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69474B1 -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474B1
KR102469474B1 KR1020220117544A KR20220117544A KR102469474B1 KR 102469474 B1 KR102469474 B1 KR 102469474B1 KR 1020220117544 A KR1020220117544 A KR 1020220117544A KR 20220117544 A KR20220117544 A KR 20220117544A KR 102469474 B1 KR102469474 B1 KR 10246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truction
unit
image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콘 filed Critical (주)아이콘
Priority to KR102022011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4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한 영상제공장치와 정보 전달을 위한 단말기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서 실시되는 공사의 종류를 분류하도록 하는 공종분류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을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자재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자재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장비분석부; 상기 공종분류부, 상기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투입자재분석부 및 상기 투입장비분석부에 의해 분류 및 분석된 정보를 공정일보 양식에 대입하여 공정일보를 작성하는 보고서작성부; 및 상기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상기 공정일보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도록 한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내용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정리하도록 할 수 있고,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공사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Automatic construction daily report creation system using video input apparatus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내용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정리하도록 하고,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공사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공사일보의 작성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일보는 공사 내용별로 공사 현장에 따라 어떤 작업이 진행되었는지 기록하여 관리하는 문서로서, 투입 인원과 장비 현황 등을 기록함으로써, 해당 일에 작업현장의 공사 진척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사일보는 작성의 편의 제공을 위해,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관련 내용을 수동으로 일일이 입력하여 공정 실적을 반영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사일보의 작성에 여전히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공사일보와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988350호의 " 가상 공정모듈을 이용한 검측 및 공사일보 AI 분석을 통한 자동 현장 공정 관리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디지털 가상현장에서 소공정 정보 및 검측정보가 입력되어진 소공정 단위 2D 또는 3D 가상 공정모듈(Virtual Process Module, VPM)로 분리되어 가상 시공물에 장착되어지며 실제 지리정보와 연동되는 VPM과, 상기 VPM과 무선통신하는 공정 검측장치 및 상기 공정 검측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공정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공정모듈을 이용한 검측 및 공사일보 AI 분석을 통한 자동 현장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현장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정 검측장치는 상기 VPM으로부터 전송된 소공정정보 및 검측정보가 저장되는 소공정정보 및 검측정보 저장부와, 상기 소공정정보 및 검측정보 저장부와 연결되어 VPM의 공정 정보 및 검측항목이 팝업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검측항목이 검측되는 소공정 검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관리서버는 각각의 현장의 기존 공정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기존 공정자료 수집부와, 상기 기존 공정자료 수집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존 공정자료 수집부에서 수집된 각각의 현장의 기존 공정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빅데이터는 각각의 현장의 위치, 크기, 세부공정항목, 기간, 검측항목을 포함하며,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소공정 단위 2D 또는 3D VPM별로 위치, 크기, 세부공정항목, 기간, 검측항목을 포함하는 표준공정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학습부와,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공지능 학습부로부터 도출된 표준공정을 이용해 세부공정항목, 기간, 검측항목, 학습신경망을 포함하는 VPM 표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VPM 표준정보 생성부와, 상기 VPM 표준정보 생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VPM 표준정보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VPM 표준정보를 통해 소공정 단위 2D 또는 3D VPM이 조립되어 시공 모델을 작성하는 시공 모델 작성부와, 상기 시공 모델 작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공 모델에 대한 공정표 및 검측일정을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한 공정표 자동 작성부와, 상기 공정표 자동 작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정표 자동 작성부로 자동 작성된 공정표에 의거한 검측의 수행을 분석하는 검측 분석부와, 상기 검측 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검측 분석부를 통한 검측에 의해 공정을 자동으로 체크하며, 공정완료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공정 자동 체크부 및 상기 공정 자동 체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정 자동 체크부에 의해 자동 체크된 공정을 분석 및 취합하여 각 공정별 진척상황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및 취합된 각 공정별 진척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공정에 대한 진척상황 정보를 생성하며, 전체 공정에 대한 진척상황 정보에 정량적인 수치를 적용하여 공정전체 진척율을 집계하는 공정 분석 및 취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측 분석부는 실제 현장에서 위치태그를 가진 관리자가 상기 VPM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VPM의 실제 지리정보와 연동하여 디지털 가상현장의 해당 VPM에 대한 공정정보 및 검측항목이 상기 공정 검측장치에 자동으로 표시되어 검측요청서가 작성되며, 상기 검측요청서는 관리자에 의해 해당하는 공정에 대한 검측작업이 실시되어 검측작업이 완료되며, 상기 검측작업의 완료에 따라 상기 공정표 상에 공정완료가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미리 작성된 공사일보를 사용할 뿐, 공사일보의 작성을 위해 어떠한 