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06765B1 -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765B1
KR102506765B1 KR1020180044585A KR20180044585A KR102506765B1 KR 102506765 B1 KR102506765 B1 KR 102506765B1 KR 1020180044585 A KR1020180044585 A KR 1020180044585A KR 20180044585 A KR20180044585 A KR 20180044585A KR 102506765 B1 KR102506765 B1 KR 10250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housing
leaf spring
ey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82A (ko
Inventor
조성한
이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765B1/ko
Priority to DE102018127344.4A priority patent/DE102018127344B4/de
Priority to US16/179,922 priority patent/US10946708B2/en
Priority to CN201811383105.4A priority patent/CN110385952B/zh
Publication of KR2019012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7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에 러버부시와 제1부시를 동시에 적용한 부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The leaf spring bush device}
본 발명은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에 러버부시와 황동부시를 동시에 적용한 부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프스프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EYE)부가 형성되어 액슬과 차체를 연결하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이부에 적용되는 부시의 종류에는 크게 러버(rubber)부시와 황동부시 타입이 있다.
러버부시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장점이 있지만,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파손 및 이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황동부시는 내구성이 비교적 우수하지만 충격을 그대로 흡수하는 단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 JP37190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서스펜션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에 러버부시와 황동부시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부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에 있어서,
아이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부시;
아이부의 양 측면 부근에 각각 구성되고, 중앙부에 중공홀을 갖는 제2부시; 및
제2부시가 삽입되는 리프스프링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시의 내측에는 중공의 파이프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부시의 중공홀에는 중공의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너파이프의 양단 각각의 둘레방향에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이부와 제2부시는,
어느 하나의 제2부시에 결합된 이너파이프, 파이프핀, 및 다른 하나의 제2부시에 결합된 이너파이프를 차례로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핀은 연결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인한 축력에 의해 양단이 이너파이프의 헤드부에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스프링 고정 브라켓은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내부에 아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이부의 양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양 측벽 각각의 내부에는 제2부시가 수용되는 부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시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부시 수용부에는 반원형상의 반원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양 측벽 하면에서 부시 수용부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볼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서 부시 수용부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볼트홈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시는 황동부시이고, 제2부시는 러버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서스펜션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에 러버부시를 적용함으로써 노면의 충격감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황동부시를 적용함으로써 러버부시의 탄성변형 회전에 대한 부담을 줄여 황동부시 및 러버부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황동부시 및 러버부시의 수명이 증대됨으로써 품질보증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A/S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eye)부에 러버부시(rubber bush)와 황동부시를 동시에 적용한 부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2)은 황동 재질의 제1부시(6)와 러버 재질의 제2부시(10)를 포함하는 이종 재질의 부시(bush)가 동시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이부(4)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부(4)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제1부시(6)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부시(6)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아이부(4)의 축방향 길이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부시(6)의 내측에는 상기 제1부시(6)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파이프핀(8)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핀(8)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제1부시(6)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핀(8)이 상기 제1부시(6)의 내측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핀(8)의 양단이 상기 아이부(4)의 양단 각각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길이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제2부시(10)는 상기 아이부(4)의 양 측면 부근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부시(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부시(10)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부시(10)의 양단면을 관통하는 중공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부시(10)의 중공홀(12)에는 상기 제2부시(10)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중공의 이너파이프(14)가 삽입된다.
상기 이너파이프(14)의 양단 각각의 둘레방향에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헤드부(16)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6)의 직경은 상기 리프스프링(2)의 상기 아이부(4)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아이부(4)와 상기 제2부시(10)의 결합은 상기 이너파이프(14)와 상기 파이프핀(8)을 관통하는 연결볼트(18)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볼트(18)가 어느 하나의 상기 제2부시(10)에 결합된 상기 이너파이프(14), 상기 파이프핀(8),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부시(10)에 결합된 상기 이너파이프(14)를 차례로 관통한 후 단부에 너트(20)가 결합되어 상기 아이부(4)와 상기 아이부(4) 양단의 상기 제2부시(10)를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이너파이프(14)의 중심축은 상기 제1부시(6)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고, 상기 파이프핀(8)은 상기 연결볼트(18)와 상기 너트(20)의 결합으로 인한 축력에 의해 양단이 상기 이너파이프(14)의 헤드부(16)에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제1부시(6)는 상기 제2부시(10)에 비틀림력을 가하지 않으며, 상기 아이부(4)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핀(8)을 회전축으로 하여 슬립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부시(6) 및 상기 제2부시(10)가 결합된 상기 아이부(4)의 외측에는 상기 제2부시(10)가 삽입되는 리프스프링 고정브라켓이 구성된다.
