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971B1 - Ice making device - Google Patents
Ice mak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2971B1 KR102452971B1 KR1020210084900A KR20210084900A KR102452971B1 KR 102452971 B1 KR102452971 B1 KR 102452971B1 KR 1020210084900 A KR1020210084900 A KR 1020210084900A KR 20210084900 A KR20210084900 A KR 20210084900A KR 102452971 B1 KR102452971 B1 KR 102452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ice
- water
- water supply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상판 트레이; 일 단부가 상기 상판 트레이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트레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셀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상판 트레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a lower plate tray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tray;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for relative rotation of the lower tray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a cell in which the lower tray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is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for evacuating the ice formed inside the cell;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upper plate tray to separate the ice formed inside the cell from the upper plate tray.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되어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빙 장치의 경우, 제빙을 위한 급수 메카니즘이 구비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 제빙을 위한 급수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제어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구형(求刑)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경우 급수량이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예컨대, 급수량이 미달할 경우 정확한 구형 얼음 제조가 불가능해지고, 급수량이 초과할 경우 제빙 과정에서 부피 팽창으로 인하여 제빙 트레이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Recently, it is common to have an ice maker installed in a refrigerator to make ice. In the case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must be provided, and it is a very important control element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ice mak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ce maker that manufactures spherical ic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must be controlled very precisely.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s insufficient, accurate spherical ice production is impossible, and if the amount of water is exceeded, the ice tray is destroyed due to volume expansion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making ice in a refrigerator in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면, 급수원(1)에 급수 유로가 연결되고, 급수 유로 상에 개폐밸브(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2)의 출구측에는 유량 센서(3)가 장착되며, 상기 급수 유로의 단부는 제빙기(5)의 급수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3)와 밸브(2)는 마이콤(4)에 전기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a wate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a
상기 유량 센서(3)는 일반적으로 플로미터가 사용되며, 플로미터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펄스 수에 따라 급수 유량에 계산된다. 그리고,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4)으로부터 밸브 잠금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밸브(2)가 닫히게 된다. A flow meter is generally used as the
기존의 제빙기 급수 방법 중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마이콤(4)에서 미리 설정해 둔 시간 동안 급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급수 시간을 5초로 설정하면, 급수원의 수압에 관계없이 무조건 5초간 급수를 하게 된다. As another method among the existing water supply methods of the ice maker, a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a time preset in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시간 제어의 경우, 압력에 따른 급수 편차를 고려할 방법이 없으므로, 실제 제빙 트레이에서 공급받는 유량은 압력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First, in the case of time control, since there is no method to consider the water supply deviation depending on the press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flow rate supplied from the ice-making tray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pressure.
둘째, 유량 센서 제어의 경우,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할 때 목표 급수량보다 과급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수압이 낮아서 유량 센서의 임펠러를 돌리지 못하고 임펠러 주위로 통과하는 물이 발생하여, 감지된 펄스값 대비 공급 유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Second, in the case of the flow sensor control, when the flow sensor is used in an area with low water pressure, a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is supercharged from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occurs. As a cause, the water pressure is low, so that the impeller of the flow sensor cannot be rotated and water passing around the impeller is generated,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supply flow rat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detected pulse value.
도 2는 저수압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급수 제어를 할 때 나타나는 과급수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2 is a graph showing a supercharged water phenomenon that occurs when water supply is controlled using a flow sensor in a low water pressure area.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압 영역에서는 목표 급수량(A)보다 더 많은 물이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t can be confirmed that a phenomenon in which more water is supplied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A occurs in the low water pressure region.
본 발명은 정확한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특히, 구형 얼음을 제빙하는 상하판 폐쇄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에 대하여, 냉장고 설치 지역의 수압에 관계없이 정량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enables a fixed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an ice maker provided with an upper and lower plate closed tray for making spherical ice, regardless of water pressure in an area where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상판 트레이; 일 단부가 상기 상판 트레이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트레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셀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상판 트레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a lower plate tray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tray;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for relative rotation of the lower tray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a cell in which the lower tray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is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for evacuating the ice formed inside the cell;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upper plate tray to separate the ice formed inside the cell from the upper plate tray.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트레이 커버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tray includes a tray case forming an external shape, a tray cover placed on an upper side of the tray case,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depressions disposed between the tray case and the tray cover, and forming the lower half of the spherical ice. It may include an arranged tray body.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반구 형태의 함몰부의 상면을 제외한 상기 트레이 바디의 상면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y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body except for the upper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depress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수압 지역에서도 제빙을 위한 정확한 급수량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ice making even in a low water pressure area.
