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43B1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343B1 KR102462343B1 KR1020210164880A KR20210164880A KR102462343B1 KR 102462343 B1 KR102462343 B1 KR 102462343B1 KR 1020210164880 A KR1020210164880 A KR 1020210164880A KR 20210164880 A KR20210164880 A KR 20210164880A KR 102462343 B1 KR102462343 B1 KR 102462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wall
- cover member
- disposed
- bobbin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H04N5/2253—
-
- H04N5/2254—
-
- H04N5/2328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보빈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렌즈배럴이 결합된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 모듈은 상하 이동하는 보빈이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렌즈가 설치된 보빈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최적의 포커싱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렌즈 구동장치의 개발니즈가 있으나, 전자기력의 불안정화, 자기력에 의한 렌즈배럴의 편심 등 렌즈 구동장치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빈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는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코일유닛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코일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렌즈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보빈 외주면에 설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부재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내측 면에 위치감지센서가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면에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장착부;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상기 코일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 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는 대면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홀 센서이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복수 개의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의 외측면에 센싱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센싱 마그네트의 위치를 홀 센서와 같은 위치감지센서로 감지할 수 있어, 오토 포커싱 동작 중의 보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를 보빈의 외측면에 설치하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다.
또한, 짝수 개의 마그네트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코일유닛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부분의 커버부재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센싱 마그네트와 커버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한 보빈의 선행 운동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빈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빈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빈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을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20), 보빈(30), 커버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60)가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할 마그네트(41)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40)가 커버부재(60)의 안쪽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커버부재(6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30)은 상기 커버부재(60)의 내부 공간에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30)은 외주면에 코일유닛(3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32a)가 설치되는 렌즈배럴(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배럴(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배럴(32)이 상기 보빈(3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32)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32a)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32a)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빈(3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한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51)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60) 또는 하우징 부재(4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40)에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52)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0)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 하측에는 하부 탄성부재(52)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부재(52)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홀(hole) 또는 홈(recess)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하부 탄성부재(52)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탄성부재(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몸으로 구성되고, 하부 탄성부재(52)는 2분할 구조로 2개의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즉, 미도시된 터미널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하부 탄성부재(52)의 2개의 스프링에 전달되고, 이 전원은 보빈(30)에 권선된 코일유닛(31)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탄성부재(52)과 코일유닛(31)은 솔더링 등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2개의 스프링과 코일유닛(31)의 양끝단이 솔더링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상부 탄성부재(51)가 이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 탄성부재(52)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에 의해 상기 보빈(30)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양방향 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30)은 베이스(2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있어 보빈(30)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빈(30)의 초기위치가 베이스(20)의 상면이 되어, 보빈(30)의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만 이동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유닛(31)은 상기 보빈(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이 직접 보빈(3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유닛(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하부면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빈(30)의 형상에 따라 직선면과 곡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코일유닛(31)은 각 형상일수 있으며, 8각 형상 일수 있다. 즉, 곡선면 없이 모두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41)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마그네트(41)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코일유닛(31)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사양에 따라 마그네트(41)의 면과 코일유닛(31)의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30)은 상기 코일유닛(31)이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면과 상기 곡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2 면도 평평하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면의 상측에는 후술할 이너요크(61)와 대응되는 요홈(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유닛(31)은 요홈(33)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코일유닛(31)의 일부가 요홈(33) 부근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너 요크(61) 대신 별도의 요크가 마련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 부재(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1)(5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면에는 마그네트(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장착공(42a)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착공(42a) 없이 하우징 부재(40)의 내주면에 마그네트(41)가 직접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마그네트(41)가 하우징 부재(40)에 직접 고정될 경우, 마그네트(41)는 하우징 부재(4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40)는 장착공(42a) 외에 통공(42b)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는데, 통공(4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할 센싱 마그네트(100)와 마주보는 하우징 부재(40)의 벽면에 센싱 