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63898B1 -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898B1
KR102463898B1 KR1020200149978A KR20200149978A KR102463898B1 KR 102463898 B1 KR102463898 B1 KR 102463898B1 KR 1020200149978 A KR1020200149978 A KR 1020200149978A KR 20200149978 A KR20200149978 A KR 20200149978A KR 102463898 B1 KR102463898 B1 KR 10246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ime
charging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980A (ko
Inventor
한대남
장석수
이승원
윤성욱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4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898B1/ko
Priority to JP2023514037A priority patent/JP7534537B2/ja
Priority to EP21892251.6A priority patent/EP4243642A4/en
Priority to CA3190927A priority patent/CA3190927A1/en
Priority to CN202180068624.5A priority patent/CN116322395A/zh
Priority to PCT/KR2021/016009 priority patent/WO2022103083A1/en
Priority to US18/022,960 priority patent/US20230336011A1/en
Publication of KR2022006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메모리; 및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예: 에어로졸)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메모리; 및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초기 데이터 테이블과 충전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배터리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될 때마다,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충전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9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출력 인터페이스(120),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 메모리(140), 센서 모듈(150), 배터리(160) 및/또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와 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미도시) 및/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는, 터치 패널, 물리적 버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스피커, 버저 등의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햅틱 효과 등의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0)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겔(gel)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물, 솔벤트, 니코틴,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비타민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판상엽 시트, 각초, 과립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끽미 조절제, 가향 물질 등이 포함된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끽미 조절제는,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산화칼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향 물질은, 허브 과립 등의 천연 물질이나, 향 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카(silica), 제올라이트(zeolite), 덱스트린(dextr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은, 전기 저항성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저항성 히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가열된 전기 저항성 히터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저항성 히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전도성 트랙은, 관 형상, 판 형상, 침 형상, 봉 형상 및 코일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이용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 가열식 히터는,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교번 자기장이 자성체에 인가되는 경우, 자성체에서 와류손(eddy current loss) 및 히스테리시스손(hysteresis loss)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손실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로서 방출됨에 따라, 자성체에 인접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객체는 서셉터(susceptor)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은,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액상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에어로졸 생성 모듈(131) 및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에어로졸 생성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제1 히터(133)는 코일 히터 또는 메쉬 히터일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생성 모듈(131)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와는 별도의 카트리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생성 모듈(131)은 카토마이저(cartomizer), 무화기(atomizer), 증기화기(vaporizer)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에어로졸 생성 모듈(132)에 포함된 히터(134)는,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하는 필름히터 또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되는 서셉터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대상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프로파일,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퍼프는 사용자의 흡입을 의미할 수 있고, 흡입은 사용자가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50)은, 퍼프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퍼프 센서는, IR 센서와 같은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장 센서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50)은,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에 포함된 히터가 온도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히터의 전기 저항성 물질은 저항온도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센서 모듈(150)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히터의 저항을 측정하여 히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본체에 궐련이 삽입 가능한 경우, 센서 모듈(150)은,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궐련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모듈(150)은, 카트리지의 장착/탈착, 위치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궐련감지센서 및/또는 카트리지 감지센서는, 인덕턴스 기반의 센서, 정전 용량형 센서, 저항 센서,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50)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구성(예: 배터리(16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및/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에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다른 구성,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포함된 통신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포함된 출력장치,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에 포함된 히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160)는,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Li-Polymer)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터리(16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6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은 10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60)는 충전/방전이 2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인 배터리 보호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모듈(PCM)은, 배터리(160)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보호모듈(PCM)은, 배터리(160)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160)와 연결된 회로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160)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배터리(16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등에 있어서, 배터리(160)에 대한 전로를 차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된 전원 단자에 전력선이 연결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전원 단자는, USB 통신을 위한 유선 단자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상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복수의 기능(예: 예열 기능, 가열 기능, 충전 기능, 청소 기능 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 전력 프로파일, 사용자의 흡연 패턴 등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에서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로 소정 전력이 소정 시간 동안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 모듈(150)에 포함된 퍼프 센서를 통해, 퍼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퍼프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전압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퍼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퍼프 여부 및/또는 퍼프 횟수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전력이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퍼프 횟수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소정 조건에 따라,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이 제거된 경우, 카트리지가 탈착된 경우,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최대 퍼프 횟수에 