상기 리프스프링 고정브라켓은 제1하우징(22) 및 제2하우징(32)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22) 및 상기 제2하우징(32)은 내부에 상기 아이부(4)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시(6)와 상기 제2부시(10)가 동시에 결합되는 상기 아이부(4)의 상측에는 제1하우징(22)이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32)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면상 상기 제1하우징(22)을 상기 리프스프링의 상부에 도시하였고, 상기 제2하우징(32)을 상기 리프스프링의 하부에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22)과 상기 제2하우징(32)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2)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아이부(4)와 상기 제2부시(10)의 상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아이부(4)의 양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제2부시(10)의 상단 반원부가 수용되는 부시 수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부시 수용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 하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파여진 형상으로, 전후단 방향으로 상기 제2부시(10)의 둘레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2부시(10)의 상단 반원부가 유격없이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24)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이너파이프(14)의 중심축과 동축의 중심축을 갖는 반원형상의 반원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2)에 형성되는 상기 반원홈(26)은 상기 아이부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2)의 전측벽 및 후측벽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개구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0)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부(4)에서 연장되는 리프스프링(2) 부분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아이부(4)의 회전 시, 상기 아이부(4)에서 연장되는 리프스프링(2) 부분에는 상하방향 위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하우징(22)이 상기 리프스프링(2)의 위치 변화에 방해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하우징(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부(4)를 향하여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22)이 상기 'ㄷ'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개방부의 양측벽에 상기 부시 수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 각각의 하면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24)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제1하우징(22)의 상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의 볼트홈(28)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28)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은 각각의 상기 제2부시(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은 상측을 향해 개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부시(10)의 하단 반원부가 수용되는 부시 수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부시 수용부(34)의 전후단 방향으로 상기 제2부시(10)의 둘레부가 수용되며, 상기 부시 수용부(34)은 상기 제2부시(10)의 하단 반원부가 유격없이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34)의 양측벽에는 이너파이프(14)의 중심축과 동축의 중심축을 갖는 반원형상의 반원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에 형성되는 상기 반원홈(36)은 상기 아이부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32)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34)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제2하우징(32)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볼트홀(38)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은 상기 제1하우징(22)의 양측벽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22)과 상기 제2하우징(32)은 상기 제2하우징(32)의 볼트홀(38)을 관통한 볼트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제1하우징(22)의 볼트홈(28)에 볼트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22)과 상기 제2하우징(32)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반원홈(26)과 상기 제2하우징의 반원홈(38)은 상기 헤드부(16)보다 큰 직경의 원형상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반원홈(26, 38)이 형성하는 원형상의 내부에 상기 연결볼트(18)의 헤드부 및 너트(2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결볼트(18)와 상기 파이프핀(8)은 상기 제2부시(10)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22) 및 상기 제2하우징(32)에 마운팅되어 상기 리프스프링(2)의 아이부(4)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22)과 상기 제2하우징(32)에 마운팅되는 상기 제2부시(10)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22)과 상기 제2하우징(32)에 유격없이 고정되어 회전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내구 수명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리프스프링 아이부 부시 장치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리프스프링
4 : 아이(eye)부
6 : 제1부시(bush)
8 : 파이프핀
10 : 제2부시(bush)
12 : 제2부시의 중공홀
14 : 이너파이프
16 : 이너파이프의 헤드부
18 : 연결볼트
20 : 너트
22 : 제1하우징