마그네트(100)의 크기보다 크게 통공(4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통공(42b)은 사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기존에 4개의 장착공(42a)을 가지는 하우징 부재(40)를 그대로 사용하여 2개의 장착공(42a)에는 마그네트(41)를 설치하고, 나머지 2개를 통공(42b)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와 다르게 별도의 하우징부재(40)없이 커버부재(60)만이 있을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인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60)는 보빈(3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60)는 도 1과 같이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8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측에서 보았을 때 커버부재(60)가 8각형상일 경우, 하우징 부재(4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마그네트(41)의 형상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하우징 부재의 모서리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너 요크(6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요크(61)는 일측 면은 상기 코일유닛(31)과 일정 거리 이격 되고, 타측 면은 상기 보빈(30)과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요크(61)는 하우징 부재(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는 상기 하우징 부재(40)의 상부면에서 안쪽으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절곡 된 부분과 근접한 위치에 도피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피 홈은 한쌍으로 또는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피홈이 형성된 절곡부는 병목구간을 형성하는데, 이 도피 홈 형성 구간으로 인해, 보빈(30)의 상하 이동시 이너 요크(61)와 보빈(30)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보빈(30)의 상방향 이동시 이너요크의 모서리 부분의 간섭에 의한 보빈(30) 일부 파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61)의 끝단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요홈(33)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보빈(30)의 왕복 이동 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이너 요크(61)의 끝단과 상기 요홈(33)의 바닥면과 접촉 및 간섭 되지 않도록 하지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너요크(61)의 끝단은 상기 보빈(30)이 설계사양(design specification) 이외의 구간까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하우징 부재(40)가 없는 경우, 마그네트(41)는 커버부재(6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마그네트(41)는 커버부재(60)의 측벽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41)의 자화방향은 보빈(30)을 바라보는 쪽과 커버부재(60)를 바라보는 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자화 방향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보빈(3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유닛은 센싱 마그네트(100), 위치감지센서(210)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210)는 회로기판(2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100)는 상기 마그네트(41)에 비해 작고 얇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센싱 마그네트(100)는 보빈(3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30)에 마련된 마그네트 장착부(110)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110)는 보빈(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가 배치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 형상의 가이드는 도 3과 같이, 하측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의 적어도 3개 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110)의 가이드의 돌출 높이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낮거나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등으로 센싱 마그네트(100)를 마그네트 장착부(110)에 고정하면, 상기 가이드 바깥으로 센싱 마그네트(100)가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코일유닛(31)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보빈(30)의 하측에 코일유닛(31)이 설치되면,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코일유닛(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코일유닛(31)이 보빈(30)의 광축방향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네트(41)는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평행하면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 부재(40)가 사각형으로 마련될 경우, 상기 마그네트(41)가 설치되는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센싱 마그네트(100)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센싱 마그네트(100)를 마그네트(41)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센싱 마그네트(100)의 자기력의 변화가 마그네트(41)의 자기력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210)가 정확하게 보빈(30)의 움직임을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로기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과 하우징 부재(40) 및/또는 커버부재(60)의 각 측벽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쉴드 캔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는데, 회로기판(200)은 커버부재(60)의 측벽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00)은 커버부재(6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접촉 고정될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60)의 윈도우(30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은 후술할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 끝단에 단자(2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코일유닛(31)에 전류가 인가되기 위하여 코일유닛(31)이 회로기판(20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코일유닛(31)이 2개로 분할된 하측 스프링에 연결된 후 2개 하측 스프링이 회로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솔더링, 전도성에폭시, Ag에폭시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즉, 2개의 하측 스프링은 회로기판(200)에 직접 솔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의 안쪽면에 홀 센서와 같은 위치감지센서(210)가 배치되므로, 위치감지센서(2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210)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0)의 측벽에는 윈도우(300)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40)에도 통공(42b)이 형성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210)는 윈도우(300)를 통과하여,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와 일정 거리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부재(40)에 형성된 통공(42b)은 마그네트(41)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4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100)보다 큰 폭과 높이를 가지는 통공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회로기판(200)에는 복수 개의 단자(2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단자(20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210)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서 코일유닛(31)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30)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센싱 마그네트(100)를 이용하여 피드백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보빈(30)에 코일유닛(31)이 권선된 상태로 동작하며, 보빈(30)의 외벽에 얇고 가벼운 센싱 마그네트(100)를 부착하고, 센싱 마그네트(100)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210)를 카메라 모듈의 일측 벽면에 밀착 배치하여 구성하므로, 응답 특성의 저하 우려 없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치감지센서(210)의 중심과 센싱 마그네트(100)의 중심은 일치될 수 있으며, 센싱 마그네트(100)의 세로길이(두 개로 자화 된 부분)는 위치감지센서(210)의 감지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마그네트(100)는 위치감지센서(210)와 대향하는 면이 두 개의 부분으로 자화되어, 위치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공(42b) 및/또는 윈도우(300)의 세로길이는 보빈(30)의 상하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센싱 마그네트(100)의 공간 및/또는 위치감지센서(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10)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가속도센서, 포토리플렉터 등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보빈(30)에 결합되는 렌즈배럴(32), 이미지 센서(11), 인쇄회로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재(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2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홀더가 베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베이스 30; 보빈
