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11B1 -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 Google Patents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4811B1 KR102444811B1 KR1020220080828A KR20220080828A KR102444811B1 KR 102444811 B1 KR102444811 B1 KR 102444811B1 KR 1020220080828 A KR1020220080828 A KR 1020220080828A KR 20220080828 A KR20220080828 A KR 20220080828A KR 102444811 B1 KR102444811 B1 KR 102444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material
- foreign
- fluid
- foreign substan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수조의 수중에 위치하여 집수조의 유체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sible pump for transferring a fluid of a water collecting tank to the outside by being located in the water of a water collecting tank.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수중에 위치하여 집수조의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관을 통해 집수조의 외부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여 이송한다.In general, a submersible pump is located in the water of a water collecting tank, sucks the flui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discharges the sucked flui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a discharge pipe and transfers it.
특히 우수조, 폐수조, 오수조, 배수조와 같은 집수조에는 유체와 함께 이물질이 혼합되어 유입되는 데, 이물질이 수중펌프로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리면서, 임펠러의 손상 또는 기동의 정지에 따른 구동모터의 소손 또는 급정지에 따른 펌프케이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and introduced into water collecting tanks such as storm water tanks, waste water tanks, sewage tanks, and drainage tank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rive motor was burned out or the pump casing was damaged due to sudden stop.
이에 따라 펌프케이싱의 흡입구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유체만을 흡입함으로써, 수중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었다.Accordingly, by installing a strainer at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casing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and sucking only the fluid, it wa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ubmersible pump.
그러나, 스트레이너에 이물질의 축적이 누적되면 유체가 흡입되지 못해 수중펌프의 부하가 가중되면서 구동모터의 소손이 발생하고, 수중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strainer is accumulated, the fluid cannot be sucked, and as the load of the submersible pump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e motor is damaged and the efficiency of the submersible pump is reduc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5716호(2013.11.08.공고)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a submersible pump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25716 (notice on November 8, 2013) has been disclosed.
상기한 종래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펌프는 상하로 관통하여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에 펌프가 설치되며 상단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컬럼파이프와, 상기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둘러싸고 외면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컬럼파이프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소정 거리 연장되어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컬럼파이프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submersible pump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penetrates up and down to form an internal flow path, a pump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flow path, a column pipe having an outlet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and a column pipe at the bottom of the column pip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surround and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column pipe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installed, and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trainer along the column pipe.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펌프는 스트레이너를 승강기구에 의해 승하강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에 쌓인 이물질을 떨어 내는 형태로 청소하여 스트레이너의 막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The conventional submersible pump equipped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of this configuration was abl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clogging of the strainer by lifting and lowering the strainer by the lifting mechanism, and cleaning it in the form of dropp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trainer.
하지만, 종래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펌프는 스트레이너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다시 집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집수조의 이물질을 처리하지 못해 재차 스트레이너가 다시 막혀 잦은 청소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bmersible pump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strainer flows back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foreign material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cannot be treated.
또한, 스트레이너를 승강기구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에 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tr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trainer by moving up and down by the lifting mechanism,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구에 포켓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이물질이 걸러지는 포켓공간이 형성되고, 흡입력이 소멸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포켓공간의 이물질을 배출함으로써, 포켓스트레이너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ocket strainer at the suction port, and the shape is deformed convexly upward by the suction force to form a pocket spa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When the suction power is extinguished, the shape is deformed convexly downward by its own weight to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pocket space,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pocket strainer can be easily removed as well as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t aims to provide a possible submersible pump.
또한, 포켓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이물질처리챔버에 가둬둔 상태에서 펌프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집수조의 수면에 부양되는 이물질수용부로 이송하여 가둬둠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펌프부의 고장을 방지하고, 이물질에 의한 펌프부의 고장을 방지하고,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tate that the foreign material of the pocket strainer is confined in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it is transferred to the foreign material receiving unit that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unit and 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failure of the pump unit due to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dama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treating foreign substances in a water collecting tank, which can prevent a failure of the pump unit and prevent a decrease in pump efficiency.
