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391B1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1391B1 KR102461391B1 KR1020170134268A KR20170134268A KR102461391B1 KR 102461391 B1 KR102461391 B1 KR 102461391B1 KR 1020170134268 A KR1020170134268 A KR 1020170134268A KR 20170134268 A KR20170134268 A KR 20170134268A KR 102461391 B1 KR102461391 B1 KR 102461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athode electrode
- light emitting
- under
- organic l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207 thermal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 H01L51/5228—
-
- H01L27/1225—
-
- H01L27/124—
-
- H01L27/3246—
-
- H01L27/3262—
-
- H01L29/78633—
-
- H01L29/7869—
-
- H01L51/5012—
-
- H01L51/5237—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기판, 보조 배선, 보조 캐소드 전극, 보호막, 평탄화 막, 연결 단자, 언더-컷 개구부, 뱅크, 유기발광 층 그리고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보조 배선은, 기판 위에 배치된다. 보조 캐소드 전극은, 보조 배선 위에 배치되며, 보조 배선과 연결된다. 보호막은, 보조 캐소드 전극을 덮는다. 연결 단자는, 평탄화 막 위에서 보조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다. 언더-컷 개구부는,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되, 연결 단자 일측의 하층부에 배치된 언더 영역까지를 노출한다. 유기발광 층은, 언더-컷 개구부에서 언더 영역에는 미 도포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한다. 캐소드 전극은, 언더-컷 개구부의 언더 영역에서는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와 직접 접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캐소드 전극의 면 저항을 낮추기 위한 보조 캐소드를 구비하며, 보조 캐소드와 캐소드 전극을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된 언더 컷(Under-Cut) 구조물을 구비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특히,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고, 누설 전류가 적고, 전류 조절로 계조 표현이 용이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 기본적인 전압을 갖는 캐소드 전극이 표시 패널의 기판 전체 표면에 걸쳐 도포되는 구조를 갖는다. 캐소드 전극을 비 저항 값이 낮은 금속 물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투과도를 확보하기 위해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면 저항이 커져서 화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발광형과 같이 캐소드 전극에 투명한 도전물질이나 금속보다 비 저항이 큰 물질인 인듐-주석 산화물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을 포함할 경우, 면 저항이 커진다. 그러면, 캐소드 전극이 표시 패널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전압 값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로 개발할 경우, 전체 화면에 걸쳐서 표시장치의 휘도가 불균일 해지는 현상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발명으로써, 캐소드 전극과 보조 캐소드 전극을 직접 접촉하여 면 저항을 낮춤으로써 양질의 표시 품질을 갖는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 캐소드 전극을 구비하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기판, 보조 배선, 보조 캐소드 전극, 보호막, 평탄화 막, 연결 단자, 언더-컷 개구부, 뱅크, 유기발광 층 그리고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보조 배선은, 기판 위에 배치된다. 보조 캐소드 전극은, 보조 배선 위에 배치되며, 보조 배선과 연결된다. 보호막은, 보조 캐소드 전극을 덮는다. 평탄화 막은, 보호막 위에 적층된다. 연결 단자는, 평탄화 막 위에서 보조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다. 언더-컷 개구부는,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되, 연결 단자 일측의 하층부에 배치된 언더 영역까지를 노출하도록 평탄화 막에 형성된다. 뱅크는, 언더-컷 개구부보다 큰 크기로 언더-컷 개구부 전체를 노출한다. 유기발광 층은, 언더-컷 개구부에서 언더 영역에는 미 도포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한다. 캐소드 전극은, 언더-컷 개구부의 언더 영역에서는 유기발광 층이 미 도포되어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와 직접 접촉한다.
일례로, 평탄화 막은, 언더-컷 개구부에서, 뱅크에 의해 노출된 평탄화 막의 상층부 일부가 과 식각된 단차부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차광층,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콘택홀, 애노드 전극을 더 포함한다. 차광층은, 기판 위에서 보조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위에서 보호막 아래에 배치된다. 화소 콘택홀은, 평탄화 막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를 노출한다. 애노드 전극은, 평탄화 막 위에서 화소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다. 뱅크는, 애노드 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발광 영역을 더 개방한다. 유기발광 층은, 발광 영역 위에는 전체 도포된다. 캐소드 전극은, 발광 영역에서는 유기발광 층 위에 적층된다. 발광 영역에는, 애노드 전극, 유기발광 층 및 캐소드 전극이 중첩되어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일례로, 차광층 및 보조 배선을 덮는 버퍼 층을 더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층, 게이트 전극, 중간 절연막, 소스 전극 그리고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반도체 층은, 버퍼 층 위에서 차광층 내에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은, 반도체 층의 중심 영역 위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한다. 중간 절연막은, 게이트 전극 및 반도체 층을 덮는다. 소스 전극은, 중간 절연막 위에서 반도체 층의 일측부와 연결된다. 드레인 전극은, 중간 절연막 위에서 반도체 층의 타측부와 연결된다.
