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67B1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767B1 KR102462767B1 KR1020170038494A KR20170038494A KR102462767B1 KR 102462767 B1 KR102462767 B1 KR 102462767B1 KR 1020170038494 A KR1020170038494 A KR 1020170038494A KR 20170038494 A KR20170038494 A KR 20170038494A KR 102462767 B1 KR102462767 B1 KR 102462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ater
- watering housing
- air
- water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분사하고, 내부에 하우징공간이 형성된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워터링모터; 상기 워터링하우징 내부에 돌출되고, 회전 시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하는 양수리브;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물이 상측으로 안내되는 제 1 분사가이드유로; 상기 제 1 분사가이드유로와 독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물이 상측으로 안내되는 제 2 분사가이드유로;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사가이드유로를 따라 안내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부로 분사하는 제 1 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사가이드유로를 따라 안내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부로 분사하는 제 2 분사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은 제 1 분사가이드유로 및 제 2 분사가이드유로가 독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경우에도 제 1 분사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은 제 1 분사가이드유로 및 제 2 분사가이드유로가 독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경우에도 제 1 분사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낮은 계절에만 사용되고, 공기청정기는 가습기능이 없기 때문에, 2개의 제품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주 기능이고,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능은 부가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 또는 공기청정기는 가습 또는 공기청정을 구분하여 별도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물을 양수 및 분사할 때, 각기 다른 유로를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의 회전 시 진동 또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조 내부의 물이 빈수일 때에도 충분한 가습량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워터링하우징의 회전 시, 독립된 제1 분사가이드유로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를 통해 물이 흡입되어 상승된 후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통해 각각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분사하고, 내부에 하우징공간이 형성된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워터링모터; 상기 워터링하우징 내부에 돌출되고, 회전 시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하는 양수리브;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물이 상측으로 안내되는 제1 분사가이드유로;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와 독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물이 상측으로 안내되는 제2 분사가이드유로;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를 따라 안내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부로 분사하는 제1 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를 따라 안내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부로 분사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는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구는 상기 제1 분사구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양수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는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내측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제2 흡입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내측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흡입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입간격이 제1 흡입간격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가 배치되는 이너월; 상기 이너월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월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2 분사가이드유로를 형성시키는 아우터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월의 하단이 상기 아우터월의 하단보다 더 낮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흡입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 흡입간격 및 제2 흡입간격을 형성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 1 워터링하우징;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워터링하우징;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제 2 워터링하우징 또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및 제 2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은,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이너월; 상기 이너월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월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를 형성시키는 아우터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구는 상기 제2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사구는 상기 제1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은 제1 분사가이드유로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가 독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경우에도 제2 분사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은 이너월의 하단이 아우터월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물이 하우징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제2 분사가이드유로로 물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의 제1 흡입간격 및 제2 흡입간격은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때,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가이드유로가 1개일 때와 독립된 2개일 때의 회전수-토출량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가이드유로가 1개일 때와 독립된 2개일 때의 회전수-토출량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이하,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유로(104)로 유동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먼저, 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2)과, 상기 필터하우징(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상기 필터항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은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140)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103)(104)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104)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전환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양수된 물은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된다. 분사구(410)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축(640)을 통해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된다. 즉, 동력전달축(640)은 워터링모터(4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640) 및 워터링하우징(800)은 조립되고, 조립된 후에는 일체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제공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전달하기 위해 제 1 커플러(610, 도 4 참조) 및 제 2 커플러(62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0)로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0)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 또는 제 2 커플러(620) 중 어느 하나는 수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커플러(610)가 수 형상이고, 제 2 커플러(620)가 암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커플러(610)가 제 2 커플러(620)에 삽입되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상기 제 1 커플러(6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내부에 상기 수조(300)가 거치된다. 상기 수조(300)가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2 커플러(610)(620)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워터링모터축(43)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 및 제 2 커플러(620)의 구성을 통해 어퍼바디(120)에 배치된 워터링모터(42)와 에어워시모듈(200)에 배치된 워터링하우징(800)을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조(300)는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기둥(35)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35)은 워터링하우징(800)의 하측의 개구를 통과하여 워터링하우징(8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둥(35)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후술하는 내측벽(821)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기둥(35)은 후술하는 제1 개구(441)를 통과할 수 있고 내측벽(8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기둥(35)은 후술하는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링 모터(42)는 기둥(3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플러(620)는 기둥(35) 내측 공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제2 커플러(620)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기둥(35)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기둥(35)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축(640)의 하부는 기둥(3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부는 기둥(3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조(300)는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기둥(35)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35)은 워터링하우징(800)의 하측의 개구를 통과하여 워터링하우징(8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둥(35)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후술하는 내측벽(821)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기둥(35)은 후술하는 제1 개구(441)를 통과할 수 있고 내측벽(8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기둥(35)은 후술하는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링 모터(42)는 기둥(3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플러(620)는 기둥(35) 내측 공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제2 커플러(620)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기둥(35)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640)은 기둥(35)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축(640)의 하부는 기둥(3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부는 기둥(3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는 양수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양수수단은 상기 수조(300)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한다. 수조의 물을 양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물을 양수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개구(421, 441)를 갖는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821, 822, 841)을 갖는다. 상기 측면(821, 822, 841)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조(300)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상기의 개구(421, 441)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상기 측면(821, 822)의 하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수수단은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양수리브(810)를 포함한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개구(421, 441)를 갖는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821, 822, 841)을 갖는다. 상기 측면(821, 822, 841)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조(300)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상기의 개구(421, 441)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상기 측면(821, 822)의 하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수수단은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양수리브(810)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내측면에 양수수단으로써 양수리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 또는 동력전달축(64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800)은 회전 시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리된 2개의 분사가이드유로(420)(440)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가이드유로(420)(440)의 끝에 각각 분사구(410)가 배치된다.