또한, 포켓스트레이너의 형상변형에 따라 연동부재에 의해 유입개폐부재를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작동에 따른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pocket strainer,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onfigured to operate by the interlocking member,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집수조의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유체의 흡입 시 흡입력에 의해 딸려 올라가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포켓을 형성하고 흡입력이 소멸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형태로 상기 이물질포켓에 모인 이물질을 하부로 떨어내는 포켓스트레이너,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부의 기동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포켓에 걸린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처리챔버,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 모인 이물질을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처리하도록 상기 펌프부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과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를 연결하는 분기처리관,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 모인 이물질을 상기 분기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서 배출하는 이물질처리관, 및 상기 집수조에서 상기 이물질처리관으로 토출되는 이물질을 모아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상기 집수조에서 부양되어 상기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수용하는 이물질수용부를 포함한다.The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ollec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ump unit that sucks and discharges the fluid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is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of the pump unit is sucked. When the fluid is sucked in, it rises up by the suction force to form a foreign material pocket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when the suction power is extinguished, it sag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s the start of the pump unit is stopped, the foreign material caught in the foreign material pocket is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erial processing chamber into which the foreign material falls to the lower part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foreign material collected in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is treated by the discharged fluid. A branch treatment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d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a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from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ogether with the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branch treatment tube, and in the water collection tank and a foreign material accommodating part which filters and accommodat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and float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to collect and easily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는 상기 포켓스트레이너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유입공,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처리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처리유입공, 및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이물질을 토출하는 처리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includes a foreign material inlet hole through which a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cket strainer, a treatment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o introduce a fluid through the branch treatment pipe, and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It may include a treatment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by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tube.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는 상기 이물질유입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처리관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may include an inlet opening/closing member installed in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to prevent the fluid discharged to the branch treatment pipe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상기 펌프부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포켓스트레이너가 상부로 딸려 이동하거나, 하부로 쳐질 때 상기 유입개폐부재가 연동하여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포켓스트레이너와 상기 유입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rlocking member connecting the pocket strainer and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that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terlocks to open and close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when the pocket strainer is moved upwar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unit or is struck downward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처리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을 분기처리관 및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펌프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물질수용부로 이송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집수조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이물질에 의한 펌프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foreign material receiving unit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through the branch treatment pipe and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and processed, the foreign material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easily removed and the foreign material is pumped by the foreign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pump from occurring or