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06150B1 -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 Google Patents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150B1
KR102506150B1 KR1020220121426A KR20220121426A KR102506150B1 KR 102506150 B1 KR102506150 B1 KR 102506150B1 KR 1020220121426 A KR1020220121426 A KR 1020220121426A KR 20220121426 A KR20220121426 A KR 20220121426A KR 102506150 B1 KR102506150 B1 KR 10250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air
support pedestal
nut
n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중
송유한
최현
조영철
방인석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디아이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디아이,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이디아이
Priority to KR102022012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8Vibration dampers, e.g. dual mass fly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것은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는 하면과 상면에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형성된 탄성체와,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제2너트와, 제1, 제2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제2통공을 구비하여 탄성체의 하면과 상면에 접착되는 하판과 상판을 포함한다. 탄성체의 측면에는 측면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Support unit for a power pla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주포 등 차량의 주행을 위한 엔진 등 동력장치를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엔진과 같은 차량의 동력장치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동력장치에는 진동이 많이 발생된다. 동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하여 차체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체에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그대로 동력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와 동력장치 사이에 고무 등 탄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여 만든 받침대가 설치된다.
기존의 동력장치용 받침대로는 상면의 중앙부와 이에 대응하는 하면의 중앙부에 설치된 볼트와 이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해 차량의 엔진 브래킷과 마운팅 패널 등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동력장치용 받침대의 일례가 공개번호 10-1999-0033835호(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엔진 장착용 댐퍼, 발명자: 김준호,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김준호 발명은 상면과 하면 중심부의 대응위치에 볼트가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충분히 완충하여주지 못한다. 이에 따라 댐퍼가 설치된 지점에서 회전방향 진동 성분을 반복적으로 받는 경우, 엔진 브래킷 및 마운팅 패널에 마모가 발생되어 동력장치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질 수 있다.
또한, 댐퍼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복원력을 받지 못해 한쪽 너트가 풀릴 수 있고,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서 동력장치에 큰 수평변위 또는 수평방향 진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동력장치용 받침대는 받침대를 교체하거나 동력장치를 분리하고자 할 때,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된 볼트 때문에 무거운 동력장치를 돌출된 볼트의 길이 이상으로 충분히 들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방향 완충성능은 물론이고 수평회전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완충성능도 뛰어나서 엔진 브래킷 및 차량의 마운팅 패널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동력장치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 완충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된 동력장치가 수평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 완충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완충성능도 뛰어난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의 완충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특히 수평회전방향의 복원성이 뛰어난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대를 교체하거나 동력장치를 분리하고자 할 때, 무거운 동력장치를 많이 들어 올리지 않고도 받침대를 교체하거나 동력장치를 분리할 수 있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반력(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큰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는 차량의 동력장치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장치를 상기 차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줌과 아울러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차체 상호간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에 있어서, 하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제1장착홈과 상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제2장착홈을 가지는 탄성체; 암나선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제1장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너트; 한 쌍의 상기 제1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1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하면에 접착되고 한 쌍의 상기 제1너트가 설치되는 하판; 암나선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제2장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2너트; 및 한 쌍의 상기 제2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면에 접착되고 한 쌍의 상기 제2너트가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을 상기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한 쌍의 상기 제2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들을 통해 상기 상판을 상기 동력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통공 또는 상기 제2통공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 또는 상기 제2통공의 둘레의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의 내면을 지지하여주는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삽입부의 안쪽 단부에는 상기 암나선부보다 큰 내경의 확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홈에는 탄성체 보호판이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삽입부의 높이는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제1장착홈은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장착홈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너트는 용접을 통해 상기 하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과 함께 가류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저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너트는 용접을 통해 상기 상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 가류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차체결합 브래킷의 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동력장치 상호간의 수평방향 및 수평회전방향의 진동과 충격을 완충하여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측면 돌기가 형성된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본체부는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는 2개의 상기 측면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짧은 양 측변 각각에는 1개씩의 상기 측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4개 측면에 상기 측면 돌기가 각각 형성되되 길이가 긴 양 측변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는 길이가 짧은 양 측변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에 비해 길이가 길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는 바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묻히는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쪽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 쪽보다 넓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거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묻히는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회전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완충성능이 뛰어나고, 엔진 브래킷 및 차량의 마운팅 패널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고, 동력장치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의 완충성능이 뛰어나고 설치된 상태에서 동력장치가 수평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수평방향으로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완충성능과 저항성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의 완충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전후, 좌우로의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에 대한 복원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를 교체하거나 동력장치를 분리하고자 할 때, 무거운 동력장치를 많이 들어 올리지 않고도 받침대를 교체하거나 동력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반력(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큰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분리도,
도 4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평면도,
도 5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1너트와 제2너트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제1, 제2너트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분리도, 도 4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평면도, 도 5는 도 1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1너트와 제2너트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탄성체(110), 제1너트(130), 제2너트(140), 하판(150) 및 상판(160)을 가진다.
