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483B1 -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483B1 KR102504483B1 KR1020217028035A KR20217028035A KR102504483B1 KR 102504483 B1 KR102504483 B1 KR 102504483B1 KR 1020217028035 A KR1020217028035 A KR 1020217028035A KR 20217028035 A KR20217028035 A KR 20217028035A KR 102504483 B1 KR102504483 B1 KR 102504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determined direction
- actuator
- reciprocating
- slide
- mo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의사 역각 제시 장치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도 3A는 제1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3B는 제1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정면도이다.
도 4의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액추에이터의 3A-3A 개략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의 도 7A는 제2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7B는 제2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정면도이다. 도 7C는 제2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좌측면도이다.
도 8의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401…기부(베이스 기구)
409…대좌(베이스 기구)
1026-1, 1026-3…지지부(베이스 기구)
102-i…액추에이터
1025-i…가동부(슬라이드 기구)
102ea-i, 102eb-i…연결부(슬라이드 기구)
1043-1, 1044-1…판스프링부(슬라이드 기구)
4045-1…고정부(슬라이드 기구)
2045-3…연결부(슬라이드 기구)
403…접속부(슬라이드 기구)
408, 508…접촉부(슬라이드 기구)
101…스위치(검지부)
301…센서(검지부)
Claims (6)
- 베이스 기구와,
공급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물리적인 운동을 행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물리적인 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기구에 대하여 소정 방향과 상기 소정 방향의 역방향으로 주기적인 왕복 슬라이드 운동을 행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한 인체의 부위에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에 기초하는 힘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포함된 특정 부위의 변위를 검지하는 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부위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한 인체의 부위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힘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특정 부위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한 구동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왕복 운동을 행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힘을 부여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가동부의 물리적인 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을 행하고,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특정 부위는, 적어도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기준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 및 정지의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특정 부위가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어 있는 계속 시간의 길이에 따른 상기 구동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특정 부위에 의해 상기 소정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특정 부위를 검지하는 스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시의 진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특정 부위를 검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은 주기적인 비대칭 진동이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인체에 상기 왕복 슬라이드 운동에 기초하는 의사적인 역각을 지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042136 | 2019-03-08 | ||
JP2019042136A JP7092074B2 (ja) | 2019-03-08 | 2019-03-08 | 振動装置 |
PCT/JP2020/007289 WO2020184158A1 (ja) | 2019-03-08 | 2020-02-25 | 振動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1218A KR20210121218A (ko) | 2021-10-07 |
KR102504483B1 true KR102504483B1 (ko) | 2023-02-28 |
Family
ID=7235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8035A Active KR102504483B1 (ko) | 2019-03-08 | 2020-02-25 | 진동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876428B2 (ko) |
EP (1) | EP3936239A4 (ko) |
JP (1) | JP7092074B2 (ko) |
KR (1) | KR102504483B1 (ko) |
CN (1) | CN113543898B (ko) |
WO (1) | WO2020184158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1384A (ja) | 2012-02-08 | 2013-08-19 | Alps Electric Co Ltd | 入力装置 |
JP2015225521A (ja) | 2014-05-28 | 2015-12-14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擬似力覚発生装置 |
WO2016031118A1 (ja) | 2014-08-29 | 2016-03-03 | ソニー株式会社 | 力覚提示デバイス、力覚提示システム、および力覚提示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03292B1 (en) * | 1997-04-20 | 2001-03-20 |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 Oscillation-type compressor |