the pump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또한, 포켓스트레이너가 유체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볼록한 상태로 이물질이 쌓이는 포켓공간을 형성하고, 흡입력이 소멸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형되면서 포켓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함으로써, 포켓스트레이너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cket strainer forms a pocket spa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a convex stat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luid, and when the suction force is dissipated, the shape is deformed convexly to the bottom by its own weight, and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pocket space are easily discharged. ,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pocket strainer,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흡입력에 의해 포켓스트레이너의 형상이 변형될 때 연동부재에 의해 유입개폐부재가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pocket strainer is deformed by the suction force, since the inlet opening/closing member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locking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opera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써, 펌프부에 집수종의 유체를 토출관을 통해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써, 분기처리관 및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이물질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써, 펌프부의 미기동 시에 포켓스트레이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treating foreign substances in a water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treating foreign substances in a water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a water collecting type fluid is transferred to the pump unit through a discharge pipe.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treating foreign substances in a water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transferred through a branch treatment pipe and a foreign substance treatment pip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treating foreign substances in a water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pocket strainer when the pump unit is not star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펌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 , the
펌프부(110)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력과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펌프부(110)는 구동모터(111), 임펠러(113), 펌프케이싱(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구동모터(111)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임펠러(113)는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The driving
구동모터(111)는 집수조의 수중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케이싱에 감싸져 기밀될 수 있다.The driving
임펠러(113)는 복수 개의 베인이 구동축의 둘레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된 형태이거나, 하나의 베인이 구동축에서 원주방향의 둘레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임펠러(113)는 구동축이 결합되는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둘레로 토출할 수 있다.The
펌프케이싱(115)의 내부에는 임펠러(113)가 설치되어 임펠러(113)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와 토출되는 유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An
펌프케이싱(115)의 하부에는 임펠러(113)의 유체가 흡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6)가 형성되고, 펌프케이싱(115)의 둘레에는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At a lower portion of the
펌프케이싱(115)은 흡입구(116)에서 토출구(117)로 갈수록 점점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나선형의 유속공간을 형성하여 임펠러(113)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속공간을 통해 회전하면서 유속을 유압을 변경하여 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The
펌프케이싱(115)과 구동모터(111)의 사이에는 구동축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챔버가 구성될 수 있으며, 오일챔버에서 구동축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메카니컬씰이 설치되어 기밀을 수행할 수 있다.An oil chamber for supplying lubricating oil to the drive shaft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이렇게 구성된 펌프부(110)는 구동모터(111)에 의해 임펠러(113)가 회전하면, 임펠러(113)의 베인에 의해 흡입력과 토출력이 발생하면서, 펌프케이싱(115)의 흡입구(116)로 유체가 흡입되어 토출구(117)로 토출된다.In the
이때, 펌프케이싱(115)의 토출구(117)에는 집수조에 설치된 토출관(210)이 연결되어 집수조의 외부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포켓스트레이너(12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포켓스트레이너(120)는 펌프케이싱(115)의 흡입구(116)에 설치되어 흡입구(116)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흡입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임펠러(113)가 회전하지 못해 임펠러(113) 또는 구동모터(111) 또는 펌프케이싱(11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포켓스트레이너(120)는 흡입구(116)에 설치되어 펌프케이싱(115)의 내부에서 임펠러(113)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포켓스트레이너(120)가 임펠러(113)의 흡입력과 유체의 저항에 의해 임펠러(113)가 위치한 방향으로 딸려 올려가면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걸려 저장되는 포켓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한편, 포켓스트레이너(120)는 흡입력이 소멸되면, 포켓스트레이너(120)의 자중과 중력에 의해 하부로 볼록하게 쳐지면서 포켓공간(121)이 소멸되어 포켓공간(121)에 수용된 이물질이 바닥으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ction force is extinguished, the
포켓스트레이너(120)는 펌프의 기동에 따라 흡입력과 유체의 저항에 의해 상부로 볼록하게 포켓공간(121)을 형성하거나, 하부로 볼록하게 쳐져 포켓공간(121)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The
포켓스트레이너(120)는 내구성을 가지도록 금속의 와이어를 그물망의 형태로 엮은 것이거나, 금속고리를 그물망의 형태로 엮어 구성한 것일 수 있다.The
포켓스트레이너(120)는 유체의 저항 및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16) 측으로 딸려 올라갈 수 있도록 금속 중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켓스트레이너(120)가 흡입력에 의해 포켓공간(121)을 형성할 때, 임펠러(113)가 위치한 내부까지는 진입하지 않는 포켓공간(121)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이물질처리챔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 the
