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606B1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606B1 KR102475606B1 KR1020200119303A KR20200119303A KR102475606B1 KR 102475606 B1 KR102475606 B1 KR 102475606B1 KR 1020200119303 A KR1020200119303 A KR 1020200119303A KR 20200119303 A KR20200119303 A KR 20200119303A KR 102475606 B1 KR102475606 B1 KR 102475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temperature
- mpa
- steel material
- se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강재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샤르피 충격시험을 실시한 후의 파면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구분 | C | Si | Mn | S_Al | Cr | Ni |
비교예1 | 0.133 | 0.22 | 1.19 | 0.020 | 0.05 | 0.29 |
비교예2 | 0.133 | 0.25 | 1.10 | 0.025 | 0.02 | 0.28 |
비교예3 | 0.131 | 0.25 | 1.11 | 0.023 | 0.05 | 0.28 |
비교예4 | 0.130 | 0.25 | 1.11 | 0.021 | 0.04 | 0.26 |
실시예1 | 0.132 | 0.22 | 1.11 | 0.020 | 0.06 | 0.26 |
실시예2 | 0.133 | 0.25 | 1.11 | 0.025 | 0.06 | 0.29 |
구분 | Ti | Nb | P | S | H (ppm) | Ceq |
비교예1 | 0.008 | 0.017 | 0.007 | 0.001 | 2.0 | 0.361 |
비교예2 | 0.007 | 0.018 | 0.007 | 0.001 | 2.1 | 0.339 |
비교예3 | 0.009 | 0.018 | 0.007 | 0.001 | 2.1 | 0.345 |
비교예4 | 0.009 | 0.017 | 0.008 | 0.001 | 2.2 | 0.340 |
실시예1 | 0.008 | 0.016 | 0.008 | 0.001 | 2.3 | 0.346 |
실시예2 | 0.007 | 0.019 | 0.007 | 0.001 | 2.2 | 0.349 |
구분 | 재가열온도 (℃) |
열간압연 종료온도 (℃) |
승온속도 (℃/초) |
노말라이징 온도 (℃) |
냉각속도 (℃/초) |
비교예1 | 1100 | 1085 | 0.07 | 920 | 0.5 |
비교예2 | 1100 | 1090 | 0.08 | 915 | 0.5 |
비교예3 | 1141 | 1115 | 0.08 | 920 | 0.5 |
비교예4 | 1144 | 1121 | 0.07 | 913 | 0.5 |
실시예1 | 1100 | 1077 | 51 | 915 | 0.5 |
실시예2 | 1143 | 1113 | 74 | 915 | 0.5 |
구분 | 항복 강도 (MPa) |
인장 강도 (MPa) |
연신율 (%) |
-40℃에서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 (J)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평균 | ||||
비교예1 | 357 | 486 | 28 | 380 | 384 | 367 | 385 | 210 | 345 |
비교예2 | 331 | 465 | 29 | 378 | 132 | 373 | 388 | 372 | 329 |
비교예3 | 355 | 451 | 29 | 383 | 215 | 372 | 218 | 367 | 311 |
비교예4 | 343 | 450 | 30 | - | - | - | - | - | - |
실시예1 | 398 | 513 | 22 | 299 | 375 | 374 | 245 | 278 | 314 |
실시예2 | 402 | 524 | 23 | 279 | 369 | 357 | 344 | 345 | 339 |
Claims (6)
- 중량%로, 탄소(C): 0.11% ~ 0.14%, 실리콘(Si): 0.2% ~ 0.3%, 망간(Mn): 1.0% ~ 1.2%, 가용성 알루미늄(S_Al): 0.015% ~ 0.05%, 크롬(Cr): 0% 초과 ~ 0.1%, 니켈(Ni): 0.25% ~ 0.35%, 티타늄(Ti): 0.005% ~ 0.015%, 니오븀(Nb): 0.01% ~ 0.02%, 인(P): 0% 초과 ~ 0.012%, 황(S): 0% 초과 ~ 0.003%,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인장강도(TS): 415 MPa ~ 550 MPa, 항복강도(YS): 220 MPa ~ 410 MPa, 연신율(EL): 20% ~ 25%, 및 -40℃ 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 300 J ~ 350 J 을 만족하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혼합 조직을 가지고,
열간압연후 10℃/초 ~ 100℃/초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900℃ ~ 950℃의 온도에서 노말라이징을 수행하여 구현된,
강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0.293 내지 0.383 범위의 탄소 당량(Ceq)을 가지는,
(여기에서, Ceq = C + Mn/6 + Ni/15 + Cr/5 임)
강재. - 중량%로, 탄소(C): 0.11% ~ 0.14%, 실리콘(Si): 0.2% ~ 0.3%, 망간(Mn): 1.0% ~ 1.2%, 가용성 알루미늄(S_Al): 0.015% ~ 0.05%, 크롬(Cr): 0% 초과 ~ 0.1%, 니켈(Ni): 0.25% ~ 0.35%, 티타늄(Ti): 0.005% ~ 0.015%, 니오븀(Nb): 0.01% ~ 0.02%, 인(P): 0% 초과 ~ 0.012%, 황(S): 0% 초과 ~ 0.003%, 및 잔부는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100℃ ~ 1,200℃의 온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1,050℃ ~ 1,150℃의 온도에서 종료되도록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재를 20℃ ~ 3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강재를 10℃/초 ~ 100℃/초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900℃ ~ 950℃의 온도에서 노말라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노말라이징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강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강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강재는,