일례로, 버퍼 층, 중간 절연막 그리고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한다. 버퍼 층은, 차광층 및 보조 배선을 덮는다. 중간 절연막은, 버퍼 층 위에 적층된다. 드레인 전극은, 중간 절연막 위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된다. 보조 캐소드 전극은, 중간 절연막 위에서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언더-컷 개구부는, 일측부 및 타측부를 포함한다. 일측부는, 평탄화 막의 식각된 측벽 및 보호막의 식각된 측벽을 노출한다. 타측부는, 연결 단자를 노출한다. 보호막은, 언더-컷 개구부의 타측부에서 연결 단자 하층의 보호막 일부가 과 식각되어 연결 단자의 일부를 노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단층을 이용하여 보조 캐소드 전극을 형성한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언더-컷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추가 마스크 공정 없이 보조 캐소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소드 전극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공정 수를 줄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캐소드 전극과 보조 캐소드 전극이 연결되는 언더-컷 개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일부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캐소드 전극의 단선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캐소드 전극과 보조 캐소드 전극이 연결되는 언더-컷 개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일부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캐소드 전극의 단선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무기발광 물질을 포함한 무기 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제1 실시 예>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로 자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기판(SUB) 위에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한다. 기판(SUB)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스캔 배선(SL) 그리고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데이터 배선(DL) 및 구동 전류 배선(VDD)을 포함한다. 스캔 배선(SL), 데이터 배선(DL) 및 구동 전류 배선(VDD)의 교차 구조에 의해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
각 화소 영역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SG), 스위칭 반도체 층(SA), 스위칭 소스 전극(SS)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을 포함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SG)은 스캔 배선(SL)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반도체 층(SA)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스위칭 게이트 전극(SG)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SS)과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은 스위칭 게이트 전극(SG)을 중심으로 양측변에 배치되며, 스위칭 반도체 층(SA)의 일측변과 타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구동 게이트 전극(DG), 구동 반도체 층(DA), 구동 소스 전극(DS) 및 구동 드레인 전극(DD)을 포함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DG)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반도체 층(DA)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구동 게이트 전극(DG)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어 있다. 구동 소스 전극(DS)과 구동 드레인 전극(DD)은 구동 게이트 전극(DG)을 중심으로 양측변에 배치되며, 구동 반도체 층(DA)의 일측변과 타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연결되어 있다. 유기발광 층(OL)은 애노드 전극(ANO) 위에 적층된다. 특히, 애노드 전극(ANO)은 뱅크(BN)에 의해 발광 영역(EA)이 개구된다. 유기발광 층(OL)은 기판(SUB) 전체 표면에 도포되는데, 발광 영역(EA)에서 애노드 전극(ANO)과 접촉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유기발광 층(OL) 위에 적층된다. 캐소드 전극(CAT)도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적층된다. 발광 영역(EA)에서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이 순차 적층되어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를 형성한다.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경우, 도 2에서 애노드 전극(ANO)에서 캐소드 전극(CAT) 방향으로 빛이 출광된다. 따라서, 애노드 전극(ANO)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을, 캐소드 전극(CAT)은 투명한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전극(CAT)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에서 기저 전압을 유지하는 전극으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전극(CAT)이 비 저항이 금속보다 훨씬 높은 인듐-주석 산화물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과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는 일정한 기저 전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금속 물질로 보조 배선(AC) 및/또는 보조 캐소드 전극(ACT)을 형성하고, 캐소드 전극(CAT)과 연결하여, 면 저항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발광 영역(EA)을 둘러싸는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보조 배선(AC), 보조 캐소드 전극(ACT) 및 연결 단자(CT)를 더 포함한다. 보조 배선(AC)은 박막 트랜지스터(ST, DT)의 하층부에 배치되는 차광층(LS)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캐소드 전극(ACT)은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단자(CT)는 애노드 전극(ANO)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보조 배선(AC)은 차광층(LS)과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되어 기판(SUB) 상에서 메쉬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보조 배선(AC) 위에는 버퍼 층(BUF)을 도포한다. 보조 캐소드 전극(ACT)은 버퍼 층(BUF) 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ST, DT)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단 분리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캐소드 전극(ACT)은 소스-드레인 전극 하부에 적층된 중간 절연막(ILD) 및 버퍼 층(BUF)을 관통하는 보조 배선 콘택홀(AH)을 통해 보조 배선(AC)과 연결된다.
보조 캐소드 전극(ACT) 위에는 보호막(PAS)이 증착된다. 보호막(PAS) 위에는 평탄화 막(OC)이 증착된다. 그리고, 평탄화 막(OC) 위에는 애노드 전극(ANO)과 연결 단자(CT)가 형성된다. 보조 캐소드 전극(ACT)과 연결 단자(CT)는 서로 직접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직접 연결된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 단자(CT)는 보호막(PAS)에 형성된 연결 콘택홀(CH)을 통해 보조 캐소드 전극(ACT)과 연결된다.
평탄화 막(OC)과 보호막(PAS)을 관통하는 언더-컷 개구부(OH)를 통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언더-컷 개구부(OH)는 일측변은 노출되어 있고, 타측변이 연결 단자(CT)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이 타측변만 연결 단자(CT)로 덮은 것은, 연결 단자(CT)를 이용하여 하부에 적층된 보호막(PAS)을 과식각하여, 언더 영역(UA)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언더-컷 개구부(OH)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언더-컷 개구부(OH)는, 일측부 그리고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를 가질 수 있다. 일측부는, 평탄화 막(OC)의 식각된 측벽 및 보호막(PAS)의 식각된 측벽을 노출하는 부분이다. 타측부는 일측부와 대향하며, 연결 단자(CT)가 배치된 부분이다. 특히, 연결 단자(CT)는 언더-컷 개구부(OH)의 타측부에서 노출되어 있다.