24 : 제1하우징의 부시 수용부
26 : 제1하우징의 반원홈
28 : 볼트홈
30 : 개구부
32 : 제2하우징
34 : 제2하우징의 부시 수용부
36 : 제2하우징의 반원홈
38 : 볼트홀

Claims (14)

  1. 차량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EYE)부 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의 내측에 상기 아이부와 동축상으로 삽입되는 중공의 제1부시;
    상기 아이부의 양 측면 부근에 각각 구성되고, 중앙부에 중공홀이 관통 형성된 제2부시; 및
    상기 제1부시 및 제2부시가 결합된 상기 아이부의 외측에 상기 제2부시가 삽입되는 리프스프링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스프링 고정 브라켓은, 내부에 상기 아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분할되며,
    상기 아이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이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아이부의 양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하우징의 양 측벽 각각의 내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2부시의 상단 및 하단 반원부가 각각 수용되는 부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시의 내측에는 중공의 파이프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시의 중공홀에는 중공의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파이프의 양단 각각의 둘레방향에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와 상기 제2부시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2부시에 결합된 상기 이너파이프, 파이프핀,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2부시에 결합된 이너파이프를 차례로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핀은 상기 연결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인한 축력에 의해 양단이 상기 이너파이프의 헤드부에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시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부시 수용부에는 반원형상의 반원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양 측벽 하면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볼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서 상기 부시 수용부의 전후단 각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볼트홈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시는 황동부시이고, 상기 제2부시는 러버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KR1020180044585A 2018-04-17 2018-04-17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Active KR10250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85A KR102506765B1 (ko) 2018-04-17 2018-04-17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DE102018127344.4A DE102018127344B4 (de) 2018-04-17 2018-11-01 Buchsenvorrichtung für einen Augenabschnitt einer Blattfeder
US16/179,922 US10946708B2 (en) 2018-04-17 2018-11-03 Bush device for eye section of leaf spring
CN201811383105.4A CN110385952B (zh) 2018-04-17 2018-11-20 用于板簧的卷耳部的衬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85A KR102506765B1 (ko) 2018-04-17 2018-04-17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82A KR20190121082A (ko) 2019-10-25
KR102506765B1 true KR102506765B1 (ko) 2023-03-07

Family

ID=6805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85A Active KR102506765B1 (ko) 2018-04-17 2018-04-17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46708B2 (ko)
KR (1) KR102506765B1 (ko)
CN (1) CN110385952B (ko)
DE (1) DE10201812734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374B (zh) * 2020-03-19 2021-08-1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悬架系统
CN111791656B (zh) * 2020-06-30 2021-06-0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厚度可调的钢板弹簧垫板
CN113653710A (zh) * 2021-07-30 2021-11-16 山东丰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板簧用u型卡
US11642932B2 (en) * 2021-10-08 2023-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shing assembly for a stabilizer bar of a vehicle
US12085204B2 (en) * 2021-12-14 2024-09-10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Mounting bracket assemblies as well as suspension assemblies, k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8049A (en) * 1922-11-24 1925-08-04 Hugh C Lord Joi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707213A (en) * 1925-08-15 1929-03-26 Hugh C Lord Joint
US1952115A (en) * 1930-03-08 1934-03-27 Jr Andrew J Borst Automobile shackle
BE371922A (ko) * 1930-04-25
US1901026A (en) * 1932-01-21 1933-03-14 Michael G Giordano Joint connection
US2164840A (en) * 1937-11-30 1939-07-04 Rock John Paul Bearing for vehicles
US2166822A (en) * 1938-02-28 1939-07-18 Chrysler Corp Spring suspension and mounting
US2236686A (en) * 1939-03-31 1941-04-01 Chrysler Corp Spring shackle
