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50462B1 - 레일 부속 - Google Patents

레일 부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62B1
KR102450462B1 KR1020220034527A KR20220034527A KR102450462B1 KR 102450462 B1 KR102450462 B1 KR 102450462B1 KR 1020220034527 A KR1020220034527 A KR 1020220034527A KR 20220034527 A KR20220034527 A KR 20220034527A KR 102450462 B1 KR102450462 B1 KR 10245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sertion part
parts
weigh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석
Original Assignee
강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석 filed Critical 강은석
Priority to KR102022003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부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등이 설치되는 레일에 설치되는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측이 제1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는 제1삽입부; 및 일 측이 제2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 측이 상기 제1삽입부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부속{RAIL ATTACHMENT}
본 발명은 레일 부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등이 설치되는 레일에 설치되는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테리어 소재로서 조명레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기다란 바 형태로 되어 있는 레일에 조명을 끼워 별도의 결선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조명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조명레일의 내부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다란 판형상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명레일은 전선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미적효과가 뛰어나며 조명레일이 연장된 곳이라면 원하는 위치 어느 곳이나 조명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조명레일은 실내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제공되고 있는 조명레일에는 당연히 길이의 제한이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이 넓거나 굴곡진 곳이 있는 경우에는 조명레일을 더 연장하여야 할 때도 있고 절단하여 짧게 하여야 할 때도 있다. 이 과정에서 조명레일용 커넥터와 같은 레일 부속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0517051호(이하 종래기술)는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 부속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제조 및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레일 부속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상황에서 설치가 용이한 레일 부속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쉬운 레일 부속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일 측이 제1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는 제1삽입부; 및 일 측이 제2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 측이 상기 제1삽입부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의 타 측과 상기 제2삽입부의 타 측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은, 폭이 일정한 광폭부; 상기 광폭부의 일단에 연통되되 일 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감소부; 및 상기 감소부의 일단에 연통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는 협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1하부바디, 및 상기 제1하부바디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하부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하판부; 볼트공이 형성된 제1상부바디, 상기 제1상부바디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상부걸림턱, 및 상기 제1상부바디의 일 측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걸림턱의 높이와 상기 제1하부걸림턱의 높이의 합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상판부; 및 상기 제1상부걸림턱과 상기 제1하부걸림턱의 이격 거리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단자; 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는, 폭이 일정한 직진파트, 및 상기 직진파트의 일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되 외측변이 일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만곡 되는 만곡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상황에서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쉽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속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일 부속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속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일 부속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속(A)(레일 부속품, 레일 커넥터)은 조명(예시적으로 등)이 설치되는 행거가 설치되는 조명레일(후술하는 제1레일, 제2레일 등)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부속(A))는 제1삽입부(1) 및 제2삽입부(2)를 포함한다.
제1삽입부(1)는 일 측이 제1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홈(11)을 포함한다. 또한 제2삽입부(2)는 일 측이 제2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 측이 상기 제1삽입부(1)의 타 측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는 후술하는 결합부(3)에 연결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한 타 측은 상기 제1삽입부(1)와 상기 제2삽입부(2) 각각에서 후술하는 결합부(3) 측을 의미하고, 제1삽입부(1)의 일 측은 상기 제1삽입부(1)의 타 측에 반대되는 측을 의미하며, 제2삽입부(2)의 일 측은 상기 제2삽입부(2)의 타 측에 반대되는 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측(상부, 상면, 상단 등)은 후술하는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면, 상단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면, 하단 등)은 도 4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면, 하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본 장치는 제3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제1삽입부(1) 및 제2삽입부(2) 각각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3삽입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한 조명레일에 관한 것으로, 제1레일은 각각 제1삽입부(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레일은 제2삽입부(2)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1삽입부(1)는 일 측이 상기한 제1레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이고, 제2삽입부(2)는 일 측이 상기 제2레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제1삽입부(1)의 제1홈(11)은 후술하는 제1상부바디(13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제1삽입부(1)는 후술하는 제1하판부(12)와 제1상판부(13)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제1상판부(13) 및 제1하판부(12) 각각에는 볼트공(h)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공(h)에 볼트(b)가 관통되어 제1상판부(13)와 제1하판부(12)가 결합되어 제1삽입부(1)로 제조될 수 있다.
