리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기체혼합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머리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외측홈부와, 상기 외측홈부와 연속되도록 경로가 꺾여 상기 머리부의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연통되는 내측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a middle portion of the gas mixing pi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and the gas intak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An outer groov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ea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and an inner groove tha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by being bent so that the path continues with the outer groove and communicates with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nother feature is that it adhere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한편,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내부에 처리대상수통로가 형성된 관상의 기체혼합관과,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홈에 연결된 처리대상수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상기 처리대상수유로를 연통시켜 처리대상수를 유동시키는 일측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일측결합부재에는, 상기 일측결합부재의 외면에서부터 고랑형상으로 상기 처리대상수유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덮음으로써, 상기 처리대상수통로 및 처리대상수유로를 통한 처리대상수의 연속적 유동 시,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부에서 기체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통해 흡입되어 처리대상수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aspect,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gas mixing pipe having a passage for the water to be treated therein,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and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A connected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s formed, and one side coupling member for flowing the water to be treated by communicating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with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 In the one side coupling member, a gas suction groove connected to the target water passage in a furrow shap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ne side coupling member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By covering the gas inlet groove, gas is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gas mixing pipe through the gas inlet groove to enter the water to be treated whe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inuously flows through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and the water to be treated. characterized by mixing.
또한, 전술한 수중 기체확산기는, 상기 기체공급공에 위치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유전체볼과, 상기 기체공급공에 결합되어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유전체볼 주위로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체공급관과, 상기 기체공급관의 내부통로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체혼합관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유전체볼과 접촉하는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상기 기체혼합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방전극과 상기 기체혼합관 사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원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방전극에서 발생한 플라즈마가 상기 유전체볼의 표면을 타고 분산된 상태로 발생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underwater gas diffuser, a dielectric ball located in the gas supply hol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as mixing pipe, and a gas coupled to the gas supply hole so that gas is supplied around the dielectric ball through an internal passage A supply pipe, a discharge electrode located in the inner passage of the gas supply pipe and contacting the dielectric ball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gas mixture pipe is located,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as mixture pipe, respectively, to mix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as mixture Another feature is that by including a power source for generating plasma between the tubes, the plasma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electrode is generated in a dispersed state along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ball.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 기체혼합관의 외면에서부터 고랑형상으로 처리대상수통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결합홈에 삽입되어 일측결합부재가 기체흡입홈을 외측에서 덮어 기체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as suction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as mixing pipe to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n a furrow shape, and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The coupling member covers the gas intake groove from the outsid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s sucked.
이러한 구성은, 기체혼합관의 둘레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각각 드릴링에 의해 별도 가공하거나 전용 가공기계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의 외면에 손쉬운 가공인 고랑형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기체혼합관의 둘레에 다수의 기체가 흡입되는 통로가 분산되어 제작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표면에 고랑형상을 형성하는 가공은 그 가공부위가 미세할지라도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히 가공이 가능하다.This configuration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furrow shape, which is an easy process,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process a plurality of fine holes around the gas mixing pipe by drilling or to manufacture a dedicated processing machine. Since this is possible, a process of distributing and manufacturing a passag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gases are sucked around the gas mixing pipe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That is, the process of forming a furrow shape on the surface can be processed relatively easily and quickly even if the processed part is fine.
또한, 그러한 구조에 따른 기체의 확산이 수중에서 매우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diffusion of ga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can be made very smoothly in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기체흡입홈이 처리대상수통로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기체흡입홈이 처리대상수통로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하나의 회전방향을 따라 편향된 상태로 처리대상수통로에 연결됨으로써, 기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처리대상수에 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s suction groov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nd when the gas suction grooves are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as a standard, one rota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a deflected state along the direction, the gas enters the water to be treated in a spiral shape.