이물질처리챔버(130)는 흡입구(116)와 대응되는 집수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포켓스트레이너(120)에서 포켓공간(121)이 사라지면서 바닥으로 떨어져 제거되는 이물질을 받아 수용할 수 있다.The foreign
이물질처리챔버(130)는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상부에는 포켓스트레이너(1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유입공(13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oreign
그리고,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일측면에는 이물질처리챔버(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처리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처리유입공(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처리유입공(133)에 대해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이물질처리챔버(130)의 타측면에는 처리유입공(133)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처리배출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물질처리챔버(130)는 흡입구(116) 둘레의 유체가 흡입구(116)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이물질처리챔버(130)는 바닥에서 흡입구(116)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원형의 콘 형상에서 뾰족한 상단이 절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reign
이물질처리챔버(130)는 둘레의 유체가 흡입구(116)로 자연스럽게 방향을 전환하여 회전하도록 외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상단 부분에 포켓스트레이너(120)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유입공(131)이 위치할 수 있다.The foreign
이물질유입공(131)에는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유입공(131)을 개폐하는 회전도어의 형태의 유입개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유입개폐부재는 일단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유입공(131)을 개방 시에는 하부로 회전하여 개방하고, 상부로 회전시에는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할 수 있다.An inlet opening/clos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tat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oreign
여기서, 유입개폐부재는 이물질처리챔버(130)를 개방 시에는 이물질처리챔버(130)로 포켓스트레이너(12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이물질처리챔버(130)로 유입되고, 이물질처리챔버(130)를 밀폐 시에는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유체가 이물질유입공(131)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opens the foreign
그리고, 유입개폐부재는 이물질유입공(131)을 개방한 상태에서 힌지에 의해 결합된 방향의 반대방향의 끝단 즉, 개폐를 위해 회전하는 반대방향의 끝단이 처리유입공(133)과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처리유입공(133)을 통해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켜 이물질유입공(131)을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s an end opposite to the direction coupled by the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분기처리관(140) 및 이물질처리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분기처리관(140)은 토출관(210)에서 분기되거나, 펌프케이싱(115)에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117)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분기되어 토출되는 유체를 이물질처리챔버(130)로 공급할 수 있다.The
분기처리관(140)의 일단은 토출관(210) 또는 펌프케이싱(115)의 토출구(117)가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처리유입공(133)과 연결되어 펌프부(1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로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이물질처리챔버(130)로 공급할 수 있다.One end of the
분기처리관(140)은 고정된 형태 또는 고무호스와 같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으며, 분기처리관(140)에는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분기처리관(140)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분기제어밸브(145)가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토출관(210)에는 분기제어밸브(145)에 의해 분기처리관(140)을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모든 유체가 분기처리관(1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토출관(210)을 개폐하는 토출제어밸브(17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예를 들어, 분기제어밸브(145)에 의해 분기처리관(140)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제어밸브(170)를 개방하면,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토출관(210)을 통해 모두 집수조의 외부로 이송되고, 분기제어밸브(145)에 의해 분기처리관(140)을 개방한 상태에서 토출제어밸브(170)에 의해 토출관(210)을 폐쇄하면,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모든 유체는 분기처리관(140)을 통해 이물질처리챔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분기제어밸브(145)와 토출제어밸브(170)는 펌프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반(미도시)에 의해 펌프부(110)의 기동유무 또는 이물질의 처리유무를 선택하는 선택버튼의 작동에 따라 제어되거나, 펌프부(110)의 기동이 정지된 후 미리 설정된 유휴시간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이물질처리관(150)은 분기처리관(140)을 통해 이물질처리챔버(130)로 유입된 유체와 함께 이물질이 혼합되어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In the foreign
이물질처리관(150)은 하기에 설명할 이물질수용부(160)와 연결되어 이물질처리챔버(130)에서 유체와 함께 토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수용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The foreign
이물질처리관(150)의 일단은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처리배출공(13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물질처리관(150)의 타단은 이물질수용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oreign
이물질처리관(150)은 연결될 이물질수용부(160)를 집수조의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이물질처리챔버(130)에서 집수조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물질처리관(150)은 고무호스와 같이 유연하게 휘어져 이물질수용부(160)의 위치 변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foreig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이물질수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이물질수용부(160)는 이물질처리관(150)을 통해 유체와 함께 이송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The foreign