특히,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기와 같이 정확한 급수량 제어가 요구되는 제빙 시스템에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very advantageous effect in an ice making system that requires accurate water supply control, such as an ice machine for producing spherical ice.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저수압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급수 제어를 할 때 나타나는 과급수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제빙 장치의 급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6은 도 5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구조가 구비된 제빙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making ice in a refrigerator in the related art.
2 is a graph showing a supercharged water phenomenon that occurs when water supply is controlled using a flow sensor in a low water pressure area.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to which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water supply of the ice-making device.
5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 of Fig. 5;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an ice maker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water supply system for ice 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빙 장치의 급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ce maker to which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water supply of the ice ma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구형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에 적용될 때 유리한 장점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when applied to an ice-mak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herical ice, an ice-mak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herical ic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110)와,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120),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140), 상기 상판 트레이(110) 또는 하판 트레이(120)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1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상세히,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내측에는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반구 형태의 함몰부(125)가 배열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detail, a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121)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장착되어 상기 함몰부(125)를 구비하는 트레이 바디(123)와, 상기 트레이 바디(123)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126)를 포함한다.The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부(125)가 통과하는 안착부(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후방에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 및 상기 구동 유닛(140)과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 장착부(121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121b)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1)가 연결된다. The
상기 트레이 바디(1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123)는, 평면부(124)와, 상기 평면부(124)에서 함몰된 상기 함몰부(12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25)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안착부(121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125)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회전시 상기 이젝팅 유닛(160)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상기 함몰부(125)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이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상기 트레이 커버(126)는 상기 트레이 바디(123)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123)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126)에는 상기 트레이 바디(123)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125)의 개구된 상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천공부(126a)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126a)는 다수개의 원형이 서로 연속하여 겹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천공부(126a)를 통해서 상기 함몰부(125)가 노출된다.The
한편,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상기 제빙 장치(1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빙 장치(1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11)와 얼음의 성형을 위한 트레이부(11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제빙 장치(100)가 냉동실 또는 제빙실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부(1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냉동실 또는 제빙실의 측면부와 면접촉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112)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112)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함몰부(125)와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는 서로 형합되어 구형 제빙 공간인 셀(150)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 트레이(110) 함몰부(113)의 형상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unting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셀(150) 내부의 물을 빠른 속도로 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110)를 가열하는 히터(161)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상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급수부(11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170)이 더 구비된다.The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이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Like the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측방에는 로테이팅 암(130)과 상기 탄성부재(131)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팅 암(130)은 상기 탄성부재(131)의 인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로테이팅 암(130)의 일단은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에 축결합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131)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130)과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121b)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3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131)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130)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131)가 인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보다 밀착되어 제빙 중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상기 로테이팅 암(130)을 가이드하는 유닛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 가이드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유닛 가이드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에는 상기 로테이팅 암(130)의 타단이 관통된다. One end of the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 상면에는 다수의 에어홀(115)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115)은 상기 셀(15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될 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115)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져,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젝팅 핀(162)의 출입을 안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다수의 셀(150) 중 대략 중앙에 위치된 셀(150)에는 