언더-컷 개구부(OH) 내에서 보호막(PAS)은 제거되어 있다. 특히, 언더-컷 개구부(OH)의 타측부에서는 연결 단자(CT) 하층에 적층된 보호막(PAS)의 일부가 과 식각되어 연결 단자(CT)의 일부 하면이 노출되어 있다. 언더-컷 개구부(OH)에서 연결 단자(CT)의 하층부에서 보호막(PAS)이 과식각되어 형성된 동굴 형상의 공간을 언더 영역(UA)으로 정의한다.
언더 영역(UA)은 보호막(PAS)을 제거하여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를 노출하되, 상부를 연결 단자(CT)로 가려서, 유기발광 층(OL)이 언더 영역(UA)에는 도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캐소드 전극(CAT)을 증착할 경우에는, 언더 영역(UA) 내부까지 증착되어, 캐소드 전극(CAT)은 보조 캐소드 전극(ACT)과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언더 영역(UA)에 의한 캐소드 전극(CAT)과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연결 구조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유기발광 층(OL)은 열 증착 공법으로 유기물질을 가열 증착하므로, 연결 단자(CT)에 의해 가려진 언더 영역(UA)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반면에, ITO나 IZO와 같은 금속 산화물질은 스퍼터링 공법으로 증착하는 데, 연결 단자(CT)에 의해 가려진 언더 영역(UA)까지 연장되어 증착된다.
또한, 유기발광 층(OL)은 연결 단자(CT)의 상부 표면에만 도포된다. 반면, 언더 영역(UA)을 덮는 연결 단자(CT)의 하면에는 캐소드 전극(CAT)가 연장 증착되어 연결 단자(CT) 자체도 캐소드 전극(CAT)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언더-컷 개구부에서, 캐소드 전극(CAT)은 보조 캐소드 전극(ACT) 및 연결 단자(CT)와 연결된다. 또한, 보조 캐소드 전극(ACT)은 보조 배선(AC)과 연결된다. 따라서, 비 저항이 높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캐소드 전극(CAT)은 비 저항이 현저히 낮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보조 캐소드 전극(ACT) 및 보조 배선(AC)에 의해 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4h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일부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들에서 공통적인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즉,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도 4a 내지 4h까지는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며, 그 이후의 공정에서 차이가 있다.
기판(SUB) 위에 불투명 금속 물질을 도포한다. 제1 마스크 공정으로, 금속 물질을 패턴하여, 차광층(LS) 및 보조 배선(AC)을 형성한다. 차광층(LS)과 보조 배선(AC)이 형성된 기판(SUB)의 전체 표면 위에 버퍼 층(BUF)을 적층한다. 차광층(LS)은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기판(SUB)의 가로 방향을 가로 질러 진행하는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배선(AC)은 기판(SUB)의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을 가로 질러 진행하는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배선(AC)은 차광층(LS)과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보조 배선(AC)이 차광층(LS)과 연결되며, 기판(SUB)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배선 형상으로 설명한다. (도 4a)
버퍼 층(BUF) 위에 반도체 물질을 도포한다. 제2 마스크 공정으로, 반도체 물질을 패턴하여, 반도체 층을 형성한다. 반도체 층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의 스위칭 반도체 층(SA)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A)를 포함한다. (도 4b)
반도체 층(SA, DA)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게이트 절연막(GI)과 금속 물질층을 연속으로 증착한다. 제3 마스크 공정으로, 금속 물질층과 게이트 절연막(GI)을 동시에 패턴하여 스캔 배선(SL), 스캔 패드(GP), 제1 보조 용량 전극(ST1)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의 스위칭 게이트 전극(SG)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게이트 전극(DG)을 포함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SG)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A)의 중앙부에서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중첩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DG)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A)의 중앙부에서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중첩한다. (도 4c)
스캔 배선(SL), 스캔 패드(GP) 및 게이트 전극(SG, DG)들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중간 절연막(ILD)을 도포한다. 제4 마스크 공정으로, 중간 절연막(ILD)을 패턴하여,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콘택홀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각각 노출한다. 또한, 구동 게이트 전극(DG)의 일부를 노출한다. 그리고, 중간 절연막(ILD)과 버퍼층(BUF)을 관통하여 보조 배선(AC)의 일부를 노출한다. (도 4d)