도달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퍼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160)의 잔량이 소정 값 미만인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170)는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배터리(160)에 저장된 전력에 대한 잔여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센서 모듈(150)에 포함된 전압 센서 및/또는 전류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본체 및/또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하우징(2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궐련(201)이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1)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20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1)의 제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는 제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제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체(210)는, 궐련(201)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210)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궐련(201)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궐련(201)이 삽입된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전력이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히터는, 궐련(201)이 본체(210)에 삽입된 경우의 궐련(201)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210) 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히터가 침 형상의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히터(220)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히터는,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궐련(201)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된 궐련(201)에서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궐련(201)의 일단을 입으로 흡입하여,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궐련(201)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궐련(201)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청소 기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히터에 소정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궐련(201)이 삽입된 시점부터, 퍼프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삽입된 궐련(201)이 제거된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현재 퍼프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1)은, 담배 로드(202) 및 필터 로드(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부분은 담배 로드(202)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필터 로드(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는 필터 로드(203)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03)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터 로드(203)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03)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1)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0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05)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1)은, 하나의 래퍼(20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1)은, 2 이상의 래퍼(205)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02)가 포장되고, 제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03)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02) 및 필터 로드(203)가 결합되고, 제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1)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02) 또는 필터 로드(203)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1)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02)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02)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02)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02)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02)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로드(202)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02)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02)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02)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02)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02)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02)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03)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0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필터 로드(203)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03)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03)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03)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03)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03)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03)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0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04)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캡슐(204)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0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03)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2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1)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02)에 있어서, 필터 로드(203)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02)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02)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카트리지(320)를 지지하는 본체(310)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2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310)에 장착/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체(3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320)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310)의 하우징(3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카트리지(320)가 본체(310)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310)는, 카트리지(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본체(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310)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카트리지(320)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 모듈(150)에 포함된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통해, 카트리지(320)의 장착/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감지 센서는, 카트리지(320)와 연결되는 일 단자를 통해 펄스 전류를 전송하고, 다른 일 단자를 통해 펄스 전류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카트리지(320)의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3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저장부(321) 및/또는 저장부(3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액체 전달 수단이 저장부(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히터(323)의 전기 전도성 트랙은 액체 전달 수단을 감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히터(323)에 의해 액체 전달 수단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20)는, 마우스피스(3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피스(325)는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고, 퍼프 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카트리지(420)를 지지하고, 내부 공간(415)에 궐련(401)이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본체(410)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카트리지(4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제1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궐련(401)의 일단을 입으로 흡입하는 경우, 제1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401)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이 궐련(401)을 통과하는 동안, 에어로졸에 향미가 가미될 수 있으며, 향미가 가미된 에어로졸이 궐련(401)의 일단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으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카트리지(4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제1 히터와, 본체(410)에 삽입된 궐련(401)을 가열하는 제2 히터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를 통해, 카트리지(4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궐련(401)을 각각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510 동작에서,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160)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데이터(이하,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이력 데이터는,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도달한 시점부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시간(이하, 정전압 충전 시간), 정전압 충전 시간 동안 감지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520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데이터 테이블은, 공장 출하 전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로서, 복수의 경과 시간에 각각 맵핑(mapping)된 복수의 잔여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대한 일 예인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압 [V] 전류 [A] 시간 [sec] 잔여 용량 [%]