지원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공사일보의 작성에 여전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내용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정리하도록 하고,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공사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공사일보의 작성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한 영상제공장치와 정보 전달을 위한 단말기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서 실시되는 공사의 종류를 분류하도록 하는 공종분류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을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자재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자재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장비분석부; 상기 공종분류부, 상기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투입자재분석부 및 상기 투입장비분석부에 의해 분류 및 분석된 정보를 공정일보 양식에 대입하여 공정일보를 작성하는 보고서작성부; 및 상기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상기 공정일보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공종분류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공사 종류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금일 공사 종류를 분류하도록 하며, 분류한 금일 공사 종류를 기작성된 스케쥴표로부터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자재분석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자재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자재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투입장비분석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장비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장비 목록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인원분석부는, 상기 영상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작업원이 정해진 시간동안 머무는 공간을 작업공간으로 각각 분류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작업공간 각각에 동시에 머무는 작업원의 최대수를 합산한 것을 투입 인원으로 산출하되, 산출한 투입 인원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예정 인원보다 클 경우 상기 예정 인원을 상기 투입 인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 의하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내용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정리하도록 할 수 있고,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공사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일보의 작성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서 공종분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서 투입자재분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서 투입장비분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서 보고서작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10)은 접속부(11), 공종분류부(12), 투입인원분석부(13), 투입자재분석부(14), 투입장비분석부(15), 보고서작성부(16) 및 데이터베이스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1)는 건설 현장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한 영상제공장치(1,2,3)와 정보 전달을 위한 단말기(4)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접속하도록 한다. 접속부(11)는 이처럼 건설 현장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한 영상제공장치(1,2,3)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접속하도록 하는데, 특히 단말기(4)와의 접속을 위하여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1)는 영상제공장치(1,2,3) 및 단말기(4)의 접속시, 본인 등과 같이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받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나, 공인인증서, 휴대폰 또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 인증 절차 또는 정해진 신호의 입력이나, 식별코드 등의 입력 내지 출력 등에 의해 기기 연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제공장치(1,2,3)는 영상 획득을 위하여, 촬영 기능을 가진 다양한 기기로서, 예컨대, 휴대폰(1), CCTV카메라(2), 드론(3) 뿐만 아니라, 360도카메라, 촬영기능을 가진 스마트 헬멧, 액션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통신모듈이 마련됨으로써 접속부(11)에 통신망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거나, 별도의 통신장치를 매개로 접속부(11)에 통신망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고,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이나 P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시공사의 단말기, 발주처의 단말기, 설계자의 단말기 및 감리자의 단말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건설 관계자의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공종분류부(12)는 접속부(11)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건설 현장에서 실시되는 공사의 종류를 분류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종분류부(12)는 일례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최근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하여 변경된 부분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공사 종류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금일 공사 종류를 분류하도록 할 수 있으며(S11), 분류한 금일 공사 종류를 기작성된 스케쥴표로부터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S12). 여기서 전일 영상은 최근 입력 데이터로서, 어제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최근 데이터와의 변경된 부분이 있는 신(scene)만 입력값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알려진 다양한 머신 러닝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종분류부(12)에 의한 보정은 일례로 기작성된 스케쥴표와 시간적으로 일치하는 공사 종류를 최종적으로 추출하도록 하거나,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해당하는 공사 종류를 최종적으로 추출하도록 하거나,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기(4)를 통해서 검토를 받아 정정할 수 있도록 메시지 전송 및 검토 수신 등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미리 작성된 스케쥴표를 기반하여 다양한 보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투입인원분석부(13)는 접속부(11)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을 분석하도록 한다.