FR1138218A (fr) * 1955-01-17 1957-06-11 Daimler Benz Ag Dispositif de suspension à ressort lamellaire
DE1217700B (de) 1964-10-21 1966-05-26 Ernst Wackenhut Federaufhaengung fuer geschichtete Blattfedern, insbesondere von Fahrzeugfederungen
US3345060A (en) * 1965-10-23 1967-10-03 Gen Motors Corp Leaf spring assembly
US3434707A (en) 1966-06-02 1969-03-25 John E Raidel Suspensions
US3514089A (en) * 1967-02-13 1970-05-26 Western Unit Corp Resilient elastomeric bushing assembly
GB1449820A (en) * 1972-10-13 1976-09-15 Lonrho Ltd Assembly comrprising a vehicle chassis connected to one end of a leaf spring by a leaf spring mounting
USRE31298E (en) * 1976-08-31 1983-07-05 Trw Inc. Spring shackle assembly
US4768807A (en) * 1987-06-25 1988-09-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Wheel suspension
JPH0527376U (ja) 1991-09-13 1993-04-09 日産デイ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装置
JPH0534333U (ja) * 1991-10-11 1993-05-07 日産デイ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装置
US5337997A (en) 1991-12-16 1994-08-16 Hockney Pty Ltd. Extruded aluminum spring hanger
DE4205302A1 (de) 1992-02-21 1993-08-26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Luftfederachse
JPH07243462A (ja) 1994-03-08 1995-09-19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リーフスプリング用ラバーブッシュの構造
KR19980041484U (ko)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리프스프링 부시
JP3719030B2 (ja) 1999-02-26 2005-11-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スプリング用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7717B1 (ko) * 2003-07-10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이프스프링의 엔드부 결합구조
SE527302C2 (sv) * 2004-06-16 2006-02-07 Volvo Lastvagnar Ab En anordning för upphängning av en bladfjäder hos ett fordon
JP2006076410A (ja) 2004-09-08 2006-03-2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多層ブッシュを備えた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00033848A (ko) * 2008-09-22 2010-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US9114681B2 (en) * 2010-02-15 2015-08-25 Volvo Trucks AB Suspension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uch a suspension assembly
WO2012094710A1 (en) * 2011-01-13 2012-07-19 Sax Suspension Technology Pty Ltd Leaf spring system
CN105291742B (zh) * 2015-11-13 2017-10-17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一种板簧连接结构、车辆悬架及车辆
KR20180044585A (ko) 2016-10-24 2018-05-03 하늘내린인제 약용식물관리사 영농조합법인 친환경 제설제
CN107804126A (zh) * 2017-09-29 2018-03-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新型板簧卷耳衬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85952A (zh) 2019-10-29
KR20190121082A (ko) 2019-10-25
US10946708B2 (en) 2021-03-16
DE102018127344B4 (de) 2025-06-18
DE102018127344A1 (de) 2019-10-17
CN110385952B (zh) 2024-10-29
US20190315177A1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765B1 (ko) 리프스프링의 아이부 부시 장치
BRPI0411532B1 (pt) Dispositivo limpa-vidros, especialmente para um automóvel
BR102012033003A2 (pt) mancal de metal-borracha para uma suspensão de roda de veículo automotor, haste trapezoidal e suspensão de roda
BR102013012105A2 (pt) Conjunto de manga de eixo tendo um pino mestre
CN109398014A (zh) 用于机动车辆的轴承装置
US20230219390A1 (en) Control arm device and axle sleeve assembly of double a-arm suspension system
CN102085781A (zh) 一种带有缓冲装置的牵引连接器
US5275429A (en) Control arm assembly
US6276706B1 (en) Shock-absorbing joint for interconnecting front and rear wheel-carrying frame members of a bicycle
SK278923B6 (sk) Uloženie kolesa
JP201116209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KR101766111B1 (ko) 내부 구성요소의 회전이 가능한 부시와 이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KR102029844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타입 현가장치
CN104176122B (zh) 一种汽车拉杆总成
KR101491181B1 (ko) 차량용 부시장착구조
US20220297789A1 (en) Bicycle Wheel Suspension for a Bicycle
TWI759820B (zh) 汽車轉向總成之球接頭防塵套束環裝配工具
KR20210010043A (ko) 서브프레임과 차체의 연결 구조 및 서브프레임과 차체의 연결 방법
CN222495998U (zh) 汽车上支臂的连接轴、汽车上支臂和汽车
CN211969107U (zh) 横向稳定杆、稳定杆连杆、车辆悬架及车辆
JP2005106117A (ja) 連結構造
CN113844537B (zh) 转向节组件和车辆
CN210919787U (zh) 一种球头总成
CN214084640U (zh) 刹车装置以及车辆
KR20050118408A (ko) 쇽업소버 마운팅부시 유격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4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