탄성체(110)는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측면 돌기(119)를 가진다. 측면 돌기(119)들은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를 차체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차체결합 브래킷의 측벽에 지지가 되어 차체와 동력장치 상호간의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의 진동과 충격을 완충하여 전달하고, 전후, 좌우로의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의 변위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체결합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면 돌기(119)들은 대응 접촉면에 지지되어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예의 본체부(111)는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하고 있다. 본체부(111)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는 2개의 측면 돌기(119)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1)의 길이가 짧은 양 측변 각각에는 1개씩의 측면 돌기(119)가 형성되어 있다. 때에 따라,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 1개의 측면 돌기(119)가 길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본체부(111)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 형성된 측면 돌기(119)는 바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짧은 양 측변의 측면 돌기(119)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고, 형상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 돌기(119)는 차체결합 브래킷의 측벽 등 대응 접촉부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측면 돌기(119)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10)를 구성하는 본체부(111)의 하면에는 한 쌍의 제1장착홈(112)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한 쌍의 제2장착홈(113)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1장착홈(112)의 배열 방향과 한 쌍의 제2장착홈(113)의 배열 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장착홈(112)은 제1방향(예를 들면, 탄성체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장착홈(113)은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예를 들면, 탄성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여기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너트(130)와 한 쌍의 제2너트(140), 한 쌍의 제1통공(152)과 한 쌍의 제2통공(162)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차체와 동력장치 상호간에 수평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탄성체 전체 단면에서 함께 지지하면서 완충할 수 있고, 큰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10)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자주포 등 중량물의 엔진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탄성체(110)의 경도는 쇼어 A 55~65 정도인 것이 적당하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동력장치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경우, 쇼어 A 경도 40정도까지 사용될 수 있다. 고중량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탄성체(110)로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경도 쇼어 A 65~95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탄성체(100)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인 경우, 쇼어 A 경도 40~65 범위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폴리우레탄인 경우 쇼어 A 경도 40~95 범위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암나선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너트(130) 및 한 쌍의 제1통공(152)을 구비하여 가류 등에 의해 탄성체(110)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하판(150)을 가진다. 탄성체(110)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람직하게, 가류에 의해 하판(150)과 접착된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상판(16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바람직하게 함께 동시에 접착이 이루어진다. 탄성체(110)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성형틀에서 탄성체(1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 하판(150, 160)과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1너트(130)는 제1통공(152)이 형성된 부위의 하판(150)에 점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탄성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장착홈(112)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하판(1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통공(152)은 한 쌍의 제1너트(130) 및 제1장착홈(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제1너트(130)는 제1장착홈(152)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134)와 제1삽입부(134)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통공(152)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136)를 가진다. 또한, 제1너트(130)는 제1삽입부(134)와 제2삽입부(136)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부(138)를 가진다. 이 계단부(138)는 제1통공(152) 둘레의 하판(150)의 내면을 지지하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암나선부(142)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너트(140) 및 한 쌍의 제2통공(162)을 구비하여 가류 등에 의해 탄성체(110)의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상판(160)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2너트(140)는 제2통공(162)이 형성된 부위의 상판(160)에 점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탄성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장착홈(113)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통공(162)은 한 쌍의 제2너트(140) 및 제2장착홈(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제2너트(140)는 제2장착홈(162)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144)와 제1삽입부(144)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통공(162)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146)를 가진다. 또한, 제2너트(140)는 제1삽입부(144)와 제2삽입부(146)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부(148)를 가진다. 이 계단부(148)는 제2통공(162) 둘레의 상판(160)의 내면을 지지하여준다.