이러한 구성은, 처리대상수가 유동해 가는 과정에서 미세기포형태의 기체와 처리대상수가 함께 회전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바, 처리대상수 중의 오염물질과 오존, 라디칼물질 등의 접촉을 촉진하거나, 처리대상수의 수중에 미세기포형태의 기체가 고르게 혼합되어 분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is configuration can lead to even mixing as a whole while the gas in the form of fine bubbles and the water to be treated rotate together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water to be treated, so that the contact of pollutants in the water to be treated with ozone, radical substances, etc. can be promoted, or the gas in the form of fine bubbles can be evenly mixed and distributed in the water of the treated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커버부재의 기체공급공에 유전체볼이 위치하고 방전극을 설치하여 플라즈마방전시킴으로써, 기체공급공으로 유입되는 기체를 플라즈마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lasma-treat the gas flowing into the gas supply hole by placing a dielectric ball in the gas supply hole of the cover member and installing a discharge electrode to discharge plasma.
이러한 구성은, 방전극에서 발생한 플라즈마가 유전체볼의 표면을 타고 분산된 상태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유전체볼 주위를 통과하는 기체가 플라즈마와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여 높은 플라즈마처리효율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lasma generated at the discharge electrode is generated in a dispersed state along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ball, the gas passing around the dielectric ball contacts the plasma in a large area, so that high plasma treatment efficiency can be obtained.
도 1 및 도 2는 종래 플라즈마처리된 기체를 미세기포형태로 수중에 확산시키는 수처리장치의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에서 기체흡입홈이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에서 기체흡입홈이 일 회전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되어 소용돌이 형상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작용을 설명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로서,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만 기체흡입홈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로서, 일측결합부재에 기체흡입홈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9는 도 8의 수중 기체확산기의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로서, 커버부재의 기체공급공에 유전체볼이 위치하고 방전극을 설치하여 플라즈마방전시키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11은 도 10에서 유전체볼 및 방전극이 설치된 부분 및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12는 도 11에서 유전체볼이 구비되지 않은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1 and 2 are configuration explanatory diagrams of a water treatment device for diffusing conventional plasma-treated gas into water in the form of fine bubbles.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in which the gas suction groove is installed 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action in which the gas is introduced in a spiral shape in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gas suction groove is installed to be biased in one rotational direction
7 is an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s intake groove is installed only at one end of a gas mixing pipe;
8 is an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s intake groove is installed on one side coupling member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gas diffuser of Figure 8
10 is an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ielectric ball is located in a gas supply hole of a cover member and a discharge electrode is installed to discharge plasma.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action of generating plasma and the portion where the dielectric ball and discharge electrode are installed in FIG. 10
Figure 12 is an explanatory view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electric ball is not provided in Figure 1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는, 내부에 처리대상수통로(15)가 형성된 관상의 기체혼합관(10)과, 상기 처리대상수통로(15)와 연결되는 처리대상수유로(23)와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처리대상수유로(23)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1)이 형성된 일측결합부재(20)와, 상기 기체혼합관(10)을 감싸고 기체혼합관(10)과의 사이의 공간(33)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공(32)이 형성된 커버부재(30)를 포함한다.3 to 5,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상기 기체혼합관(10)은 내부에 처리대상수통로(15)가 형성된 관상의 부재로서, 처리대상수통로(15)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에 기체를 공급하여 처리대상수와 혼합시키기 위한 기체흡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기체는 수중에 혼합시켜 분산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체를 수중에 분산시키는 목적에 따라 플라즈마처리된 공기가 될 수 있고, 단순히 대기 중에서 흡입한 공기일 수도 있다.Here, the gas is to be mixed and dispersed in water, and may be plasma-treated ai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dispersing the gas in water, or simply air inhaled from the atmosphere.