급수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14)는 원활한 급수를 위하여 상기 에어홀(115)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14)는 급수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다수의 셀(150) 중 좌우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부(114)는 급수의 기능 외에 급수시의 공기 배출 및 이빙을 위한 이젝팅 핀(162)의 출입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는 서로 밀착되어 저장된 물이 누설되지 않게 되며, 내측면은 구면을 형성하여 구형의 얼음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셀(1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의하여 완전한 구형 얼음이 제조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셀(150)로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에 미달할 경우, 완성된 얼음의 상면이 평평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을 초과할 경우, 얼음 형성 과정에서 부피 팽창에 의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벌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에서는 급수량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5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시스템은, 급수원(6)과, 상기 급수원(6)에 연결되는 정량 급수 모듈(30)과,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제빙기(100)를 포함한다. 5 and 6 , the ice-making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세히, 상기 급수원(6)과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 사이에는 유입측 밸브(8)가 장착되고, 상기 제빙기(100)와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 사이에는 출구측 밸브(9)가 장착되어,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로의 물공급 및 상기 제빙기(100)로의 물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 밸브(8) 및 유출측 밸브(9)는 각각 제어부(7)에 연결되어 개폐가 제어된다. In detail, an
또한,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은, 상기 급수원(6)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워터 탱크(31)와 상기 워터 탱크(3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는 상기 제어부(7)에 연결되어, 설정 수위에 도달 신호가 상기 제어부(7)로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quantitative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을 구성하는 상기 워터 탱크(31)는, 내부에 물저장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11)와, 상기 케이스(31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부(312)와, 저면에 형성되는 출수부(313)와, 상기 케이스(311)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는 감지부(315)와, 상기 감지부(315)에 장착되는 정전 용량 센서(32)를 포함한다. The
상세히, 상기 케이스(311)의 저면부는 상기 출수부(313) 쪽으로 물이 모이도록 경사면(31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출수부(313)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빙기(100)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 과정에서 워터 탱크(311) 내에 잔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detail, the bottom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의 전극(312)은 상기 감지부(315)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워터 탱크(31)에 설정 수량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전극(312)의 단부가 위치하는 높이까지 수위가 차도록 한다. 상기 전극(312)에 물이 닿으면, 공기와 물의 정전 용량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에서 감지하는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가 상기 제어부(7)로 전달되어 설정 수량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315)의 가로 단면적은 상기 워터 탱크(311)의 가로 단면적보다 작으며, 이는 수위 오차에 따른 유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입수부(312)는 상기 워터 탱크(3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물공급 방향, 즉 유동 방향이 중력 방향으로 되도록 한다. 이는, 급수 시 발생하는 탱크 내부 유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전극(312)의 수위 오감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감지부(315)의 상단에는 에어홀(316)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수와 출수 과정에서 상기 워터 탱크(311) 내부가 항상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n
한편,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에 의하여 설정 수량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유입측 밸브(8)를 폐쇄하고, 상기 유출측 밸브(9)를 개방한다. 그러면, 상기 워터 탱크(311)로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기(100)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40)은 이전 실시예의 정량 급수 모듈(30)과 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되, 감지부(415)에 장착되는 수위 센서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quantitative
케이스(411), 입수부(412), 출수부(413), 경사면(414), 감지부(415) 및 에어홀(416)의 구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로서 부유형 센서(floating sensor)(42)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oating sensor (42) is applied as a sensor mounted inside the sensing unit (415).
상세히, 상기 부유형 센서(42)는,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표(buoy)(421)와, 상기 부표(421) 내부에 장착되는 마그넷(424)과, 상기 감지부(415)의 내주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넷(42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423)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floating
상기 부표(421)는, 상기 워터 탱크(411)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수위가 상기 감지부(415) 하단에 도달한 시점부터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표(421) 내부의 마그넷(424)이 상기 홀센서(423) 높이에 위치하면, 상기 홀센서(423)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유입측 밸브(8)를 닫고 상기 유출측 밸브(9)를 열어서, 상기 워터 탱크(411)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빙 장치기(100)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100)의 상판 트레이(110)에 정전 용량 센서(32a)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상세히,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상단부 근처에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물공급이 중단된 후에도 물관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계속하여 상기 제빙 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를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최상단에 장착할 경우,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을 초과하여 제빙 장치(100)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 중단 후에 계속해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안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최상단으로부터 약간 하측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는 상기 급수 유닛(170)으로부터 최외측에 해당하는 상판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여, 급수 트레이의 전체에 물공급이 완료된 후 급수가 중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9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100)의 상판 트레이(110) 측면에 도 7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른 부유형 센서가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direct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상세히, 상기 감지부(415)와,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 제공되는 부유형 센서(42)로 이루어지는 유량 감지(또는 수위 감지) 모듈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연통홀(110a)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 사이에 형성되는 셀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수위가 상기 연통홀(110a)까지 도달하면, 상기 셀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감지부(4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셀 내부의 수위와 상기 감지부(415) 내부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422)이 상기 홀센서(423)의 위치까지 떠오르면 물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flow rate sensing (or water level sensing) module including th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구조가 구비된 제빙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100)의 하판 트레이(120) 외부 측면에 홀센서(50)가 장착되고, 상기 제빙 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 측면에 마그넷(미도시)이 장착된다. 