이물질수용부(16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물질수용부(160)는 이물질수용부(160)로 공급되는 유체에서 유체는 배수되고, 이물질만 걸러내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공극으로 형성된 망 또는 다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이물질수용부(160)는 이물질수용부(160)를 집수조의 밖에서 용이하게 꺼내 저장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조의 수면에서 이물질수용부(160)가 부유되어 용이하게 집수조의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이물질수용부(160)에는 부력체(165)가 설치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연동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 the
연동부재(125)는 펌프부(110)의 기동에 따라 유입개폐부재가 이물질유입공(131)을 밀폐하거나, 폐쇄하도록 펌프부(110)와 유입개폐부재를 연동시킬 수 있다.The interlocking
예를 들어, 펌프부(110)의 기동 시에는 이물질유입공(131)을 차단하고, 펌프부(110)의 기동이 정지되면 이물질유입공(131)을 개방하도록 유입개폐부재를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연동부재(125)의 일례로는 유입개폐부재를 개폐하는 서보모터를 유입개폐부재에 설치하고, 구동모터(111)가 작동하면 서보모터가 함께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하고 구동모터(111)의 작동이 정지되면 서보모터가 함께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이물질유입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nterlocking
다만, 연동부재(125)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경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interlocking
실시예의 연동부재(125)는 막대 또는 와이어로 구현되어 연동부재(125)의 일단은 포켓스트레이너(120)의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개폐부재의 개폐되는 단부를 결합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실시예의 연동부재(125)는 펌프부(110)의 기동에 따라 포켓스트레이너(120)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포켓공간(121)을 형성하면, 연동부재(125)가 당겨지면서 유입개폐부재가 회전하면서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하고, 펌프부(110)의 기동이 정지되면 포켓스트레이너(120)부가 자중 및 중력에 의해 하부로 볼록하게 처지면서, 연동부재(125)의 당김력이 해제되어 유입개폐부재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interlocking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between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통상적으로 토출관(210)을 통해 집수조의 유체를 외부로 이송할 때에는 토출관(210)에 설치된 토출제어밸브(170)를 통해 토출관(210)을 개방하고, 분기제어밸브(145)를 통해 분기처리관(140)을 폐쇄한다.The
이 상태에서 펌프부(110)가 기동하면, 펌프부(110)의 임펠러(113)에 의해 흡입구(116)를 통해 집수조의 유체가 유입되어 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되면서 토출구(117)에 연결된 토출관(210)을 통해 집수조의 외부로 유체가 이송된다.When the
이때, 흡입구(116)에 설치되는 포켓스트레이너(120)는 하부로 볼록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펌프부(110)의 기동에 따라 흡입구(116)에 흡입력이 발생하고, 유체의 저항에 의해 흡입구(116) 측으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형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켓공간(121)을 형성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포켓스트레이너(120)의 포켓공간(121)에 위치되어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만 펌프부(110)를 통해 흡입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113), 펌프케이싱(115), 또는 구동모터(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여기서, 포켓스트레이너(120)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포켓공간(121)을 형성하면, 포켓스트레이너(120)에 연결된 연동부재(125)가 포켓스트레이너(120)의 형상 변경에 따라 상부로 당겨지면서, 연동부재(125)에 연결된 유입개폐부재가 상부로 함께 당겨져 이물질처리챔버(130)의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한다.Here, when the
그리고, 흡입구(116)로 유체가 흡입될 때에는 흡입구(116)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는 유체는 이물질처리챔버(130)의 형상에 의해 흡입구(116)를 향해 방향이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유입되기 때문에 흡입저항을 감소시켜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is sucked into the
한편,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펌프제어반을 통해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펌프제어반에서 펌프부(110)의 기동이 정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유휴시간을 가진 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e operator directly manipulates them through the pump control panel, or when the start of the
펌프부(110)의 기동이 정지되면, 흡입구(116)의 흡입력과 유체의 저항이 사라지면서, 상부로 볼록하게 포켓공간(121)을 형성하던 포켓스트레이너(120)가 하부로 쳐지면서, 포켓공간(121)에 위치한 이물질이 하부로 떨어져 제거된다.When the start of the
이와 동시에 포켓스트레이너(120)가 하부로 쳐지면, 연동부재(125)도 하부로 쳐지면서 연동부재(125)에 연결된 유입개폐부재가 하부로 회전하여 이물질유입공(131)을 개방하여 포켓스트레이너(120)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이물질처리챔버(130)의 내부로 유입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펌프부(110)의 기동에 따른 유휴시간이 종료되거나,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펌프제어반을 통해 조작하면, 펌프제어반은 토출제어밸브(170)를 제어하여 토출관(210)을 폐쇄하고, 분기제어밸브(145)를 제어하여 분기처리관(140)을 개방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dle time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이 상태에서 펌프부(110)가 다시 기동하고, 펌프부(110)는 흡입구(116)를 통해 집수조의 유체가 흡입되면서, 포켓스트레이너(120)가 다시 상부로 볼록하게 포켓공간(121)을 형성하고, 포켓스트레이너(120)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상이 변경되면서 연동부재(125)가 상부로 당겨져 연동부재(125)에 연결된 유입개폐부재가 이물질유입공(131)을 폐쇄한다.In this state, the
이와 동시에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유체는 분기처리관(140)을 통해 이물질처리챔버(130)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물질처리챔버(130)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처리관(150)을 통해 집수조의 수면에 부양되는 이물질수용부(160)로 이송된다.At the same tim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이물질수용부(160)로 이송된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는 이물질수용부(160)에서 다공에 의해 다시 집수조로 배수되고, 이물질은 이물질수용부(160)에 가둬져 남는다.The fluid containing the foreign material transferred to the foreign
이렇게 이물질수용부(160)에 이물질이 걸러지면, 작업자는 이물질수용부(160)를 집수조의 외부로 강제적으로 꺼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이물질수용부(160)를 집수조의 수면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When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of the foreign