콘택홀들이 형성된 중간 절연막(ILD) 위에 금속 물질을 도포한다. 제5 마스크 공정으로, 금속 물질을 패턴하여, 데이터 배선(DL), 구동 전류 배선(VDD), 보노 캐소드 전극(ACT), 제2 보조 용량 전극(ST2) 및 소스-드레인 전극들을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전극들은, 스캔 소스 전극(SS), 스캔 드레인 전극(SD), 구동 소스 전극(DS) 및 구동 드레인 전극(DD)을 포함한다. 스캔 소스 전극(SS)은 데이터 배선(DL)에서 분기한다. 구동 소스 전극(DS)은 구동 전류 배선(VDD)에서 분기한다. 데이터 배선(DL)의 단부에는 데이터 패드(DP)가, 구동 전류 배선(VDD)의 단부에는 구동 패드(VDP)가 배치된다. 또한, 게이트 패드(GP)에는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GP1)이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조 용량 전극(ST2)은 구동 드레이 전극(DD)에서 연장되며, 중간 절연막(ILD)을 사이에 두고 제1 보조 용량 전극(ST1)과 중첩된다. (도 4e)
소스-드레인 전극들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보호막(PAS)을 도포한다. 연속하여 보호막(PAS) 위에 평탄화 막(OC)을 도포한다. 제6 마스크 공정으로, 평탄화 막(OC)을 패턴하여, 제1 화소 콘택홀(PH1)과 제1 언더-컷 개구부(OH1)을 형성한다. 이 때, 스캔 패드(GP) 및 데이터 패드(DP)의 상부 영역에도 평탄화 막(OC)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언더-컷 개구부(OH1)는 보조 캐소드 전극(ACT)을 노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지 않는 비 발광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f)
제7 마스크 공정으로, 노출된 보호막(PAS)을 패턴하여,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 화소 콘택홀(PH), 그리고 연결 콘택홀(CH)을 형성한다. 게이트 패드 콘택홀(GPH)은 게이트 패드 연결 단자(GP1)를 노출한다. 데이터 패드 콘택홀(DPH)은 데이터 패드 단자(DP)를 노출한다. 화소 콘택홀(PH)은 구동 드레인 전극(DD)의 일부를 노출한다. 연결 콘택홀(CH)은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를 노출한다. (도 4g)
일부가 개방된 평탄화 막(OC)이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다. 제8 마스크 공정으로 금속 물질을 패턴하여, 애노드 전극(ANO) 및 연결 단자(CT)를 형성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화소 영역 내에서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는 형상을 갖는다. 연결 단자(CT)는 제1 언더-컷 개구부(OH1)의 일측부를 덮으며 평탄화 막(OC)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언더-컷 개구부(OH1)의 타측부에는 연결 단자(CT)가 배치되지 않아 보호막(PAS)이 노출되어 있다. 연결 단자(CT)는 연결 콘택홀(CH)을 통해 보조 캐소드 전극(ACT)과 연결된다. (도 4h)
이후 공정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애노드 전극(ANO)과 연결 단자(CT)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물질을 도포한다. 제9 마스크 공정으로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뱅크(BN)를 형성한다. 뱅크(BN)는 애노드 전극(ANO)의 대부분을 노출하여 발광 영역(EA)을 정의한다. 또한, 제1 언더-컷 개구부(OH1) 전체를 노출한다. 즉, 애노드 전극(ANO)보다 작은 개구 영역과, 제1 언더-컷 개구부(OH1)보다 큰 개구 영역을 갖는다. (도 5a)
제10 마스크 공정으로, 제1 언더-컷 개구부(OH1)에서 노출된 보호막(PAS) 일부를 식각하여 언더-컷 개구부(OH)를 완성한다. 여기서, 마스크는, 제1 언더-컷 개구부(OH1) 내에서 보호막(PAS) 일부와 연결 단자(CT) 일부에 걸치는 개구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호막 식각의 진행 시간을 조절하여, 연결 단자(CT) 하부에 배치된 보호막(PAS)의 일부가 과 식각되어 언더-컷 형상을 갖도록 한다. 언더-컷 개구부(OH)는, 보호막(PAS)이 식각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를 노출한다. 또한, 연결 단자(CT)의 하층에서 보호막(PAS)이 과 식각되어, 언더 영역(UA)이 형성된다. 언더 영역(UA)에서도 보조 캐소드 전극(ACT)이 노출된다. 단, 연결 단자(CT)가 보호막(PAS)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동굴과 같은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b)
언더-컷 개구부(OH)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유기 물질로서 열 증착 공정으로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도포될 때, 뱅크(BN)의 표면과 애노드 전극(ANO) 위를 덮도록 도포된다. 단,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 표면의 일부 위에만 도포된다. 특히, 언더 영역(UA)에는,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상부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 후에, 투명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캐소드 전극(CAT)을 형성한다. 투명 도전 물질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ITO)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Indium-Zinc Oxide: IZO)을 포함한다. 이들 투명 도전 물질은 스퍼터링 공법으로 형성한다. 발광 영역(EA)에서는 애노드 전극(ANO) 및 유기발광 층(OL)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됨으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된다.