4.4 2 0 80
4.4 1.6 50 82
4.4 1.3 135 84
4.4 1 240 87
4.4 0.7 360 90
4.4 0.5 480 93
4.4 0.3 720 100
예를 들면, 상기 표 1과 같이, 소정 전압 레벨(Vref)이 4.4V, 제1 전류 레벨(Icc)이 2A, 제2 전류 레벨(Iref)이 0.3A로 기 설정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전압이 4.4V에 도달한 시점부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0.3A에 도달하기 전까지, 경과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잔여 용량 중,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표 1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이 240초인 경우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87%로 결정할 수 있고, 경과 시간이 480초인 경우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93%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530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에 대한 경과 시간의 비를 산출하여,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이 80%인 경우, 정전압 충전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은 20%일 수 있다. 이때,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이 900초이고, 산출된 경과 시간이 400초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정전압 충전 시간에 대한 경과 시간의 비는 0.5로 산출할 수 있고,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을 10%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에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을 합산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이 80%이고,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이 10%로 산출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90%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1 동작에서,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된 전원 단자(예: USB 통신을 위한 유선 단자)에 전력선이 연결되는 경우,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2 동작에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을 확인할 수 있고,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동안 센서 모듈(150)에 포함된 전압 센서를 통해 배터리(16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160)의 전압(Vbat)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전압 레벨(Vref)은, 배터리(160)의 충전 단계를 구분하는 기 설정된 전압 레벨을 의미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는, 배터리(160)가 충전되는 동안 감지되는 배터리(160)의 전압에 대한 그래프의 일 예이고, 도 7b는, 배터리(160)가 충전되는 동안 감지되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 미만인 구간(Tcc)에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를 기 설정된 제1 전류 레벨(Icc)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160)의 전압(Vbat)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Icc)을 유지하는 구간(Tcc)은, 정전류(constant current) 충전 구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도달하는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Vbat)을 소정 전압 레벨(Vref)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는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은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을 유지하는 동안 최대 용량까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을 유지하는 구간(Tcv)은, 정전압(constant voltage) 충전 구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정전압 충전 구간(Tcv)에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Icc)보다 낮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이 최대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폭발 방지 등의 이유로,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장 출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공장 출하 후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되기 전까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하는 제2 시점(t1)과, 제2 구간(Tcv)에서의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제2 구간(Tcv)에서는, 배터리(160)의 전압(Vbat)은 소정 전압 레벨(Vref)로 유지되나,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최대 용량까지 변동되므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제2 구간(Tcv)에서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3 동작에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 미만인 경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를 기 설정된 제1 전류 레벨(Icc)로 유지하는, 정전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4 동작에서, 배터리(160)의 전압(Vbat)에 대응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의 비(ratio)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전압 레벨(Vref)이 4.4V이고,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3.3V인 경우,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의 비는 0.75로 산출될 수 있고,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예: 80%)에 산출된 비를 곱한 값인 60%를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포함된 출력장치(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5 동작에서,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Vbat)을 소정 전압 레벨(Vref)로 유지하는, 정전압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도달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하, 경과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6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7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잔여 용량 중,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상기 표 1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이 240초인 경우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87%로 결정할 수 있고, 경과 시간이 480초인 경우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93%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8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에 대한 경과 시간의 비를 산출하여,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에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을 합산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09 동작에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즉,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이 최대 용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전압 충전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10 동작에서,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한 경우, 정전압 충전 시간, 즉, 배터리(160)의 전압(Vbat)이 소정 전압 레벨(Vref)에 도달한 시점부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160)의 만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포함된 출력장치를 통해, 만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한 경우, 햅틱 효과 등의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를 통해, 만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11 동작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메모리(140)에 충전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공장 출하 후 배터리(160)가 최초로 최대 용량까지 충전된 경우, S610 동작에서 결정된 정전압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메모리(140)에 충전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S610 동작에서 결정된 정전압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160) 충전 시, 배터리(160)의 상태, 사용자의 체온, 실외 온도 등의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Iref)에 도달하는 시점이 t1, t2 및 t3로 변경될 수 있고, 정전압 충전 구간 역시 Tcv1, Tcv2 및 Tcv3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보다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 배터리(160)가 만충전될 때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S610 동작에서 결정된 정전압 충전 시간(이하, 제1 충전 시간(T1))과,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이하, 제2 충전 시간(T2))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충전 시간(T1)과 제2 충전 시간(T2)이 상이한 경우, 예컨대, 제1 충전 시간(T1)과 제2 충전 시간(T2)의 차이가 소정 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충전 이력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정계수를 이용하는 일 예인 아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20120545182-pat00001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제1 충전 시간(T1)에 제1 보정계수(a)를 곱한 값과, 제2 충전 시간(T2)에 제2 보정계수(b)를 곱한 값의 합을, 제3 충전 시간(T3)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정계수(a)와 제2 보정계수(b)의 합은 1일 수 있다.