제1상판부(13)의 볼트공(h)은 상기 제1홈(11)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삽입부(1)는 제1홈(11)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길이(상하 길이)가 짧은 볼트(b)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볼트공(h)을 형성하는 제1상부판(13)의 내주면과 볼트(b)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제1삽입부(1)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다 다양한 길이(규격)를 가지는 볼트(b)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제1상판부(13)와 제1하판부(12)를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할 수 있는데, 제1홈(11)의 길이만큼 다양한 길이(규격)를 가지는 볼트(b)를 사용하여 제1상판부(13)와 제1하판부(12)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1홈(11)은 폭이 일정한 광폭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광폭부(111)는 타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감소부(112)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에서 폭이란 상기 제1삽입부(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봤을 때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제1홈(11)은 상기 광폭부(111)의 일단에 연통되되 일 측으로 갈수록 만곡 되며 폭이 감소되는 감소부(112), 및 상기 감소부(112)의 일단에 연통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는 협폭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삽입부(1)는 제1레일의 중공에 삽입되어 끼워진다고 하였는데, 제1레일은 조명(예시적으로 등)이 설치되는 행거가 끼워져 제1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레일에 끼워져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행거가 이동함에 따라 제1삽입부(1)의 일단부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협폭부(113)를 통해 볼트공(h)에서 돌출될 수 있는 볼트(b)를 보호할 수 있으며 감소부(112)를 통해 충격을 분산시켜 제1삽입부(1)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삽입부(1)는 볼트공(h)이 형성된 제1하부바디(121), 상기 제1하부바디(121)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하부걸림턱(122)을 포함하는 제1하판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걸림턱(122)은 상기 제1하부바디(1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하부바디(1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1)는 볼트공(h)이 형성된 제1상부바디(131), 상기 제1상부바디(131)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상부걸림턱(132), 및 상기 제1상부바디(131)의 일 측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걸림턱(132)의 높이와 제1하부걸림턱(122)의 높이(도 2를 기준으로 평면-저면 길이)의 합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제1지지부(133)를 포함하는 제1상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걸림턱(132)은 상기 제1상부바디(13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상부바디(13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지지부(133)는 상기 제1상부걸림턱(132)보다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1)는 상기 제1상부걸림턱(132)과 상기 제1하부걸림턱(122)의 이격 거리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부(141)를 포함하는 제1단자(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지지부(133)의 높이가 상기 제1상부걸림턱(132)의 높이와 제1하부걸림턱(122)의 높이의 합보다 크므로 제1상부걸림턱(132)과 제1하부걸림턱(122)은 상호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는데, 상기한 수평부(141)는 상기한 틈을 관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단자(14)는 상기 수평부(141)의 내측에 연결되고, 제1하부걸림턱(122)과 제1지지부(133)가 형성하는 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수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내측은 상기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제1삽입부(1)의 중심선(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 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선에서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중심선에 직교되는 방향 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1단자(14)의 수평부(141)는 제1레일의 홈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설치단자와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설치단자는 행거에 구비되고 조명의 단자와 접촉되는 행거단자와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상판부(13)와 제1하판부(12)는 각각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공(h)이 형성되어 볼트(b) 등을 매개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에 수직부가 설치되는 제1단자(14) 등의 유지보수 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141)는 폭이 일정한 직진파트(141a), 및 상기 직진파트(141a)의 일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되 외측변(e)이 일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만곡 되는 만곡파트(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부(1)가 상기 제1레일의 중공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단자(14)가 상기 제1레일에 설치되는 설치단자에 걸려 상기 제1삽입부(1)가 제1레일의 중공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1)가 상기 제1레일에 중공에 삽입되어 일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설치단자가 만곡파트(141b)에 가압되는 정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수평부(141)가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설치단자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제1삽입부(1)가 제1레일의 중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단자(14)와 설치단자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삽입부(2) 또한 제1삽입부(1)와 같이, 제2홈, 제2하판부, 제2상판부, 제2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2홈, 제2하판부, 제2상판부, 제2단자 등은 제1홈(11), 제1하판부(12), 제1상판부(13), 제1단자(14) 등과 상응하는 구성으로, 제2홈, 제2하판부, 제2상판부, 제2단자 등의 설명은 제1홈(11), 제1하판부(12), 제1상판부(13), 제1단자(14) 등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3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삽입부(1)의 타 측과 상기 제2삽입부(2)의 타 측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는 결합부(3)를 매개로 결합(연결)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가 회동 가능하데 연결되는 방식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3)는 상기 제2삽입부(2)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힌지공(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1)의 하부에서 상기 힌지공(31)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힌지돌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공(31)은 제2삽입부(2)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고, 힌지돌부(32) 또한 제1삽입부(1)의 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힌지공(31)과 힌지돌부(32)를 포함하는 결합부(3)를 포함함으로써,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가 상기 힌지돌부(3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결합부(3)의 구성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한 다른 구성(예시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등)이 힌지공(31)과 힌지돌부(32) 구성을 대체하거나 힌지공(31)과 힌지돌부(32)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삽입부(1)에 연결되는 제1레일과 제2삽입부(2)에 연결되는 제2레일의 각도를 임의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힌지돌부(32)는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고, 힌지공(31) 또한 내주에 상기 힌지돌부(32)의 외주에 기어가 맞물리도록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가 힌지공(31)과 힌지돌부(32)를 포함하는 경우, 본 장치는 상 제2삽입부(2)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공(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링단자(4b), 상기 제1삽입부(1)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돌부(3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링단자(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제1링단자(4a)와 제1단자(1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연결단자(5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링단자(4a)와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연결단자(5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돌부(32)가 힌지공(31)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과정에서 제1링단자(4a)와 제2링단자(4b)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호 접속되므로, 제1삽입부(1)와 제2삽입부(2)가 회동되는 과정에서도 제1단자(14)와 제2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장치는 제1삽입부(1)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제1삽입부(1)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제1삽입부(1)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라텍스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에 분산 배치되는 신축성 외피재(G1),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 0.4 중량부를 포함하고, 입자 형상이되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변재(G2),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에 구비는 양이온재(G3), 및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을 포함한다(기능성첨가재(G) 각 성분의 비율은 라텍스 0.2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축성 외피재(G1)는 후술하는 가변재(G2)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라텍스를 포함한다.