31; 코일유닛 32; 렌즈배럴
40; 하우징 부재 51, 52;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60; 커버부재 100; 센싱 마그네트
110; 마그네트 장착부 200; 회로기판
210; 위치감지센서 300; 윈도우
20; 베이스 30; 보빈
31; 코일유닛 32; 렌즈배럴
40; 하우징 부재 51, 52;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60; 커버부재 100; 센싱 마그네트
110; 마그네트 장착부 200; 회로기판
210; 위치감지센서 300; 윈도우
Claims (20)
- 베이스;
상판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에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벽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과 상기 제4측벽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을 향하는 상기 보빈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마그네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 재질 또는 자성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보빈과 대향하는 상기 제3측벽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과 오버랩되지 않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이너 요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이너 요크는 4개의 이너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이너 요크는 각각 상기 커버부재의 4개의 코너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요크의 일측면은 상기 코일과 이격되고, 상기 이너 요크의 타측면은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요크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아래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병목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요크의 상기 병목구간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벽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탄성부재와, 상기 보빈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하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2개의 하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하부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회로기판에 직접 솔더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양극 착자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과 대향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보빈의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코일과 대향하거나 상기 코일과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보빈과 대향하는 상기 제1측벽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과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영역과 상기 코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영역 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은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위치 센서와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의 외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베이스;
상판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벽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과 광축과 수직하고 광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에 향하는 상기 보빈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렌즈 구동 장치. - 베이스;
상판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에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측벽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벽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과 제4측벽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에 대응하는 상기 보빈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감기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측벽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2측벽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각각 접하는 가상의 2개의 직선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이 움직이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상기 제1영역은 광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3측벽에서 상기 보빈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3측벽은 상기 광축과 수직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4880A KR102462343B1 (ko) | 2021-01-05 | 2021-11-25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KR1020220141166A KR102647355B1 (ko) | 2014-03-05 | 2022-10-28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0933A KR102333224B1 (ko) | 2014-03-05 | 2021-01-05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KR1020210164880A KR102462343B1 (ko) | 2021-01-05 | 2021-11-25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0933A Division KR102333224B1 (ko) | 2014-03-05 | 2021-01-05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1166A Division KR102647355B1 (ko) | 2014-03-05 | 2022-10-28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989A KR20210148989A (ko) | 2021-12-08 |
KR102462343B1 true KR102462343B1 (ko) | 2022-11-03 |
Family
ID=7423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880A KR102462343B1 (ko) | 2014-03-05 | 2021-11-25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3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7433A (ja) | 2010-07-27 | 2012-02-09 | Tdk Taiwan Corp | 電磁式レンズ駆動装置 |
JP2012027051A (ja) | 2010-07-20 | 2012-02-09 | Panasonic Corp |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
JP2013190705A (ja) | 2012-03-15 | 2013-09-26 | Ps-Tokki Inc | 絞り羽根駆動装置 |
KR101343197B1 (ko) | 2012-09-07 | 2013-1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50251B2 (ja) * | 1997-02-10 | 2006-03-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
KR101721263B1 (ko) * | 2010-09-08 | 2017-04-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KR101875552B1 (ko) * | 2011-01-03 | 2018-07-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
KR101804575B1 (ko) * | 2011-02-07 | 2017-12-0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
KR101931183B1 (ko) * | 2011-12-23 | 2018-12-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KR102001621B1 (ko) * | 2011-11-30 | 2019-07-1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
-
2021
- 2021-11-25 KR KR1020210164880A patent/KR102462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7051A (ja) | 2010-07-20 | 2012-02-09 | Panasonic Corp |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
JP2012027433A (ja) | 2010-07-27 | 2012-02-09 | Tdk Taiwan Corp | 電磁式レンズ駆動装置 |
JP2013190705A (ja) | 2012-03-15 | 2013-09-26 | Ps-Tokki Inc | 絞り羽根駆動装置 |
KR101343197B1 (ko) | 2012-09-07 | 2013-1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989A (ko) | 202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0592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232029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US20230350155A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230031873A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CN110488450B (zh) | 相机模块 | |
KR102559023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201258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20170089506A (ko) | 카메라 모듈 | |
KR20240037916A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376814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462343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704763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417672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20180008848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10574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2384603B1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20240158198A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