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65B1 - 체외 충격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체외 충격파 치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865B1 KR102462865B1 KR1020200132640A KR20200132640A KR102462865B1 KR 102462865 B1 KR102462865 B1 KR 102462865B1 KR 1020200132640 A KR1020200132640 A KR 1020200132640A KR 20200132640 A KR20200132640 A KR 20200132640A KR 102462865 B1 KR102462865 B1 KR 102462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wave
- unit
- electromagnetic field
- generator
- extracorpore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213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2 clin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30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A61B17/22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between the apparatus, e.g. shock wave apparatus or locating means, and the patient, e.g. details of bags, pressure control of bag on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using shock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충격파의 집속 효율을 높이면서 초점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가 제공된다.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각각이 전자기장으로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단위유닛으로 충격파 발생부를 구성함으로써, 충격파의 초점 영역 집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충격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부에 충격파 에너지를 전달하여 환부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파의 집속 효율을 높이면서 초점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충격파(shockwave)는 다양한 방법으로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강한 압력을 가진 파형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손상된 조직에 자극을 가해 치료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충격파를 이용하여 환부 치료에 이용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가 연구 개발되었다.
초기의 체외 충격파 치료법은 주로 쇄석술(lithotripsy)에 사용되었으나, 여러 연구를 통해 세포 수준에서 cytokine의 발현 증가 및 줄기 세포 주입 효과와 항박테리아 효과가 보고되었고, 이에 다양한 영역으로 그 사용이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외 충격파 치료법은, 근골격계의 퇴행성 병변, 인대의 파열, 관절 주위에 생긴 석회 생성 등과 같은 통증을 느끼는 시술 부위에 체외 치료기를 접촉시켜 반복적으로 충격파를 체내로 전달함에 따라, 병변 부위에 일시적인 미세 손상을 일으켜 신행 혈관의 생성을 유도하고 혈류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병변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치료법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에너지 출력 방식에 따라 전기 수력식(electro hydraulic), 전자기식(electromagnetic), 압전소자식(piezoelectric)으로 나뉘어 진다.
전기 수력식은 고 에너지 타입으로 분류되며, 물이 채워진 용기 내에서 전극의 방전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전자기식은 오디오의 스피커 같이 코일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압전소자식은 압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압전소자의 진동으로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압전소자식과 전자기식은 저 에너지 방식으로 시술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비교적 적은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전자기식이 가장 안정적으로 일정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어 연구에 많이 사용되며, 임상 효과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전자기식 방식을 이용한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기둥 형태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전자기장(electromagnetic)에 의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식, 평평한 형태의 코일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에 의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식, 오목한 반구형의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에 의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방식의 치료기는 충격파의 포커스 존을 형성하기 위한 반사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여 이로 인한 충격파 감쇠가 발생되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멤브레인 방식의 치료기는 별도의 구조 없이도 충격파의 포커스 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포커스 존에 의해 충격파 집속 효율이 저하되어 치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자기식 방식을 이용한 체외 충격판 치료기는 충격파의 초점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충격파 치료의 유형이나 병변의 깊이 정도에 따라 효율적인 치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파의 집속 효율을 높이면서 초점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인접되어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다수의 단위유닛 각각에서 전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충격파 발생부; 상기 충격파 발생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충격파를 환자의 환부로 전달하는 충격파 전달부; 및 상기 충격파 발생부 및 충격파 전달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각각이 전자기장으로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단위유닛으로 충격파 발생부를 구성함으로써, 충격파의 초점 영역 집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충격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충격파 발생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포커스 조절부의 회전을 통해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충격파 치료기는, 치료 유형 또는 환부에 따라 충격파의 세기를 조절하여 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충격파 치료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의 하나의 단위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포커스 조절부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충격파 전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충격파 치료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의 하나의 단위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포커스 조절부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충격파 전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10)는 충격파를 발생시켜 환부로 전달하는 충격파 치료모듈(100) 및 연결부(300)를 통해 상기 충격파 치료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파 발생을 위한 신호, 예컨대 임펄스 전류 등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공급모듈(200)은 충격파 치료모듈(10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때 연결부(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충격파 치료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격파 치료모듈(100)은 연결부(300)를 통해 전력공급모듈(200)과 연결되고, 상기 전력공급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기장으로부터 진동에 의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충격파를 일정한 영역, 예컨대 초점 영역에 집속시켜 환자의 환부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파 치료모듈(100)은 충격파 전달부(110), 충격파 발생부(120) 및 포커스 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이들은 케이스(140)에 수납될 수 있다.
충격파 전달부(110)는 케이스(140)의 일단, 예컨대 충격파 발생부(12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충격파 전달부(110)는 충격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충격파를 환부에 인가할 수 있다.