인장강도(TS): 415 MPa ~ 550 MPa, 항복강도(YS): 220 MPa ~ 410 MPa, 연신율(EL): 20% ~ 25%, 및 -40℃ 에서의 평균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 300 J ~ 350 J 을 만족하고,
상기 노말라이징 단계에서, 상기 강재를 10℃/초 ~ 100℃/초의 상기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900℃ ~ 950℃의 온도에서 노말라이징을 수행하는,
강재의 제조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라이징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는,
0.1℃/초 ~ 0.5℃/초의 냉각속도로 20℃ ~ 30℃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강재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303A KR102475606B1 (ko) | 2020-09-16 | 2020-09-16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303A KR102475606B1 (ko) | 2020-09-16 | 2020-09-16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743A KR20220036743A (ko) | 2022-03-23 |
KR102475606B1 true KR102475606B1 (ko) | 2022-12-08 |
Family
ID=8096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9303A Active KR102475606B1 (ko) | 2020-09-16 | 2020-09-16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6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24B1 (ko) * | 2017-12-26 | 2019-07-10 | 주식회사 포스코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890B1 (ko) * | 2010-12-28 | 2013-04-16 | 주식회사 포스코 | 중심부 물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US8904289B2 (en) | 2011-04-21 | 2014-12-02 | Touchstream Technologies, Inc. | Play control of content on a display device |
-
2020
- 2020-09-16 KR KR1020200119303A patent/KR1024756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24B1 (ko) * | 2017-12-26 | 2019-07-10 | 주식회사 포스코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743A (ko) | 2022-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1712B1 (ko) |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304859B1 (ko) | 표면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75274A (ko) |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6143B1 (ko) |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78074B1 (ko) |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19975B1 (ko) |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09897B1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40056760A (ko) | 압력용기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00032866A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59082B1 (ko) | 저온 dwtt 연성파면율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97160A (ko) |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290426B1 (ko) |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JP4133175B2 (ja) | 靭性に優れた非水冷型薄手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50124810A (ko) |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413841B1 (ko) | 우수한 용접후 열처리 강도 및 저온 인성을 가지는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9426B1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087619A (ko) | 열연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 |
KR102475606B1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062073A (ko) | 봉강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10062892A (ko) |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75814B1 (ko) | 해양 구조물용 초고강도 고인성 극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821961B1 (ko) | 가속 냉각을 적용하는 저온인성 보증용 극후물 강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재 | |
KR101568514B1 (ko) | 저항복비형 초고강도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43670B1 (ko)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44610B1 (ko) |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