신축성 외피재(G1)의 라텍스가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가변재(G2)를 충분한 두께로 충분히 감싸지 못해 가변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으며, 라텍스가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방수재(GS)와 혼합된 상태에서 기능성첨가재(G)가 방수재(GS) 하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와 같은 일반적인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부피가 증가한다. 그러나 가변재(G2)에 포함되고 산화물 세라믹 재료인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BiNi1-xFexO3)은 반대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가 감소되는 것이다.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은 실온 상태에서 기존 재료(예시적으로 지르코늄 바나데이트 등)의 2배 이상의 '음의 열팽창' 효과가 있어 사용되었다.
도 1의 [A]는 실온 중 제1온도(예시적으로 10℃)에서 기능성첨가재(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B]는 실온 중 상기한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예시적으로 20℃)에서 기능성첨가재(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방수재(GS)는 상기 제1온도에서 상기 제2온도로 상승할 경우,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할 경우 방수재(GS)는 구부러지고, 우글쭈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통해 도포된 방수재(GS)가 제1삽입부(1)와 분리되어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기능성첨가재(G)는 온도 상승에 따른 방수재(GS)의 부피 증가(또는 수평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남)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변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오히려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신축성 외피재(G1)는 탄성 변형되는 재료라고 하였는데, 상기한 가변재(G2)가 도 1의 [B]와 같이 부피가 감소됨에 따라 탄성 복원되어 마찬가지로 부피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첨가재(G)가 가변재(G2)를 포함함으로써, 방수재(GS)가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우글쭈글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따라서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가변재(G2)의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은 0.4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이 0.4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방수재(GS)의 부피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이 0.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변재(G2)(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는 입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상의 신축성 외피재(G1)에 입자 형상의 다수의 가변재(G2)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재(G2)의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가 다수의 입자 형상을 띄기 때문에 이동이 자유로워 섬유상이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신축성 외피재(G1)의 형상 변화를 꾀할 수 있으며, 도포되는 제1삽입부(1)의 형상에 대응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기능성첨가재(G)는 '-'자 형을 띄지만 구부러져 'ㄱ'자, 'ㄴ'자, 'S'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방수재(GS)와 기능성첨가재(G)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능성첨자제(G)의 외피재(G1)는 탄성 재료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상을 띄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어, 방수재(GS)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양이온재(G3)는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도 1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을 포함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어느 한 측에 양극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그네타이트는 외부 자기장을 받았을 때 자성을 띠다가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잔류된 자기가 사라지면서 잔류자기로 인한 부작용이 없어 사용되었다. 마그네타이트는 상기한 신축성 외피재(G1)의 어느 한 측 단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산은 상기 마그네타이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 다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여 마그네타이트와 다중 결합점에서 배위결합을 형성하므로 코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은 폴리메타크릴산의 표면에서 마그네타이트와 배위결합을 형성하지 않은 카복실기와 반응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마그네타이트에 양전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양이온재(G3)의 표면 양전하는 +30 mV 이상의 표면 제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양이온재(G3)는 0.2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양이온재(G3)가 0.2 중량부 미만 사용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양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양이온재(G3)가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의 피-스티렌술포닉산는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피-스티렌술포닉산이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피-스티렌술포닉산이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되는 경우, 교반(혼합) 상황에서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본 조성물에서 각 성분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첨가재(G)는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에 각각 양이온재(G3)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을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혼합 후 방수재(GS)가 제1삽입부(1)에 도포된 이후에는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방수재(GS)는 섬유상의 신축성 외피재(G1) 뿐만 아니라 양이온재(G3)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강인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양이온재(G3)의 마그네타이트는 광물로서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인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고분자 물질로서 기본적으로 광물보다 변형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때 양이온재(G3)에 의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의 형상이 변화되고, 따라서 양이온재(G3)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기능성첨가재(G)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레일 부속: A