스퍼터링 공법으로 증착하는 캐소드 전극(CAT)은 표면의 굴곡 형상을 그대로 따라서 증착되는 특징이 있다. 유기발광 층(OL)의 표면 위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 층(OL)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증착된다. 즉,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연결 단자(CT)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부에서 경사면을 따라 연결되어 증착되고, 언더 영역(UA)까지 연장되어 증착된다. 그 결과, 언더 영역(UA)에서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와 캐소드 전극(CAT)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 5c)
이상 제1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10회의 마스크 공정을 사용하여,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캐소드 전극(CAT)과 연결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 및 보조 배선(AC)을 구비한다. 특히, 보조 캐소드 전극(ACT)는 애노드 전극(ANO)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며, 보조 배선(AC)은 차광층(LS)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 물질보다 비 저항이 높은 캐소드 전극(CAT)의 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써, 상부 발광형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도 캐소드 전극(CAT)의 저항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화질의 불균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예에서는, 캐소드 전극의 저항을 낮추는 장점이 있지만, 언더-컷 개구부(OH)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공정이 더 필요하므로,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2 실시 예에서는, 캐소드 전극(CAT)을 보조 캐소드 전극(ACT)과 연결하기 위한 언더-컷 개구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한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조 공정에서, 애노드 전극(ANO) 및 연결 단자(CT)를 형성할 때까지의 공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도 4a 내지 도 4h까지는 제1 실시 예의 제조 공정과 동일하므로, 여기까지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까지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한 단일 마스크 공정으로 수행한다.
애노드 전극(ANO)과 연결 단자(CT)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물질을 도포한다. 제9 마스크 공정으로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제1 뱅크(BN1)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9 마스크 공정은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언더-컷 개구부(OH)를 형성할 부분에는 뱅크(BN)를 제거하고, 발광 영역(EA)은 제1 두께를 갖고, 비 개구 영역은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도록 제1 뱅크(BN1)를 형성한다. (도 6a)
제1 뱅크(BN)를 마스크로 하여, 제1 언더-컷 개구부(OH1)에서 제1 뱅크(BN1)에 노출된 보호막(PAS)을 식각하여 언더-컷 개구부(OH)를 형성한다. 이 때, 보호막(PAS) 식각의 진행 시간을 조절하여, 연결 단자(CT) 하부에 배치된 보호막(PAS)의 일부가 과식각되어(Over Etched) 언더-컷(Under Cut) 형상을 갖도록 한다. 언더-컷 개구부(OH)는, 보호막(PAS)이 식각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를 노출한다. 또한, 연결 단자(CT)의 하층에서 보호막(PAS)이 과식각되어, 언더 영역(UA)이 형성된다. 언더 영역(UA)에서도 보조 캐소드 전극(ACT)이 노출된다. 단, 연결 단자(CT)가 보호막(PAS)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동굴과 같은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
언더-컷 개구부(OH)가 형성된 후에, 애슁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뱅크(BN1)의 두께를 얇게 하여, 뱅크(BN)를 형성한다. 특히, 개구 영역(EA)에서 애노드 전극(ANO)이 노출되도록 제1 뱅크(BN1)의 두께를 얇게 제거한다. 그 결과, 비 개구 영역에서 남은 뱅크(BN)의 두께는 (제2 두께 - 제1 두께)가 된다. 뱅크(BN)는 애노드 전극(ANO)의 대부분을 노출하여 발광 영역(EA)을 정의한다. (도 6c)
뱅크(BN)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유기 물질로서 열 증착 공정으로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도포될 때, 뱅크(BN)의 표면과 애노드 전극(ANO) 위를 덮도록 도포된다. 단,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 표면의 일부 위에만 도포된다. 특히, 언더 영역(UA)에는,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상부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 후에, 투명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캐소드 전극(CAT)을 형성한다. 투명 도전 물질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ITO)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Indium-Zinc Oxide: IZO)을 포함한다. 이들 투명 도전 물질은 스퍼터링 공법으로 형성한다. 발광 영역(EA)에서는 애노드 전극(ANO) 및 유기발광 층(OL)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됨으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된다.
스퍼터링 공법으로 증착하는 캐소드 전극(CAT)은 표면의 굴곡 형상을 그대로 따라서 증착되는 특징이 있다. 유기발광 층(OL)의 표면 위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 층(OL)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증착된다. 즉,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연결 단자(CT)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부에서 경사면을 따라 연결되어 증착되고, 언더 영역(UA)까지 연장되어 증착된다. 그 결과, 언더 영역(UA)에서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와 캐소드 전극(CAT)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 6d)
제2 실시 예에서는, 언더-컷 개구부(OH)에서 캐소드 전극(CAT)이 보조 캐소드 전극(ACT)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언더-컷 개구부(OH)는 뱅크(BN)를 형성하는 마스크 공정에서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언더-컷 개구부(OH)에서 뱅크(BN)의 식각 측면이 길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캐소드 전극(CAT)가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뱅크(BN)가 언더-컷 개구부(OH)의 보호막(PAS)까지 일직선의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캐소드 전극의 단선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 경우, 유기물질인 유기발광 층(OL)은 정상적으로 도포되더라도, 투명 도전 물질인 캐소드 전극(CAT)은, 경사부 중간 지점에서 지나치게 얇게 도포되어 단선되는 영역(disconnected portion)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소드 전극(CAT)의 연결이 불완전해지거나,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화면 불균일을 유발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실시 예에서는 뱅크(BN)와 언더-컷 개구부(OH)의 마스크 공정을 달리하므로, 뱅크(BN)와 평탄화 막(OC)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캐소드 전극(CAT)의 단선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3 실시 예>
이하, 제3 실시 예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캐소드 전극의 단선 문제를 더 해결하는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제조 공정에서, 애노드 전극(ANO) 및 연결 단자(CT)를 형성할 때까지의 공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도 4a 내지 도 4h까지는 제1 실시 예의 제조 공정과 동일하므로, 여기까지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8d까지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한 단일 마스크 공정으로 수행한다.
