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531B1 -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5531B1 KR102495531B1 KR1020200128690A KR20200128690A KR102495531B1 KR 102495531 B1 KR102495531 B1 KR 102495531B1 KR 1020200128690 A KR1020200128690 A KR 1020200128690A KR 20200128690 A KR20200128690 A KR 20200128690A KR 102495531 B1 KR102495531 B1 KR 102495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istribution
- connector
- pipes
- distribution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배관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관 또는 난방관을 연결함에 있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천정 또는 바닥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1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1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1배관은 제1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천정 또는 바닥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1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1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1배관은 제1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관 또는 난방관을 연결함에 있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관이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금속관의 경우에는 부식 및 스케일 발생의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재료가 고가이고, 시공 비용이 높은 관계로 최근에는 합성수지와 금속관부의 내, 외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내관부와 외관부가 일체로 적층된 복합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복합관은 음용수를 위한 음용수관이나 난방관에 설치되는 배관에 적용되는데, 음용수나 난방을 위한 온수를 각 필요한 위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분배기가 사용된다. 상기 분배기로부터 각 필요한 위치로 음용수나 온수가 전달되는 분배관은, 분배기의 중계관으로부터 각각의 연통부를 통해 연결되어 화장실, 주방, 보일러실 등으로 분배관이 연결되어 음용수나 난방을 위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배기에 연결구를 통해 분배관이 결합되고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설치가 되면 분배관이 구부러지거나 연결구에 결함이 발생하여 교체를 해야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분배기에 다수의 분배관이 결합되어 있어, 결함이 발생한 분배관을 찾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분배관을 결합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분배기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배관이 분배기로부터 먼 위치까지 연장되는 경우 분배관의 중간 일정지점에서 결함이 생긴 경우에도 분배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세대의 천장이나 바닥에 압착식으로 설치되는 분배기의 배관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천정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1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1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1배관은 제1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 또는 복수의 제1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부에서 분할되는 제1배관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바닥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2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2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2배관은 제2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상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커넥터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 또는 복수의 제2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부에서 분할되는 제2배관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정 또는 바닥에 압착식으로 연장 설치되는 분배관에 의하여 시공 시 설치가 간단하며, 이후 교체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분배기에서 급수가 필요한 곳에 분배관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분배지점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이후에 다시 분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배관에 결함이 생긴경우 해당 부분만을 찾아 수리, 교체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절차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분배기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의 도면.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천정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바닥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하우징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싱크대에 급수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보일러에 급수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의 도면.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천정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바닥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하우징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싱크대에 급수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보일러에 급수가 공급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분배기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분배기에서 다수의 분배관들이 결합 설치되어 급수가 필요한 각 수요처(예를 들어, 세탁기, 세면대, 화장실, 보일러, 싱크대 등)로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배기로부터 거리가 먼 위치에 급수하기 위해서는 길게 연장되는 분배관이 설치되어야 하며, 다수의 분배관이 상기 분배기에 연결되면서 결함이 발생한 분배관을 찾아 교체하기 쉽지 않으며, 하나의 분배관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도 분배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에 있어서, 천정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바닥 압착방식의 배관구조 도면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100)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10)로부터 상기 분배관(100)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100)은 천정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1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100)은 복수의 제1배관(110)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100)과 복수의 제1배관(110)은 제1커넥터(120)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관(110)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기(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 분배관(10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를 통해 분배관(100)이 분배기(10)로부터 급수를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분배관(100)은 천장에 압착되어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관(100)은 바람직하게는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나 이상의 제1분배지점까지 이어지게 되고, 이후 제1분배지점에서 복수의 제1배관(110)을 통해 다시 복수의 배관으로 분할 연장되면서 급수를 각 필요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배관(100)이 제1분배지점에서 제1커넥터(120)를 통해 복수의 제1배관(110)과 연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120)는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분배관(100)으로부터 다수의 장소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120)는 T자형으로 이루어져 두 갈래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나의 분배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엘보형 커넥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120)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120)를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관(100) 또는 복수의 제1배관(11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보다 많은 급수처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120)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커넥터(120)를 통해 연결되는 분배관(100)과 제1배관(110)은 제1하우징부(130) 내부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부(130)는 제1분배지점에 설치되어 최초 분배기(10)로부터 분배관(100)을 통해 공급된 급수가 다시 한번 분배되도록 하는 재분배기의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은 제1하우징부(130)가 구성됨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분배관 또는 연결상의 문제가 발생한 분배기의 연결구를 교체함으로써 종래 최초 분배기로부터 공급처까지 단일의 분배관으로 급수를 공급하게 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상의 하자 발생 시 분배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부(130)에서 분할되는 제1배관(110)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부(130)로부터 분할되는 제1배관(110)은 제1커넥터(120)의 형상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관으로 분배되어 급수가 공급되며, 상기 급수는 온수 또는 냉수로 이루어진다. 