그리고, 물공급에 따라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정량 급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and 11 , a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이 개시되기 전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닛(170)을 통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120)로 물이 공급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물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기 구동 유닛(140)의 축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유량이 공급되었을 때, 엄밀하게는 설정 유량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회전이 멈추고, 이 순간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여 물공급 중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홀센서(50)가 위치하는 높이의 어느 지점에 장착된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빙 장치(100)와 별개인 부품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별개의 부품은 상기 제빙 장치(100)를 수용하는 제빙실 측벽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before water supply is started, the
여기서,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는 시점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기 직전으로 설정한 것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즉, 물공급이 중단된 이후에도, 상기 물공급 유닛(170)에 연결되는 물공급 관 또는 부재에 남아 있는 물이 상기 하판 트레이(120)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잔여 유량을 감안한 것이다.Here, the point at which the
한편, 상기 홀센서(50)와 상기 마그넷이 서로 반대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넷이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장착되고,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에 마주보는 위치의 제빙실 측벽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12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정량 급수를 위한 구성으로서, 급수원(6), 유입측 밸브(8), 정량 급수 모듈, 유출측 밸브(9)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2 , as a configuration for fixed water supply, the
다만, 정량 급수 모듈이, 워터 탱크(61)와, 상기 워터 탱크(61)로 공급된 유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60)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61)의 상단 또는 저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61)로 공급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6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61)로 물공급이 시작되면 상기 로드셀(60)에서는 공급되는 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정확한 급수 유량을 감지하게 된다.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
상세히, 급수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로드셀(60)을 초기화화 한다. 그리고, 급수가 시작되면 상기 로드셀(60)에서 공급되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중량값에 도달하면 정량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로드셀(60)에서 제어부(7)로 물공급 중단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 완전히 밀착되록 한다. 그 이후, 제빙 과정 및 이빙 과정이 수행된다. In detail, before water supply starts, the
한편, 상기 로드셀(60)은 상기 워터 탱크(61)에 장착되는 것 외에,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직접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상기에 제시된 정량 급수 수단은,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구형 얼음 제빙용 제빙 장치에 장착됨으로써, 완전한 구 형상에 가까운 얼음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xed-quantity water supply means is mounted on an ice-making apparatus for spherical ice in which the amount of supplied water must be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ice close to a perfect spherical shape can be easily manufactured.
Claims (12)
일 단부가 상기 상판 트레이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트레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및
상기 하판 트레이와 축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로테이팅 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장착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고정시키며, 상기 함몰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트레이는,
상기 로테이팅 암을 가이드하도록,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닛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가이드에는, 상기 로테이팅 암의 타단이 관통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 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top tray;
a lower plate tray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tray;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for relative rotation of the lower tray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a cell in which the lower tray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is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nd
and a rotating arm that is shaft-coupled to the lower tray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lower plate tray,
A tray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a tray body mounted on the tray case an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depressions forming a lower half of the spherical ice;
and a tray cover for fixing the tray body to the tray case and forming a perforation to expose the depression,
The top plate tray,
and a unit guide extending upwardly from a side end to guide the rotating arm;
The unit guide includes a guide slot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arm passes, and a guide slot extending in an up-down direction is formed.
일단이 상기 로테이팅 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판 트레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ng arm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ray.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회전 중심이 되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팅 암은, 일단이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제빙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y case,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and includes a lower plate tray connection part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tray case,
The rotating arm is an ice maker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lower tray connection part.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 가능한 제빙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the rotating arm is further rotat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tray presses the upper tray.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테이팅 암이 더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은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는 제빙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arm is further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tray presses the upper tray, the rotating arm tensions the elastic member.