애노드 전극(ANO)과 연결 단자(CT)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물질을 도포한다. 제9 마스크 공정으로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제1 뱅크(BN1)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9 마스크 공정은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언더-컷 개구부(OH)를 형성할 부분에는 뱅크(BN)를 제거하고, 발광 영역(EA)은 제1 두께를 갖고, 비 개구 영역은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도록 제1 뱅크(BN1)를 형성한다. 특히, 원형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제1 언더-컷 개구부(OH1)에서 연결 단자(CT)와 대향하는 일측변에서 평탄화 막(OC) 위에도 제1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제1 뱅크(BN)을 마스크로 하여, 제1 언더-컷 개구부(OH1)에서 제1 뱅크(BN1)에 노출된 보호막(PAS)을 식각하여 언더-컷 개구부(OH)를 형성한다. 이 때, 보호막(PAS) 식각의 진행 시간을 조절하여, 연결 단자(CT) 하부에 배치된 보호막(PAS)의 일부가 과 식각되어 언더-컷 형상을 갖도록 한다. 언더-컷 개구부(OH)는, 보호막(PAS)이 식각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일부를 노출한다. 또한, 연결 단자(CT)의 하층에서 보호막(PAS)이 과 식각되어, 언더 영역(UA)이 형성된다. 언더 영역(UA)에서도 보조 캐소드 전극(ACT)이 노출된다. 단, 연결 단자(CT)가 보호막(PAS)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동굴과 같은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b)
언더-컷 개구부(OH)가 형성된 후에, 애슁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뱅크(BN1)의 두께를 얇게 하여, 뱅크(BN)를 형성한다. 개구 영역(EA)에서 애노드 전극(ANO)이 노출되도록 제1 뱅크(BN1)의 두께를 얇게 제거한다. 그 결과, 비 개구 영역에서 남은 뱅크(BN)의 두께는 (제2 두께 - 제1 두께)가 된다. 뱅크(BN)는 애노드 전극(ANO)의 대부분을 노출하여 발광 영역(EA)을 정의한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는, 애슁 공정 시간을 조절하여, 특히, 제1 언더-컷 개구부(OH1)에서 연결 단자(CT)와 대향하는 일측변에서 평탄화 막(OC)의 일부를 과-식각(over etched)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과식각된 평탄화 막(OC)의 일부는, 뱅크(BN)의 식각 측벽보다 완만한 경사부로 형성되며, 평탄화 막(OC) 하층부로 연결된다. (도 8c)
일부 측벽이 완만하게 과식각된 뱅크(BN)가 형성된 기판(SUB) 전체 표면 위에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유기 물질로서 열 증착 공정으로 도포한다. 유기발광 층(OL)은 도포될 때, 뱅크(BN)의 표면과 애노드 전극(ANO) 위를 덮도록 도포된다. 단,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 표면의 일부 위에만 도포된다. 특히, 언더 영역(UA)에는,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보조 캐소드 전극(ACT)의 상부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유기발광 층(OL)을 도포한 후에, 투명 도전 물질을 도포하여 캐소드 전극(CAT)을 형성한다. 투명 도전 물질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ITO)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Indium-Zinc Oxide: IZO)을 포함한다. 이들 투명 도전 물질은 스퍼터링 공법으로 형성한다. 발광 영역(EA)에서는 애노드 전극(ANO) 및 유기발광 층(OL)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됨으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된다.
스퍼터링 공법으로 증착하는 캐소드 전극(CAT)은 표면의 굴곡 형상을 그대로 따라서 증착되는 특징이 있다. 유기발광 층(OL)의 표면 위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 층(OL)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증착된다. 즉, 언더-컷 개구부(OH)에서는 연결 단자(CT)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부에서 경사면을 따라 연결되어 증착되고, 언더 영역(UA)까지 연장되어 증착된다. 그 결과, 언더 영역(UA)에서 유기발광 층(OL)이 미 도포되어 노출된 보조 캐소드 전극(ACT)와 캐소드 전극(CAT)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 8d)
제3 실시 예에서는, 언더-컷 개구부(OH)에서 캐소드 전극(CAT)이 보조 캐소드 전극(ACT)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언더-컷 개구부(OH)가 뱅크(BN)를 형성하는 마스크 공정에서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마스크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제2 실시 예와 달리, 언더-컷 개구부(OH)에서 연결 단자(CT)와 대향하는 일측변에서 평탄화 막(OC)의 일부를 노출하고, 과식각한다. 그 결과 뱅크(BN)가 언더-컷 개구부(OH)의 보호막(PAS)까지 완만한 단차부를 갖는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 층(OL) 위에 투명 도전 물질인 캐소드 전극(CAT)을 증착하면, 단선되는 영역 없이 고르게 증착될 수 있다. 즉, 제3 실시 예에 의한 제조 공정에 따르면, 캐소드 전극(CAT)의 연결이 기판 전체에 걸쳐 온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화면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SL: 스캔 배선 DL: 데이터 배선
VDD: 구동 전류 배선 AC: 보조 배선
LS: 차광층 ACT: 보조 캐소드 전극
S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OLE: 유기발광 다이오드 ANO: 애노드 전극
OL: 유기발광 층 CAT: 캐소드 전극
OH: 언더-컷 개구부 EA: 발광 영역
CT: 연결 단자 UA: 언더 영역
OC: 평탄화 막 BN: 뱅크
VDD: 구동 전류 배선 AC: 보조 배선
LS: 차광층 ACT: 보조 캐소드 전극
ST: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OLE: 유기발광 다이오드 ANO: 애노드 전극
OL: 유기발광 층 CAT: 캐소드 전극
OH: 언더-컷 개구부 EA: 발광 영역
CT: 연결 단자 UA: 언더 영역
OC: 평탄화 막 BN: 뱅크
Claims (6)
- 기판 위에 배치된 보조 배선;
상기 보조 배선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배선과 연결된 보조 캐소드 전극;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을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 위에 적층된 평탄화 막;
상기 평탄화 막 위 및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연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 연결 단자;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여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되,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과 상기 연결 단자 사이에 적층된 상기 보호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연결 단자 일측의 하층부에 배치된 언더 영역까지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언더-컷 개구부;
상기 언더-컷 개구부보다 큰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언더-컷 개구부 전체를 노출하도록 상기 평탄화 막의 상면에 형성되는 뱅크;
상기 언더-컷 개구부에서 상기 언더 영역에는 미 도포되어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유기발광 층; 그리고
상기 언더-컷 개구부의 상기 언더 영역에서는 유기발광 층이 미 도포되어 노출된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개구부는,
상기 평탄화 막의 식각된 측벽 및 상기 보호막의 식각된 측벽을 노출하는 일측부 및 상기 연결 단자를 노출하는 타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타측부에서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과 접촉된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막은,