위 설명에서, 제1너트(130)와 제2너트(140)는 그 결합대상과 결합 위치 및 상하방향으로의 결합방향만 서로 다를 뿐 그 결합구조는 서로 같다. 따라서 제1너트(130)와 제2너트(140)는 상호 호환 가능하다. 제1너트(130)와 제2너트(140)의 결합구조를 도 7을 참고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7에서, 제2너트(140)와 상판(160)은 탄성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너트(130)와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지만, 제1너트(130) 및 하판(150)과는 결합방향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 상 제2너트(140)와 상판(160)에 대한 것은 상하로 뒤집힌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제2너트(130, 140)의 제1삽입부(134, 144)의 높이와 단면적은 제1, 제2장착홈(112, 113)의 깊이 및 단면적과 대략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제2삽입부(136, 146)의 높이는 하판(150) 또는 상판(160)의 두께보다 조금 작게, 예를 들면, 0.5㎜ 정도 작게 하여 제1, 제2너트(130, 140)가 하판(150)의 하부 또는 상판(16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제2너트(130, 140)의 내측단 모서리부는 모따기 된 형상으로 하여 탄성체(100)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삽입부(134, 144)의 안쪽 단부에는 암나선부(132, 142) 보다 큰 내경의 확장홈(139, 149)이 형성된다. 이 확장홈(139, 149)에는 탄성체 보호판(137, 147)이 결합된다. 탄성체 보호판(137, 147)은 볼트를 이용하여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를 차체에 고정할 때 제1, 제2너트(130, 140)에 결합되는 볼트의 단부에 의해 탄성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차량의 동력장치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장치를 차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줌과 아울러 동력장치와 차체 상호간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설치 상태의 일례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엔진 등 동력장치의 동력장치 브래킷(10)과 차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차체 브래킷(20)에 볼트(B)를 통해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는, 한 쌍의 제1너트(130)에 결합되는 볼트(B)들을 통해 하판(150)과 탄성체(110)가 차체의 차체 브래킷(2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2너트(140)에 결합되는 볼트(B)들을 통해 상판(160)과 탄성체(110)가 동력장치의 브래킷(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체(11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 돌기(119)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차체 브래킷(20)의 측벽(22)에 지지되어 동력장치 브래킷(10)과 차체 브래킷(20) 상호간에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완충하여 전달하고,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의 저항력을 증가 시킨다.
물론, 하나의 차체 브래킷(20)에 복수 개의, 바람직하게 2개의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전후 또는 좌우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웃하여 설치되는 두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짧은 변 쪽의 측면 돌기(119)를 통해 서로 접촉되도록 밀착되어 설치되어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100)는 엔진 등 차량의 동력장치를 차체에 큰 지지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장치와 차체 상호간에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된 후에는 차체에 대한 동력장치의 전후방향 및/또는 좌우방향의 수평위치 또는 수평회전방향의 위치를 원위치로 확실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본체부(111)의 길이가 긴 양 측변에 형성되는 측면 돌기(119)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화된 1개로 형성될 수 있고,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1, 제2너트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본체부(111)에 묻히는 제1너트(130)와 제2너트(140)의 제1삽입부(134, 144)의 외주면은 본체부(111)의 내부 쪽에 본체부(111)의 외부 쪽보다 넓게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1너트(130)와 제2너트(140)의 제1삽입부(134, 144)의 외주면은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내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예를 들어 절두원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너트(130, 140)의 제1삽입부(134, 144)는 접착에 의한 탄성체(110)와의 부착력과 탄성체(110)의 전단저항력이 함께 부반력(인장력)에 저항하기 때문에 앞 실시 예에 비해 부반력(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크다. 또한, 제1삽입부(134, 144)와 탄성체(110) 간의 접착면적의 증가로 인한 부반력(인장력)에 대한 저항력 증가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동력장치용지지 받침대(100)는 도 10에 나타낸 동력장치 브래킷(10)과 차체 브래킷(20) 상호간에 상하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 매우 큰 저항력을 가진다.