한편, 이물질을 처리할 때 펌프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가동하고 펌프부(110)의 기동을 정지하여 유휴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Meanwhile, when processing foreign substance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100)는 포켓스트레이너(120)에 쌓인 이물질을 이물질처리챔버(130)에서 가둬 모으고 이물질처리챔버(130)에 모인 이물질을 분기토출관(210)과 이물질처리관(150)을 통해 펌프부(110)에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물질수용부(160)로 이송함에 따라 집수조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이물질에 의한 펌프부(110)의 고장을 방지하고,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포켓스트레이너(120)가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면서, 이물질이 쌓이는 포켓공간(121)을 형성하거나, 포켓공간(121)에 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hape of the
또한, 집수조의 수면에서 부양되는 이물질수용부(160)에 처리되는 이물질이 수용되어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to be treate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oreign substances
또한, 포켓스트레이너(120)와 유입개폐부재가 연동부재(125)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하며,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asily changed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100: 수중펌프 110: 펌프부
111: 구동모터 113: 임펠러
115: 펌프케이싱 116: 흡입구
117: 토출구 120: 포켓스트레이너
121: 포켓공간 125: 연동부재
130: 이물질처리챔버 131: 이물질유입공
133: 처리유입공 135: 처리배출공
140: 분기처리관 145: 분기제어밸브
150: 이물질처리관 160: 이물질수용부
165: 부력체 170: 토출제어밸브
210: 토출관100: submersible pump 110: pump unit
111: drive motor 113: impeller
115: pump casing 116: inlet
117: outlet 120: pocket strainer
121: pocket space 125: interlocking member
130: foreign material processing chamber 131: foreign material inlet hole
133: treatment inlet hole 135: treatment discharge hole
140: branch treatment pipe 145: branch control valve
150: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160: foreign material receiving unit
165: buoyancy body 170: discharge control valve
210: discharge pipe
Claims (4)
상기 펌프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유체의 흡입 시 흡입력에 의해 딸려 올라가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포켓을 형성하고 흡입력이 소멸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형태로 상기 이물질포켓에 모인 이물질을 하부로 떨어내는 포켓스트레이너,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부의 기동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포켓에 걸린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처리챔버,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 모인 이물질을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처리하도록 상기 펌프부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과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를 연결하는 분기처리관,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 모인 이물질을 상기 분기처리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에서 배출하는 이물질처리관, 및
상기 집수조에서 상기 이물질처리관으로 토출되는 이물질을 모아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상기 집수조에서 부양되어 상기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수용하는 이물질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A pump unit that sucks and discharges the fluid in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It is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where the fluid of the pump part is sucked, and when the fluid is sucked, it rises up by the suction force to form a foreign material pocket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pocket strainer,
A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ort and into which foreign matter, which is caught in the foreign material pocket, falls to the lower portion due to its own weight as the start of the pump unit is stopped, is introduced;
a branch treatment pipe connecting a portion from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pump unit to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so as to treat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by the discharged fluid;
a foreign material treatment tube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from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ogether with the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branch treatment tube; and
and a foreign material accommodating part for filtering and recei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that is floated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to collect and easily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to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는
상기 포켓스트레이너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유입공,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처리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처리유입공, 및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처리관을 통해 상기 이물질처리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이물질을 토출하는 처리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The method of claim 1,
The foreign material processing chamber is
a foreign material inlet hole through which foreign material flows in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cket strainer;
A treatment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through the branch treatment pipe, and
and a treatment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o discharge foreign materials by the fluid flowing into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chamber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treatment pipe.
상기 이물질처리챔버는
상기 이물질유입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처리관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eign material processing chamber is
and an inlet opening/closing member installed in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to prevent the fluid discharged to the branch treatment pipe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Submersible pump available.