상기 언더-컷 개구부에서, 상기 뱅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평탄화 막의 상층부 일부가 과 식각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서 상기 보조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차광층;
상기 차광층 위에서 상기 보호막 아래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평탄화 막에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를 노출하는 화소 콘택홀; 그리고
상기 평탄화 막 위에서 상기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뱅크는, 상기 애노드 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발광 영역을 더 개방하고,
상기 유기발광 층은, 상기 발광 영역 위에는 전체 도포되며,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발광 영역에서는 상기 유기발광 층 위에 적층되어,
상기 발광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 전극, 상기 유기발광 층 및 상기 캐소드 전극이 중첩되어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보조 배선을 덮는 버퍼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버퍼 층 위에서 상기 차광층 내에 배치된 반도체 층;
상기 반도체 층의 중심 영역 위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반도체 층을 덮는 중간 절연막;
상기 중간 절연막 위에서 상기 반도체 층의 일측부와 연결된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중간 절연막 위에서 상기 반도체 층의 타측부와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보조 배선을 덮는 버퍼 층;
상기 버퍼 층 위에 적층된 중간 절연막; 그리고
상기 중간 절연막 위에 배치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캐소드 전극은 상기 중간 절연막 위에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개구부는,
상기 언더-컷 개구부의 상기 타측부에서 상기 연결 단자 하층의 상기 보호막 일부가 과 식각되어 상기 연결 단자의 일부를 노출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4268A KR102461391B1 (ko) | 2017-10-16 | 2017-10-16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US16/154,956 US11430840B2 (en) | 2017-10-16 | 2018-10-09 | Large are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
CN201811184194.XA CN109671739B (zh) | 2017-10-16 | 2018-10-11 | 大面积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
TW107135959A TWI671898B (zh) | 2017-10-16 | 2018-10-12 |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
US17/875,186 US20220367583A1 (en) | 2017-10-16 | 2022-07-27 | Large are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
KR1020220134931A KR102648422B1 (ko) | 2017-10-16 | 2022-10-19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4268A KR102461391B1 (ko) | 2017-10-16 | 2017-10-16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4931A Division KR102648422B1 (ko) | 2017-10-16 | 2022-10-19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395A KR20190042395A (ko) | 2019-04-24 |
KR102461391B1 true KR102461391B1 (ko) | 2022-10-31 |
Family
ID=66096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4268A KR102461391B1 (ko) | 2017-10-16 | 2017-10-16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20220134931A KR102648422B1 (ko) | 2017-10-16 | 2022-10-19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4931A KR102648422B1 (ko) | 2017-10-16 | 2022-10-19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430840B2 (ko) |
KR (2) | KR102461391B1 (ko) |
CN (1) | CN109671739B (ko) |
TW (1) | TWI67189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1391B1 (ko) * | 2017-10-16 | 2022-10-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JP7108478B2 (ja) * | 2018-06-21 | 2022-07-28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2661283B1 (ko) * | 2018-11-26 | 2024-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N109904210B (zh) * | 2019-03-27 | 2021-08-24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CN110071225A (zh) * | 2019-04-08 | 2019-07-30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制作方法 |
CN110047886B (zh) * | 2019-04-11 | 2021-07-23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作方法 |
CN110085648B (zh) | 2019-05-17 | 2021-03-1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
CN110911461B (zh) * | 2019-11-26 | 2023-06-06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CN113826233B (zh) * | 2020-04-21 | 2023-07-1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装置、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
CN111969034A (zh) * | 2020-09-03 | 2020-11-20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
CN112038382B (zh) * | 2020-09-10 | 2022-11-0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KR20220035646A (ko) * | 2020-09-14 | 2022-03-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48505A (ko) * | 2020-10-12 | 2022-04-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220055922A (ko) | 2020-10-27 | 2022-05-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
KR20220060664A (ko) * | 2020-11-05 | 2022-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계발광 표시장치 |
CN113097408B (zh) * | 2021-03-17 | 2022-08-23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
CN113097412A (zh) * | 2021-03-23 | 2021-07-09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DE112021001864T5 (de) * | 2021-03-31 | 2023-01-26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Anzeigesubstrat, Herstellungsverfahren eines Anzeigesubstrats und Anzeigevorrichtung |
US20220359847A1 (en) * | 2021-04-21 | 2022-11-10 | Hefei Boe Joint Technology Co.,Ltd. |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US20220384559A1 (en) * | 2021-05-27 | 2022-12-01 | Tcl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KR20230041153A (ko) * | 2021-09-16 | 2023-03-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4141852B (zh) * | 2021-11-30 | 2023-05-05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