투입인원분석부(13)는 일례로서, 영상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작업원이 정해진 시간동안 머무는 공간을 작업공간으로 각각 분류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 작업공간 각각에 동시에 머무는 작업원의 최대수를 합산한 것을 투입 인원으로 산출하되, 산출한 투입 인원이 단말기(4)로부터 제공되는 예정 인원보다 클 경우 예정 인원을 투입 인원으로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시간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위해 머무는 시간으로 정해질 수 있는데, 이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0.1~5시간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기간은 일례로 24시간일 수 있다. 작업공간의 분류는 실내의 경우 룸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고, 실외의 경우, 건축구조물에서 하나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협소한 외측면일 경우 인근하는 외측면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공간의 분류 및 작업공간에 머무는 작업원의 최대수 산출을 위하여,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인공지능 알고리즘이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입자재분석부(14)는 접속부(11)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자재를 분석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입자재분석부(14)는 일례로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최근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영역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하고(S21),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자재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자재 목록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S22). 여기서 전일 영상은 최근 입력 데이터로서, 어제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최근 데이터와의 변경된 부분이 있는 신(scene)만 입력값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알려진 다양한 머신 러닝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투입장비분석부(15)는 접속부(11)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를 분석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투입장비분석부(15)는 일례로 영상제공장치(1,2,3)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함으로써(S31), 최근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로 추가된 장비 및 수량이 줄어든 장비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S32),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장비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장비 목록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S33). 여기서 전일 영상은 최근 입력 데이터로서, 어제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최근 데이터와의 변경된 부분이 있는 신(scene)만 입력값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알려진 다양한 머신 러닝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보고서작성부(16)는 공종분류부(12), 투입인원분석부(13), 투입자재분석부(14) 및 투입장비분석부(15)에 의해 분류 및 분석된 정보를 공정일보 양식에 대입하여 공정일보를 작성하도록 한다. 보고서작성부(16)는 공정일보의 작성에 필요한 텍스트 및 이미지를 상기의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이에 사용되는 영상으로부터 영상 처리 및 텍스트 추출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보고서작성부(16)는 일례로 필요에 따라 건설 관계자의 단말기(4)로부터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직접 제공받거나 요청에 의해 제공받아, 공정일보 작성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고, 생성된 공정일보를 데이터베이스부(17)에 업로드되도록 하여, 요청받은 단말기(4)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서작성부(16)는 추가 정보가 정해진 내용의 필드에 대한 내용 채움으로 인해 자동으로 정해진 양식으로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보고서작성부(16)는 일례로 상기의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함께 영상제공장치(1,2,3)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세부 내용, 공종별 사진 및 공정률 등을 분류하도록 하고, 세부 내용을 사용하여 공사일보 텍스트 작성을 수행하도록 하고(S41), 세부 내용, 공종별 사진 및 공정률을 사용하여 공사일보 영상을 작성하도록 하며(S42), 공정률을 사용하여 공종별 공정률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S43), 이들을 요청받은 단말기(4) 등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공정률은 공정률분석부(18)에 의해 추출하도록 할 수 있는데, 공정률분석부(18)는 단말기(4)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사의 진행 상황 및 공정률을 산출하여 단말기(4)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정률분석부(18)는 공정률의 산출에 필요한 작업 정보를 제공받되, 제공받은 작업 정보와 미리 정해진 필요 작업 정보 리스트와의 비교에 의하여 부족한 작업 정보를 건설 관계 담당자의 단말기(4)에 요청하여 제공받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내용의 입력을 위한 필드를 채우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정률분석부(18)에 의한 공정률 산출 방식은 건설업계에서 알려진 방식 또는 전문자의 자문을 통해 정해진 방식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7)는 공종분류부(12), 투입인원분석부(13), 투입자재분석부(14) 및 투입장비분석부(15)에 의한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보고서작성부(16)에 의해 작성된 공정일보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7)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인증된 단말기(4)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들의 정보, 이 밖에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구현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내용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정리하도록 할 수 있고,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공사일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일보의 작성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휴대폰 2 : CCTV카메라
3 : 드론 4 : 단말기
11 : 접속부 12 : 공종분류부
13 : 투입인원분석부 14 : 투입자재분석부
15 : 투입장비분석부 16 : 보고서작성부
17 : 데이터베이스부 18 : 공정률분석부

Claims (5)

  1. 건설 현장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한 영상제공장치와 정보 전달을 위한 단말기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서 실시되는 공사의 종류를 분류하도록 하는 공종분류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을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자재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자재분석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를 분석하도록 하는 투입장비분석부;
    상기 공종분류부, 상기 투입인원분석부, 상기 투입자재분석부 및 상기 투입장비분석부에 의해 분류 및 분석된 정보를 공정일보 양식에 대입하여 공정일보를 작성하는 보고서작성부; 및
    상기 분류 및 분석된 정보와 상기 공정일보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고,
    기 투입인원분석부는,
