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08174B1 -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74B1
KR102508174B1 KR1020220105179A KR20220105179A KR102508174B1 KR 102508174 B1 KR102508174 B1 KR 102508174B1 KR 1020220105179 A KR1020220105179 A KR 1020220105179A KR 20220105179 A KR20220105179 A KR 20220105179A KR 102508174 B1 KR102508174 B1 KR 10250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nit
gear
elbow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규석
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2010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74B1/ko
Priority to KR1020220168804A priority patent/KR102585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05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co-operating with forming members
    • B21D9/055Construction of forming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 B23D45/12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the workpieces turning about their longitudinal axis during the cutt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는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서 덕트를 절단 및 성형하는 헤드부; 및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BOW DUCT }
본 발명은 원형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 기어에 의해 절단롤러가 왕복 운동을 하면서 덕트를 절단하여 절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란, 공공시설이나 거주지, 지하상가 등의 다중이용시설물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유해세균 등의 실내 오염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기 및 공기의 순환을 위해 덕트 연결구로 만들어진 공기통으로서, 공조시설물의 구성 중 일부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덕트는, 시설물의 편의성과 디자인을 고려한 설계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덕트의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시설물의 복잡한 구조에 따라, 각각의 덕트 제조업체에서는 상기 덕트의 용도 및 사용위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원형덕트, T형 덕트, Y형 덕트, 엘보형 덕트 등 다양하게 제작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 이동가이드부, 덕트플랜지성형부, 덕트플랜지결합부 및 회전구동부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덕트를 엘보형상에 맞춰 절삭하는 동시에 덕트플랜지를 성형한 후, 분리된 양측 덕트의 덕트플랜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엘보형 덕트를 제작할 수 있는 엘보형덕트 제작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엘보형덕트 제작장비는, 절삭롤러와 성형롤러의 돌출 및 복원을 위한 메인샤프트의 회전구동과, 절삭 및 성형부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하우징의 회전구동이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엘보형덕트 제작장치는 절단부가 편심 왕복 운동을 하기 때문에 왕복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편심량을 많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하우징, 회전하우징에 회전 구동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 및 편시제1방향으로 안착홈이 마련된 회전하우징; 양단부에 절삭롤러와 성형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편심하우징; 상기 회전하우징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편심하우징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편심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구동부는 180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하우징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2에 의하면 별도의 편심구동부를 더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1, 2에서는 편심 왕복을 함으로 인해 속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편심 운동으로 인해 시작 속도는 빠르고 중간으로 갈수록 느려지게 되어 속도 제어가 어렵다.
(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6041호,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등록일 : 2016.04.21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54442호, 엘보우 덕트 제조장치용 덕트 절단 및 성형장치, 등록일 : 2019.12.04
본 발명은 엘보우 덕트를 절단하는 절단부의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고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는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는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서 덕트를 절단 및 성형하는 헤드부; 및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는, 슬롯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의 움직임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절단하는 절단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성형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측벽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삽입홈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절단 및 성형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회전비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기어를 사용하여 헤드의 왕복 운동을 제어함으로써 속도 조절의 용이하고 헤드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의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플랜지 성형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플랜지 접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이동가이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헤드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의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덕트의 성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는 본체(10)의 상부에는 덕트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플랜지 성형부(20), 플랜지를 접합하는 플랜지 접합부(30), 및 덕트를 성형하는 헤드부(40)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하부에는 이동가이드부(50) 및 및 상기 헤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프레임(11) 및 받침부(1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덕트를 경사지게 절단하는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성형부(20)는 덕트의 상하 플랜지의 형상을 제작하는 위한 것으로, 성형지그(21)로 구성되고, 성형지그(21)에는 'ㄷ'형상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2)가 형성된다.
성형지그(21)는 중공(23)이 각각 반으로 나뉜 반원 형상의 반원부가 성형되어 서로 대칭되는 구성으로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덕트의 상하 플랜지를 성형할 경우에는 결합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분리된다.
절삭롤러에 의해 절삭되는 덕트가 성형롤러(432)에 의해 함몰부(22)로 인입되어 가입됨으로써 상하 플랜지가 성형된다.
상기 플랜지 접합부(30)는 받침부(12)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형회전판(31), 덕트 고정부재(32), 플랜지 압착부재(33)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회전판(31)은 중앙이 통공되어 형성된 링형상이고, 원형회전판(31)의 외주면은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기어(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톱니가 결합되어 원형회전판(31)을 회전시킨다.