상기 로테이팅 암이 더 회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인장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상판 트레이를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제빙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otating arm is further rotated and the elastic member is tensioned,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tray presses the upper plate tray is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는 탄성부재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y case,
The ice ma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상판 트레이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 트레이의 함몰부와 상기 하판 트레이의 함몰부가 밀착되어 상기 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formed to be depressed upward in the upper tray,
An ice 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cell is formed by closely contacting the recessed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the recessed portion of the lower tray.
상기 하판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tray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ray cas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further extend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rim.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내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ay case,
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protrude downward of the tray case through the seating portion.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평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의 함몰부는 상기 평면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ray body further includes a fla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case,
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lower tray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flat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900A KR102452971B1 (en) | 2020-06-11 | 2021-06-29 | Ice making device |
KR1020220084466A KR102668640B1 (en) | 2020-06-11 | 2022-07-08 | Ice mak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863A KR102273101B1 (en) | 2019-08-13 | 2020-06-11 | Ice making device |
KR1020210084900A KR102452971B1 (en) | 2020-06-11 | 2021-06-29 | Ice making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863A Division KR102273101B1 (en) | 2019-08-13 | 2020-06-11 | Ice making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4466A Division KR102668640B1 (en) | 2020-06-11 | 2022-07-08 | Ice mak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384A KR20210084384A (en) | 2021-07-07 |
KR102452971B1 true KR102452971B1 (en) | 2022-10-07 |
Family
ID=768624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900A KR102452971B1 (en) | 2020-06-11 | 2021-06-29 | Ice making device |
KR1020220084466A KR102668640B1 (en) | 2020-06-11 | 2022-07-08 | Ice making device |
KR1020220165710A KR20220166249A (en) | 2020-06-11 | 2022-12-01 | Ice making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4466A KR102668640B1 (en) | 2020-06-11 | 2022-07-08 | Ice making device |
KR1020220165710A KR20220166249A (en) | 2020-06-11 | 2022-12-01 | Ice mak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45297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6035A (en) | 2004-05-12 | 2005-11-24 | Japan Servo Co Ltd | Automatic ice mak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58060U (en) * | 1987-10-02 | 1989-04-11 | ||
US4910974A (en) * | 1988-01-29 | 1990-03-27 | Hoshizaki Electric Company Limited |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
US7082782B2 (en) * | 2003-08-29 | 2006-08-01 |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 Low-volume ice making machine |
KR101062350B1 (en) * | 2008-11-14 | 2011-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KR101647374B1 (en) * | 2009-05-18 | 2016-08-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US8756950B2 (en) | 2009-08-20 | 2014-06-24 | Follett Corporation | Dispenser device for ice and water,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cleaning same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900A patent/KR10245297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08 KR KR1020220084466A patent/KR10266864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12-01 KR KR1020220165710A patent/KR2022016624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6035A (en) | 2004-05-12 | 2005-11-24 | Japan Servo Co Ltd | Automatic ice mak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1593A (en) | 2022-07-19 |
KR102668640B1 (en) | 2024-05-22 |
KR20220166249A (en) | 2022-12-16 |
KR20210084384A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3412B1 (en) | Refrigerator | |
KR102135938B1 (en) | Ice making device | |
KR102009350B1 (en) |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 |
EP1916489B1 (en) | Ice making apparatus | |
EP209638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
WO200901728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ter to icemaker of refrigerator by fixed volume | |
KR102452971B1 (en) | Ice making device | |
EP2096385B1 (en) |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273101B1 (en) | Ice making device | |
US20210372686A1 (en) | Refrigerator | |
KR20090099908A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4428471A2 (en) | Refrigerator | |
KR100346401B1 (en) | The regulatory structure and method of the amount of storaged ice for refrigerators | |
KR20090092387A (en) |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overflow therein | |
JPH0972640A (en) | Freezer/refrigerator | |
KR20240138701A (en)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KR20220152787A (en) | Icemak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20240138698A (en)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KR20060098053A (en) |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KR100609920B1 (en) | Refrigerator | |
KR20040027007A (en) | A heater control method of ice maker | |
KR20060027914A (en) | A refrigerator and a error detecting method of ice maker | |
KR20210126816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JPH08296933A (en) | Automatic ice-making equipment | |
KR19990066484A (en) | Refrigerator wat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