    상기 영상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작업원이 정해진 시간동안 머무는 공간을 작업공간으로 각각 분류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작업공간 각각에 동시에 머무는 작업원의 최대수를 합산한 것을 투입 인원으로 산출하되, 산출한 투입 인원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예정 인원보다 클 경우 상기 예정 인원을 상기 투입 인원으로 산출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종분류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공사 종류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금일 공사 종류를 분류하도록 하며, 분류한 금일 공사 종류를 기작성된 스케쥴표로부터 보정하도록 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자재분석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자재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자재 목록을 추출하도록 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비분석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일 영상과 금일 영상을 각각 영상 처리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일로부터 금일 변경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변경된 부분과 장비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투입 장비 목록을 추출하도록 하는,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5. 삭제
KR1020220117544A 2022-09-19 2022-09-19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Active KR10246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44A KR102469474B1 (ko) 2022-09-19 2022-09-19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44A KR102469474B1 (ko) 2022-09-19 2022-09-19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474B1 true KR102469474B1 (ko) 2022-11-24

Family

ID=8423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544A Active KR102469474B1 (ko) 2022-09-19 2022-09-19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024B1 (en) 2023-02-14 2024-04-16 Insight Direct Usa, Inc. Automated staffing allocation and scheduling
WO2025030200A1 (en) * 2023-08-05 2025-02-13 Soter Analytics Pty Ltd Body movement/position risk assess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1074A (ja) * 2015-04-14 2016-12-01 株式会社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研究所 工事管理支援装置、工事管理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2168558B1 (ko) * 2019-10-24 2020-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티브 러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선정 방법, 액티브 러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선정 장치 및 액티브 러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방법
KR20210063673A (ko) * 2019-11-25 2021-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캡셔닝을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KR102317476B1 (ko) * 2020-11-05 2021-10-25 쌍용건설 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10144390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터널 시공문서 자동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1074A (ja) * 2015-04-14 2016-12-01 株式会社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研究所 工事管理支援装置、工事管理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2168558B1 (ko) * 2019-10-24 2020-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티브 러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선정 방법, 액티브 러닝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선정 장치 및 액티브 러닝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방법
KR20210063673A (ko) * 2019-11-25 2021-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캡셔닝을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144390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터널 시공문서 자동 생성 방법
KR102317476B1 (ko) * 2020-11-05 2021-10-25 쌍용건설 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1024B1 (en) 2023-02-14 2024-04-16 Insight Direct Usa, Inc. Automated staffing allocation and scheduling
WO2025030200A1 (en) * 2023-08-05 2025-02-13 Soter Analytics Pty Ltd Body movement/position risk assess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82889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CN11183163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11594013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mage anomaly detection
KR102469474B1 (ko) 건설 현장의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한 공사일보 자동 작성 시스템
CN111598734A (zh) 一种bim和物联网的智慧工地综合管理系统
CN110210981A (zh) 保险业务理赔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10503409B (zh) 信息处理的方法以及相关装置
CN107391984A (zh) 一种电力作业处理方法及系统
CN113656864B (zh) 一种基于bim的建筑施工方法、系统、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14677015B (zh) 一种基于网格化管理的智慧城市安全管控平台及管控方法
CN107693997B (zh) 一种消防设备检测与维护保养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8780614A (zh) 一种基于ar的施工安全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316131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电能计量装置安装工艺质量检测系统
KR102388777B1 (ko) 360도 vr 카메라를 이용한 연도변 조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Elia et al. A quality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 and crowdsourced data in emergency mapping for potential cooperation of the services
CN113641776A (zh) 基于区块链业务空间编码展示的方法、系统及储存介质
CN115510074B (zh) 基于一张表的分布式数据管理及应用系统
CN118446450A (zh) 车间安全生产管控方法、系统及风险评估方法、系统
CN205451057U (zh) 一种工业遗产数字化展示系统
CN116842591A (zh) 一种基于数字孪生技术的xr防泄密可视化系统及方法
Naticchia et 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supporting on-site secondary building assets management
KR102656584B1 (ko) 비디오 영상 기반 부동산 정보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CN105719206A (zh) 一种高等教育教学资源配置与分析系统
CN111339939B (zh) 基于图像识别的考勤方法及装置
CN114445242A (zh) 实景取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