상기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에는 일측결합부재(20)가 결합되고, 기체혼합관(10)의 타단부에는 타측결합부재(40)가 결합된다.One
이에 따라, 타측결합부재(40)의 처리대상수유로(43)와 기체혼합관(10)의 처리대상수통로(15) 및 일측결합부재(20)의 처리대상수유로(23)가 순차로 연결되어 연통됨으로써 처리대상수가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eatment
상기 일측결합부재(20)는 처리대상수통로(15)와 연결되는 처리대상수유로(23)와,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처리대상수유로(23)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다.The one-
상기 결합홈(21)은 처리대상수유로(23)의 단부에서 처리대상수유로(23)보다 큰 직경이 되는 홈을 가공한 부분으로서, 처리대상수유로(23)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처리대상수유로(23)와 결합홈(21)은 연결되어 있다.The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결합홈(21)에 삽입되면, 처리대상수유로(23)와 처리대상수통로(15)가 서로 연결되는 결합이 이루어진다.When one end of the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는, 도면에서 좌측단부로 예시되어 있을 뿐이고 도면에서 도시된 좌측단부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도면에 도시된 우측단부를 일단부로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one end of the
상기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에는, 고랑형상 또는 골(골짜기)형상이 외면에서부터 전면을 통해 상기 처리대상수통로(15)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12)이 형성되고,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결합홈(21)에 삽입되어 일측결합부재(20)가 기체흡입홈(12)을 외측에서 덮음으로써, 상기 기체혼합관(10)의 외부의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가 형성된다.At one end of the
도 3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에는, 기체혼합관(10)의 중간부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11)가 형성되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머리부(11)의 외주면 및 전면에 기체흡입홈(1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3,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즉, 기체흡입홈(12)은 머리부(11)의 외주면에서 기체혼합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머리부(11)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외측홈부(12a)와, 상기 외측홈부(12a)와 연속되도록 경로가 꺾여 상기 머리부(11)의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처리대상수통로(15)와 연통되는 내측홈부(12b)를 포함하여, 기체혼합관(10)의 외면에서부터 처리대상수통로(15)까지 연결된다.That is, the
또한,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는 일측결합부재(20)의 결합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머리부(11)가 결합홈(2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일측결합부재(20)가 기체흡입홈(12)을 외측에서 덮은 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이에 따라, 기체흡입홈(12)이 전체적으로 외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고랑형상의 구조에서, 일측결합부재(20)가 외측을 덮어 기체혼합관(10)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동굴과 같은 통로의 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urrow-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처리대상수통로(15) 및 처리대상수유로(23)를 통한 처리대상수의 연속적 유동 시, 그 유동속도로 인한 압력강하로 기체혼합관(10)의 외부에서 기체가 기체흡입홈(12)을 통해 흡입되어 처리대상수에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inuously flows through the passage for water to be treated 15 and the
처리대상수의 압력강하를 보다 크게 하여 기체의 흡입량을 보다 높이기 위해, 처리대상수통로(15)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의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타측결합부재(40)의 처리대상수유로(43)를 처리대상수통로(15)보다 큰 직경에서부터 접근할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gas intake by increasing the pressure drop of the water to be treat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water to be treated through the passage of the water to be treated. The
이는 처리대상수가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유로를 통과하면서 동일한 유량이 통과하여야 하므로 그 통과속도는 점차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This is so that the passage speed is gradually increased because the same flow rate must pass through the passage whose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또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체흡입홈(12)은, 처리대상수통로(15)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홈부(12b)는, 처리대상수통로(15)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하나의 회전방향을 따라 편향된 상태로 처리대상수통로(15)에 연결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 and 6 , a plurality of
이에 따라, 기체흡입홈(12)을 통해 흡입되는 기체가 처리대상수에 혼합되도록 유입될 때, 소용돌이 형상으로 유입되면서 그 유입되는 속도에 의해 처리대상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처리대상수가 유동해 가는 과정에서 미세기포형태의 기체와 처리대상수가 함께 회전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gas sucked through the
특히, 상기 기체가 플라즈마처리되어 오존, 라디칼물질 등을 포함하는 것이고, 처리대상수 중의 오염물질과 접촉하면서 정화처리하는 경우, 기체와 처리대상수가 함께 회전하면서 유동해가는 작용은 기체와 오염물질의 폭넓은 접촉을 유도하므로, 정화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gas is plasma-treated and contains ozone, radical substances, etc., and is purified while contacting the contaminants in the water to be treated, the action of the gas and the water to be treated as they rotate together while flowing is the separation of the gas and the pollutants. Since wide contact is induced,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treatment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정화처리의 목적이 아니더라도 위와 같은 작용은, 처리대상수의 수중에 미세기포형태의 기체가 단시간에 고르게 혼합되어 분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the purpos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the above action can lead to evenly mixing and distributing the gas in the form of fine bubbles in the water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a short time.