도 10과 도 11의 실시 예에서, 제1삽입부(134, 144)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계단식으로 확장되도록 변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때에 따라 제1삽입부(134, 144)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엔진 등의 동력장치를 차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자주포의 엔진 등 중량의 동력장치를 차체에 설치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상, 하판과 탄성체의 크기나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하여 일반 차량의 동력장치를 차체에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동력장치 외의 중량물을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후와 좌우로의 수평방향 및/또는 수평회전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고 복원력의 제공이 필요한 곳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동력장치 브래킷 20: 차체 브래킷
100: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110: 탄성체
111: 본체부 112: 제1장착홈
113: 제2장착홈 119: 측면 돌기
130: 제1너트 132, 142: 암나사부
134, 144: 제1삽입부 136, 146: 제2삽입부
137, 147: 탄성체 보호판 138, 148: 계단부
139: 확장홈 140: 제2너트
150: 하판 152: 제1통공
160: 상판 162: 제2통공
B: 볼트

Claims (12)

  1. 차량의 동력장치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장치를 상기 차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줌과 아울러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차체 상호간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여주기 위한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에 있어서,
    하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제1장착홈과 상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제2장착홈을 가지는 탄성체;
    암나선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제1장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너트;
    한 쌍의 상기 제1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1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하면에 접착되고 한 쌍의 상기 제1너트가 설치되는 하판;
    암나선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제2장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제2너트; 및
    한 쌍의 상기 제2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면에 접착되고 한 쌍의 상기 제2너트가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을 상기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한 쌍의 상기 제2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들을 통해 상기 상판을 상기 동력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차체결합 브래킷의 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동력장치 상호간의 수평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의 진동과 충격을 완충하여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측면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통공 또는 상기 제2통공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 또는 상기 제2통공의 둘레의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의 내면을 지지하여주는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안쪽 단부에는 상기 암나선부보다 큰 내경의 확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홈에는 탄성체 보호판이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의 높이는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장착홈은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장착홈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는 용접을 통해 상기 하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과 함께 가류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저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너트는 용접을 통해 상기 상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 가류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는 2개의 상기 측면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짧은 양 측변 각각에는 1개씩의 상기 측면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모서리가 제거된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4개 측면에 상기 측면 돌기가 각각 형성되되 길이가 긴 양 측변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는 길이가 짧은 양 측변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에 비해 길이가 길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가 긴 양 측변 각각에 형성된 상기 측면 돌기는 바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묻히는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쪽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 쪽보다 넓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거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12.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홈 또는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묻히는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의 상기 제1삽입부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KR1020220121426A 2022-09-26 2022-09-26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KR10250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26A KR102506150B1 (ko) 2022-09-26 2022-09-26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26A KR102506150B1 (ko) 2022-09-26 2022-09-26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150B1 true KR102506150B1 (ko) 2023-03-06

Family

ID=8551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426A KR102506150B1 (ko) 2022-09-26 2022-09-26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1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830A (ja) * 1992-09-01 1994-03-22 Mineichi Iwamoto ナット
JP2001253250A (ja) * 2000-03-13 2001-09-18 Hino Motors Ltd エンジンのマウント構造
JP2008232390A (ja) *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JP4261427B2 (ja) * 2004-06-23 2009-04-30 豊田鉄工株式会社 樹脂製部品の締結部構造
JP2009173072A (ja) * 2008-01-22 2009-08-06 Sumitomo Rubber Ind Ltd 弾性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弾性パッド
JP4780991B2 (ja) * 2005-03-29 2011-09-2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ユニットの防振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830A (ja) * 1992-09-01 1994-03-22 Mineichi Iwamoto ナット
JP2001253250A (ja) * 2000-03-13 2001-09-18 Hino Motors Ltd エンジンのマウント構造
JP4261427B2 (ja) * 2004-06-23 2009-04-30 豊田鉄工株式会社 樹脂製部品の締結部構造
JP4780991B2 (ja) * 2005-03-29 2011-09-2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ユニットの防振支持構造
JP2008232390A (ja) *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JP2009173072A (ja) * 2008-01-22 2009-08-06 Sumitomo Rubber Ind Ltd 弾性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弾性パッ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0977B (zh) 在接合面上具有多个隆块的弹性振动隔离器
JP6190651B2 (ja) 防振装置
US20220316550A1 (en) Anti-vibration mount using combination of multiple springs
EP1564054B1 (en) Engine mount
KR101699464B1 (ko)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JP2006273156A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ユニットの防振支持構造
KR20040026677A (ko) 캐브 완충장치
KR102506150B1 (ko) 동력장치용 지지 받침대
CN101865430A (zh) 一种减振器及包括该减振器的灯具
EP1382468B1 (en) Suspension system
CN202806335U (zh) 发动机悬置软垫及其悬置系统和汽车
KR101036122B1 (ko) 제설차량의 제설삽용 완충장치
JP5916502B2 (ja) 防振支持構造体
CN115574029A (zh) 一种减振器、智能传感装置及载具
CN104908568A (zh) 后悬置总成
CN100549456C (zh) 连接轴承
CN202294226U (zh) 发动机悬置软垫、发动机悬置安装结构以及汽车
CN218932760U (zh) 一种过路钢板
CN219045541U (zh) 一种减振器、智能传感装置及载具
JP4303277B2 (ja) 防振装置
EP3261861B1 (en) Jounce bumper
WO2024150290A1 (ja) 制振装置ユニットと制振装置
CN218463465U (zh) 发动机底部缓冲减震支架
KR102131808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CN220040208U (zh) 一种支撑平台组件以及光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