상기 분사가이드유로(420)(440)를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로 정의한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는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와 연결된 분사구를 제1 분사구(412)로 정의하고,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와 연결된 분사구를 제2 분사구(411)로 정의한다. 상기 제1 분사구(412)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구(411) 역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의 상하 높이가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시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수조(300)의 물이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제 1 워터링하우징(820),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워터링동력전달부(88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상승된 물은 상기 제2 분사구(411)를 통해 제 1 워터링하우징(82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를 따라 상승된 물은 상기 제1 분사구(412)를 통해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제2 분사구(411)에서 토출된 물은 제 1 가습매체(51)를 적시고, 상기 제 분사구(412)에서 토출된 물은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부딪힌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와 결합되어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벽(821)의 내측면에 양수리브(810)가 형성된다. 양수리브(810)는 내측벽(821)에서 돌출되고, 내측벽(8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이 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 흡입간격(801) 및 제 2 흡입간격(802)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 수조(300)의 저면은 수조(300)의 바닥면이라 칭할 수 있다.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에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면을 커버한다. 즉,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부벽(841)의 상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워터링하우징(840)에 배치되는 제1 분사구(412)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동력전달축(6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측 단면이 하측 단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하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하측 단면이 좁은 원추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내부에 양수리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부(81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양수리브(81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은 수조(30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간격(801, 802)을 형성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단과 결합된다.
상기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형성하기 위한 이너월(821) 및 아우터월(822)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월(821)의 내측면에 양수리브(810)가 형성된다. 이하, 이너월(821)을 내측벽(821), 아우터월(822)을 외측벽(822)이라고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워터링 하우징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제1 워터링 하우징(820)의 측면 중 외측에 위치한 측면을 외측벽(822), 내측에 위치한 측면을 내측벽(821)이라고 할 수 있다. 내측벽(821)의 하부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를 제1 개구(441), 내측벽(821)과 외측벽(822) 사이의 개구를 제2 개구(421)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2 워터링하우징(840)의 측면을 상부벽(841)이라고도 한다. 상기 상부벽(841)은 내측벽(821)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벽 내부의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821)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의 길이방향(즉, 상하방향)에서 상부벽(841)과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는 내측벽(821)과 상기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외측벽(822)은 내측벽(821)과 나란한 하측부(82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822)은 그 하측부(822a)에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벽(822)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부(8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구(411)는 외측벽(822)의 상측부(822b)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821)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의 길이방향(즉, 상하방향)에서 상부벽(841)과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는 내측벽(821)과 상기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외측벽(822)은 내측벽(821)과 나란한 하측부(82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822)은 그 하측부(822a)에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벽(822)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부(8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구(411)는 외측벽(822)의 상측부(822b)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월(822)은 이너월(821)의 외측에서 이너월(8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월(822)은 상기 이너월(82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형성시킨다.