제1삽입부: 1 제1홈: 11
광폭부: 111 감소부: 112
협폭부: 113 볼트공: h
볼트: b 제1하판부: 12
제1하부바디: 121 제1하부걸림턱: 122
제1상판부: 13 제1상부바디: 131
제1상부걸림턱: 132 제1지지부: 133
제1단자: 14 수평부: 141
직진파트: 141a 만곡파트: 141b
제2삽입부: 2

Claims (4)

  1. 일 측이 제1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는 제1삽입부; 및
    일 측이 제2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되, 타 측이 상기 제1삽입부의 타 측과 연결되는 제2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의 타 측과 상기 제2삽입부의 타 측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은,
    폭이 일정한 광폭부;
    상기 광폭부의 일단에 연통되되 일 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감소부; 및
    상기 감소부의 일단에 연통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는 협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1하부바디, 및 상기 제1하부바디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하부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하판부;
    볼트공이 형성된 제1상부바디, 상기 제1상부바디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1상부걸림턱, 및 상기 제1상부바디의 일 측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걸림턱의 높이와 상기 제1하부걸림턱의 높이의 합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상판부; 및
    상기 제1상부걸림턱과 상기 제1하부걸림턱의 이격 거리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단자;
    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는, 폭이 일정한 직진파트, 및 상기 직진파트의 일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되 외측변이 일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만곡 되는 만곡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부속.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재(GS)는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 외면에 도포되고,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라텍스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신축성 외피재(G1);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 0.4 중량부를 포함하고, 입자 형상이되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변재(G2);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에 구비는 양이온재(G3); 및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부속.
KR1020220034527A 2022-03-21 2022-03-21 레일 부속 KR102450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527A KR102450462B1 (ko) 2022-03-21 2022-03-21 레일 부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527A KR102450462B1 (ko) 2022-03-21 2022-03-21 레일 부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462B1 true KR102450462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527A KR102450462B1 (ko) 2022-03-21 2022-03-21 레일 부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4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38A (ko) * 2016-11-30 2018-06-08 김용민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190014814A (ko) * 2017-08-04 2019-02-13 소진섭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KR20190015807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용 전원 연결 디바이스 및 전원 연결 구조의 전극 레일
US20200106227A1 (en) * 2018-09-28 2020-04-02 Optomedia Technology Inc. Optical to electrical adapter
KR200492507Y1 (ko) * 2019-10-04 2020-11-04 김용 조명레일용 커넥터
WO2021262211A1 (en) * 2020-06-24 2021-12-30 Elemental LED, Inc. Connectors for linear ligh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838A (ko) * 2016-11-30 2018-06-08 김용민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190014814A (ko) * 2017-08-04 2019-02-13 소진섭 레일 조명용 양방향 커넥터
KR20190015807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용 전원 연결 디바이스 및 전원 연결 구조의 전극 레일
US20200106227A1 (en) * 2018-09-28 2020-04-02 Optomedia Technology Inc. Optical to electrical adapter
KR200492507Y1 (ko) * 2019-10-04 2020-11-04 김용 조명레일용 커넥터
WO2021262211A1 (en) * 2020-06-24 2021-12-30 Elemental LED, Inc. Connectors for linear light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emium Ground Rail Connector, Naver Blog (http://blog.naver.com/dexalight20/222248766204) *
프리미엄 접지 레일 커넥터,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dexalight20/222248766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456A (en) Locking device for a connector
US9819112B2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US10511123B2 (en) Industrial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CN108695799B (zh) 过线结构、电器盒及空调器
CN104781993A (zh) 电气端子
KR102450462B1 (ko) 레일 부속
TW201916478A (zh) 電連接器總成及其板端連接器與線端連接器
EP1703595B1 (en) Electric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plug connector
US20180076565A1 (en) Lock mechanism,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10249977B2 (en) Connector, connector cover, and wire harness
EP0790459B1 (en) Power cord clamp holders with a support formed by a tube or stem, featuring very easy assembly
US102115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820765B1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US5522735A (en) Conductor clamp
KR200492507Y1 (ko) 조명레일용 커넥터
CN210668716U (zh) 一种车端连接器
CN206850092U (zh) 一种连接器的简易外壳
CN206595410U (zh) 一种大电流连接器及其转接体
CN219351188U (zh) 束线装置
WO2022085529A1 (ja) 複合ワイヤハーネス
KR20080090901A (ko) 절연 샤프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 덕트 연결용조인트 키트
US1056711A (en) Crossover-insula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CN216872270U (zh) 一种端头连接器
CN205396975U (zh) 一种方便使用的电力线缆捆扎带
CN220421387U (zh) 母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