한편, 상기 커버부재(30)는 기체혼합관(10)을 감싸는 관상의 부재이고, 양단이 각각 일측결합부재(20)와 타측결합부재(40)에 각각 나선결합되어, 기체혼합관(10)과의 사이의 공간(33)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플라즈마처리된 기체를 공급받기 위한 기체공급공(32)이 내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연결구(3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공간에 플라즈마처리된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흡입홈(12)은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뿐 아니라 타단부에도 동일하게 형성되고, 기체혼합관(1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41)이 타측결합부재(40)에도 형성되어 기체혼합관(10)과 타측결합부재(40)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기체혼합관(10)과 커버부재(30) 사이의 공간(33)으로 공급된 기체는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 기체흡입홈(12)을 통해 각각 처리대상수에 흡입되어 혼합될 수 있는 바, 많은 양의 기체의 혼합이 가능한 구조이다.Accordingly, the gas supplied to th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에만 기체흡입홈(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FIG. 7 show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도 7을 참고하면, 기체혼합관(10)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체혼합관(10)과 타측결합부재(40)가 일체화되어 기체혼합관(10)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에 머리부(11)가 형성되고 기체흡입홈(12)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또한, 도 7과 같이, 처리대상수가 처리대상수통로(15)를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처리대상수가 기체흡입홈(12)을 통과하기 직전의 유로의 직경이 통과한 직후의 유로의 직경보다 작도록 직경의 차이(d1)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o be treated passes through the
이는 처리대상수가 기체흡입홈(12)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면서 기체흡입홈(12)을 통한 압력강하 및 흡입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This allows the water to be treated to pass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기체확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일측결합부재(20)의 결합홈(21)의 내면에 기체흡입홈(22)이 형성되도록 형성위치를 변경하고, 기체흡입홈(22)이 일측결합부재(20)의 단부의 외면에서부터 고랑형상으로 처리대상수유로(23)까지 연결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and 9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gas diff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일측결합부재(20)의 결합홈(21)에 삽입되어 그 삽입되는 결합에 의해 기체혼합관(10)의 일단부가 기체흡입홈(22)을 덮어, 외부의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동굴과 같은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One end of the
이에 따라, 처리대상수통로(15) 및 처리대상수유로(23)를 통한 처리대상수의 연속적 유동 시, 일측결합부재(20)의 외부에서 기체가 기체흡입홈(22)을 통해 흡입되어 처리대상수에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inuously flows through the passage for the water to be treated 15 and the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재(30)의 기체공급공(32)에 유전체볼(51)이 위치하고 방전극(52)을 설치하여 플라즈마(61)를 발생시킴으로써, 기체공급공(32)으로 유입되는 기체를 플라즈마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Meanwhile, FIGS. 10 and 11 sh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즉, 상기 기체가 외부공기인 경우, 기체흡입홈(12)으로 유동하는 중에 플라즈마 처리되어 오존, 라디칼물질이 포함된 기체로 생성되어 유동하게 할 수 있고, 상기 기체가 플라즈마처리기에 의해 플라즈마 처리되어 유입되는 것인 경우, 기체흡입홈(12)에서 재차 플라즈마처리함으로써 기체에 포함된 오존, 라디칼물질의 농도와 활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gas is outside air, it is plasma-treated while flowing into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위 구성은 기체공급공(32)에 위치하고 기체혼합관(10)의 외면에 접촉하는 유전체볼(51)과, 상기 기체공급공(32)에 결합되어 내부통로를 통해 유전체볼(51) 주위로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체공급관(53)과, 상기 기체공급관(53)의 내부통로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기체혼합관(10)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에서 유전체볼(51)과 접촉하는 방전극(52)과, 상기 방전극(52)과 기체혼합관(10)에 각각 연결되어 방전극(52)과 기체혼합관(10) 사이에 플라즈마(61)를 발생시키는 전원을 포함한다.10 and 11,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상기 유전체볼(51)은 세라믹 재질 또는 석영재질이 될 수 있고, 반드시 구의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다면 또는 비정형의 블록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전원에 의해 유전체볼(51)의 상면의 방전극(52)에서 플라즈마(61) 방전이 이루어지면, 플라즈마(61)는 유전체볼(51)의 표면을 타고 기체혼합관(10)을 향해 흘러내리면서 연면방전의 형태로 방전영역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이는 유전체볼(51)의 표면에 플라즈마(61)가 퍼진 상태로 발생하게 되어 기체공급관(53)의 내부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유전체볼(51)의 주위를 지나 커버부재(30)와 기체혼합관(10)과의 사이의 공간(33)으로 진입 시, 유전체볼(51) 표면의 넓은 범위에서 플라즈마(61)와 접촉하여 플라즈마처리될 수 있다.This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만일, 상기 유전체볼(5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12와 같이, 방전극(52)의 일 지점에서 기체혼합관(10)을 향해 단일 선형의 아크방전 또는 불꽃방전에 의한 플라즈마(61)가 발생하게 되므로, 통과하는 기체가 플라즈마(61)와 극히 작은 영역에서만 접촉하여, 플라즈마처리효율이 매우 낮게 된다.If the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방전극(52)에서 발생한 플라즈마(61)가 유전체볼(51)의 표면을 타고 분산된 상태로 발생한 것이므로, 유전체볼(51)의 주위를 통과하는 기체가 플라즈마(61)와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여 높은 플라즈마처리효율을 가질 수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other modifie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10; 기체혼합관 11; 머리부