즉, 충전 시 배터리(160)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정전압 충전 시간의 산출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직전 충전 동작에서 결정된 정전압 충전 시간과, 해당 충전 동작에서 산출한 정전압 충전 시간을 보정계수에 따라 모두 사용하여, 충전 이력 데이터에 업데이트되는 정전압 충전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충전 동작에서 산출된 정전압 충전 시간이 배터리(160)의 현재 상태에 보다 부합하는 점을 고려하여, 제2 보정계수(b)는, 제1 보정계수(a)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일 예의 사시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본체(900)의 일 측에 배치된 전원 단자(예: USB 통신을 위한 유선 단자)(910)에 전력선(901)이 연결되는 경우, 전원 단자(910)와 전력선(901)의 연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체(900)에 궐련(90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 단자(910)에 전력선(901)이 연결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모듈(13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배터리(160)의 충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체(900)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920)를 통해,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공장 출하 후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되기 전까지, 제어부(170)는,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만충전을 요청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9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된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초기 데이터 테이블과 충전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까지 충전될 때마다,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충전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메모리(140),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60), 및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판단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160)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에 대응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보다 작은 제2 전류 레벨 이하인 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산출된 시간을 정전압 충전 시간으로 포함하는,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데이터 테이블은, 복수의 경과 시간에 각각 맵핑(mapping)된 복수의 잔여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잔여 용량 중,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이력 데이터는,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배터리(160)가 최대 용량으로 충전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에 대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의 비(ratio)를 산출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소정 전압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에, 상기 산출된 비(ratio)에 대응하는 용량을 합산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산출된 시간과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을 비교하고, 산출된 제1 시간과 정전압 충전 시간이 상이한 경우, 산출된 시간에 제1 보정계수를 곱한 값과, 정전압 충전 시간에 제2 보정계수를 곱한 값의 합을, 최종 충전 시간으로 산출하고,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을, 산출된 최종 충전 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배터리(160)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160)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에 대응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를 제1 전류 레벨로 유지하는 동작;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로 유지하는 동작;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보다 작은 제2 전류 레벨 이하인 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 및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산출된 시간을 정전압 충전 시간으로 포함하는,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데이터 테이블은, 복수의 경과 시간이 각각 맵핑(mapping)된 복수의 잔여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에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잔여 용량 중,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이력 데이터는,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배터리(160)가 상기 최대 용량으로 충전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에서,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에 대한, 배터리(160)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의 비(ratio)를 산출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에서, 상기 비(ratio)를 산출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소정 전압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에, 상기 비(ratio)에 대응하는 추가 용량을 합산하여, 배터리(160)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동작방법은, 배터리(16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충전 이력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산출된 시간과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을 비교하는 동작; 산출된 시간과 정전압 충전 시간이 상이한 경우, 산출된 제1 시간에 제1 보정계수를 곱한 값과, 정전압 충전 시간에 제2 보정계수를 곱한 값의 합을, 최종 충전 시간으로 산출하는 동작; 및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정전압 충전 시간을, 산출된 최종 충전 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있고, 제1 보정 계수와 제2 보정 계수의 합은 1이고, 제2 보정 계수는, 제1 보정 계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메모리; 및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전류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1 전류 레벨보다 작은 제2 전류 레벨 이하인 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산출된 시간을 정전압 충전 시간으로 포함하는,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 테이블은, 복수의 경과 시간에 각각 맵핑(mapping)된 복수의 잔여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잔여 용량 중,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최대 용량으로 충전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에 대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의 비(ratio)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전압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에, 상기 비(ratio)에 대응하는 추가 용량을 합산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산출된 시간과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과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산출된 제1 시간에 제1 보정계수를 곱한 값과,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에 제2 보정계수를 곱한 값의 합을, 최종 충전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을, 상기 산출된 최종 충전 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 보정 계수의 합은, 1인 것을 특징으로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보정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최대 용량까지 충전한 이력에 대한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제1 전류 레벨로 유지하는 동작;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로 유지하는 동작;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1 전류 레벨보다 작은 제2 전류 레벨 이하인 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산출된 시간을 정전압 충전 시간으로 포함하는,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 테이블은, 복수의 경과 시간이 각각 맵핑(mapping)된 복수의 잔여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초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잔여 용량 중,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을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최대 용량으로 충전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에 대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의 비(ratio)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ratio)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소정 전압에 대응하는 잔여 용량에, 상기 비(ratio)에 대응하는 추가 용량을 합산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레벨 이하이고,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산출된 시간과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을 비교하는 동작;