아우터월(822)과 이너월(821) 사이에 링 형상의 제2 개구(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는 상기 이너월(821) 및 아우터월(8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이너월(821)은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는 상기 이너월(821)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측면(즉, 상부벽(84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개구(421)의 면적(또는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개구(441)의 면적(또는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는 협소한 공간이기 때문에, 내부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하우징공간(805)의 외측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의 상측은 막히고,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제2 분사구(411)를 통해서 워터링하우징(800) 외측으로 분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우터월(822) 및 이너월(821)을 연결하는 탑월(823)이 형성된다. 상기 탑월(82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링형상을 형성된다. 탑월(823)은 아우터월(823)과 이너월(821)을 연결하여, 아우터월(823)과 이너월(821) 사이의 유로(420, 제1 분사가이드유로)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탑월(823)을 통해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사구(411)는 탑월(82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사구(411)는 탑월(823)에서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 탑월(823)을 상측벽(823)이라고도 한다.
상기 이너월(821)이 수조(300)의 내부 저면과 형성하는 간격을 제 1 흡입간격(801)으로 정의하고, 상기 아우터월(822)이 수조(300)의 내부 저면과 형성하는 간격을 제 2 흡입간격(80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흡입간격(802)이 상기 제 1 흡입간격(801)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월(822)의 하단은 상기 이너월(821)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내측벽(821)과 수조의 바닥 사이의 간격은 외측벽(822)과 수조의 바닥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간격(801) 및 제 2 흡입간격(802)의 높낮이 차로 인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빈수(재급수가 요구되진 않지만, 물이 적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일 때에도 제2 분사구(411)를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특히 빈수일 경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물이 흡입될 때 공기가 같이 흡입되면서 다량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통해 물이 흡입되는 경우, 소음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월(821)의 하단이 아우터월(822)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빈수일 때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820)로 물이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빈수일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상기 제1 분사구(412)를 통해서는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빈수일 경우, 상기 제2 분사구(411)를 통해 물이 분사될 수 있을 정도로만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월(821)의 하단은 빈수일 때, 상기 하우징공간(805)으로 물이 유입되를 것을 억제하고, 제2 분사가이드유로(820)로 물이 유동되게 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상기 수조(300)의 물은 상기 하우징공간(805)으로 유동되고, 이 과정에서 흡입된 물이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상승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유동되는 물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저속으로 회전될 경우, 하우징공간(805)으로 유동되는 물은 상기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상승되어 제2 분사구(41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 하우징공간(805)으로 유동되는 물은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따라 상승되어 제1 분사구(412) 및 제2 분사구(41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속도를 달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수위인 경우 저수위 또는 중수위에 비해 회전속도를 낮게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분사구(412) 및 제2 분사구(411)를 통해 충분한 물이 토출될 수 있다.
이는 고수위일 경우 저수위 또는 중수위에 비해 물의 상승높이가 작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분사구(411)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사구(412)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분사구(411)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외측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를 연통시킨다.
한편,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주면에는 워터링날개(850)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시,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배치된 가습유로(106)의 공기는 송풍팬(24)의 유동에 의해 대부분 토출유로(107) 측으로 유동되지만, 상기 워터링날개(850) 주변의 공기는 이와 반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국소적으로 송풍팬(24)에 의한 공기유동과 반대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형상에 따라 송풍팬(24)에 의한 유동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에도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에 의해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공기가 워터링하우징(800) 표면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물입자를 수조(300)로 유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은 풍량을 생성하고,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물 입자를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유로(109)에서 워터링하우징(800)의 상부로 물이 낙하될 때, 낙하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측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급수유로(109)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이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표면에 맞아 불규칙하게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 시 비산되는 물입자를 워터링하우징(800) 표면 쪽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형성된 제1 분사구(412)는 상기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를 따라 상승된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제1 분사구(412)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구(412)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이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800)의 편심 및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구(412)를 통해 물이 분사될 때, 상기 하우징공간(805)의 상측까지 물이 상승되어 회전된다. 이때, 결합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동력전달축(640)은 물에 편심 및 진동을 억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800)은 제1 분사가이드유로(440) 및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가 독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경우에도 제2 분사구(411)를 통해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800)은 이너(821)월의 하단이 아우터월(822)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하우징공간(805)으로 물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제2 분사가이드유로(420)로 물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800)의 제 1 흡입간격(801) 및 제 2 흡입간격(802)은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때,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분사가이드유로가 1개일 때와 독립된 2개일 때의 회전수-토출량 그래프이다.
왼쪽은 하나의 분사가이드유로 만이 배치된 경우의 회전속도-토출량 그래프이고, 오른쪽은 독립된 2개의 분사가이드유로가 배치된 경우의 회전속도-토출량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도시된지 않은 선은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되더라도 물이 토출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한다.
왼쪽 그래프의 경우, 약모드 및 빈수일 경우 토출량 효율 저하로 인해 워터링하우징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필요성이 있다.