충격파 전달부(110)는 내부에 충격파를 전파시키는 매질이 충진된 실리콘패드(115) 및 상기 실리콘패드(115)가 충격파 발생부(120)의 전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도록 케이스(140)에 체결되는 패드하우징(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패드(115)에 충진된 매질은 물 또는 오일 등의 충격파 전달에 용이한 액체일 수 있다. 이러한 전달매질은 감쇠계수가 매우 낮아 충격파의 감쇠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충격파가 초점 영역까지 잘 집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리콘패드(115)에 충진되는 매질로 고형체인 실리콘이나 콜라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충격파 전달부(110)는 실리콘패드(115)의 형태에 따라 충격파가 집속되는 포커스 영역, 즉 초점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파 전달부(110)는 실리콘패드(115)가 패드하우징(111)의 외측, 다시 말해 환자의 환부 방향에 대한 노출길이(d)에 따라 초점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패드(115)의 노출길이(d)가 상대적으로 길어질수록 충격파의 초점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충격파의 도달거리 역시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실시예의 충격파 전달부(110)는 실리콘패드(115)가 패드하우징(111)의 외측으로 최대 돌출된 경우, 즉 실리콘패드(115)가 패드하우징(111)의 일단에서 노출되는 길이(d)가 가장 긴 경우에는, 충격파의 도달거리가 대략 5mm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패드(115)가 패드하우징(111)의 외측으로 최소 돌출된 경우, 즉 실리콘패드(115)가 패드하우징(111)의 일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노출길이(d)는 갖는 경우에는, 충격파의 도달거리가 대략 40mm일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120)는 충격파 전달부(11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40)에 수납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120)는 연결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소정의 전자기장에 의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120)는 오목한 반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충격파 발생부(120)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충격파 전달부(110)의 배면 역시 반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의 하나의 단위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충격파 발생부(120)는 충격파 발생부(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단위유닛(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은 오목한 부채꼴의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의 개구를 기준으로 각각의 양측단이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반구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은 그 둘레가 후술될 포커스 조절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은 연결부(300)를 통해 인가된 신호로부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장 발생부(124),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124)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생성하는 진동판(122) 및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진동판(122)을 수납하는 하우징(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장 발생부(124), 진동판(122) 및 하우징(125)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진동판(122) 사이에는 이들 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판(123)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판(123)의 일면, 즉 진동판(122)이 대응되어 배치되는 영역의 양측에는 인접 절연판(123) 간 절연을 위해 이들을 분리시킬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판(123)의 배면, 즉 전자기장 발생부(124)에 접촉되는 영역의 양측에는 인접 전자기장 발생부(124) 간 절연을 위해 이들을 분리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발생부(120)의 하나의 단위유닛(121)은 하우징(125)에 수납된 전자기장 발생부(124) 및 진동판(12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판(123)에 의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단위유닛(121)에 인접된 다른 하나의 단위유닛은 절연판(123)에 의해 각 단위유닛의 진동판(122) 및 전자기장 발생부(124)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전자기장 발생부(124)는 연결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장 발생부(124)는 이를 수납하는 하우징(125) 내부에 몰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의 전자기장 발생부(124)는 연결부(300)를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장 발생부(124)는 연결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 예컨대 임펄스 전류로부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장은 전자기장 발생부(124)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진동판(12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판(122)은 열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금속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구리 합금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판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진동판(122)은 그 테두리가 하우징의 내측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진동판(122)은 전술된 전자기장 발생부(124)의 전면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전자기장 발생부(124)에서 인가되는 전자기장으로부터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판(122)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진동판(122)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는 일정한 초점 영역으로 집속될 수 있다.
진동판(122)의 표면, 즉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인접되는 면에 대향되는 일면에는 다수의 요철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22a)는 전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판(122)의 진동 세기를 높일 수 있다.