    상기 산출된 시간과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이 상이한 경우, 상기 산출된 제1 시간에 제1 보정계수를 곱한 값과,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에 제2 보정계수를 곱한 값의 합을, 최종 충전 시간으로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정전압 충전 시간을, 상기 산출된 최종 충전 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 보정 계수의 합은 1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보정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00149978A 2020-11-11 2020-11-11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6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78A KR102463898B1 (ko) 2020-11-11 2020-11-11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23514037A JP7534537B2 (ja) 2020-11-11 2021-11-05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21892251.6A EP4243642A4 (en) 2020-11-11 2021-11-05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A3190927A CA3190927A1 (en) 2020-11-11 2021-11-05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2180068624.5A CN116322395A (zh) 2020-11-11 2021-11-05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PCT/KR2021/016009 WO2022103083A1 (en) 2020-11-11 2021-11-05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8/022,960 US20230336011A1 (en) 2020-11-11 2021-11-05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78A KR102463898B1 (ko) 2020-11-11 2020-11-11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980A KR20220063980A (ko) 2022-05-18
KR102463898B1 true KR102463898B1 (ko) 2022-11-03

Family

ID=8160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978A KR102463898B1 (ko) 2020-11-11 2020-11-11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6011A1 (ko)
EP (1) EP4243642A4 (ko)
JP (1) JP7534537B2 (ko)
KR (1) KR102463898B1 (ko)
CN (1) CN116322395A (ko)
CA (1) CA3190927A1 (ko)
WO (1) WO20221030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23Y1 (ko) 2010-12-15 2011-09-02 윤성훈 표시장치를 갖는 전자담배
KR200461404Y1 (ko) 2011-09-23 2012-07-13 주식회사 페로젠 스마트 전자 담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185B2 (ja) * 2000-06-16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5772310B2 (ja) * 2011-07-05 2015-09-0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701268A1 (en) 2012-08-24 2014-02-26 Philip Morris Products S.A.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KR101983392B1 (ko) * 2012-11-27 2019-05-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61502A1 (zh) 2014-04-25 2015-10-29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及电子烟充电提醒方法
GB201517086D0 (en)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KR101772036B1 (ko) * 2015-12-30 2017-08-28 주식회사 효성 배터리 수명 추정 방법 및 장치
CN109310153B (zh) * 2016-06-29 2024-01-0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根据温度的电池预热的电池供电气溶胶生成装置
CN111200943B (zh) * 2017-11-01 2024-03-19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充电器
EP3832832A4 (en) * 2018-07-31 2022-06-08 Japan Tobacco Inc. CHARG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232204B1 (ko) * 2019-03-19 2021-03-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이의 배터리 수명 추정방법
JP6798051B2 (ja) 2020-01-30 2020-12-09 株式会社東芝 充電パターン作成装置、充電制御装置、充電パターン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蓄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23Y1 (ko) 2010-12-15 2011-09-02 윤성훈 표시장치를 갖는 전자담배
KR200461404Y1 (ko) 2011-09-23 2012-07-13 주식회사 페로젠 스마트 전자 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980A (ko) 2022-05-18
JP7534537B2 (ja) 2024-08-14
JP2023540715A (ja) 2023-09-26
US20230336011A1 (en) 2023-10-19
CA3190927A1 (en) 2022-05-19
EP4243642A4 (en) 2024-11-06
EP4243642A1 (en) 2023-09-20
CN116322395A (zh) 2023-06-23
WO2022103083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687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40306732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6389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6232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RU28127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22011512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68883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75651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33272B1 (ko)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724042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724043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73141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US20230112731A1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0346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656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6067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5920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014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6233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969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0345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3005653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03462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0345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3964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