12; 기체흡입홈 12a; 측홈부
12b; 내측홈부 15; 처리대상수통로
20; 일측결합부재 21; 결합홈
22; 기체흡입홈 23; 처리대상수유로
30; 커버부재 32; 기체공급공
33; 공간 35; 연결구
40; 타측결합부재 51; 유전체볼
52; 방전극 53; 기체공급관10;
12;
12b;
20; One
22;
30;
33;
40; The
52;
Claims (7)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연결되는 처리대상수유로와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처리대상수유로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일측결합부재와,
상기 기체혼합관을 감싸고 상기 기체혼합관과의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공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는, 고랑형상으로 외면에서부터 전면을 통해 상기 처리대상수통로까지 연결된 기체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결합부재가 상기 기체흡입홈을 덮음으로써,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부의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공급공에 위치하고 상기 기체혼합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유전체볼과,
상기 기체공급공에 결합되어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유전체볼 주위로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체공급관과,
상기 기체공급관의 내부통로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체혼합관이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유전체볼과 접촉하는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상기 기체혼합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방전극과 상기 기체혼합관 사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원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방전극에서 발생한 플라즈마가 상기 유전체볼의 표면을 타고 분산된 상태로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체확산기A tubular gas mixture pipe having a passage for the water to be treated therein,
a one-side coupling member includ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water flow path to be treated so that one end of the gas mixture pipe is inserted into the water flow path to be treated connected to the water flow path to be treated;
A cover member having a gas supply hole formed therein for supplying gas to a space between the gas mixing pipe and the gas mixing pipe,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a gas suction groove connected to the water passage to be treated is formed in a furrow shape from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front surface,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one side coupling member covers the gas suction groove, thereby forming a passage for sucking gas from the outside of the gas mixing pipe into the inside,
A dielectric ball located in the gas supply hole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as mixing pipe;
A gas supply pipe coupled to the gas supply hole to supply gas around the dielectric ball through an internal passage;
A discharge electrode located in the inner passage of the gas supply pipe and contacting the dielectric ball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where the gas mixture pipe is located;
By including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as mixture tube to generate plasma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as mixture tube,
Underwater gas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ma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electrode is generated in a dispersed state along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ball
상기 기체혼합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기체혼합관의 중간부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흡입홈은, 상기 머리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기체혼합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머리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외측홈부와, 상기 외측홈부와 연속되도록 경로가 꺾여 상기 머리부의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처리대상수통로와 연통되는 내측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체확산기According to claim 1,
