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991B1 -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 Google Patents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7991B1 KR102507991B1 KR1020200120011A KR20200120011A KR102507991B1 KR 102507991 B1 KR102507991 B1 KR 102507991B1 KR 1020200120011 A KR1020200120011 A KR 1020200120011A KR 20200120011 A KR20200120011 A KR 20200120011A KR 102507991 B1 KR102507991 B1 KR 102507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part
- gap
- plate
- insulating
- thin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427 thin-fil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23 plasma-assist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1/1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는 보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보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서로 인접한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절연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210... 챔버(chamber) 211... 챔버 입구
214... 노즐부 220... 보트 장치(boat device)
221... 플레이트부 221a...제1 플레이트(plate)
221b... 제2 플레이트 221c...제3 플레이트
222... 제1 핀(pin) 223... 제2 핀
224... 제3 핀
226... 플레이트 포켓(plate pocket)
250... 돌출부 251... 경사부
252... 밀착부 254... 갭부
301... 박막 310... 체결 부재
320... 절연부 321... 제1 절연부
321a... 돌기부
322... 제2 절연부 322a... 삽입홈
323... 제1 면 324... 제2 면
326... 제1 절연부 327... 제2 절연부
327a... 내측면 327b... 측면부
327c... 돌출면 328... 제1 절연부
328a...외주면 328b... 제1 돌출부
329... 제2 절연부 329a... 제1 면
329b... 제2 면 329c... 제3 면
329d.. 제2 돌출부
400,500,600,700,800...절연부
410,510,610,710... 제1 절연부 412... 제1 단턱부
413... 제1 엔드부
420,520,620,720... 제2 절연부 422... 제2 단턱부
423... 제2 엔드부 522... 요홈부
524,732,742... 제1 면 526,734,744... 제2 면
622,722... 연결부
810... 제1 절연부 811... 돌출부
820... 제2 절연부 821... 제1 내면
822... 제2 내면 830... 제3 절연부
831... 제1 면 832... 제2 면
833... 제3 면
d,d1... 간격 G.. 갭(gap)
G1... 제1 갭 G2... 제2 갭
G3... 제3 갭
Claims (15)
- 삭제
- 삭제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증착 박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갭을 두고 삽입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절연부는 상기 제2 절연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제2 절연부는 제1 절연부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부에서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제2 면과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제1 면은, 상기 제2 절연부의 끝단부와 갭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삽입홈은 갭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보트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와 제2 절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은 "ㄴ"자 형의 경로를 가지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내측면,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과 대면되는 돌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절연부는 제 1절연부와 대면하는 상기 돌출면에 의해 갭이 형성되고, 상기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갭을 두고 결합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절연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3 면, 상기 제1 절연부의 제1 돌출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절연부의 제2 면, 제3 면, 제2 돌출면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갭을 두고 결합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식 구조의 제1 단턱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단턱부와 대응되면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단턱부는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로 들어 갈 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부는 상기 제1 단턱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로 들어 갈 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1 단턱부와 제2 절연부의 제2 단턱부간에 형성되는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턱부의 맨 끝단부의 제1 엔드부는 상기 제2 절연부의 제2 단턱부 의 맨 끝단부의 제2 엔드부와 대면되어 접촉된 상태인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갭을 두고 결합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연부의 양쪽 측면은 각각 플레이트에 대면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대면되는 제2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갭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 의해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갭을 두고 결합되는 제2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는 상기 제1 절연부와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1 절연부와 제2 절연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절연부, 상기 제2 절연부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제3 절연부와 제4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1 절연부와 제2 절연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갭(G)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절연부와 상기 제4 절연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대면되고,
상기 제3 절연부와 상기 제4 절연부는 상기 제2 절연부(720)의 외주면을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하여 갭이 형성되는 제1 면과 제2 면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절연부 사이의 갭과, 상기 제2 절연부와 상기 제3 절연부 및 상기 제 4 절연부간의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부와 제4 절연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보트 장치.
- 서로 인접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의 빈 틈에 기판이 착탈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기판의 박막 증착시 플레이트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는 체결 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제2 절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3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절연부의 내면인 제1 면은 상기 제1 절연부와 제1 갭을 두고 마련되고, 제3 절연부의 외주면인 제3 면은 제2 절연부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내면과 제3 갭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갭 및 제3 갭에 의해 증착 박막이 차단되는 보트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부의 끝단면인 제2 면은 상기 제2 절연부의 안쪽에 형성되는 제1 내면과 제2 갭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제1 절연부와 제3 절연부가 삽입되어 대면되는 보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011A KR102507991B1 (ko) | 2020-09-17 | 2020-09-17 |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
CN202110894775.8A CN114203602A (zh) | 2020-09-17 | 2021-08-04 | 晶舟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011A KR102507991B1 (ko) | 2020-09-17 | 2020-09-17 |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269A KR20220037269A (ko) | 2022-03-24 |
KR102507991B1 true KR102507991B1 (ko) | 2023-03-09 |
Family
ID=8093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0011A Active KR102507991B1 (ko) | 2020-09-17 | 2020-09-17 |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79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94401B (zh) * | 2022-03-31 | 2024-03-01 | 深圳市石金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导电薄膜沉积的石墨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6418U (ko) * | 2009-12-18 | 2011-06-24 |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 보트 |
DE102015004419A1 (de) * | 2015-04-02 | 2016-10-06 | Centrotherm Photovoltaics Ag | Waferboot und Plasma-Behandlungsvorrichtung für Wafer |
KR102006435B1 (ko) * | 2017-09-01 | 2019-08-01 | 주식회사 한화 | 보트 장치 |
-
2020
- 2020-09-17 KR KR1020200120011A patent/KR102507991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269A (ko) | 2022-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19982A1 (en) | Gas supply unit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0440658B1 (ko) | 플라스마 방전 기체가 처리 챔버로 주입되는 고전력 rf전극을 절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0615015B1 (ko) | 전자 디바이스, 그 제조방법 및 플라즈마처리장치 | |
KR102275905B1 (ko) | 전극 플레이트가 분리된 보트 장치 | |
JP6088247B2 (ja) | Cvd装置、及び、cvd膜の製造方法 | |
KR20010096568A (ko) | 박막 형성용 플라즈마 성막 장치 | |
KR102507991B1 (ko) | 절연부를 구비하는 보트 장치 | |
US6794805B1 (en) |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 |
US20120220138A1 (en) |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
US4481230A (en) | Method of depositing a semiconductor layer from a glow discharge | |
KR100741758B1 (ko) | 실리콘 박막의 성막방법 및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 |
KR20120023238A (ko) | 기판이송용 보트 | |
KR102251672B1 (ko) | 강성이 보강된 보트 장치 | |
KR101936257B1 (ko) | 기판 처리 장치 | |
KR20110101223A (ko) | 패시베이션의 성막 방법, 및 태양 전지 소자의 제조 방법 | |
KR102251678B1 (ko) | 절연 구조체가 구비된 보트 장치 | |
KR102006435B1 (ko) | 보트 장치 | |
JPH0576171B2 (ko) | ||
CN118610060A (zh) | 电极引入装置和半导体加工设备 | |
KR102126475B1 (ko) | 플라즈마 전해 산화 장치 및 방법 | |
CN115710697B (zh) | 电极馈入装置和化学沉积设备 | |
CN114203602A (zh) | 晶舟装置 | |
KR102371771B1 (ko) | 배치 타입 보트 장치 | |
JP4194466B2 (ja) | プラズマプロセ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KR102442458B1 (ko) | 복수 전극 전기 인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