덕트 고정부재(32)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유압 장치(미도시)에 의해 전, 후진하여 덕트를 고정 및 고정해제 한다. 덕트 고정유닛(32)는 덕트가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상방향으로 이동된 덕트를 양쪽에서 가압하여 덕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 압착부재(33)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유압 장치(미도시)에 의해 전후진하며 덕트의 플랜지를 압착한다. 압착부재의 끝단에는 회전가능한 압착롤러(331)가 결합된다.
압착롤러(331)는 덕트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랜지 압착부재(33)가 전진하게 되면 압착롤러가 덕트의 하부 플랜지의 수직부분을 전진방향으로 밀어 누르게 되고 원형회전판(31)이 회전하게 되면 압착롤러가 덕트 하부 플랜지 수직부분을 누른 상태로 덕트 둘레를 회전하게 되어 덕트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압착되어 상부 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결합된다. 압착롤러는 복수개가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가이드부(50)는 받침부(12) 하부에 설치되어 덕트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53)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덕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 가이드부(50)의 하부에는 덕트를 지지하는 단턱(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덕트를 고정하는 고정유닛(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유압실린더(521),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동작하는 로드(522), 상기 로드에 연결되어 로드가 상승할 때 덕트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523), 상기 고정부가 힌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부에 삽입결합되는 회전축(524), 및 이동가이드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고정하는 축고정부(525)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40)는 피니언 기어(426) 및 랙기어(421)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서 덕트를 절단 및 성형한다.
상기 구동부(60)는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부(60)는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61) 및 상기 구동전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62) 및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6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전달부(61)는 외주면에 제1 기어(611) 및 제2 기어(6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동부(62)는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611)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3 기어(621)가 결합되어 구동전달부(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헤드부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 구동부(63)는 외주면에 상기 제2 기어(612)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4기어(632)가 결합되어 구동전달부(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3 기어(621)와 제4 기어(632)는 기어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제1 기어(611)와 제2 기어(612)비는 동일하고, 제1기어(61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621)의 기어비도 동일하다. 하지만, 제2 기어(61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4기어(632)의 기어비는 서로 상이하다.
기어비의 차이로 제3 기어(621)에 의해 회전하는 헤드부(40)와 제4 기어(63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26)의 회전비 차이만큼 차이가 발생하고 랙기어(421)가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40)는 가이드부(42) 및 가이드부에 결합된 절단롤러(431) 및 성형롤러(4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42)는 슬롯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426) 및 랙기어(421)가 장착되된다. 가이드부(42)는 상기 랙기어(421)의 움직임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절단롤러(431)는 가이드부(42)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절단하고, 상기 성형롤러(432)는 가이드부(42)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성형한다.
이때 가이드부는 측벽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422) 및 제2 가이드부(423)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에는 스프링(425)이 삽입되어 절단 및 성형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42)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부(423) 각각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삽입홈 스프링을 삽입한 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종래의 캠운동 방식에 비해 기어 방식의 왕복 운동은 피니언 기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은 가이드부가 계속 같은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어 자칫 회전 방향을 바꾸어주지 않으면 헤드부(40) 및 덕트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425)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롤러(431)가 덕트를 절단한 후 헤드부가 회전하여 성형롤러(432)가 덕트 절단부를 가압하여 플랜지를 성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엘보우 덕트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8의 (a)는 성형절단부가 덕트를 절단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절단롤러(431)가 덕트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성형롤러(432)가 상하부 플랜지를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엘보우 덕트 제작을 위해서는 원통형의 덕트가 안착되어 있는 이동가이드부(50)를 소정의 설정범위만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성형지그(21)는 덕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덕트가 성형을 위해 중공을 통과하여 정지하게 되면 성형지그(21)는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전진시켜 덕트를 고정시킨다.
덕트가 고정되면 구동부(60)에 의해 헤드부(40)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헤드부(40)가 전진하면서 절단롤러(431)가 덕트를 절단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더 전진하게 되면 성형롤러(432)가 절단된 덕트를 함몰부(22)로 밀어 넣어 가압하여 덕트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성형하게 된다.