A hea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a middle portion of the gas mixing pi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as mixing pipe,
The gas intake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by bending an outer groov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ea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s mixing pi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and a path that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groov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objects to be treated Including an inner gro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The head part is an underwater gas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887A KR102509012B1 (en) | 2020-08-20 | 2020-08-20 |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887A KR102509012B1 (en) | 2020-08-20 | 2020-08-20 |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3247A KR20220023247A (en) | 2022-03-02 |
KR102509012B1 true KR102509012B1 (en) | 2023-03-10 |
Family
ID=8081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4887A Active KR102509012B1 (en) | 2020-08-20 | 2020-08-20 |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901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5278A (en) * | 2000-01-24 | 2001-07-31 | Takashi Yamamoto | Sewage cleaning treatment apparatus |
JP2018122294A (en) * | 2017-02-03 | 2018-08-09 | トスレック株式会社 | Bubble generation nozzle and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211B1 (en) * | 2009-09-21 | 2012-03-21 | 최장수 | Apparatus Generating Minute Particles And Micro/Nano Bubbles And System Using The Same |
-
2020
- 2020-08-20 KR KR1020200104887A patent/KR1025090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5278A (en) * | 2000-01-24 | 2001-07-31 | Takashi Yamamoto | Sewage cleaning treatment apparatus |
JP2018122294A (en) * | 2017-02-03 | 2018-08-09 | トスレック株式会社 | Bubble generation nozzle and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3247A (en) | 2022-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2424B1 (en) |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 |
US7063794B2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JP4495263B2 (en) | Plasma gas treatment | |
EP0402567A2 (en) |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ving dissolved gases and volatile organic chemicals from a liquid | |
JP2009156265A (en) | Exhaust gas recirculating device | |
JP2009163950A (en) | Static eliminator, and discharge electrode unit incorporated therein | |
KR102509012B1 (en) |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 |
KR102177129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gas | |
KR102162219B1 (en) | Plasma generating device having double structure of dielectric pipe | |
US6534023B1 (en) | Fluid dynamic ozone generating assembly | |
KR102026185B1 (en) |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treatment efficiency by micro bubble | |
KR100484256B1 (en) | Gas and liquid mixing apparatus using jet loop reaction | |
JP767530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zone-free separation of components in a corona discharge zone | |
JP6305499B2 (en) | Photo-oxidation reactor | |
KR20190055929A (en) | High capacity waste purifying apparatus for using plasma | |
RU2164499C2 (en) | Installation for treating water with electric current discharges | |
KR102340857B1 (en) | Plasma water treatmemt apparatus using bubbles in water | |
CN203474455U (en) | Ozone generator | |
RU2177456C2 (en) | Apparatus for ozonizing water | |
KR20210033675A (en) | Plasma Torch for Treating Harmful Gas | |
RU2576513C2 (en) | Method of ionising air and apparatus therefor | |
CN110836379A (en) | Exhaust gas introduction device | |
FI20020102A0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the liquid | |
KR20240062937A (en) | Fluid treatment apparatus | |
KR100381272B1 (en) | Ozone Generator with Multi-Cha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