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84767B1 -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767B1
KR102484767B1 KR1020220103027A KR20220103027A KR102484767B1 KR 102484767 B1 KR102484767 B1 KR 102484767B1 KR 1020220103027 A KR1020220103027 A KR 1020220103027A KR 20220103027 A KR20220103027 A KR 20220103027A KR 102484767 B1 KR102484767 B1 KR 10248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tal plate
plate
contact bar
be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식
Original Assignee
주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식 filed Critical 주현식
Priority to KR102022010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with progr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7Length adjustment of the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가 얹혀지고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로 절곡 되도록 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추가 절곡을 위해 작업자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위치할 시 절곡하고자 하는 부위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와, 상기 스토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스토퍼장치가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metal plate bending device}
본 발명은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하기 위해서는, 절곡 금형을 탈착 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절곡기의 싱커 부분에 절곡 금형 세팅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종래의 절곡 금형 세팅장치는,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전면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으로 중앙에 결합장공이 형성된 평면블록을 볼트로 체결하고, 메인블록의 경사진 상면에 안착하도록 평면블록의 결합장공으로 볼트를 이용하여 테이퍼키를 결합하며, 메인블록의 하측에 절곡 금형을 클램핑하여 취부할 수 있도록 클램퍼를 볼트로 체결하여서 된 절곡 금형 세팅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절곡 금형 세팅장치를 절곡기의 싱커 하단에 밀착시킨 다음, 메인 블록에 결합 된 평면블록의 상단을 클램퍼를 이용하여 싱커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 설치한 후, 절곡기를 가동시켜서 메인블록에 볼트를 이용하여 클램퍼에 의해 장착되는 절곡금형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철판을 절곡하도록 한다.
여기서, 절곡 금형을 2회 이상 절곡할 경우에는 절곡 금형의 절곡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나 작업자가 매번 수작업으로 절곡 위치를 잡아주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2909호(2018.1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가 얹혀지고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로 절곡 되도록 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추가 절곡을 위해 작업자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위치할 시 절곡하고자 하는 부위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와, 상기 스토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스토퍼장치가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장치를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 바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바에 결합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접촉 바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 바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접촉 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접촉바와 함께 이동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촉 바의 전후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접촉 바 및 상기 이동부에 동시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접촉 바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감싸는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면부분과 일체화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접하는 받침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곡 시 절곡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조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지지부의 상면에 끼워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이 일단을 축으로 기립 되도록 하여 절곡 시 절곡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안착하고 상기 회전축이 내장되는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의하면,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보조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12)와, 가압플레이트(12)의 하단에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가 얹혀지고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여 금속 플레이트가 가압플레이트(12)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로 절곡 되도록 하는 받침플레이트(13)와, 받침플레이트(13)의 후방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금속 플레이트를 추가 절곡을 위해 작업자가 금속 플레이트를 받침플레이트(13)에 위치할 시 절곡하고자 하는 부위가 받침플레이트(13)와 가압플레이트(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100)와, 스토퍼장치(100)와 연계되어 스토퍼장치(100)가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14)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2)는 프레임(11)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며, 가압플레이트(12)에는 금속 플레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날(미부호)이 장착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13)는 가압플레이트(12)의 하단에 위치하며, 가압 날(미부호)가 대응되는 위치에 절곡 홈(미부호)이 형성된 받침 날(미부호)이 장착될 수 있다.