CN114188379A (zh) * | 2021-12-02 | 2022-03-15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US20230207734A1 (en) * | 2021-12-28 | 2023-06-29 | Lg Display Co., Ltd.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20230103707A (ko) * | 2021-12-31 | 2023-07-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발광표시장치 |
CN116456769B (zh) * | 2023-04-20 | 2024-09-10 | 惠科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和显示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51220A (ko) * | 2006-12-05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장치 |
TWI559380B (zh) * | 2012-02-06 | 2016-11-21 |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 用於有機發光顯示器之畫素結構之製造方法 |
TWI481023B (zh) * | 2012-03-08 | 2015-04-11 |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
KR102148935B1 (ko) * | 2013-11-21 | 2020-08-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661015B1 (ko) * | 2013-11-28 | 2016-09-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2141557B1 (ko) * | 2013-12-26 | 2020-08-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어레이 기판 |
KR102553212B1 (ko) * | 2014-07-08 | 2023-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9570471B2 (en) | 2014-08-05 | 2017-02-14 | L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428914B1 (ko) * | 2015-04-27 | 2022-08-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155815B1 (ko) * | 2014-08-05 | 2020-09-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TW201607000A (zh) * | 2014-08-05 | 2016-02-16 |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 有機發光顯示器及其製造方法 |
KR102279497B1 (ko) | 2014-10-21 | 2021-07-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대면적 고 휘도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2178471B1 (ko) | 2014-11-11 | 2020-11-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대면적 투명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2374833B1 (ko) * | 2014-11-25 | 2022-03-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293365B1 (ko) * | 2014-12-18 | 2021-08-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410426B1 (ko) * | 2015-07-28 | 2022-06-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2575459B1 (ko) * | 2015-07-31 | 2023-09-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05695B1 (ko) * | 2015-08-31 | 2022-06-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465826B1 (ko) * | 2015-10-29 | 2022-11-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578834B1 (ko) * | 2015-11-30 | 2023-09-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484645B1 (ko) * | 2015-12-15 | 2023-01-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458907B1 (ko) * | 2015-12-29 | 2022-10-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479673B1 (ko) * | 2015-12-29 | 2022-12-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66630B1 (ko) | 2015-12-30 | 2023-08-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
EP3240036B1 (en) * | 2016-04-29 | 2024-05-01 | L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693312B1 (ko) * | 2016-09-30 | 2024-08-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724099B1 (ko) * | 2016-10-31 | 2024-10-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US10371979B2 (en) * | 2017-06-22 | 2019-08-06 |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461391B1 (ko) * | 2017-10-16 | 2022-10-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2017
- 2017-10-16 KR KR1020170134268A patent/KR1024613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0-09 US US16/154,956 patent/US11430840B2/en active Active
- 2018-10-11 CN CN201811184194.XA patent/CN109671739B/zh active Active
- 2018-10-12 TW TW107135959A patent/TWI671898B/zh active
-
2022
- 2022-07-27 US US17/875,186 patent/US20220367583A1/en active Pending
- 2022-10-19 KR KR1020220134931A patent/KR102648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395A (ko) | 2019-04-24 |
CN109671739A (zh) | 2019-04-23 |
US20190115403A1 (en) | 2019-04-18 |
TWI671898B (zh) | 2019-09-11 |
US20220367583A1 (en) | 2022-11-17 |
CN109671739B (zh) | 2023-04-07 |
KR20220147560A (ko) | 2022-11-03 |
US11430840B2 (en) | 2022-08-30 |
TW201917882A (zh) | 2019-05-01 |
KR102648422B1 (ko) | 2024-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1391B1 (ko)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482990B1 (ko) |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482991B1 (ko) |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US11716877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73920B1 (ko)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EP334650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connecting clad electrode | |
US11552152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voltage wiring having openings | |
KR20150028055A (ko)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47825B1 (ko) |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1296153B2 (en) | OLED pixel structure and OLED display panel | |
KR102269099B1 (ko) |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39092A (ko) |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55591B1 (ko) | 고 개구율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
KR102218944B1 (ko)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20240186307A1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20240260323A1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