다수의 요철부(122a)는 진동판(122)의 호와 나란한 형태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요철부(122a)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진동 세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진동판(122)이 서로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 배치됨으로써, 전자기장 발생부(124)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진동판(122)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감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판(122)에서 발생되는 충격파의 에너지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하우징(125)은 일면이 개구된 부채꼴 형태의 상자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5)에는 전술된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진동판(122) 및 이들에 대응되는 절연판(123)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장 발생부(124)와 절연판(123)은 하우징(125)의 내측에 수납되어 고정되고, 진동판(122)은 하우징(125)의 개구된 일면 내측에 그 테두리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판(122)의 테두리와 하우징(125)의 내측면 사이에는 진동판(122)에서 발생되는 충격파가 하우징(125)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탄성력이 있는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25)에는 분말 형태의 자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25)은 코아(core)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이 전자기장 발생부(124)로 인가되는 것을 억제하여 전자기장이 진동판(122)에 효과적으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성물질은 페라이트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하우징(125)에는 분말 형태의 세라믹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25)은 열 전도성을 개선할 수 있어 전자기장 발생부(124)에서 발생되는 열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파 발생부(120)는 각각이 연결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단위유닛(121)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반구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충격파 발생부(120)는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에서 발생되는 충격파의 초점 영역 집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에 전자기장 발생부(124)가 배치되므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다수의 전자기장 간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포커스 조절부(130)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테두리를 감싸며 각 단위유닛(121)과 결합될 수 있다. 포커스 조절부(13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포커스 조절부(130)는 외부 압력,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포커스 조절부(13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포커스 조절부(130)에 의한 다수의 단위유닛(121) 간 간격 조절에 따라 각 단위유닛(121)의 각도, 예컨대 진동판(122)의 수평 및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단위유닛(121)에서 발생되는 충격파의 발생위치가 조절되어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 변화는 충격파의 세기, 즉 압력을 달라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포커스 조절부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은 하우징(125)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5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커스 조절부(130)의 내측에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결합돌기(125a) 각각에 대응되는 결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스 조절부(130)의 결합홈(131)은 다단 형태의 단차 구조, 예컨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31)의 단차로 인해 충격파 발생부(120)의 결합돌기(125a)가 결합홈(131) 내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커스 조절부(130)는 그 내측의 결합홈(131)에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의 결합돌기(125a)가 수용되도록 충격파 발생부(1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120)와 포커스 조절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포커스 조절부(130)는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으로 인해 결합돌기(125a)는 결합홈(131)의 내부에서 소정 방향, 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돌기(125a)가 결합홈(131)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결합홈(131)의 상단부에 위치되면,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은 상부 방향, 예컨대 충격파 전달부(110) 방향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단위유닛(121)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반면, 결합돌기(125a)가 결합홈(131)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결합홈(131)의 하단부에 위치되면,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은 하부 방향, 예컨대 케이스(140) 방향으로 하강됨과 동시에 단위유닛(121) 간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에 따른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 간 간격 조절로 단위유닛(121)은 전면 각도, 즉 진동판(12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단위유닛(121)의 간격이 좁아지면, 진동판(122)은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해 Y축 방향에 근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유닛(121)의 간격이 넓어지면, 진동판(122)은 수평한 방향, 다시 말해 X축 방향에 근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판(122)의 각도 조절은 충격파 발생부(120)의 충격파 발생 위치를 변화시켜 포커스 영역, 즉 초점 거리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 변화는 충격파의 세기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에 의해 진동판(122)이 수평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된 경우는, 그 반대의 경우, 즉 진동판(122)이 수직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된 경우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포커스 영역, 즉 긴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격파 발생부(120)는 그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된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에 따라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유형 또는 환부에 따라 충격파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내측에 충격파 발생부(120) 및 충격파 전달부(110)를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40)에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홀(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14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케이스(140)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충격파 발생부(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케이스(140)의 내면에는 충격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차폐를 위해 도전성 물질(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내측에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배면에 인접되도록 냉각팬(160)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160)은 홀(141)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충격파 발생부(120)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케이스(140) 내부 공기를 홀(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충격파 발생부(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충격파 발생부와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40)의 내측에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의 배면이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안착부(145) 각각의 상단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의 배면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의 배면에는 요철 형태로 돌출된 방열부(125b)가 형성되고, 방열부(125b)와 수직한 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돌출된 회전축(125c)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25b)는 냉각팬(160)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단위유닛(121)의 배면 간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축(125c)은 전술된 케이스(140) 내부의 안착부(145)의 홈에 안착될 수 있다. 