왼쪽 그래프의 경우, 약_만수 또는 약_빈수일 때 물이 토출되는 구간이 짧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오른쪽 그래프의 경우, 약_만수 또는 약_빈수일 때에도 물이 토출되는 구간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강(630rpm) 또는 약(450rpm) 2개의 회전속도로 구분하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제2 분사구(411)를 통해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왼쪽 그래프와 같이 분사구간이 짧은 경우, 수조에 저장된 수위를 정밀감지해서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수를 조절해야만 하고, 수위를 세분화하여 감지할 경우, 보다 정밀한 수위감지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왼쪽 그래프에 비해 오른쪽 그래프에서 강모드의 경우 5.5dB, 약모드의 경우, 2.5dB의 소음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101 : 흡입유로 102 : 여과유로
103 : 연결유로 104 : 클린연결유로
105 : 가습연결유로 106 : 가습유로
107 : 토출유로 108 : 송풍유로
109 : 급수유로 411 : 제2 분사구
412 : 제1 분사구 420 : 제2 분사가이드유로
440 : 제1 분사가이드유로 800 : 워터링하우징
810 : 양수리브 820 : 제 1 워터링하우징
840 : 제 2 워터링하우징 850 : 워터링날개
860 : 워터링하우징커버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101 : 흡입유로 102 : 여과유로
103 : 연결유로 104 : 클린연결유로
105 : 가습연결유로 106 : 가습유로
107 : 토출유로 108 : 송풍유로
109 : 급수유로 411 : 제2 분사구
412 : 제1 분사구 420 : 제2 분사가이드유로
440 : 제1 분사가이드유로 800 : 워터링하우징
810 : 양수리브 820 : 제 1 워터링하우징
840 : 제 2 워터링하우징 850 : 워터링날개
860 : 워터링하우징커버
Claims (12)
-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는 워터링하우징;으로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하부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개구를 갖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워터링모터; 그리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마주하는 제1 개구를 정의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 내부의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벽; 그리고,
상기 내측벽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링 형상의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외측벽;으로서, 상기 상부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상부벽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벽 내부의 공간에 연결되는 제1 분사구; 그리고
상기 외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의 유로에 연결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유로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측벽을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구는 상기 상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구는 상기 상측벽에서 하측으로 이격되는 가습청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수리브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수조 바닥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1 흡입간격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수조 바닥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2 흡입간격보다 작은 가습청정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의 면적보다 작은 가습청정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고 상기 내측벽 내부에 삽입되는 기둥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기둥을 관통하는 가습청정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상부벽과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는 상기 내측벽과 상기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가습청정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상기 내측벽과 나란한 하측부; 그리고
상기 하측부에서 연장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사구는 상기 상측부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벽의 상측부를 커버하는 워터링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하우징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94A KR102462767B1 (ko) | 2017-03-27 | 2017-03-27 | 가습청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94A KR102462767B1 (ko) | 2017-03-27 | 2017-03-27 | 가습청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223A KR20180109223A (ko) | 2018-10-08 |
KR102462767B1 true KR102462767B1 (ko) | 2022-11-02 |
Family
ID=6386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494A KR102462767B1 (ko) | 2017-03-27 | 2017-03-27 | 가습청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7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5527A (ko) | 2019-11-27 | 2021-06-04 | 코웨이 주식회사 | 회전 물공급 방식 가습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
KR20210065528A (ko) | 2019-11-27 | 2021-06-04 | 코웨이 주식회사 | 회전 물공급 방식 가습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
KR20210065526A (ko) | 2019-11-27 | 2021-06-04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4636A (ja) * | 2000-04-20 | 2001-10-31 | Matsushita Seiko Co Ltd | 負イオン発生装置 |
KR101694035B1 (ko) * | 2015-07-15 | 2017-01-06 | 주식회사 스타리온 | 습식 공기청정기용 워터펌프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494A patent/KR1024627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4636A (ja) * | 2000-04-20 | 2001-10-31 | Matsushita Seiko Co Ltd | 負イオン発生装置 |
KR101694035B1 (ko) * | 2015-07-15 | 2017-01-06 | 주식회사 스타리온 | 습식 공기청정기용 워터펌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223A (ko) | 2018-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7005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973644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63189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JP7413319B2 (ja) | 加湿清浄装置 | |
EP317917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EP3163184A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871265B1 (ko) | 가습청정장치 | |
JP7408718B2 (ja) | 加湿清浄装置 | |
CN106989466B (zh) | 加湿净化装置 | |
EP3163180A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EP3163199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39087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2462767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63198A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US10267528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2381724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6319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385460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63196A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59310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2419346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2006884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957163B1 (ko) | 가습청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