덕트의 절단 및 성형이 완료되면 덕트고정부재에 의해 덕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성형지그(21)를 후진시켜 덕트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후 덕트를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 플랜지의 수평부가 성형지그(21)의 상부에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시키고 성형지그(21)를 다시 전진시켜 덕트롤 고정하고, 덕트고정부재를 후진시켜 고정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덕트의 하부 플랜지의 수직부를 가압하는 동시에 원형회전판(31)을 회전시켜 덕트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덕트의 하부 플랜지 수직부를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절삭된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덕트의 고정 및 압착롤러를 이용한 공정한 종래 특허문헌 1의 공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플랜지 성형부
30 : 플랜지 접합부 40 : 헤드부
50 : 이동가이드부 60 : 구동부

Claims (5)

  1.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면서 덕트를 절단 및 성형하는 헤드부; 및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슬롯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의 움직임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절단하는 절단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덕트를 성형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측벽에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삽입홈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절단 및 성형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회전비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KR1020220105179A 2022-08-23 2022-08-23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Active KR10250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79A KR102508174B1 (ko) 2022-08-23 2022-08-23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KR1020220168804A KR102585568B1 (ko) 2022-08-23 2022-12-06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79A KR102508174B1 (ko) 2022-08-23 2022-08-23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804A Division KR102585568B1 (ko) 2022-08-23 2022-12-06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174B1 true KR102508174B1 (ko) 2023-03-09

Family

ID=85511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179A Active KR102508174B1 (ko) 2022-08-23 2022-08-23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KR1020220168804A Active KR102585568B1 (ko) 2022-08-23 2022-12-06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804A Active KR102585568B1 (ko) 2022-08-23 2022-12-06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81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29B1 (ko) * 2009-02-02 2011-12-07 주식회사 예일전자 서로 다른 부품의 비접착식 결합장치
KR20160034581A (ko) * 2014-09-22 2016-03-30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US20170106428A1 (en) * 2015-10-20 2017-04-20 Admc Holding, Llc End cap sea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ming an end cap
KR102054442B1 (ko) 2019-07-10 2019-12-10 김옥태 엘보우 덕트 제조장치용 덕트 절단 및 성형장치
KR102151166B1 (ko) * 2019-09-05 2020-09-02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29B1 (ko) * 2009-02-02 2011-12-07 주식회사 예일전자 서로 다른 부품의 비접착식 결합장치
KR20160034581A (ko) * 2014-09-22 2016-03-30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KR101616041B1 (ko) 2014-09-22 2016-04-28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US20170106428A1 (en) * 2015-10-20 2017-04-20 Admc Holding, Llc End cap sea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ming an end cap
KR102054442B1 (ko) 2019-07-10 2019-12-10 김옥태 엘보우 덕트 제조장치용 덕트 절단 및 성형장치
KR102151166B1 (ko) * 2019-09-05 2020-09-02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568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61349B (zh) 一种传动轴压装机
KR101616041B1 (ko)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KR102151166B1 (ko)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CN109396257A (zh) 一种制作雨刮器连杆的机械设备及其制作方法
KR102508174B1 (ko)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EP3998124B1 (en) Duct cutting-and-forming device for elbow duct manufacturing device
KR102553705B1 (ko) 엘보우 덕트 제조 장치
US20160025080A1 (en) Apparatus including swashplates fixed on shaft assembly and piston assemblies
CN113860056A (zh) 一种一次性床单生产自动化折叠装置
KR101507104B1 (ko) 블랭킹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1753603B1 (ko) 포밍 장치
CN117181978B (zh) 一种利用一个模具成型的变压器外壳冷锻设备
CN218152213U (zh) 同轴往复运动机构及设备
CN208084063U (zh) 双面抛光机
CN110592920B (zh) 一种冲切刀和振动刀组合的裁切装置
CN210218022U (zh) 一种无油空压机
CN208853822U (zh) 飞剪机曲轴机构
CN219436785U (zh) 按摩器直线运动微型电机组件
CN219726789U (zh) 建筑施工用开槽机
CN211939037U (zh) 下模冲组件、辐射环压制装置
CN103894672B (zh) 一种板材竖直矩形槽开槽机
CN118989434B (zh) 提升通风管道切割面平整度的切割装置
CN117799283B (zh) 汽车内饰材料通用复合机
CN222258686U (zh) 弹簧疲劳测试工装及弹簧疲劳测试设备
CN110260725B (zh) 一种烟花内筒无泥封底插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2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