회전축(125c)은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에 따라 각 단위유닛(121)의 배면이 안착부(145)의 홈을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25c)은 충격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충격파의 반발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격파 발생부(120)의 각 단위유닛(121)의 무게중심 축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40)의 내측으로 연결부(300)가 삽입되어 충격파 발생부(120) 및 냉각팬(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케이스(140)의 일측에는 연결부(30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커버부(170)가 겹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70)에는 전술된 케이스(140)의 홀(141)과 마찬가지로 충격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세로 형태의 홀(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격파 발생부(120)의 냉각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충격파 발생부(120)의 중심부에는 각 단위유닛(121)의 중심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10)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다수의 단위유닛(121) 각각에서 전자기장으로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충격파의 초점 영역 집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충격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10)는 충격파 발생부(12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포커스 조절부(130)의 회전을 통해 충격파의 포커스 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치료 유형 또는 환부에 따라 충격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충격파의 세기를 조절하여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 체외 충격파 치료기 100: 충격파 치료모듈
110: 충격파 전달부 120: 충격파 발생부
130: 포커스 조절부 140: 케이스
150: 고정부 160: 냉각부
110: 충격파 전달부 120: 충격파 발생부
130: 포커스 조절부 140: 케이스
150: 고정부 160: 냉각부
Claims (7)
- 인접되어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다수의 단위유닛 각각에서 전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충격파 발생부;
상기 충격파 발생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충격파를 환자의 환부로 전달하는 충격파 전달부;
상기 충격파 발생부 및 충격파 전달부를 수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충격파 발생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유닛 간 간격을 조절하는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유닛 각각은,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납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자기장으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장 발생부의 전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되고, 전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내측에는 각 단위유닛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다단 형태의 단차 구조를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의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분말 형태의 자성물질 및 세라믹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충격파 발생부의 배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격파 발생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640A KR102462865B1 (ko) | 2020-10-14 | 2020-10-14 | 체외 충격파 치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640A KR102462865B1 (ko) | 2020-10-14 | 2020-10-14 | 체외 충격파 치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243A KR20220049243A (ko) | 2022-04-21 |
KR102462865B1 true KR102462865B1 (ko) | 2022-11-04 |
Family
ID=8143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640A KR102462865B1 (ko) | 2020-10-14 | 2020-10-14 | 체외 충격파 치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86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2923B2 (ja) | 1988-10-31 | 1997-04-23 | 株式会社東芝 | 衝撃波治療装置 |
CN107249488A (zh) * | 2014-12-21 | 2017-10-13 | 海因派克兹有限公司 | 具有高压冲击波器具的用于大体积生物目标的治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244B1 (ko) * | 2008-08-29 | 2011-03-16 |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 방열특성이 우수한 저소음 자기장 발생 장치 |
KR101772480B1 (ko) * | 2014-03-26 | 2017-08-29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초음파 장치용 멤브레인 및 그 초음파 장치 |
KR20190028411A (ko) * | 2019-03-11 | 2019-03-18 | 주식회사 리메드 |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
KR20190090366A (ko) * | 2019-05-02 | 2019-08-01 | 주식회사 리메드 | 체외 치료기 |
-
2020
- 2020-10-14 KR KR1020200132640A patent/KR102462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2923B2 (ja) | 1988-10-31 | 1997-04-23 | 株式会社東芝 | 衝撃波治療装置 |
CN107249488A (zh) * | 2014-12-21 | 2017-10-13 | 海因派克兹有限公司 | 具有高压冲击波器具的用于大体积生物目标的治疗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243A (ko) | 2022-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0971B1 (ko) | 체외 치료기 | |
JP7305195B2 (ja) | 生体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磁気装置 | |
US8535249B2 (en) | Pressure pulse/shock wave apparatus for generating waves having plane, nearly plane, convergent off target or divergent characteristics | |
KR102149061B1 (ko) | 미용 의료 장치 | |
US20240156672A1 (en) | Methods of treating cellulite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 |
EP1274348B1 (en) | Systems for reducing secondary hot spots in a phased array focused ultrasound system | |
KR20100031652A (ko) | 피부 접촉 쿨링을 이용하여 비침투 초음파 유도 신체윤곽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90090366A (ko) | 체외 치료기 | |
KR102051307B1 (ko) | 이중 구조의 충격파 전달부를 구비한 체외 치료기 | |
US20150073312A1 (en) | Low intensity shockwave treatment | |
KR102483829B1 (ko) | 개선된 전극 수명을 가진 급속 펄스 전기유압식(eh) 충격파 발생기 장치 | |
KR20200101904A (ko) | 미용 의료 장치 | |
KR20200006861A (ko) | 초음파 핸드피스 | |
KR101967355B1 (ko) |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 |
US20120010688A1 (en) | Implantable conductive element and method of use inhyperthermic treatment | |
KR20190028411A (ko) |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 |
KR102462865B1 (ko) | 체외 충격파 치료기 | |
US10658912B2 (en) | Shock wave generating unit | |
WO2003039676A1 (fr) | Source ultrasonore a focalisation | |
JP2012239791A (ja) | 集束式音波治療装置 | |
KR20040069377A (ko) | 열수력학적 충격파 발생기 | |
KR20180001542A (ko) | 초음파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 |
CA2742193A1 (en) | Pulse wave generator | |
US20190159794A1 (en) | Shock Wave Device | |
KR102280904B1 (ko) | 전자기 코일을 이용한 초점식 체외충격파 치료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