상기 펌프부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포켓스트레이너가 상부로 딸려 이동하거나, 하부로 쳐질 때 상기 유입개폐부재가 연동하여 상기 이물질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포켓스트레이너와 상기 유입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pocket strainer is moved upwar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unit or is struck downward,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terlocks to open and close the foreign material inlet hole. A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0828A KR102444811B1 (en) | 2022-06-30 | 2022-06-30 |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0828A KR102444811B1 (en) | 2022-06-30 | 2022-06-30 |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4811B1 true KR102444811B1 (en) | 2022-09-19 |
Family
ID=8346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0828A Active KR102444811B1 (en) | 2022-06-30 | 2022-06-30 |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481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49307A (en) * | 2024-07-08 | 2024-08-06 | 浙江丰球克瑞泵业有限公司 | High-voltage submersible motor |
KR102804514B1 (en) * | 2024-09-20 | 2025-05-12 | (주)하백 | A suction guide apparatus for water pump and water pump with 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90A (en) * | 2004-02-02 | 2005-08-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Complex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luid and sludge |
KR20130073026A (en) * | 2013-05-12 | 2013-07-02 | 박재원 | The submersible pump furnished device of anti-vibration |
JP2017106374A (en) * | 2015-12-09 | 2017-06-15 | 中国電力株式会社 | Strainer device |
KR102002171B1 (en) * | 2019-01-07 | 2019-10-21 | 신우중공업주식회사 | Strainer removable the foreign substance and pump having the same |
-
2022
- 2022-06-30 KR KR1020220080828A patent/KR1024448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90A (en) * | 2004-02-02 | 2005-08-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Complex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luid and sludge |
KR20130073026A (en) * | 2013-05-12 | 2013-07-02 | 박재원 | The submersible pump furnished device of anti-vibration |
JP2017106374A (en) * | 2015-12-09 | 2017-06-15 | 中国電力株式会社 | Strainer device |
KR102002171B1 (en) * | 2019-01-07 | 2019-10-21 | 신우중공업주식회사 | Strainer removable the foreign substance and pump hav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49307A (en) * | 2024-07-08 | 2024-08-06 | 浙江丰球克瑞泵业有限公司 | High-voltage submersible motor |
KR102804514B1 (en) * | 2024-09-20 | 2025-05-12 | (주)하백 | A suction guide apparatus for water pump and water pump with 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4811B1 (en) | Submersible pump capable of handl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mp | |
KR102431585B1 (en) | Poor drainage package system that prevents clogging by the strainer chamber | |
EP2116673B1 (en) | Pool cleaning vehicle having an advanced drain system | |
KR102164321B1 (en) | Submersible pump for preventing clogging of filtration cover | |
KR102416016B1 (en) | Submersible pump that minimizes the trapping of foreign substances by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part | |
KR102435464B1 (en) | Submersible pump with flow path improvement pedestal | |
CN107473330A (en) | Distance type water oil stain remover | |
CN114033337A (en) | Formation water discharge equipment for oil exploitation | |
KR102099930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sludge with the reverse washing | |
US7918942B2 (en) | Drain valve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 |
JP4659039B2 (en) | Conduit ventilation system for drainage conduits in household appliances using water | |
KR101434504B1 (en) | a vertical pump having a apparatus of shaft protecting | |
KR101760901B1 (en) | Oil mist collecting device with drain filter | |
NL2008390C2 (en) | Filtration appliance and filtration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ppliance. | |
JP2587791B2 (en) | Bottom floor sludge removal / recovery device for ponds | |
KR102428400B1 (en) | Lower water drainage system of road tunnel | |
CN113898593B (en) | Self-cleaning submersible pump | |
KR20090028134A (en) | Rotary drum solid-liquid separator | |
KR101027448B1 (en) | Sewage Purification Device | |
JP3662633B2 (en) | underwater pump | |
CN111348732A (en) | Filling station sewage treatment plant | |
KR20240083509A (en) | Tire-washer with purging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sludge cake | |
KR100281290B1 (en) | Residual removal device for water suction vacuum cleaner cover | |
BE1028579B1 (en) | Pump-out device for a water tank | |
CN221256866U (en) |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automatic underground drainage of coal m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