작업자는 가압 날(미부호)과 받침 날(미부호) 사이에 금속 플레이트를 밀어 넣은 후 수동으로 받침플레이트(13)가 가압플레이트(1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켜 금속 플레이트가 상면이 가압 날(미부호)에 의해 가압되어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이 절곡 홈(미부호)의 각도에 맞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압 날(미부호)과 받침 날(미부호) 사이에 밀어 넣어지는 금속 플레이트는 일단이 스토퍼장치(100)에 닿게 되어 밀어 넣어지는 길이가 일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스토퍼장치(100)의 위치를 설정하여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가 가압 날(미부호)과 받침 날(미부호) 사이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장치(100)는 금속 플레이트의 최초 절곡 후, 추가 절곡이 필요할 경우 제어장치(14)를 통해 추가로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스토퍼장치(100)의 위치가 기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 추가로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가 가압 날(미부호)과 받침 날(미부호) 사이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장치(100)는 받침플레이트(13)의 후면에 체결되어 스토퍼장치(100)를 받침플레이트(13)에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110)와, 양단이 한 쌍의 수직부재(110)에 결합하여 수직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부재(120)와, 수평부재(120)의 일면에서 받침플레이트(13)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 바(130)와, 수평부재(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접촉 바(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4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부재(110)는 스토퍼장치(100)의 받침플레이트(13)를 연결하여 받침플레이트(13)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시 스토퍼장치(100)도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부재(12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시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할 수 있다.
수평부재(120)는 제어장치(14)를 통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수직부재(11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며, 다수의 높이조절장치(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접촉 바(130)는 실질적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부위로써 작업자는 밀어 넣어진 금속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접촉 바(130)에 접촉되어 더는 밀어 넣어지지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시 받침플레이트(13)를 구동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140)는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나 가압 날(미부호) 또는 받침 날(미부호)의 높낮이를 고려하여 접촉 바(1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접촉 바(130)가 금속 플레이트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는 제어장치(14)를 통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는 스토퍼장치(100)를 구비하여 추가 절곡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를 구성하는 스토퍼장치(100)의 접촉 바(130)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장치(200)가 결합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받침플레이트(13)와 접착 바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채워 작업자가 금속 플레이트를 밀어 넣을 시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장치(200)는 접촉 바(1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단이 받침플레이트(13)의 후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접촉 바(1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지지부(210)와 결합하여 접촉 바(1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촉 바(130)와 함께 이동하되 지지부(210)가 접촉 바(130)의 전후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이동부(220)와, 접촉 바(130) 및 이동부(220)에 동시에 결합하여 지지장치(200)를 접촉 바(130)에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상면이 접촉 바(130)의 하면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지지부(210)의 상면을 통해 금속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되어 접촉 바(130)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220)는 추가 절곡 작업 시 제어장치(14)를 통해 기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스토퍼장치(1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지지부(210)가 받침플레이트(13)와 접착 바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항시 채워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220)는 접촉 바(130)의 하면에 고정되는 본체(221)와, 일단이 본체(221)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210)의 일면에 고정되어 본체(221)와 지지부(21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222)와, 본체(22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접촉 바(130)의 하면에 고정되어 지지부(210)의 일부를 감싸는 가이드 바(223)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장치(2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 별도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피스톤 또는 자바라 펜스와 같은 접이식 형태의 부재 등이 사용되어 본체(221)와 지지부(21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바(223)는 접촉 바(130)의 하면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223a)과, 한 쌍의 측면부분(223a)과 일체화되어 지지부(210)의 하면과 접하는 받침부분(223b)을 구비하여 스토퍼장치(10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지지부(21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30)는 접촉 바(130)와 본체(221)에 동시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본체(221)가 접촉 바(130)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별도의 피스 등을 통해 접촉 바(130)나 본체(2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는 지지장치(200)를 통해 받침플레이트(13)와 접착 바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채워 작업자가 금속 플레이트를 밀어 넣을 시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추가 절곡 작업으로 인한 스토퍼장치(100)의 이동에도 받침플레이트(13)와 접착 바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항시 채움으로써 절곡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에 구비되는 보조장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보조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1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의 지지부(210)에는 