냉, 온수가 모두 필요한 화장실이나 보일러, 싱크대 등으로 급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제1배관(110)은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을 각각 포함하여 공급되며, 발코니나 계량기와 같은 온수공급이 필요없는 곳에는, 단일배관만이 연장되어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배관(110)은 천장에 압착되어 설치되는 분배관(100)으로부터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분배관(100) 및 제1배관(110)은 천정이나 벽을 통해 연결 설치되고, 각 배관들은 분배기(10)나 제1하우징부(130)를 통해 분할되어 설치되어 배관설치가 용이해지고, 배관의 구조도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는, 분배관(100)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100)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100)은 바닥에 압착되어 하나 이상의 제2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100)은 복수의 제2배관(210)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100)과 복수의 제2배관(210)은 제2커넥터(220)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배관(210)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상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기(10)를 통해 급수를 분배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해당 내용은 생략하며, 분배기(10)가 천정이 아닌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100)이 바닥으로부터 압착되어 급수가 필요한 장소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술한 천정 압착식과 달리 바닥으로부터 연장되어 이후 제2배관(210)이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상부로 연장 설치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일러나 싱크대 등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최초 분배관 시공시에 바닥을 따라 압착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커넥터(220)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220)를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관(100) 또는 복수의 제2배관(21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커넥터(220)를 통해 연결되는 분배관(100)과 제2배관(210)은 제2분배지점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부(230) 내부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부(230)에서 분할되는 제2배관(210)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분배기(10)로부터 분배관(100)으로 공급수를 공급함에 있어, 급수처까지 한번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제1,2분배지점에 설치되는 제1,2하우징부(130, 230)을 거쳐 다시 재분배를 함으로써 배관구조가 간단해지고 교체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분배기
100 : 분배관
110 : 제1배관
120 : 제1커넥터
121 : 엘보형 커넥터
123 : T자형 커넥터
130 : 제1하우징부
210 : 제2배관
220 : 제2커넥터
221 : 엘보형 커넥터
223 : T자형 커넥터
230 : 제2하우징부
100 : 분배관
110 : 제1배관
120 : 제1커넥터
121 : 엘보형 커넥터
123 : T자형 커넥터
130 : 제1하우징부
210 : 제2배관
220 : 제2커넥터
221 : 엘보형 커넥터
223 : T자형 커넥터
230 : 제2하우징부
Claims (6)
-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천정에 압착되어 2개 이상의 제1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1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1배관은 제1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하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 또는 복수의 제1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분배관과 제1배관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부는 제1분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을 통해 공급된 급수가 제1분배지점에서 다시 분배되도록 하며,
상기 제1하우징부에서 분할되는 제1배관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삭제
- 삭제
- 분배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일면에 형성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은 바닥에 압착연결되어 2개 이상의 제2분배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분배지점에서 상기 분배관은 복수의 제2배관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배관과 복수의 제2배관은 제2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배관은 급수가 필요한 곳에서 벽을 따라 상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엘보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 또는 복수의 제2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분배관과 제2배관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2하우징부는 제2분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분배관을 통해 공급된 급수가 제2분배지점에서 다시 분배되도록 하며,
상기 제2하우징부에서 분할되는 제2배관은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은 각각 엘보형 및 T자형 커넥터로 연결되어, 단일의 온수배관 및 복수의 냉수배관을 통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690A KR102495531B1 (ko) | 2020-10-06 | 2020-10-06 |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690A KR102495531B1 (ko) | 2020-10-06 | 2020-10-06 |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720A KR20220045720A (ko) | 2022-04-13 |
KR102495531B1 true KR102495531B1 (ko) | 2023-02-06 |
Family
ID=812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690A KR102495531B1 (ko) | 2020-10-06 | 2020-10-06 |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553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857B1 (ko) * | 2009-10-09 | 2011-07-13 |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1625368B1 (ko) * | 2014-09-15 | 2016-05-31 | 주식회사 파이텍 |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
KR200491655Y1 (ko) * | 2020-01-23 | 2020-05-14 | 조재훈 |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8840B1 (ko) | 2007-01-03 | 2009-01-15 |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
-
2020
- 2020-10-06 KR KR1020200128690A patent/KR1024955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857B1 (ko) * | 2009-10-09 | 2011-07-13 |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1625368B1 (ko) * | 2014-09-15 | 2016-05-31 | 주식회사 파이텍 |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
KR200491655Y1 (ko) * | 2020-01-23 | 2020-05-14 | 조재훈 |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720A (ko) | 2022-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5531B1 (ko) | 압착식 배관 설치구조 | |
KR100684256B1 (ko) |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 |
CA2899695C (en) | Pipe connector and arrangement with a pipe connector | |
US1762619A (en) | Cross-over connection for back-to-back plumbing fixtures | |
KR20120015085A (ko) |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 |
CZ37793A3 (en) | Prefabricated panel for buildings | |
KR100777643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 |
JPS6383331A (ja) | 住戸内給水・給湯用配管および工法 | |
KR200473804Y1 (ko) | 냉온수 분배기 | |
KR101201383B1 (ko) | 개선된 냉온수분배기 배관연결구조 | |
KR101379949B1 (ko) | 주름관 배관 고정구조와 이를 이용한 주름관 배관시공방법 | |
KR200321663Y1 (ko) | 다중 출력라인을 갖는 아파트 온냉수 배관 | |
KR20110130166A (ko) | 천정형 냉온수분배기의 개선된 배관연결구조 | |
KR100840928B1 (ko) | 온수의 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배관 시공방법 | |
KR200413597Y1 (ko) | 조적벽체용 수전박스 매립 시공구조 | |
KR100807145B1 (ko) | 벽체 매립형 냉,온수용연질관의 분기 및 합침이 용이한와이형분배관의 구조 | |
KR100862333B1 (ko) | 아파트 층고를 절감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배관 구조 및이에 사용되는 슬리브 | |
KR101458604B1 (ko) | 급수시스템 | |
KR20100058818A (ko) | 조립식 온수판넬 | |
JPH01299387A (ja) | 集合住宅の共用部配管システムおよびその配管工法 | |
KR200387070Y1 (ko) | 일체형 배관 연결구 | |
KR200464054Y1 (ko) | 급수급탕 분배기 | |
KR200452295Y1 (ko) | 분배기용 연결부재 | |
KR200292699Y1 (ko) |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싱크대 급수전의 배관연결구 | |
AU2014246631A1 (en) | Plumbing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