KR20100002069A (ko) * | 2008-06-27 | 2010-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US20140204063A1 (en) | 2011-09-05 | 2014-07-24 |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
JP2013243437A (ja) | 2012-05-18 | 2013-12-05 | Nec Saitama Ltd | 保護ジャケット及び携帯端末装置 |
JP6260019B2 (ja) * | 2012-11-09 | 2018-01-17 | 北陽電機株式会社 | 金属弾性部材、微小機械装置、微小機械装置の製造方法、揺動制御装置及び揺動制御方法 |
JP6071818B2 (ja) * | 2013-09-12 | 2017-02-01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JP6190253B2 (ja) * | 2013-11-29 | 2017-08-30 |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 振動発生装置 |
JP6148203B2 (ja) | 2014-05-28 | 2017-06-14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擬似力覚発生装置 |
JP6151235B2 (ja) * | 2014-10-22 | 2017-06-21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加速度発生装置および情報呈示方法 |
JP6602650B2 (ja) * | 2015-11-24 | 2019-11-06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擬似力覚発生装置 |
EP4144447B1 (en) * | 2016-04-19 | 2024-05-01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 Pseudo force sense generation apparatus |
JP6492040B2 (ja) * | 2016-09-07 | 2019-03-27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
KR102700431B1 (ko) * | 2016-11-02 | 2024-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18189914A1 (ja) * | 2017-04-14 | 2018-10-18 | 富士通株式会社 | 触感提供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
US11150731B2 (en) * | 2018-09-28 | 2021-10-19 | Apple Inc. | Multi-modal haptic feedback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 haptic actuator |
US10938276B2 (en) * | 2018-10-16 | 2021-03-02 | Thomas Nikita Krupenki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using variable inductance magnetic flux switch |
JP7222661B2 (ja) * | 2018-10-31 | 2023-02-15 |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動呈示装置 |
WO2020183626A1 (ja) * | 2019-03-12 | 2020-09-17 | 株式会社ワコム | タッチパッド及びコンピュータ |
WO2021138077A1 (en) * | 2019-12-30 | 2021-07-08 |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waveform interruption |
-
2019
- 2019-03-08 JP JP2019042136A patent/JP7092074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2-25 US US17/435,782 patent/US11876428B2/en active Active
- 2020-02-25 CN CN202080018650.2A patent/CN113543898B/zh active Active
- 2020-02-25 WO PCT/JP2020/007289 patent/WO20201841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2-25 EP EP20770501.3A patent/EP3936239A4/en active Pending
- 2020-02-25 KR KR1020217028035A patent/KR1025044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1384A (ja) | 2012-02-08 | 2013-08-19 | Alps Electric Co Ltd | 入力装置 |
JP2015225521A (ja) | 2014-05-28 | 2015-12-14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擬似力覚発生装置 |
WO2016031118A1 (ja) | 2014-08-29 | 2016-03-03 | ソニー株式会社 | 力覚提示デバイス、力覚提示システム、および力覚提示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876428B2 (en) | 2024-01-16 |
EP3936239A1 (en) | 2022-01-12 |
US20220149709A1 (en) | 2022-05-12 |
WO2020184158A1 (ja) | 2020-09-17 |
JP2020142217A (ja) | 2020-09-10 |
EP3936239A4 (en) | 2022-11-16 |
JP7092074B2 (ja) | 2022-06-28 |
KR20210121218A (ko) | 2021-10-07 |
CN113543898A (zh) | 2021-10-22 |
CN113543898B (zh) | 2022-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21800B2 (en) | Haptics for touch-input hardware interfaces of a game controller | |
JP2022087321A (ja) | キー入力装置 | |
KR20160103553A (ko) | 측면 구동형 압전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햅틱 피드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086537A (ko) | 차량 구성 요소를 위한 작동 장치 | |
JP6462533B2 (ja) | 振動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 |
JP2019109673A (ja) | 入力装置 | |
JP2012173881A (ja) | 操作入力装置 | |
KR102504483B1 (ko) | 진동 장치 | |
WO2020044633A1 (ja) | 疑似触感を発生させるキー入力装置 | |
JP2007041895A (ja) | 操作デバイス、電子書籍装置及び電子機器 | |
JP6117075B2 (ja) | 触覚呈示装置 | |
JP2018156532A (ja) | 振動呈示装置及び操作入力装置 | |
JP2014106584A (ja) | 入力装置 | |
US11770086B2 (en) | Operation device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CN108983961A (zh) | 具有触觉反馈装置的控制面板 | |
JP6284946B2 (ja) | 2つの隣接したボディの相対運動を検出するための静電容量センサ | |
WO2021131680A1 (ja) | 触覚呈示装置 | |
JP2021026256A (ja) | コントローラ | |
CN102457133B (zh) | 振动致动器组件 | |
WO2023120312A1 (ja) | 触感呈示装置 | |
JP2019013091A (ja) | アクチュエータ | |
JP2016162061A (ja) | 触覚呈示装置 | |
JP2020184154A (ja) | 力覚提示装置 | |
JP2014108309A (ja) | 移動ゲーム装置 | |
CN114588624A (zh) | 多方向输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