보조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장치(3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보조장치(300)는 지지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곡 시 절곡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210)의 상면에 끼워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310)과, 지지판(3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지지부(210)에 고정되며 지지판(310)이 일단을 축으로 기립 되도록 하여 절곡 시 절곡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회전축(3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10)에는 지지판(310)이 안착하고 회전축(320)이 내장되는 안착홈(211)이 구비되며, 보조장치(300)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지지부(21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지지부(210)가 금속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판(310)은 판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회전축(320)에 의해 서서히 기립하여 절곡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금속 플레이트를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11: 프레임
12: 가압플레이트 13: 받침플레이트
14: 제어장치 100: 스토퍼장치
110: 수직부재 120: 수평부재
130: 접촉 바 140: 높이조절장치
200: 지지장치 210: 지지부
211: 안착홈 220: 이동부
221: 본체 222: 연결장치
223: 가이드 바 223a: 측면부분
223b: 받침부분 230: 고정부
300: 보조장치 310: 지지판
320: 회전축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금속 플레이트가 얹혀지고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로 절곡 되도록 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추가 절곡을 위해 작업자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위치할 시 절곡하고자 하는 부위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와,
    상기 스토퍼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스토퍼장치가 설정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장치를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 바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바에 결합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접촉 바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후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 바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접촉 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접촉바와 함께 이동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촉 바의 전후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접촉 바 및 상기 이동부에 동시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접촉 바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감싸는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접촉 바의 하면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면부분과 일체화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접하는 받침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곡 시 절곡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조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지지부의 상면에 끼워진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이 일단을 축으로 기립 되도록 하여 절곡 시 절곡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판이 안착하고 상기 회전축이 내장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KR1020220103027A 2022-08-18 2022-08-18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Active KR10248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27A KR102484767B1 (ko) 2022-08-18 2022-08-18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27A KR102484767B1 (ko) 2022-08-18 2022-08-18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67B1 true KR102484767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027A Active KR102484767B1 (ko) 2022-08-18 2022-08-18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8088A1 (en) * 2006-07-25 2011-03-03 Alois Austaller Stop mechanism for a bending press
KR101912909B1 (ko) 2018-06-07 2018-12-28 (주)일산 철판 절곡 장치
KR102016162B1 (ko) * 2019-04-23 2019-08-29 조두형 절곡장치
JP2019534790A (ja) * 2016-10-14 2019-12-05 トルンプ マシーネン オーストリア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曲げ機械のためのバックゲージ及びバックゲージを位置決めする方法
JP2021534975A (ja) * 2018-08-28 2021-12-16 トルンプ マシーネン オーストリア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曲げ機械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8088A1 (en) * 2006-07-25 2011-03-03 Alois Austaller Stop mechanism for a bending press
JP2019534790A (ja) * 2016-10-14 2019-12-05 トルンプ マシーネン オーストリア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曲げ機械のためのバックゲージ及びバックゲージを位置決めする方法
KR101912909B1 (ko) 2018-06-07 2018-12-28 (주)일산 철판 절곡 장치
JP2021534975A (ja) * 2018-08-28 2021-12-16 トルンプ マシーネン オーストリア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曲げ機械の駆動方法
KR102016162B1 (ko) * 2019-04-23 2019-08-29 조두형 절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838B1 (ko) 철판 절곡장치
KR101844195B1 (ko) 철판 절곡장치
US10543632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170081540A (ko) 다기능 파이프 커팅장치
JPS62224426A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クラウニング装置
JP2022521343A (ja) ワークピースの折曲屈曲及び型押屈曲のためのコンビマシン
KR102484767B1 (ko)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KR102487415B1 (ko)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CN102416546B (zh) 耕作机挡泥板组焊工装
KR200497589Y1 (ko) 프레임용 모따기 장치
JP4762277B2 (ja) 金型交換用位置決め装置
KR20180090561A (ko) 토글클램프
KR101875310B1 (ko) 태핑 장치
JP2000317529A (ja) 回転式折り曲げ加工機
JP2016215230A (ja) 曲げ加工装置
CN215396150U (zh) 一种硅棒粘接定位装置
CN219703950U (zh) 一种膨胀件垫板焊接专用夹具
CN218575478U (zh) 折弯装配设备
CN108127613B (zh) 一种补强板安装装置
US2488318A (en) Machine for forcing fittings into the ends of wooden bars
CN214237134U (zh) 一种用于机加工的夹具
JP4408031B2 (ja) プレス装置
CN220348205U (zh) 一种快装式钣金组装定位装置
CN222920457U (zh) 条烟输送链快换组件
CN215998287U (zh) 一种便于脱模的冲孔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